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버들분취

    학명 : Saussurea maximowiczii Herd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각시버들분취 개분취 톱날분취 톱분취 한라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길이 5~22cm의 엽병이 있다. 경생엽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10~30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4~6쌍으로서 서로 떨어져 있으며 도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불규칙하게 갈라지기도 하고 정열편이 작다. 윗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뒷면에 선점과 더불어 백색털이 약간 있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여러 개의 자홍색 통꽃만으로 이루어진 두상화가 줄기나 가지 끝에 산방화서를 이루고 지름 10mm이다. 총포는 좁은 통형이고 길이 10-14mm 지름 6mm로서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자주색이고 포편은 8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짧고 난형이며 중편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내편은 선형 둔두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1-13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mm 지름 1.5-2mm로서 적자색 줄이 있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9mm이고 백색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50-16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짧은 털과 선점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톱분취 (for.serrata Kitam.): 잎이 깊게 갈라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atur. Mosc. 41, 3: 14 (186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2. No Image

    백운취

    학명 : Saussurea insularis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잎 : 줄기 아래의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9~10cm 나비 6~9cm로서 끝은 짧은 미상이 되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나 양끝이 화살처럼 약간 뾰족하게 퍼지기도 한다. 가장자리에는 끝이 뾰족한 톱니가 불규칙하다. 위 면에는 짧고 거친 털이 약간 있고 아래 면은 백회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으나 자라면서 드문드문 떨어져나가 가을에는 거의 없어진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며 아래 면에 백회색 거미줄 털이 많다.
    꽃 : 5~6월경 줄기가 갈라져서 끝에 두화가 생겨 성긴 산방화서를 이룬다. 총포는 길이 9~11mm 나비 6~8mm의 원통형으로 백회색 거미줄 털이 엉켜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기도 한다. 포편은 밀착해서 7열을 이루는데 외편은 길이 2mm의 끝이 뾰족한 정삼각형에 가깝고 중편 내편으로 갈수록 길어져서 내편은 선형이 된다. 9월~10월초에 걸쳐서 길이 9~11mm 전후의 옅은 홍자색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6mm의 수과로 두 줄의 우모상 관모가 있다.



    형태 : 근엽이 있으나 꽃필 즈음 말라 없어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3. No Image

    백설취

    학명 : Saussurea rectinervis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눈분취 백설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10~20cm 폭 3~11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굽은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10쌍 정도의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얕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작고 엽병이 없으며 선형으로서 원줄기로 흐르지 않는다.
    꽃 : 두화는 적고 지름 18mm 정도로서 총상으로 달리며 길이 2cm 정도의 화경이 있다. 총포는 길이 15mm 지름 2cm로서 윗부분에 자줏빛이 돌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넓은 난형이고 중편은 긴 타원형이며 외편과 더불어 둔두이고 끝이 다소 갈라지며 내편은 선형 예두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1mm 정도이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 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14-3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고 짧은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백설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4. No Image

    물골취

    학명 : Saussurea stenolepis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쇠분취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과 더불어 길이 10-17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언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6.5-9cm로서 가장자리가 중앙까지 크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은 치아상의 톱니로 되고 만부(灣部)는 둥글며 밋밋하고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예두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아 작아지며 엽병이 없어진다. 열편은 삼각형 또는 난형으로 2-3개의 치아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으로서 유두상털 또는 짧은
    꽃 : 8-9월에 개화. 두상화는 총상 또는 2-3회 총상으로 배열되고 지름 15mm이며 줄기와 가지 끝에서 산방상으로 배열되고 홍자색이며 화경은 길이 1.5-4cm이다. 포는 녹색이며 뒷면에 털이 약간 있다. 총포는 깔때기모양이며 길이 18-20mm이고 윗부분은 나비 12-15mm 중앙부는 나비 6-2mm이며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거미줄털과 긴 털이 성글게 나며 외포편은 피침상 선형으로서 꼬리처럼 길고 중포편도 같은 모양이며 내표편보다 길어지는 수가 있
    열매 : 수과는 원주형으로 길이 5mm가량이며 털이 없고 줄이 많으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1mm이며 백색이고 털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70-80cm로서 줄기 기부에 갈색 섬유상의 묵은 엽병이 있다. 줄기는 단일하고 곧게서며 거미줄같은 털과 더불어 능선이 있으며 가지에 털이 많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이 짧고 목질이다.
    분포 : 한국(북부지방)과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9 : 207 (191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5. No Image

