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백두산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takahashii Mori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잎 : 아래부분의 잎은 난형 또는 주걱형이며 둔저이고 상부의 잎은 선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역간 예두이고 길이는 5mm이다.
    꽃 : 꽃은 정단에 단정화로 달리고 짧은 엽병을 가지며 꽃받침은 5개로 천열한다. 꽃받침열편은 선형이며 화통보다 길다. 화관은 깔때기모양이고 황백색으로 5개의 열편을 가진다. 열편은 난형이고 난상부속체보다 2배정도 짧다.
    열매 : 삭과는 2개이다.
    줄기 : 가늘고 털이 없다. 줄기는 기저부에서 분지되고 원주형이다.

    분포 : 한반도(백두산)
    형태 : 일년초이다.

    특징 : ※ 북한에만 분포하는 종.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Chosen. Nat. Hist. Soc. 4: 24 (1927)

    Read More
  2. No Image

    멧용담

    학명 : Gentiana nipponica Maxim.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잎 :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5-12cm 폭 3-5mm이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보라색이며 꽃받침의 갈래는 난형이다. 화관의 길이는 꽃받침 길이의 2배 가량이다.

    줄기 : 줄기의 길이는 10-15cm이며 모가 지고 밑동 부분은 길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에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2 : 507 (Maxim., 1888)
    1)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3. No Image

    덩굴용담

    학명 : Tripterospermum japonicum (Siebold & Zucc.) Maxim.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덩굴용담속(Tripterospermum)
    이명 : 덩굴룡담흰덩굴용담
    잎 : 잎은 대생 긴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끝이 길게 뾰족하고 심장저 또는 원저 길이 4~8cm 폭 12~35mm 3맥이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흔히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는 밋밋 엽병은 길이 5-15mm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화경이 짧고 윗부분의 엽액에 1송씩 달리며 꽃받침통은 길이 6-8mm로서에 5개의 좁은 날개가 있고 열편은 선형이며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길다. 화관은 길이 3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열편사이의 부편이 약간 돌출하고 수술은 5개이며 화관통부에 붙어 있고 자방은 대가 있어 서 꽃이 진 다음 길게 자란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홍자색이며 긴 구형이고 지름 8mm정도로서 남아 있는 화관 밖으로 나온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자줏빛이 돈다.

    분포 : 제주도 경상 북도 울릉도
    형태 : 덩굴성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0: 435 (187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4. No Image

    대성쓴풀

    학명 : Anagallidium dichotomum (L.) Griseb.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대성쓴풀속(Anagallidium)

    잎 : 잎은 대생하고 박막질로 3~5맥이 있으며 근엽은 주걱형으로 길이 2~3cm 나비 0.6~1cm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가늘고 길게 되어 엽병으로 되나 경엽은 엽병이 짧아져 없어지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0.5~2cm 나비 0.5~1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가지와 줄기 끝이나 잎짬에 달리고 화경은 가늘며 길이 1~4cm이고 밑으로 드리운다. 꽃받침의 열편은 난형이고 화관 길이의 1/2 정도이며 화관 열편은 난형이고 안쪽 기부에 2개의 선상체가 있으며 수술 기부에 모상연이 있는 열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다.
    줄기 : 줄기는 비스듬히 서고 네모지며 연약하고 황록색을 띠며 차상분지하다.

    분포 : 강원(대성산)에 나며 만주 몽고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tiana. 312 (1839)
    참고문헌 : 1) 대성산의 식물상 (이우철 & 백원기, 1984)
    Read More
  5. No Image

    닻꽃

    학명 : Halenia corniculata (L.) Cornaz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닻꽃속(Halenia)
    이명 : 닷꽃 닻꽃용담 닻꽃풀
    잎 : 잎은 대생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다소 엽병처럼 되고 길이 2-6cm 나비 1-2.5cm로서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엽액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잔돌기가 있고 화관은 길이 6-10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 밑부분에 길이 3-7mm의 거(距)가 있고 수술은 4개이다. 자방은 하위이고 방추형이며 1실이고 암술대는 없으며 주두는 두 가닥이다.
    열매 : 삭과는 피침형으로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고 대가 없으며 9-10월에 익어 두쪽으로 터져 종자를 쏟아낸다. 종자는 길이 1mm정도로서 타원형이며 겉이 평활하다.
    줄기 : 높이 10-6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4개 능선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산지와 한라산에 난다.
    형태 : 일년생 또는 이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euchateloise Sci. Nat. 25: 171 (1897)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6. No Image

