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금강포아풀

    학명 : Poa kumgangsani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금강꾸렘이풀 금강꿰미풀
    잎 : 잎은 길이 14㎝ 나비 2㎜로서 납작하고 연질이며 엽초와 잎의 표면은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길이 0.2-0.5㎜이다.
    꽃 : 원추화서는 성기게 퍼지고 좁으며 길이 8-20㎝로서 각 마디에 위로 향하는 가지가 2-3개씩 달린다. 작은이삭은 길이 3-5㎜이고 2-3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며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첫째 것은 길이 2.5-4mm로서 3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3-4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다소 막질이고 5맥이 있으며 능각 밑부분과 측맥 밑부분에 털이 있고 밑부분에 솜같이 엉킨 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으며 수술은 3개

    줄기 : 높이 40-50cm이고 밀생하며 가냘프고 마디는 4-5개이다.

    분포 : 강원도 금강산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4:62.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금강초롱꽃

    학명 :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금강초롱꽃속(Hanabusaya)
    이명 : 금강초롱 화방초
    잎 : 근생엽은 밑부분에 달려 있고 인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12mm로서 4-6개의 잎이 호생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마디사이가 짧기 때문에 총생한 것같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으나 윗부분에는 털이 다소 있고 길이 5.5~15cm 폭 2.5~7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통꽃으로 피며 길이가 4.5~4.8cm 직경이 2cm로서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for.alba T.Lee)이고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1.2mm 중앙부의 나비 1-2mm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넓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8-9mm이고 암술대는 끝에 털이 있으며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말리고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과실은 3실이고 종자는 많다.
    줄기 : 높이 30-90cm이고 직립한다.
    뿌리 : 굵게 괴근을 형성하면서 뻗고 갈라지며 몇 개의 잔뿌리가 뻗어 있다.
    분포 : 중부와 북부의 고산지대에 자생한다.(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명지산 오대산 도솔산 대암산 함남의 삼방 등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검산초롱꽃(Hanabusaya latisepala Nakai)은 평북과 함남의 심산지역에서 자생한다. 흰금강초롱꽃(H. asiatica Nakai for. alba T. Lee)
    특징 : ▶고산식물로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전세계 2종이 있는데 모두 한국에 자생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이속에는 전세계에 2종이 있는데 모두 한국에 자생하며 평북과 함남의 심산지역에서 자생하는 검산초롱꽃이 있다. 꽃색은 연한 남보라색이다. 본 종에는 흰금강초롱꽃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2: 62 (191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금강처녀이끼

    학명 : Hymenophyllum oligosorum Makino
    과명 : 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
    속명 : 처녀이끼속(Hymenophyllum)
    이명 : 산괴불이끼 애기수염이끼
    잎 : 엽병은 길이 1~1.5cm이고 날개가 없으며 어두운 갈색을 띤다. 잎몸은 2~3회 깃꼴로 갈라지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2~4cm 너비 2cm정도 이다. 뒷면 우축에 갈색 털이 있다. 열편은 많고 중축과 우축의 날개가 서로 겹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 끝에 붙고 포막은 기부를 향해 열리며 거의 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분포 :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네팔 타이 인도
    형태 : 상록 다년초이다.

    특징 : 처녀이끼와 닮았으나 잎 뒷면의 털이 오래 남아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3 : 44 (1899)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2)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16 Pteridophyta (M.K.Park, 1975)
    3) Index Pteridophytorum Japonicum (Tagawa, 1959)

    참고문헌 : 1)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4. No Image

    금강잔대

    학명 : Adenophora pulchra Kitam.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이명 : 금강모싯대
    잎 : 근생엽은 둥글고 엽병은 길며 꽃이 필 때 말라서 죽는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이 돌려나는데 드물게는 어긋나기도 한다. 잎몸은 줄모양 또는 긴 버들잎모양이고 밑부분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에는 털이 나 있다.
    꽃 : 8∼9월경 넓은 종 모양의 푸른색 꽃이 핀다. 꽃받침조각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탄력성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세로로 가는 홈줄이 있다.

    분포 : 한국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5: 204 (1936)

    Read More
  5. No Image

    금강인가목

    학명 : Pentactina rupicol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금강인가목속(Pentactina)
    이명 : 금강국수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2-6cm(보통3.5cm)로서 엽병이 거의 없고 깊은 톱니가 2-3개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복모가 있거나 없다.
    꽃 : 6월경에 길이 6-8cm의 원추화서가 가지 끝에 달리며 꽃은 양성이고 소화경은 길이 1mm정도이며 꽃받침잎은 삼각형으로서 열매의 것은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선형이며 길이 5mm이고 수술은 짧으며 백색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mm정도로서 5실이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8-9월에 흑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으며 종자는 방추형이고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능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골속이 백색이고 동아에 백색털이 있다.

