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낭림새풀
학명 : Calamagrostis subacrochaeta Naka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이명 : 낭임메뛰기피 랑림산새풀
잎 : 잎은 길이 25㎝ 폭 5㎜이고 엽설은 길이 2-4㎜이다.
꽃 : 소수(小穗)는 길이 3㎜로서 자줏빛이 돈다. 포영은 길이 3mm로서 거의 같고 자줏빛이 돌며 첫째 것은 1맥 둘째 것은 3맥이 있고 소수경은 가늘며 끝이 약간 굵다. 호영은 길이 2.7mm로서 3-5맥이 있고 끝이 갈라지며 뒤쪽의 갈라진 밑부분에서 까락이 돋고 까락은 곧으며 길이 1mm이다. 기반(基盤)의 털은 호영보다 길거나 비슷하고 내영은 백색 막질이며 길이 1.8mm로서 2맥이 있고 끝이 잘게 갈라진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2mm로서 자
줄기 : 높이 70-150cm이고 마디 근처에 자줏빛이 돌며 마디 밑에는 밑을 향한 털이 있다.
분포 : 낭림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낭독
학명 : Euphorbia pallasii Turcz.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이명 : 랑독 오독도기 )큰대극 팔라시대극
잎 : 잎은 밑부분에서는 호생하며 윗부분에서는 5개씩 윤생하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둔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큰 것은 길이 8cm 폭 3cm로서 가장 밑의 잎이 막질의 담갈색 비늘처럼 된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담록색이며 주맥이 뚜렷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산형으로 발달하는 화경 끝에 달리며 총포엽은 난형이고 길이 5cm 나비 3cm로서 3개씩 달리며 산형으로 퍼진 5개의 가지가 다시 2-3개로 갈라지고 그 포 위에 1개의 꽃같은 소화서가 달린다. 소총포는 단지처럼 되며 그 속에 1개의 암술로 된 1개의 암꽃과 수술로 된 여러개의 수꽃이 있고 암술대는 3개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지름 5mm가량으로 둥글며 6-7월에 익어 3조각으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하나로 지름 4-6mm이며 곧게서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윗머리에서 가지를 낸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
특징 : 유독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at. Mosc. 11 : 100(1838). nom. nud. : Fl. Baic. -Dah. 2-2 : 85(1856)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남해조팝나무
학명 : Spiraea nankaiensis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잎 :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다. 가장자리에 자잘한 톱니 모양이 있고 털이 없다.
꽃 :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데 줄기의 윗부분에 나는 곁눈은 모두 꽃이 된다. 4∼5월에 가느다란 가지마다 휘어질 듯 4~6개의 백색 꽃이 우산형의 꽃차례로 달린다. 흰 눈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수백 수천 개가 무리지어 핀다. 꽃자루길이 약 1.5cm이고 꽃받침과 꽃잎은 5장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과로 9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윤기가 흐르는 밤색이다.
특징 : 잎지는 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9 : 362 (1943)
참고문헌 :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
No Image
남해배나무
학명 : Pyrus ussuriensis var. nankaiensis (Nakai) T.B.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4-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5-7개씩 산방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고 화관은 지름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3-4cm로 8-10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과경에 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어린 가지는 자갈색이며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인가 부근 및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문배나무(var. seoulensis) : 꽃이 큰 것.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Uyeki)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청실리(var. ovoidea Rehder) : 열매가 난상 원형
특징 : 햇가지와 잎자루 및 열매자루에 털이 있는 산돌배나무의 변종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275 (1966)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남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dichotoma f. floribunda (Miq.)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잎 : 잎은 납작하고 폭 2-4㎜로 털이 없다.
꽃 : 화서는 산형이고 길이 5-6㎝이다. 작은 이삭은 난형이고 길이 4.5㎜로 황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광택이 난다. 포는 잎 모양으로 화서보다 길고 비늘조각은 넓은 난형이다. 길이 2-3㎜로 용골판은 없고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 1㎜이고 난형이며 볼록렌즈 모양이다. 밝은 황갈색으로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압축되고 밑동은 두껍다.
분포 : 우리나라 남부 해변의 습지에 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4: 577 (1938)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
No Image
남포분취
학명 : Saussurea chinnampoensis H.Lev. & Vaniot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진남취 진남포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cm이고 엽신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7~11cm 폭 10~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 : 두화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9~22cm로서 위를 향하며 총포는 길이 12~14mm 지름 13~20mm이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된다. 화관은 길이 13~16mm이며 관모는 갈색이고 길이 7.5~8.5mm로서 2줄이며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로 털이 있고 관모는 2줄이고 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55cm이고 능선이 있으며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굵으며 곧다.
