1. No Image

    털뚝새풀

    학명 : Alopecurus japonicus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뚝새풀속(Alopecurus)

    잎 : 잎새는 선형(線形)이고 백녹색이며 길이 4-15㎝ 폭 5-8㎜이며 엽초는 보통 잎새보다 길고 엽설릉 백색의 막질이며 높이 2-4㎜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화서는 원주형이고 줄기 끝에 달리는데 길이 3-6㎝ 지름 5-8㎜으로 재래종의 뚝새풀보다 굵다. 소수는 납작하고 길이 5-6㎜ 1소화이다. 호영은 2개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이며 소수와 길이가 같고 분리되었으며 3맥이 있고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져 용골 위에 긴 털이 난다. 호영은 5맥이 있고 중앙맥 기부 근처에서부터 긴 까락이 생기며 까락은 길이 10-12㎜이다. 수술은 3개 꽃밥은 백색 길이 1㎜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뭉쳐서 나고 높이 20-60㎝이며 3개의 마디가 있다.

    분포 : 일본의 남부와 중국의 남부에 분포한다. ▶경남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와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보리밭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뚝새풀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4(2) ▶까락이 긴 것을 표현하여 털뚝새풀이라 칭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glumac. 1: 149 (1854)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 (박수현, 1994)
    Read More
  2. No Image

    털나래새

    학명 : Stipa sibirica var. pubicalyx (Ohwi) Kitag.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나래새속(Stipa)
    이명 : 털수염새
    잎 : 잎은 꺼칠꺼칠하고 길이 20-30㎝ 폭 3-5㎜로서 안으로 말려 들며 엽초와 더불어 잔털이 있고 엽초가 연결되는 곳에는 다소 긴 털이 있으며 엽설은 길이 1.2㎜이다.


    줄기 : 높이 90-120cm이고 곧게 자란다.

    분포 :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나래새 (S. sigirica(L.) LAMBERT)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 Inst. Sci Res. Manch. 6 : 116 ()

    Read More
  3. No Image

    털개억새

    학명 : Eulalia quadrinervis (Hack.) Kuntz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개억새속(Eulalia)
    이명 : 유드기아재비좀개억새
    잎 : 줄기 밑부분을 둘러싼 엽초에 털이 밀생하지 않는다. 잎은 길이 20-40cm 나비 3-8mm로서 백색 털이 있고 엽설은 짧으며 절두이고 엽초에 비스듬히 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경(花莖) 끝에 3-7개의 가지가 달린 장상화서는 길이 8-12cm로서 연한 황갈색이고 한쪽으로 처진다. 수축(穗軸)은 희거나 자줏빛이 도는 잔털로 덮이며 소수(小穗)는 2개씩 달리고 그 중 1개는 대가 있으나 1개는 없으며 길이 5-6mm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이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다. 속모는 길고 마디사이에 흰빛이 도는 자갈색 털이 있으며 까락은 길이 12-17mm이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줄기 밑이 굵지 않으며 개억새와 비슷하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is. Gen. Pl. 2 : 775 (Kuntze, 18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4. No Image

    털개밀

    학명 : Agropyron gmelini (Griseb.) Scribn. & Sm.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개밀속(Agropyron)
    이명 : 북개밀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15-25㎝ 폭 5-8㎜로서 양면에 긴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0.4-0.5㎜로서 윗부분이 편평하고 절두이며 막질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10-15㎝로서 곧고 화축의 능선이 거칠다. 소수(小穗)는 압착되며 5-8개의 꽃이 달리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cm로서 백록색이지만 흔히 연한 자줏빛이 돈다. 포영은 길이가 같지 않고 5-7맥이 있으며 길이 9-10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호영은 길이 1cm로서 5맥이 있고 끝에 뒤로 굽은 까락이 있으며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고 자방에 털이 있다. 인피는 2개 수술 3개이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밀생한다.