    분포 : 강원도 금강산 비로봉의 정상 근처와 내금강의 보덕굴 근처에 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6. No Image

    금강애기나리

    학명 :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var. ovalis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죽대아재비속(Streptopus)
    이명 : 진부애기나리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고 긴 난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며 밑은 심형으로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cm이다.
    꽃 : 꽃은 4~6월에 연한 황백색으로 피고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줄기 끝에 1~2개가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2cm 내외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 아래쪽에 붙고 화피보다 짧다.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붉은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하나가 곧게 서고 아래쪽은 막질의 엽초 모양으로 된 잎에 싸인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고 포복경을 낸다.
    분포 : 제주(한라산) 경북(소백산) 경남(지리산) 전남(백운산) 전북(덕유산) 대구(팔공산) 강원 경기 이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애기나리에 비하여 화피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지고 꽃잎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잎과 줄기에 가시 돌기가 나타나고 잎의 밑동은 줄기를 약간 감싼다. 열매는 약간 세모지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Reip. Pop. Sinicae 15:49 (197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금강아지풀

    학명 : Setaria glauca (L.) P.Beau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강아지풀속(Setaria)
    이명 : 금가라지풀
    잎 : 잎은 길이 10-25cm 폭 10mm로서 어느 정도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초는 털이 없으며 윗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엽설은 퇴화되며 털이 줄로 돋는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화수(花穗)는 곧게 서며 길이 3-10cm로서 원주형이고 황금색이다. 중축은 털이 있으며 소지의 가시같은 털은 퍼지고 길이 7-10mm이다. 소분수(小分穗)에는 1개의 완전한 소수와 불완전한 꽃이 달리며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2.8-3mm로서 흰빛이 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1.5mm정도로서 5맥이 있으며 무성화의 호영은 소수와 길이가 같고 양성화의 호영은 난형이며 옆주름이 있

    줄기 : 높이 20-50cm이며 곧게 서고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위끝에 잔털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 Agrostogr. 51, 178 (P.Beauv.,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8. No Image

    금강쑥

    학명 : Artemisia brachyphylla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속(Artemisia)
    이명 : 비로봉쑥
    잎 : 아래쪽 잎은 쳐지며 중앙부 잎은 근접하여 나고 길이 4.5~5.5cm로 타원형이며 끝부분은 예두이며 밑부분은 엽병이 없고 가탁엽이 뚜렷하다.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우편은 3~4쌍으로 피침형이며 뾰족하고 거치가 있다. 잎 뒷면은 회백색 면모가 있다. 위쪽의 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3개로 갈라지거나 긴타원상 피침형으로 하나가 된다.
    꽃 : 화서는 좁아지며 길이 20~25cm 폭 4~6cm이다. 두화는 짧은 소화경을 가지며 구상 종형으로 길이 3~4.5mm 폭 3~4mm(간혹 2.5mm)로 부드러운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암꽃은 수가 적고 화관은 길이 1.5mm이며 양성화는 많고 관상화로 임성이며 화관은 길이 2.5mm이다.
    열매 : 수과는 털이 없다.
    줄기 : 지하경은 1개가 가늘고 길게 뻗으며 목질화된다.

    분포 : 한반도(금강산)
    형태 : 초본으로 아래쪽에서 하나의 대가 가늘게 직립하며 크기는 35-70cm이고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넓은잎외잎쑥에 비해 잎은 중렬하고 열편이 이생하며 작고 뒷면에 털이 적은 것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5: 97 (1936)
    참고문헌 :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9. No Image

    금강솜방망이

    학명 : Senecio birubonensis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금방망이속(Senecio)
    이명 : 바위솜나물 )비로쑥방맹이
    잎 : 잎이 넓은 난형으로 밑이 일자모양 또는 약간 심형이고 총포편이 녹갈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등황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지름 3.5~4cm의 두화가 달리며 화경은 화시에 길이 1.5~3cm이다. 총포는 반구형으로 길이 7mm 나비 15mm이고 포편은 2열이며 윗부분이 적자색이고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설상화관은 길이 16~18mm이고 끝이 자색을 띤다.
    열매 : 수과는 원추형으로 능선이 많고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능선이 있으며 전주에 누운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강원(금강산)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6 : 270, pl. 8, fig. 1, left (1937)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0. No Image

    금강소나무

    학명 : Pinus densiflora f. erecta Uyeki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소나무속(Pinus)

    잎 : 잎은 2개씩 모여나며 비틀리고 길이 8-9cm 폭 1.5mm이며 겨울눈은 붉은 색이다.
    꽃 : 꽃은 암수 따로 피는 자웅이가화이나 자웅일가화인 것도 있으며 수꽃이삭은 길이 1cm내외로 장타원형이며 황색이고 암꽃이삭은 난형으로 자색이며 5월에 핀다.
    열매 : 구과는 난상 원추형으로 길이 4.5cm 직경 3cm이며 이듬해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가 통직하며 수피는 얇고 붉은색을 띤다.