분포 : 서쪽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Georg. Bot. Mans, 20: 145 (1909)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남천
학명 : Nandina domestica Thunb.
과명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속명 : 남천속(Nandina)
이명 : 남천죽 )
잎 :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3회우상복엽으로서 길이 30-50cm이며 엽축에 마디가 있다.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0cm로 톱니가 없고 엽병 기부가 흔히 흑자색으로 되며 줄기를 감싼다. 겨울철에는 홍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양성화로서 6-7월에 피고 가지 끝에서 나오는 길이 20-30cm의 원추화서에 달린다.꽃잎은 6매이고 희다. 꽃받침은 3수이고 다륜성으로 배열하며 화관은 백색이며 지름 6mm이고 밀선은 3-6개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황색이고 세로로 터진다. 자방은 1개이며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장상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며 지름 8mm정도이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성숙한다. 다음해 2월에 익는 것도 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밑에서 줄기가 많이 갈라진다. 겨울철에 줄기가 붉게 변한다.
분포 : ▶일본 중국 인도 등 난지의 산야에 자생하거나 뜰에 심고 있다. ▶남부지방에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특징 : 인도에서 동아시아에 걸쳐 1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재식되어 있다. 맹아력이 좋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남오미자
학명 : Kadsura japonica (L.) Dunal
과명 : 오미자과(Schisandraceae)
속명 : 남오미자속(Kadsura)
잎 :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광택이 있다. 광란형 또는 긴 난형이거나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10cm 폭 3-5cm로서 점첨두 예저이며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의 뒷면은 유점(油點)이 있으며 자주색을 띠는 것이 많다.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자웅이주거나 드물게 자웅동주로 양성화이며 4-8월에 엽액에 달리고 연한 황백색이며 지름 2㎝이고 화경은 엽병보다 길며 꽃받침잎은 2-4개이고 꽃잎은 6-8개이며 암술과 수술이 많다. 꽃잎과 꽃받침의 구별이 어렵다.
열매 : 화탁은 적색 장과가 밀착하여 둥글게 되고 지름 2-3㎝로서 적색이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길이 3㎜정도의 심장모양이며 담황색이다.
줄기 : 길이 3m 지름 1.5cm에 달한다. 오래된 줄기는 갈색으로 콜크층이 발달하기도 하며 굵은 것은 2㎝에 이른다. 세로로 갈라져 수피가 벗겨진다.
분포 :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한라산에서는 표고1 000m까지 그 밖의 남해 도서지방에서는 표고 100m이하에서도 야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만목(蔓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Anonac. 57 (181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남복송
학명 : Pinus densiflora f. aggregata Nakai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소나무속(Pinus)
잎 :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9cm 나비 1.5mm로 밑부분의 비늘은 2년이 지나서 떨어진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이다. 암꽃은 새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이고 길이 6mm의 달걀 모양이다.
열매 : 과실은 구과로 가지의 밑부분에 모여난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열매조각은 70~100개이고 다음해 9~10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5~6mm 나비 3mm의 타원형으로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 줄이 있다.
줄기 :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분포 : 한국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
형태 : 상록침엽 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남방개
학명 : Eleocharis dulcis (Burm.f.) Trin. ex Hensc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바늘골속(Eleocharis)
이명 : 남올방개
잎 : 엽초는 길이 5-20㎝로서 부분적으로 붉은 빛이 돈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40-80㎝ 지름 2-5mm로서 둥글며 회록색이고 밋밋하지만 격막이 있기 때문에 마르면 마디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화수는 길이 2-4㎝ 지름 3-4mm로서 원주형이다. 인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5-6mm로서 백록색이며 끝이 절두이다. 암술대는 짧은 삼각형이고 반상체가 뚜렷하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고 화피열편은 바늘같이 가늘며 6-8개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상 원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황갈색이며 밋밋하다.
줄기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Vita Rumphii 186 (18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남가새
학명 : Tribulus terrestris L.
과명 : 남가새과(Zygophyllaceae)
속명 : 남가새속(Tribulus)
이명 : 백질려
잎 : 잎은 대생하고 우수우상복엽이며 탁엽은 서로 떨어지고 피침상 삼각형이며 길이 3mm이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마주 나는 잎의 크기는 같지 않으며 끝이 둔하고 길이 8~15mm 나비 3-4mm로서 뒷면에 흰색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7월에 황색 꽃이 엽액에서 1개씩 피며 화경은 길이 1-2cm이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난상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뒷면에 복모가 밀생하며 길이 4-5mm이고 꽃이 핀 다음 떨어진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5개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자방은 1개이고 털이 많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과피는 딱딱하며 5개로 갈라지고 각 조각에 2개의 뾰족한 돌기가 있다.