    묘향분취

    학명 : Saussurea myokoensis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묘향산분취
    잎 :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하엽은 난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6.5~9cm이고 밑이 심형이고 중앙부 이하는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나 윗부분은 치아상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11cm이다.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엽병이 없어진다.
    꽃 : 꽃은 8월에 자색으로 피고 지름 15mm의 두화가 총상 또는 2~3회 총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4cm이다. 총포는 길이 18~20mm이고 포편은 4열이며 외편은 피침상 선형으로 꼬리처럼 길다. 통상화는 길이 11~1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mm이며 관모는 2열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능선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목질이다.
    분포 : 함북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잎이 많이 달리고 3각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며 두화가 1~2개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5: 246 (193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6. No Image

    두메취

    학명 : Saussurea triangulata Trautv. & Mey.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높산분취뿔끝분취 뿔분취세뿔두메취좀두메취 큰분취 큰산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 없어지거나 남아 있으며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경생엽은 긴 3각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심장저 절저 또는 예저이고 밑으로 흐르며 길이 4~10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거치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거나 없어지고 날개가 다소 있다.
    꽃 : 두화는 지름 11~15mm로서 엉성하게 산방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길이 13~16mm 지름 7~12mm로서 적자색이고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4줄이다. 통상화는 길이 6~12mm로서 자주색이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9~10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 12-7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윗부분에 흔히 굽은 털이 있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두메취 (var.alpina Nak.): 높이가 8-10cm이며 백두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iddend. Reise Sibir. 1, 2, 2: 58, tab. 29 (Fl. Ochotens,phaenog.) (185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7. No Image

    두메분취

    학명 : Saussurea tomentosa Ko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두메은분취 멧분취 묏분취묏솜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5~7.5cm로서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때로는 붉은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7c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경생엽은 2~6개가 호생하고 점차 작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두화는 끝에 1개가 달리고 1~5개의 선상엽으로 둘러싸이며 마른 것은 지름 23~30cm이고 화서에 침상의 털이 있다.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난형 예두이고 내포편은 긴 타원상 선형으로서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3~15mm이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11~12mm로서 갈색이고 털이 있다.
    열매 : 수과이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면모로 덮여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란다.
    분포 : 낭림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ter. Gerb. Glavn. Bot. Sada RSFSR 2 : 135 (1921)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8. No Image

    덤불취

    학명 : Saussurea manshurica Ko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만주솜나물 민서덜취
    잎 : 잎은 두메취와 비슷하다. 긴 엽병이 있으며 잎몸은 3각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두화는 많고 원추상 산방화서로 배열되며 마른 것은 지름 10mm이다. 총포는 좁고 길이 14mm 지름 5-6mm이며 총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포편은 내포편 길이의 1/8-1/6정도이며 모두 뒷면에 점질이 있다.
    열매 : 길이 4~5mm이고 갈색이며 관모는 깃털모양이고 백색이다.
    줄기 : 높이 70-90cm이고 곧게 서며 털이 없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주로 북부지방(표고 1 500m이상)에서 자라지만 한라산 덕유산 및 소요산에서도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깃덤불취 (var.pinnatifida Kitam.): 잎이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긴 타원형이며 서로 접근해 있고 만부(灣部)가 둥글며 함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특징 : 두메취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잎은 두메취와 비슷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Hort. Petr. 18, 3: 424 (190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9. No Image

    담배취

    학명 : Saussurea conandrifoli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강계분취 담배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에 없어지고 엽병의 넓은 날개가 줄기로 흐르며 넓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9~1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뒷면은 다소 은백색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 : 7~8월에 개화하고 홍자색이며 두화는 2~6개가 엉성하게 산방상으올 달린다. 총포는 종형이고 밑부분이 원저이며 길이 14~16mm 지름 20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고 포편은 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가장 짧고 끝이 뾰족하며 젖혀진다.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35-50cm이고 줄기는 화경상(花莖狀)이며 흔히 날개와 더불어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평안도 및 함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9 : 196 (191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0. No Image

    너울취

    학명 : Saussurea nomurae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숲솜나물
    잎 : 밑쪽의 잎은 긴 엽병을 가지고 긴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위쪽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톱니가 있거나 또는 밋밋하다.
    꽃 : 꽃은 8월에 가지 끝에 통꽃 모양으로 된 자줏빛 두화가 피는데 총포는 다소 구형이고 포조각은 난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열매 : 수과의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함경남도(부전고원) 함경북도(청진) 등지에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4 : 77 (193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남포분취

