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섬거북꼬리

    학명 : Boehmeria taquetii Nakai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 섬거복꼬리
    잎 : 잎이 혁질이고 달걀형이며 엽저가 둥근 편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분포 : 한반도(제주도 한라산)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2. No Image

    산물통이

    학명 :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물통이속(Pilea)
    이명 : 산물퉁이 산비름
    잎 :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그 모양이 달라지고 길이 1-3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고 윗부분에 굵은 톱니가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밑부분에 3맥이 있다. 엽병은 잎보다 짧거나 다소 길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9-10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길이 1-3cm의 화경 끝에 꽃이 두상으로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섞여서 핀다. 수꽃은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열편이 5개이며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끝이 둔하며 길이 1mm정도로서 넓은 피침형이다. 자방은 1개로 암술머리는 붓털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납작한 난형이며 길이 1mm정도이고 반점이 없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부드럽고 다소 적갈색이 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모시물통이(P. mongli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난형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 물통이속의 암꽃 화피조각은 보통 3개이나 산물통이는 5개인 점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mb. Sin. 7 : 141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물통이

    학명 : Pilea peploides (Gaudich.) Hook. & Arn.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물통이속(Pilea)
    이명 : 물퉁이 물풍뎅이
    잎 : 잎은 대생하며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6-10mm로서 양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에 희미한 파상의 톱니가 있고 3맥이 있으며 표면에 옆으로 나열된 결정선(結晶線)이 있고 뒷면에 갈색 선점(腺點)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길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7-8월에 피며 녹색이고 엽액에 뭉쳐서 달리며 암꽃이 수꽃보다 많고 섞여 있다. 수꽃은 화피가 4개로 갈라지며 4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가 3개로 갈라지며 그 중 1개는 크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난형이며 납작하고 길이 0.5cm정도이며 연한 갈색이다.
    줄기 : 다소 총생하고 원줄기는 연녹색이며 높이 5-10cm이고 반쯤 투명하고 부드럽고 털이 없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모시물통이(P. monglic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난형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 다소 밀생하고 전체에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Beechey Voy. 96 (183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몽울풀

    학명 : Elatostema densiflorum Franch. & Sav.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Elatostema)
    이명 : 멍울물통이 멍울풀 복천물통이 북천물통이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어 있으며 비대칭의 도란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 4-8cm 폭 2-3cm이고 상반부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예저이고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8-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달리고 포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수꽃은 암꽃에 섞여 있고 꽃자루가 없으며 포에는 강모가 있고 화피는 4장 수술은 4개이다. 암꽃은 화피가 3-5장 암술머리는 붓털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붉게 익고 타원형이며 작고 길이가 0.5mm정도 자라며 종선이 있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속리산 복천암 앞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우산물통이(E. umbellata Blume):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찌그러진 긴 타원형 길이 2-7㎝ 양 면에 짧은 털이 드물게 난다.
    특징 : 몸 전체에 털이 퍼져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1 : 439 (1873)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모시풀

    학명 : Boehmeria nivea (L.) Gaudich.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 남모시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10-15cm 폭 6-12cm로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밑부분은 둔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며 맥 위에 퍼진 털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퍼진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한그루로서 원추화서로 엽액에 달리고 화서가 엽병보다 짧다. 수꽃 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암꽃 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0cm이다. 수꽃은 황백색으로 화피 4장 수술 4개로 되어 있다. 암꽃은 연녹색으로 통모양의 화피에 싸이고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둥글게 되며 암술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여러 개가 함께 붙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1-2m이고 둥글며 약간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녹색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퍼진 잔털이 많다.
    뿌리 : 뿌리는 목질로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개모시풀(B. platanifolia Fr. et Savat.):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특징 : 섬유자원으로 재배하는 다년초로서 야생상으로 퍼져 나간 것도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rey. Voy. Bot. 499 (183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모시물통이

    학명 : Pilea mongolica Wedd.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물통이속(Pilea)
    이명 : 모시물퉁이 푸른물퉁이 푸른물풍뎅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이고 끝이 짧은 꼬리처럼 뾰족하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고 밑에서 3맥이 발달하며 길이 1.5-10cm 나비 1-7cm로서 가장자리에 삼각상의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고 기부의 턱잎은 뚜렷하지 않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8월에 피며 엽액에 암수꽃이 모여서 길이 1-3cm의 밀산화서(密傘花序)를 형성한다. 수꽃은 꽃잎과 수술이 각각 2개이다.(물통이는 각각 4개이다.) 암꽃은 꽃받침이 깊게 3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잎은 길이가 다르고 긴 것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중륵이 뚜렷하며 암술 1개와 헛수술이 3개 있고 화피는 숙존하여 꽃이 핀 다음 자라서 열매를 감싼다. 암술머리는 솔처럼 되고 암꽃에 3개의 헛수술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납작한 난형이고 길이 1-1.2mm로서 매끈하며 약간 도드라진 갈색 반점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50cm이고 둥글며 담록색의 반투명한 육질로 매끈하고 식물체에 물기가 많고 털이 없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이다.
    유사종 :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 잎 모양이 모시풀과 같으나 식물체에 수분이 많기 때문에 모시물통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16(1) : 135 (DC., 186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나도물통이

    학명 : Nanocnide japonica Blume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나도물통이속(Nanocnide)
    이명 : 애기물통이 화점초
    잎 : 잎은 호생하며 선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와 나비가 1-3cm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거의 수평하며 양면에 드문드문 털이 있다. 엽병은 엽신보다 길거나 거의 같고 탁엽은 작으며 난형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 4-5월에 피고 보통 연한 녹색이다. 수꽃화서는 대가 길고 엽액에서 나와 길게 자라며 수꽃은 5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고 뒷면에 털이 있다. 암꽃화서는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대가 짧고 암꽃은 4개의 화피열편과 끝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화피에 싸이며 렌즈같은 타원형이고 길이 1mm정도로서 엷은 잔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0-20cm이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고 줄기는 모여서 나며 연하고 털이 없다.