    분포 : 표고 1 000m이하의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심재는 적갈색 변재는 엷은 황백색으로 심·변재의 구별이 뚜렷하다.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며 목재는 가볍고 연하며 향기가 강하다. 건조속도가 빠르고 약제 주입성도 양호하며 변재 혹은 심재에 청변이 일어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Dendrol. France 66 : 49 (192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금강산뚝사초

    학명 : Carex forficula var. scabrida Kuk.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산뚝사초
    잎 : 잎은 나비 2-4㎜로서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에 흰빛이 돈다.
    꽃 : 화경(花莖)은 윗부분이 거칠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짙은 갈색으로서 그물같은 섬유(纖維)로 덮인다. 소수는 3-6개로서 윗부분의 것은 접근하고 밑부분의 것은 떨어지며 정소수(頂小穗)는 수꽃이고 선형(線形)이 다. 측소수(側小穗)는 암꽃이며 곧추서고 길이 2-5㎝ 지름 2-4㎜로서 원주형(圓柱形)이며 대가 없으나 첫째 것은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으며 엽초가 없다. 자화영(雌花潁)은 길이 2-3㎜로서 둔두이지만 끝이 뾰족하고 검
    열매 : 과포(果苞)는 포영보다 길고 곧추서며 길이 3.5-4㎜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녹색에서 갈색으로 되며 거칠고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瘦果)는 밀접하며 길이 2㎜정도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과포의 표면이 거칠다.

    뿌리 : 옆으로 뻗는 근경이 없으며 총생(叢生)하여 곧추선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산뚝사초 (Carex forficula FR. et SAV)
    특징 : 과포(果苞)의 표면이 거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yper. Caric. 342 ()
    Fl. kor. 2 : 311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금강산돌배

    학명 : Pyrus ussuriensis var. diamantica Uyek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4-6cm로서 잎 뒷면 맥 위에 면모가 있다.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 털이 없다.
    꽃 : 꽃은 5-7개씩 산방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고 화관은 지름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3-4cm로 8-10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어린 가지는 자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의 인가 부근 및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문배나무(var. seoulensis) : 꽃이 큰 것.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청실리(var. ovoidea Rehder) : 열매가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남해배(var. nankaiensis T.LEE) : 어린 가지와 엽병 및 과경에 털이 있다. ▶취앙네(v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gric. Forest. Coll. Suigen (Suwon) 1 : 14 (1925)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3. No Image

    금강분취

    학명 : Saussurea diamantic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긴잎금강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8~15cm로서 처음에는 양면에 백색 털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10cm이다. 화경(花莖)의 잎은 난형 예두로서 엽병이 짧고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다.
    꽃 : 9월에 개화하며 지름 20mm 정도로서 원줄기 끝에 1~2개씩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13~18mm 폭 12~18mm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짧고 내편은 외편보다 4배 정도 길며 털이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0~13mm이다.
    열매 : 수과로 관모는 2줄이고 길이 8~10mm로서 연한 자갈색 또는 흰 갈색이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가지가 없다.

    분포 : 설악산 및 금강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긴잎금강분취 (var.longifolia Nak.): 근생엽은 길이 18-22cm 나비 7-8cm로서 긴 타원형이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3 : 185 (190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4. No Image

    금강봄맞이

    학명 : Androsace cortusaefolia Nakai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봄맞이꽃속(Androsace)
    이명 : 금강봄마지 금강봄맞이꽃
    잎 : 잎은 모두 근생엽이며 원신형이고 7~11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중앙까지 3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색이 연하거나 흰빛이 돌며 엽병은 길이 3-6cm이다.
    꽃 :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고 화경(花莖)은 길이 7~12cm로서 끝에 7~17송이로 된 1개의 산형화서가 달리며 포는 4-5개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2-3mm이거나 난형으로서 길이 5-6mm이고 소화경은 길이 3~16m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2-3.5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백색입며 통부는 길이 2-2.5mm이고 열편은 도란형이며 길이 2-2.5mm로서 아중(芽中)에서는 기왓장처럼 포개진다. 수술은 대가 거의 없고 꽃잎과 대생하며 꽃밥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끝에 분해된 엽병의 섬유가 남아 있으며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분포 : 강원 금강산 설악산.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X) (박수현,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5. No Image

    금강개밀

    학명 : Agropyron yezoense var. tashiroi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개밀속(Agropyron)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15-25㎝ 폭 3-5㎜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화수는 길이 10-15㎝로서 녹색이며 소수은 대가 거의 없고 길이 15-20㎜로서 5-7개의 꽃으로 되며 중축에 압착된다. 포영은 피침형이고 길이 7-9㎜로서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3-5맥이 있다. 호영은 윗부분만이 도드라진 5맥이 있고 털이 없으며 길이 7-9㎜이고 까락은 곧추서며 길이 15-25㎜이다. 내영은 호영과 비슷하고 2개의 능선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도 털이 다소 있고 자방에도 털이 있다.