    분포 : 태백산 및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pl. Fl. ross. 3:16 (183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큰참새피

    학명 : Paspalum dilatatum Poir.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피속(Paspalum)

    잎 : 잎새는 길이 10-30㎝ 폭 8㎜내외이며 털이 없다. 기부의 잎집은 약간의 성긴털이 있으나 그 외의 잎집은 털이 없고 다만 엽초 구부(口部)에 긴털이 모여 난다. 엽설은 길이 2-4㎜로 엷은 갈색이다.
    꽃 : 8-9월에 꽃이 피며 화서는 3-6개의 총으로 되며 총의 기부 분기점에 긴 털이 모여 난다. 총의 길이는 5-9㎝로 옆으로 또는 아래를 향하며 2-3열로 소수가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소수는 난형으로 길이 3-3.5㎜ 가장자리에 긴털이 있고 1㎜길이의 자루가 있다. 포영은 3맥 호영은 5맥 모두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긴털이 술처럼 밀생하고 윗쪽은 드믈게 있다. 암술머리나 꽃밥은 적자색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30-80㎝로 직립하며 털이 없다.

    분포 : 북아메리카 남부 유럽 코카시스 일본등지에 귀화되었다. ▶제주도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참새피(Paspalum thunbergii): 잎새나 잎집에 털이 있고 소수의 길이가 2.5-3㎜이고 털이 없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3(4)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5 : 35 (Lamarck, 1804)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V) (박수현, 1993)
    Read More
  6. No Image

    큰참새귀리

    학명 : Bromus secalinu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귀리속(Bromus)

    잎 : 엽초는 둥글며 털이 없으나 드물게 아래쪽 것은 미모(微毛)가 있기도 하며 엽설(葉舌)은 높이 1-2㎜이다. 잎새는 선형(線形)이며 길이 10-20㎝ 폭 3-6㎜ 털이 없거나 연모(軟毛)가 성기게 나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핀다. 원추화서(圓錐花序)는 길이 12-20㎝ 한 마디에 2-5개의 가지가 있고 가지마다 1-4개의 소수(小穗)가 붙는다. 소수는 납작하고 장타원형상 피침형이며 5-15 소화(小花)가 달리며 털이 없고 길이 1.5-2.5㎝ 소화지(小花枝)가 열매 사이로 보인다. 제1포영은 길이 4-6㎜ 3-5맥 제2포영은 길이 6-7㎜ 7맥이며 제1포영보다 넓다. 호영(護穎)은 광타원형 길이 6-7㎜ 7맥 등이 둥글고 끝이 요두(凹頭)

    줄기 : 줄기는 높이 40-80㎝이다.

    분포 : 중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
    유사종 : ▶좀참새귀리(B. inermis Leyss.): 제1포영은 길이 4-6㎜ 1맥 제2포영은 길이 6-8㎜ 3맥이다.
    특징 : 시베리아 일본 북아메리카에 귀화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중부지방에 분포한다. `좀참새귀리`에 비하여 제1포영이 3맥 제2포영이 7맥인 점과 소수의 크기가 크며 긴 까락이 있고 소화가 성기게 부착해서 소화지가 눈에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7. No Image

    큰쥐꼬리새

    학명 : Muhlenbergia huegelii Tri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쥐꼬리새속(Muhlenbergia)
    이명 : 큰쥐꼬리풀
    잎 : 잎은 길이 10~20cm 나비 4~14mm이며 중앙맥이 백색으로 넓어 눈에 띄고 엽초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엽설은 길이 1mm이하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30cm로 끝이 드리우고 가지는 비스듬히 선다. 소수는 길이 3mm이고 1개의 꽃으로 되며 회백 녹색으로 연한 자색을 띠고 밀생한다. 제1포영은 길이 0.5~0.7mm로 맥이 없고 제2포영은 길이 0.7~1mm로 희미한 1맥이 있다. 호영은 3맥이고 기부 가까이에 긴 털이 있고 끝이 2열하며 그 사이에서 길이 7~12mm의 까락이 난다.

    줄기 : 줄기는 곧추 또는 비스듬히 서며 종종 많은 가지를 내어 옆으로 눕는다.
    뿌리 : 근경은 길게 옆으로 뻗고 지름 3~5mm이며 많은 혁질로 윤채가 나는 인편으로 덮인다.
    분포 : 강원 경기 이남에 나며 일본 대만 만주 아무르 히말라야 필리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Sci. Petersb. ser. 6, Sci. Math. 6(2) :293. (18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큰조아재비

    학명 : Phleum pratense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풀속(Phleum)
    이명 : 산조아재비 지모시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20-60cm 폭 5-10mm로서 녹색이고 엽설은 반원형이며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길이 5~15cm 폭 7mm정도인 원주모양의 수상화서에 소수가 밀생한다. 소수는 1개의 꽃으로 되며 길이 3-3.5mm이고 편평한 도란형이다. 포영은 좁은 도란형으로서 안으로 접히며 색이 연하고 막질로서 뒷면은 녹색이며 잔점이 있고 능각은 윗부분을 제외하고는 퍼진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해져 표영 길이의 1/3-1/4정도되는 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길이 1.5mm정도로서 털이 없고 절두이며 5맥이 있고 내영은 이보다 약간 짧으며 피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총생한다.