    학명 : Saussurea chinnampoensis H.Lev. & Vaniot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진남취 진남포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cm이고 엽신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7~11cm 폭 10~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 : 두화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9~22cm로서 위를 향하며 총포는 길이 12~14mm 지름 13~20mm이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된다. 화관은 길이 13~16mm이며 관모는 갈색이고 길이 7.5~8.5mm로서 2줄이며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로 털이 있고 관모는 2줄이고 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55cm이고 능선이 있으며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굵으며 곧다.
    분포 : 서쪽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Georg. Bot. Mans, 20: 145 (1909)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2. No Image

    꼬리서덜취

    학명 : Saussurea subtriangulata Ko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날개가 없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짧아지며 엽병은 길이 5-12cm이다. 경생엽은 난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재저이고 길이 10-1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 약간 흰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고 난상 삼각형 난상사각형 또는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 비슷하게 달리며 총포는 종형이고 끝이 약간 좁으며 길이 15-18mm 나비 9-12mm로서 밑부분이 둥글고 포편은 7-10줄로 배열되며 내편이 외편보다 4-5배 길고 외편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젖혀지며 흑색이다. 중편은 긴 타원형이고 내편은 선형으로 자줏빛이 돌고 뒷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4-16.5mm이고 관모는 길이 10-11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다.

    분포 : 전국 각지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서덜취 : 기본종 ▶갈포령서덜취 (var. microcephala NAK.): 두화의 지름이 5-8mm이다.
    특징 : ▶외편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젖혀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Syst. Herb. Hort. Bot. URSS. 6, 1: 18, descr. (192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3. No Image

    깃덤불취

    학명 : Saussurea manshurica var. pinnatifid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잎 : 잎은 두메취와 비슷하다. 잎이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긴 타원형이며 서로 접근해 있고 만부(灣部)가 둥글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두화는 많고 원추상 산방화서로 배열되며 마른 것은 지름 10mm이다. 총포는 좁고 길이 14mm 지름 5-6mm이며 총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포편은 내포편의 길이 1/8 또는 1/6정도이며 모두 뒷면에 점질(粘質)이 있다.

    줄기 : 높이 70-90cm이고 두메취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털이 없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함북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덤불취 (subsp. manshurica (KOM.) KITAMURA)
    특징 : ▶덤불취와 달리 잎이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긴타원형이며 서로 접근해 있고 만부(灣部)가 둥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585 (Kitag., 19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긴분취

    학명 : Saussurea recurvata (Maxim.) Lipsch.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긴잎버들분취 )백두산분취 백두산서덜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거나 잠시 남아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퍼진 전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11~15cm 폭 3~3.5cm로서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는 것도 있으나 흔히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7쌍 정도이고 엽병은 길이 6~10cm로서 좁은 날개가 있으며 원줄기로 흐르지 않는다. 경생엽은 점차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진다.
    꽃 : 두화는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배열되지만 2개씩 달리기도 하며 총포는 길이 18mm 지름 15mm로서 윗부분에 자주빛이 돌고 밑부분은 황록색이며 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길다. 화관은 길이 15mm 정도이며 관모는 길이 12mm 정도로서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70-90cm이며 능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목질이다.
    분포 : 백두산 지역에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ter. Otd. Sporov. Rast. Bot. Inst. Komarova Akad. Nauk SSSR 21: 374 (1961)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Read More
  15. No Image

    금강분취

    학명 : Saussurea diamantic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긴잎금강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8~15cm로서 처음에는 양면에 백색 털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10cm이다. 화경(花莖)의 잎은 난형 예두로서 엽병이 짧고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다.
    꽃 : 9월에 개화하며 지름 20mm 정도로서 원줄기 끝에 1~2개씩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13~18mm 폭 12~18mm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짧고 내편은 외편보다 4배 정도 길며 털이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0~13mm이다.
    열매 : 수과로 관모는 2줄이고 길이 8~10mm로서 연한 자갈색 또는 흰 갈색이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가지가 없다.