줄기 :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길이 1m정도 자라고 원줄기 엽축 및 화경에 꼬부라진 짧은 털과 퍼진 긴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 거제도 등의 남쪽과 함경 북도 명천의 해안지역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열대와 아열대 특히 아프리카에 12종 이상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초본으로 대개 가지가 길게 옆으로 기고 잎은 짝수 깃꼴겹잎 턱잎이 있고 대생이거나 쌍잎 중의 1장이 퇴화되어 호생으로 보인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날개진범
학명 : Aconitum pteropus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초오속(Aconitum)
이명 : 지느러미진교 )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3 : 400 (1937)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날개골풀
학명 : Juncus alatus Franch. & Sav.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날개골
잎 : 잎은 좌우가 편평하며 끝이 뾰족하고 나비 2-5mm로서 다관질이지만 격막은 겉에서 그다지 보이지 않으며 엽초 끝의 귀같은 돌기는 작다.
꽃 : 6-7월 개화. 화서는 끝에 달리며 첫째 포가 화서보다 짧다. 두상화는 4-7개의 꽃으로 되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3.5mm로서 녹색이 돌며 내화피는 외화피와 거의 같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꽃밥은 긴 타원형이며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긴 난형이고 적갈색으로 광택이 나고 길이는 약 4㎜이다. 종자는 도란형이며 길이 0.5mm정도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5-40cm이며 원줄기는 편평해지고 끝이 뾰족하며 나비2-4.5mm로서 날개가 좌우에 붙어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1(1) : 175 (Franch. & Sav., 187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난티나무
학명 : Ulmus laciniata (Trautv.) Mayr
과명 : 느릅나무과(Ulmaceae)
속명 : 느릅나무속(Ulmus)
이명 : 둥근난티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에 보통 3개의 결각이 생기고 급한 점첨두이며 이그러진 예저이고 길이 10-20cm 너비 3-12cm 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복거치가 있으며 표면은 거칠고 짧은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양성화로서 1년지 엽액에 모여 달리고 4-5월에 개화한다. 화피가 5-6개로 갈라지고 5-6개의 수술은 자홍색이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 편평하고 길이 1.5-2cm로서 넓은 난형이며 5-6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1m이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소지는 연한 갈색이며 털이 있다가 점차 없어진다.
뿌리 : 많은 신생근이 잘 생긴다.
분포 : ▶일본 중국 캄차카등지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혹느릅(for. suberosa Nakai): 가지에 콜크가 발달한 것. ▶민느릅(var. laevigata Nakai): 소지에 털이 없고 잎 표면에 광택이 있는 것. ▶당느릅(U. davidiana Planchon): 열매에 털이 있는 것. ▶둥근난티나무(var.holophylla NAK.): 잎 끝에 결각이 없거나 간혹 있고 잎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울릉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특징 : 북반구의 온대에 약 20종 우리 나라에는 6종 1변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remdland. Wald-Parkbaume 523 (19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
No Image
난쟁이현호색
학명 : Corydalis humilis B.U.Oh & Y.S.Kim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현호색속(Corydalis)
이명 : 난장이현호색
잎 : 엽병은 길이 0.5-3.4㎝이고 엽신은 길이 2.5-9㎝ 폭 2.3-6㎝이며 3출엽 또는 2회3출엽이다. 소엽은 원형 타원형 또는 선형(線形)으로서 거치가 없거나 결각상이며 형태적인 변이가 심하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며 백색반점이 섞인 개체도 다수 존재한다.
꽃 : 꽃은 주로 4월에 개화하며 1-9개가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포는 길이 4-8㎜ 폭 3-7㎜이다. 연한 청색 또는 하늘색으로서 길이 20-26㎜이며 거의 길이는 9-15㎜이다. 하측(下側)의 외화판(外花瓣)은 자방부위에서 반구형으로 융기(隆起)하며 내화판의 선단은 양끝이 볼록하게 솟는다. 자방은 방추형이며 배주가 2열로 배열한다. 암술머리는 다각형으로 14개의 돌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15-17㎜ 폭 4.5-6㎜인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한다. 종자는 구형으로서 길이 2.2-2.3㎜ 폭2-2.2㎜이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의 길이가 4-23㎝이며 경상성이고 지름이 0.5-2.5㎜이며 횡단면은 원형이다. 근생엽은 2장이다.