    분포 : 금강산에서 자란다.

    유사종 : 자주개밀 (Agropyron yesoense HOND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6. No Image

    금감

    학명 : Fortunella japonica var. margarita (Swingle) Makino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금감속(Fortunella)
    이명 : 금귤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원저이며 길이 4-9cm 너비 2-4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록색이며 엽맥이 뚜렷치 않다. 엽육 중에는 많은 소유점이 있고 엽병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백색으로서 향기가 있으며 1-2개가 엽액에 모여 달리고 화경은 길이 3-5mm이며 꽃받침은 5개 난형이고 꽃이 핀 후 커지며 꽃잎도 5개이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7mm이며 5-7월에 개화한다. 수술은 많으며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4-5실이다.
    열매 : 열매는 감과로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cm 지름 2-2.5cm로서 10-11월에 오렌지색으로 성숙하고 억을 수 있다. 종자는 길이 10-12mm이다. 과실의 횡단면을 보면 4-5개의 실이 있다. (귤나무는 8-15개의 자방이 있다.)
    줄기 : 높이가 4m에 달하며 수피는 회청색이고 줄기가 많이 갈라지며 가시가 없다.

    분포 : 남부 지방에 과수로 식재.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유사종 : ▶둥근금감 (F.japonica SWINGLE) : 열매가 둥글며 지름 2-3cm이고 종자가 난형이며 길이 7-10mm이며 금감 보다 작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Nippon 385 (1940)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7. No Image

    근대

    학명 : Beta vulgaris var. cicla L.
    과명 : 명아주과(Chenopodiaceae)
    속명 : 근대속(Beta)

    잎 : 근생엽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연하다. 경생엽은 긴 타원형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고 굵은 육질의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포 겨드랑이에 황록색으로 피는데 작은 꽃이 모여 1개의 덩어리처럼 되며 원추형을 이룬다. 화피는 5개로 갈라지고 그 조각은 장 타원형이며 꽃이 진 다음 열매를 감싼다.
    열매 : 열매는 크게 자란 꽃턱과 화피로 된 딱딱한 껍질 속에 1개씩 들어 있다. 수술은 5개이며 암술대는 2∼3개이다.
    줄기 : 원줄기는 1m이다. 가지가 많다.
    뿌리 : 뿌리는 사탕무처럼 비대해지지 않는다.
    분포 : 유럽 남부 중국 지중해 연안 한국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8. No Image

    백운산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원추리속(Hemerocall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9:315 (1943)

    Read More
  19. No Image

    백당나무

    학명 :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ara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산분꽃나무속(Viburnum)
    이명 : 개불두화까마귀밥나무민백당나무불두화접시꽃나무청백당나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Fac. Sci. Univ. Tokyo, Bot. 6: 385 (195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20. No Image

    그령

    학명 :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그령속(Eragrostis)
    이명 : 꾸부령암크령
    잎 : 잎은 길이 30~40cm 나비 2-6mm로서 표면 밑부분과 엽초 윗부분에 털이 있다. 엽설은 없으나 엽초 상단에는 흰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20~40cm이며 가지는 1개씩 달려서 퍼지고 털이 없으며 소화경 윗부분에 황색 腺(선)이 있다. 소수는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로서 편평하며 길이 6-10mm이고 5-10개의 소화가 들어 있으며 적자색을 띤다. 포영은 피침형이며 1맥이 있고 첫째 것은 길이 1-2mm이며 둘째 것은 길이 2-2.5mm이다. 호영은 좁은 난형이고 예두이며 길이 2.5-3mm로서 내영보다 일찍 떨어지고 약간 길다. 수술은 3개이
    열매 : 영과는 좌우로 약간 편평해지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mm정도이고 꽃밥은 길이 0.8-1.2mm이다.
    줄기 : 뻗는 줄기가 없고 높이 30-80cm이며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으나 여러대가 한군데서 나와 큰 포기로 되고 곧게 서며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수크령(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 그령에 비해 줄기와 잎이 한층 억센 편이다. 병을 씻는 솔처럼 생긴 이삭을 잘라 꽃꽂이에 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 Agrostogr. 71.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