    분포 : 재배하였으나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큰새포아풀

    학명 : Poa triviali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수캐꾸렘이풀 수캐포아풀 큰참새꿰미풀
    잎 : 잎은 길이 10-20㎝ 나비 3-5㎜로서 녹색이며 표면이 꺼칠꺼칠하고 엽설은 길이 3-6㎜로서 삼각형이고 녹색이며 막질이다.
    꽃 : 원추화서는 난형이고 성기게 퍼지며 길이 10-20㎝로서 가지가 반윤생하고 작은이삭은 녹색이며 길이 2.5-3.5㎜로서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피침형이고 예두이며 길이 2.5mm이고 첫째 것은 1-3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2.5-3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난형이며 5맥이 있고 능각 밑부분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으며 면모가 길다. 내영은 길이 2.7㎜로서 능각에 털이 있고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2-1.7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누으며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가냘프다.
    분포 : 북부 지방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큰산새풀

    학명 : Calamagrostis langsdorffii var. ramosa Naka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잎 : 잎은 분녹색이며 길이 20-35㎝ 폭 3-8㎜로서 편평하고 엽설은 난형이며 길이 4-10mm로서 둔두이다. 잎은 막질로 되어있고 맥이 있으며 등에 연모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10-25cm로서 끝이 처지며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지가 반윤생하며 거칠다. 소수(小穗)는 적자갈색 간혹 연한 녹색이고 길이 3-7mm이다. 포영은 같은 형태로서 잔털이 있으며 호영은 포영보다 약간 짧고 5맥이 있으며 대개 뒷면 중앙 이하에서 까락이 나오고 까락은 호영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곧추선다. 기반(基盤)의 털은 호영보다 약간 길거나 짧고 내영은 길이 1.5mm로서 2맥이 있다.

    줄기 : 군생하고 높이 80-150cm이며 가지가 많이 있다. 화경(花莖)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오대산 금강산 강원도 설악산 일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1. No Image

    큰비노리

    학명 : Eragrostis pilosa (L.) P.Beau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그령속(Eragrostis)

    잎 : 잎은 납작하거나 안쪽으로 말리며 길이 10-20cm 폭 2-4mm로서 양면에 털이 없다. 엽초는 밋밋하고 성글게 줄기를 감싸며 납작스름하고 위 끝에 긴 털이 있으나 그 외 부분은 털이 없다. 엽설은 짧고 길이 0.5mm의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25cm이고 가지는 1개씩 달리거나 밑부분에서 갈라져 윤생하는 듯 하며 겨드랑이에 긴 털이 있다. 소수는 납작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3-5mm 폭 2/3-1mm로서 5-10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녹색 바탕에 흔히 적자색이 돈다. 포영은 피침형 둔두이며 1맥이 있고 첫째 것은 난형으로 길이 0.5-0.7mm이며 끝이 둔하고 둘째 것은 피침형으로 길이 1.5mm정도이며 끝은 역시 둔하다. 호영은 난형 예두이고 길이
    열매 : 영과는 길이 0.6mm가량이며 밋밋하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밑에서 여러 갈래로 뭉쳐나며 밑부분 마디에서 약간 굽는다.

    분포 : ▶동북아시아 중앙아시아 유렵 미주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 Agrostogr. 71, 162, 175.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큰묵새

    학명 : Festuca megalura Nut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잎 : 잎은 길이 5~15cm 나비 1.2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7~20cm로서 가지가 화경(花莖)과 평행하고 1~2개씩 달리며 잔이삭은 길이 7~10mm로서 3~5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첫째 것은 길이 0.5~1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3~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선상 피침형이고 뒷면이 거칠며 길이 7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까락은 길이 15mm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으며 길이 5mm이고 자방은 선상 피침형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60cm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1~2년초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특징 : ▶들묵새와 비슷하지만 호영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첫째 포영의 길이가 1.5-2mm인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Acad. Nat. Sci. Philadelphia, ser. 2, 1: 188. (1848)
    1) Illustrated grasses of Japan (Osada, 1989)