뿌리 : 지하경은 길이 1-7㎝이며 괴경은 지름이 0.7-1.2㎝로서 소형이고 내부는 백색이다. 인편엽은 1개로서 길이 1-1.5㎝이며 기부에서 1개 또는 여러개의 줄기가 나온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특징 : ▶출전:Kor.J.Plant Tax. vol.17(1) 1987.3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국가식물목록심의자료I (국가식물목록위원회, 2001)
-
No Image
난쟁이패랭이꽃
학명 : Dianthus chinensis var. morii (Nakai) Y.C.Chu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패랭이꽃속 (Dianthus)
이명 : 난장이패랭이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좁은 선형으로 길이 1.5~2.5cm 너비 1.5~2mm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9월에 엷은 자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꽃밑의 포는 2~4개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보다 다소 길다. 꽃받침은 원통형으로 끝이 5열하고 꽃은 5개로 끝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후부에 흑자색 무늬가 있고 수술은 10개 화주는 2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4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다.
분포 : 함남(차일봉 두운봉 북수백산) 함북(백두산 소장백산)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Pl. Herb. Chin. Bor.-Orient. 3: 49 (197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난쟁이아욱
학명 : Malva neglecta Wallr.
과명 : 아욱과(Malvaceae)
속명 : 아욱속(Malva)
잎 : 잎은 8-10㎝정도의 잎자루와 거의 원형의 잎새로 기부는 깊은 심장형이다.
꽃 : 꽃은 마디에 2-5개 속생하며 지름 1-1.5㎝이고 꽃자루는 1㎝내외이다. 3소포엽이고 꽃받침은 5열이고 꽃잎은 5개로 꽃받침 길이의 2-3배로 10㎜이다. 백색 또는 홍자색의 맥이 있어 담홍자색을 띤다.
열매 : 열매는 12-15개의 분과로 이루어지고 분과의 표면에 털이 많다.
줄기 : 줄기 아래쪽은 지면을 기면서 마디에서 발근하며 윗쪽은 비스듬히 자란다. 길이 50㎝내외이다.
분포 : ▶북미 아시아 등지에 귀화 ▶경북 영일의 장기곶 해변마을에 군생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형태 : 2년생초본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ll. Pl. Nov. Ratisbon. 1: 140 (1824)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 (박수현, 1992)
-
No Image
난쟁이사초
학명 : Carex sedakovii C.A.Mey. ex Meins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분포 : 한반도(함경남북도)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특징 : 나도그늘사초 묏풀사초에 비해 잎이 좁고(나비 1mm) 홈이 있으며 과포는 보다 짧고(2.5mm) 부리도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8 : 360 (1901)
-
No Image
난쟁이바위솔
학명 : Meterostachys sikokiana (Makino) Nakai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난쟁이바위솔속(Meterostachys)
잎 : 잎은 선형으로 다소 편평하고 육질이며 길이 7~12cm 나비 1.5~2mm이고 끝에 바늘모양의 소돌기가 있다. 경엽은 근엽보다 약간 짧고 하부의 것은 3엽윤생하나 상부의 것은 호생하며 가시 끝이 희미해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다소 붉은빛이 돌며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장 타원형 꽃잎은 5개로 피침형이고 등쪽에 융기하는 1맥이 있으며 길이 3~4mm이다. 수술은 10개로 꽃잎보다 짧고 자방은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난형이며 10~11월에 성숙한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선단에서 많은 잎과 줄기가 총생하다.
분포 : 강원(금강산) 이남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난장이이끼
학명 : Crepidomanes amabile (Nakai) K.Iwats.
과명 : 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
속명 : 괴불이끼속(Crepidomanes)
이명 : 난쟁이이끼
잎 : 잎은 엽병이 있고 드문드문 돋으며 엽신은 넓은 타원형 또는 삼각상 타원형이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5~10㎝ 나비 1.5~2㎝이고 엽신은 길이 3~8㎝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편은 나비 0.7mm이하이며 많고 서로 겹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짧은 열편 끝에 달리고 포막은 2개로 갈라지며 끝이 그리 퍼지지 않고 길이 1mm이하로서 날개가 거의 없다.
줄기 : 원줄기에는 열편 정도의 날개가 달리며 털이 드문드문 있다.
뿌리 : 근경은 지름0.3~0.5mm이며 가늘고 옆으로 뻗으며 흑갈색 털로 덮여있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
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Fac. Sci. Univ. Tokyo sect. 3, 13:531 (1985)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