    분포 : 설악산 및 금강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긴잎금강분취 (var.longifolia Nak.): 근생엽은 길이 18-22cm 나비 7-8cm로서 긴 타원형이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3 : 185 (190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6. No Image

    그늘취

    학명 : Saussurea uchiyaman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그늘분취 산수리취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로제트형으로 퍼지며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11~20cm 폭 7~9.5cm로서 표면에 약간 꼬불꼬불한 털이 있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9~11쌍이고 엽병은 길이 11~18cm이다. 경생엽도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다르며 원줄기로 흐르지 않는다.
    꽃 : 8~9월에 개화하고 지름 2.5~3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총포는 둥글고 길이 16mm 폭 20mm로서 털이 있으며 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로서 내편 길이의 1/3 정도이고 중편은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내편이 뾰족하다. 소화는 자주색이며 길이 13mm이다.
    열매 : 관모는 2줄이며 길이 10~11mm로서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 35-40cm이며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이 덮여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9 : 197 (191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7. No Image

    구와취

    학명 : Saussurea ussuriensis Maxi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각시서덜취 북서덜취 쇠수리취 참수리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이 길고 난형 긴 타원상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7~18cm로서 뾰족한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도란형이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다시 얕게 갈라지고 열편 사이의 만부(灣部)는 둥글며 톱니가 없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엽병이 없다.
    꽃 : 8~9월에 개화하고 지름 9~14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4~14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12~13mm 폭 4~7mm로서 백색 털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포편은 5~7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길이 2mm 정도로서 예두이고 내편은 선형 둔두이다. 화관은 자줏빛이 돌며 길이 11~13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mm 지름 1.5mm로서 흑자색 점이 있으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9mm 정도로서 갈색이지만 끝부분은 백색이다.
    줄기 : 높이 30-120cm이고 날개와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Petersb. Sav. Etrang. 9: 167 (Prim. fl. amur.)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8. No Image

    경성서덜취

    학명 : Saussurea koidzumiana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도정당분취
    잎 :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하엽은 난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6.5~9cm이고 밑이 심형이고 윗부분은 치아상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11cm이다.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엽병이 없어진다.
    꽃 : 꽃은 8월에 자색으로 핀다. 총포는 길이 18~20mm이고 포편은 4열이며 외편은 피침상 선형으로 꼬리처럼 길다. 통상화는 길이 11~1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mm이며 관모는 2열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능선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목질이다.
    분포 : 한반도(함경북도 경성)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본종은 물골취에 비하여 하엽의 하반부가 우상으로 갈라지며 두화는 총상화서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4, 1: 9 (1935)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9. No Image

    각시취

    학명 :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가는각시취 고려솜나물 나래솜나물나래취 민각시취참솜나물 큰잎솜나물홑각시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이 길다. 경생엽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2~18m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6~10쌍이고 피침형으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12-16cm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려 산방상으로 된다.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11-13cm 지름 10-14mm이고 포편은 6-7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이고 중편은 긴 타원형이며 내편은 선형이고 끝에 모두 붉은빛이 도는 원형의 부속체가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1-13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4.5mm로서 자줏빛이 돌며 관모는 2줄로 길이 7~8.5mm 정도 된다.
    줄기 : 높이 30-1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세로로 줄이 있고 홍갈색을 띠며 짧은 털과 선모가 있거나 거의 없으며 날개가 있거나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부시베리아 내몽고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2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흰각시취 for.albiflora Kitam.: 백색 꽃이 핀다. ▶가는각시취 for.lineariloba Nak.: 원줄기에 날개가 없고 잎이 우상으로 잘게 갈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llia, Herb. Pedemont. 3: 234 (183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20. No Image

    당분취

    학명 : Saussurea tanakae Franch. & Sav. ex Maxi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숙은분취큰꽃수리취 키다리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엽병이 있고 엽병은 길이 2.5~14cm로서 날개가 없으며 백색 털이 있고 엽신은 난상 3각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8~10cm 폭 6~11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입은 점차 작아지며 엽병에 날개가 있고 마침내 직접 달린다.
    꽃 : 두화는 산방상으로 달리며 털이 많고 화경은 길이 1.5~5.5cm로서 꽃이 필 때 처진다. 총포는 길이 14mm 지름 15mm이며 총포편은 5~6줄이고 외포편은 난상 3각형이며 예두이고 중포편은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내포편은 선상 점첨두이다. 통상화는 길이 11mm이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8mm로서 윗부분은 백색이지만 밑부분은 갈색이며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능선과 더불어 넓은 날개가 있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다소 옆으로 자란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Sci. Petersb. 19: 516-517 (187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