    Read More
  13. No Image

    큰뚝새풀

    학명 : Alopecurus pratensi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뚝새풀속(Alopecurus)

    잎 : 잎은 길이 20-40㎝ 폭 3-5㎜로 털이 없으며 백록색이다. 엽초는 엷은 녹색으로 때로는 아래쪽이 자갈색을 띠기도 하며 엽설(葉舌)은 높이 1-2㎜정도이다.
    꽃 : 화서(花序)는 원주형(圓柱形) 길이 5-8㎝ 폭 6-10㎜ 엷은 초록색이거나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5-7월에 꽃이 핀다. 소수(小穗)는 길이 4-5㎜로 납작한 1소화로 되며 포영(苞潁)은 같은 크기이고 3맥 중앙맥을 경계로 접혀져 있고 중앙맥에 길고 연한 털이 밀생한다. 호영은 4맥이 있고 등쪽기부 근처에서 1㎝ 내외의 까락(芒)이 1개 있다. 꽃밥은 외부로 돌출되며 길이 2-3㎜로 진한 황색이거나 자색이다.

    줄기 : 짧은 뿌리줄기가 있고 줄기는 높이 50-100㎝로 곧게 서며 여러 개가 뭉쳐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우리 나라에는 목초로 재배되던 것이 일출(逸出)되어 야생 상태로 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Read More
  14. No Image

    큰듬성이삭새

    학명 :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나도바랭이새속(Microstegium)
    이명 : 나도바랭이 나도바랭이새
    잎 : 잎은 길이 4~10cm 나비 5~12mm이고 엽설은 높이 0.5mm이며 엽초는 구부에만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5~7cm의 가지 1~3개가 나온다. 소수는 길이 3.5~5.5mm이고 녹색이며 자루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각 마디에 대생하여 달리고 마디 사이와 더불어 비스듬히 나는 털이 드문드문 있다. 제1포영은 중앙맥이 없고 양측에 2맥씩 있으며 옆으로 소맥이 이어지고 제2포영은 3맥으로 중앙맥을 따라 겹쳐진다. 제1소화는 무성이고 제2소화는 양성으로 호영의 끝이 얕게 2열하며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줄기의 기부가 땅 위를 기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며 가지친다.


    형태 : 1년초

    특징 : 까락이 길이 1.5cm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Coll. Sci. Imp. Univ. Tokyo sec. 3. 3:408. (1930)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큰달뿌리풀

    학명 : Phragmites karka (Retz.) Trin. ex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대속(Phragmites)
    이명 : 왕갈 큰달
    잎 : 잎은 호생하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20-50㎝ 나비 2-3㎝로서 엽초 윗부분에 자줏빛이 돌며 엽설은 소형이고 길며 입구에 털이 있고 털이 줄로 돋은 것같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25-35cm로서 자주색이며 가지가 거의 윤생하고 (小軸)소축 및 그 밖의 부분에 긴 털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7-12mm로서 3-4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거의 같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3맥이 있고 호영보다 길다. 첫째 호영은 웅성(雄性)이며 길이 6-10mm로서 좁은 피침형이고 다른 것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양성이며 모두 3맥이 있고 기반(基盤) 양쪽에 긴털이 있다. 안쪽 호영은 길이 2-3mm이며

    줄기 : 속이 비고 마디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지상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울릉도의 통구미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현재 이 식물은 멸종한것 같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mencl. bot. (ed. 2) 1: 144. (18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6. No Image

    큰꾸러미풀

    학명 : Poa nipponica Koidz.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질긴포아풀 큰꾸렘이풀 큰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며 새포아풀과 비슷하게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10-20cm 폭 3-7mm이고 엽설은 백색 막질로서 길이 약 2mm이며 절두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 길이 8-15cm정도의 화서가 달린다. 화서는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가지가 2-3개씩 달리고 거칠며 가지마다 잔이삭이 조밀하게 달린다. 잔이삭은 밝은 녹색이지만 흔히 자줏빛이 돌며 길이 4-5mm로서 넓은 난형이고 4~6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포영은 피침형이며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7mm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새포아풀의 것과 비슷하고 5맥이 있으며 내영은 길이