    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squarrosa Ledeb. var. squarros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구실봉이 구실붕이 민구슬붕이
    잎 : 밑부분에 윤상으로 달린 몇 개의 잎은 사각상 난형이고 길이 1-4cm 나비 5-12mm로서 가장자리가 두꺼워져 투명질로 되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mm 나비 2-5mm로서 밑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엽초로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짧은 화경이 있고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길이 4-6mm이고 열편은 난형으로서 끝이 가시 같으며 통부 길이의 1/2정도이다. 화관통은 길이 12-15mm로서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열편 사이에 있는 부편은 열편보다 다소 작으며 때로는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대가 있고 화관 밖으로 나오며 2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방추형으로서 다소 평활하다.
    줄기 : 높이 2-10cm이고 밑에서 갈라져 총생하며 잔돌기가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
    유사종 : ▶좀구슬붕이 (var.microphlla NAK.): 잎이 선형이고 작다.
    특징 : 잎이 선형이고 키가 작은 좀구슬붕이 및 큰구슬붕이 한라산에서 자라면서 꽃이 5-7월에 피는 흰그늘용담 등이 있는데 분화용으로 특히 인기가 높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m. Acad. Imp. Sci. St. Petersbourg Hist. Acad. 5 : 527 (181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7. No Image

    과남풀

    학명 :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 Har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긴잎용담 북과남풀 초룡담 칼잎룡담 칼잎용담 큰용담 큰잎룡담 큰초룡담
    잎 :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잎은 비늘 같으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위로 갈수록 점차 커져서 길이 5~15cm 나비 1~2.5cm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고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거의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위쪽의 잎짬과 끝에 1~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 통은 길이 12~15mm이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는 불규칙하며 화관은 길이 35~45mm이고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며 열편 사이에 부편은 작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전체가 분백색을 띤다.
    뿌리 : 근경이 굵다.
    분포 : 함남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동부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1: 136 (194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8. No Image

    고산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wootchliana W.K.Paik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고산구슬봉이
    잎 : 근생엽은 로제트상으로 되나 종종 뚜렷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도란형으로 끝에 급하게 뾰족해지는 비늘막이 형성되며 기부는 초상 잎자루는 없고 길이0.6-2.0㎝ 나비 0.5-1.0㎝로 뚜렷한 1개의 맥이 있다. 경생엽은 중간마디 이하의 것은 근엽과 유사하나 작고 상부의 것은 선형 또는 좁은 주걱형으로 줄기에 밀착하며 선단은 뾰족하고 그 끝은 가시 같이 되어 길이 0.6-1.0㎝ 나비 1-3.5㎜이며 가장자리는 다소 넓은 막질로 되어 투명하게 된다.
    꽃 : 꽃은 줄기 가지 선단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0.8-1.8㎝이고 꽃받침은 길이 0.9-1.2㎝로 화관의 1/2 길이이며 끝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선단은 뾰족하고 길이가 약 2-3.3㎜로 크기가 균일하며 가장자리는 막질로 되고 악통보다 짧다. 화관은 길이 1.6-2.0㎝로 통상 깔데기형이며 5-6월에 하늘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화통 내부에 짧고 균일한 짙은 자색줄이 있으며 끝은 5개의 열편으로 갈린다. 열편은 난형이며 선단은 점차 뾰족해 지고 길이 약 2.7-4㎜이다. 부화관은 원두로 선단에 몇 개의 치아상 톱니가 있다. 수술은 화관에 부착하며 약은 선상타원형으로 길이 0.6-1.8㎜ 암술은 1개로 짧은 자루가 있으며 주두는 둘로 갈라져 반곡하고 성숙하면서 덩굴손형으로 말린다. 자방은 단실자방이다.
    열매 : 삭과는 긴 자루가 있어 화관 밖으로 돌출하고 종자는 난상타원형으로 표면은 망상이며 망강의 길이가 짧고 망강 표면은 평활하다.
    줄기 : 줄기의 횡당면은 원형 줄기는 뿌리목에서 1-수개 또는 다수가 나오며 가지를 치거나 드물게 치지 않고 돌기가 없으며 높이 5-11㎝이다.
    뿌리 : 뿌리는 주근형이며 세장하며 밑부분에서 잔뿌리가 나온다.
    분포 : 평북 강원도 경남에서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고산성 식물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5(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25: 1-6 (199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9. No Image

    개쓴풀

    학명 :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ino) H. Har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나도쓴풀 좀쓴풀
    잎 : 잎은 대생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2~5cm 나비 3-10mm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9월경에 피며 지름 15mm정도로서 흰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줄기 윗부분이나 가지의 엽액에 한송이에서 여러송이씩 달려 전체가 좁은 원추형으로 된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이 다소 좁고 화관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짧으며 화관열편은 길이 8-12mm이고 선체(腺體)는 열편 밑부분에 2개씩 있으며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화관보다 다소 길고 좁은 난형이며 종자는 다소 둥글고 거의 평활하다.
    줄기 : 높이 5-35cm이고 다소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고 다소 네모가 지며 줄기는 엷은 노란색이고 곧게 선다.
    뿌리 : 뿌리에 쓴맛이 없음
    분포 : 제주도 충청 북도 예산 충청 북도 장호원 황해도 서흥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 Fac. Sci. Hokkaido. Imp. Univ. Ser.5, Bot. 7 (4) : 165 (196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