    줄기 : 높이 40-50cm이고 곧게 서며 밑부분은 갈라져 어느정도 땅을 긴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저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새포아풀(P. annua L.)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특징 : ▶새포아풀과 실포아풀의 중간형이다. 두 종간의 자연 잡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1 : 256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큰껍질새

    학명 : Melica turczaninowian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쌀새속(Melica)
    이명 : 큰껍질쌀새 큰쌀새
    잎 : 엽신은 편평하고 길이 15-20cm 넓이 8-12m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껄껄하다. 엽초는 털이 없고 밀폐되었다. 엽설(葉舌)은 막질로서 투명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3mm로 끝이 찢어진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옆으로 퍼지며 길이 10-20cm이고 가지는 길이 8cm까지 자란다. 소수는 자주빛을 띠고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으며 길이 12-15cm이다. 포영은 크기가 같으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넓으며 막질이고 길이 8mm에 5-7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끝이 얕게 갈라진다. 내영은 녹색이고 신짝 같으며 호영 길이의 2/3정도로서 2개의 능선이 있고 능선 위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25-100cm이고 곧게 자란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부 몽골 러시아극동부와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2): 142-143. (19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큰김의털

    학명 : Festuca arundinacea Schreb.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잎 : 잎은 길이 10-60㎝ 폭 3-10㎜로 털이 없다. 엽초는 기부(基部)까지 갈라지며 둥글며 피침형(披針形)의 엽이(葉耳)가 줄기를 감으며 성긴 털이 줄지어 난다. 엽설(葉舌)은 높이 1-2㎜이다.
    꽃 : 6-8월에 꽃이 피며 원추화서(圓錐花序)는 길이 20-50㎝ 곧게 서거나 조금 기울어졌다. 한 마디에 2개의 가지가 있으며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다. 소수(小穗)는 길이 1-1.5㎝ 5-9개의 소화(小花)로 이루어지며 녹색 또는 보라색이다. 제1포영은 길이 3.5-6㎜로 1맥 제2포영은 5-7㎜로 3맥이 있다. 호영(護潁)은 5맥이며 중앙맥 끝에 길이 1-3㎜의 까락(芒)이 있거나 드물게는 없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며 끝쪽 능선(稜線)

    줄기 : 줄기는 뭉쳐나며 높이 40-180㎝로 곧게 자란다.

    분포 : 서울 한강 고수부지를 비롯하여 경기도의 대부도에 이르기까지 중부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근년에 사방용으로 들어와 야생화된 것으로 북아메리카 일본에도 귀화되어 있다. 식물 전체가 몹시 거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ic. fl. lips. 57 (1771)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Read More
  19. No Image

    큰기름새

    학명 : Spodiopogon sibiricus Tri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기름새속(Spodipogon)
    이명 : 이들메기
    잎 : 잎은 편평하며 선형이고 길이 20-40cm 폭 1-1.5cm로서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엽초는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잔털이 발생하며 엽설은 길이 1-1.5mm로 막질이고 끝이 둥글며 갈색이고 털이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1-25cm 폭 2-5cm로서 곧게 서며 중축과 가지에 털이 없고 희미한 유선(油腺)이 있다. 가지는 길이 4-6cm로서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퍼지며 때로는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흔히 윤생한다. 수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2-3.5cm로서 곧게 서고 마디사이와 소화경의 길이가 비슷하며 길이 2-3mm로서 끝이 굵고 속모가 있다. 소수(小穗)는 대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각 마디에 달리며 좁은 난형이고 길이 4

    줄기 : 높이 80-120cm이고 털이 없으며 곧게 서고 가지는 2-4개의 마디가 있으며 마디에는 털이 있다.
    뿌리 : 인엽이 덮인 긴 근경이 가로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und. Agrost. 192 (182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코마로브포아풀

    학명 : Poa komarovii Roshe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잎 : 줄기의 잎몸은 선상 피침형 폭 1.2-3㎜이고 엽설은 길이 2-3m이다.
    꽃 : 원추화서은 성기게 퍼지고 길이 5-7㎝로 넓고 작은이삭은 길이 3-8㎜ 폭 6㎜이고 낱꽃은 수 송이이다.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3맥 용골 모양이 있고 끝이 날카롭다. 외영은 길이 3-3.5㎜ 5맥으로 매끈하고 맥과 맥 사이에 연모가 있으며 밑에 구불구불한 털이 있고 내영은 외영보다 짧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2㎜이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하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작다.
    분포 : 관모봉 고산의 풀밭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