    분포 : 제주도와 전라남도 백양산의 산록 음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us. Bot. 2 : 155 (Blume, 18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긴잎모시풀

    학명 : Boehmeria sieboldiana Blume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 시볼드모시풀 큰섬거북꼬리
    잎 : 엽병에 붉은빛이 돈다.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20cm 나비 4-10cm로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밑부분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약간의 털이 다소 있다. 엽병은 엽신보다 짧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8-10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이삭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밑부분에 웅화서 윗부분에 자화서가 달린다. 수꽃은 둥글게 모여서 달리고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으며 암꽃도 둥글게 모여 달리고 암술머리는 1.5mm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화피에 싸이고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1.5mm로서 윗부분에만 짧은 털이 있고 양끝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총생하며 둔한 사각형이고 짧은 복모가 있으며 붉은빛이 돈다.

    분포 :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털긴잎모시풀(B. hirtella Satake) : 잎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us. Bot. 2 : 220 (Blume, 185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거북꼬리

    학명 : 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 거복꼬리 큰거북꼬리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길이 2-5cm의 거북꼬리처럼 되며 3출맥이 뚜렷하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가 8-20cm 나비 5-15c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고 뒷면맥 위와 표면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붉은빛이 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7-8월에 피며 엽액의 수상화서에 달리고 녹색이며 꽃자루는 없다. 웅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자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수꽃은 4-5개로 갈라진 꽃받침과 4-5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여러 송이가 모여 달리고 통형의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도란형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 둥글게 보이며 겉에 잔털이 있고 연녹색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50-100cm로서 거의 털이 없고 가지가 적으며 잎자루와 함께 붉은색이 돈다.

    분포 : 중부 이남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풀거북꼬리(var. unicuspis Mak.): 잎 끝이 3개로 갈라지지 않으며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특징 : 거북꼬리가 속하는 모시풀속 식물로서 12-13종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데 대부분이 제주도와 남부 도서지방에 분포한다. 세계적으로는 약 100종이 주로 열대에 분포하며 분류하기 매우 어려운 식물군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5 : 387 (191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0. No Image

    개물통이

    학명 : Parietaria micrantha Ledeb.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개물통이속(Parietaria)
    이명 : 애기물통이 웅달물통이 웅달화점초 좀물퉁이
    잎 : 잎은 호생하며 막질이고 난형이며 길이 8-25mm 나비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엽병은 길이 5-20mm이고 탁엽이 없다.
    꽃 : 꽃은 잡성으로 8월에 피며 녹색이고 엽액에 2-3개씩 달리며 양성화와 수꽃의 화피가 3-4개로 깊게 갈라진다. 포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선모가 있으며 암꽃의 화피는 통같고 열매를 둘러싼다. 수꽃은 화피가 3-4장 수술 3-4개이다. 암꽃의 화피는 통모양으로 4장이고 암술머리는 붓털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난상 원형이며 길이 1.5mm정도로서 흑색의 윤채가 있으며 포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15-30cm이며 줄기는 모여 나고 연하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짧고 굽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함경도 및 평안도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칠보개물통이 (var.coreana HARA) :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함북 칠보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Pl. Fl. Ross. 1 : 7 (18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개모시풀

    학명 :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 좀모시풀 흰개모시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 10cm 나비 12-18cm로서 가장자리의 톱니는 결각상이고 줄기 위로 갈수록 결각은 커져서 끝부분이 주맥의 끝부분과 더불어 크게 3개로 갈라진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난상 타원형으로서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톱니가 그리 크지 않다. 양면에 짧고 거친 털이 퍼져 나 있으며 막질이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이삭화서로 달리고 7-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다. 수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밑부분에 웅화서 윗부분에 자화서가 달린다. 수꽃은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화피통으로 싸여 있고 전체에 털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이 가장 길며 여러 개가 모여서 밤송이같이 화서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둔한 능선이 있으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1 : 440 (Franch. & Sav., 1875)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강계큰물통이

    학명 : Pilea oligantha Nakai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물통이속(Pilea)
    이명 : 적은꽃물퉁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삼각형이고 진한 녹색이며 표면에는 털이 약간 나고 뒷면은 엽맥을 따라 털이 있으며 3맥이 있고 길이 5-12mm 나비 4-11mm이다. 가장자리 중간 이상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 또는 절저에 가깝고 끝이 둔하다. 엽병은 길이 3-8mm로서 윗부분에 다소 털이 있으며 탁엽은 둥글고 길이와 나비가 각 2-3mm이며 막질이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화서가 탁엽 틈에서 나온다. 웅화서는 대가 있는 2-3개의 꽃이 달리며 화피열편은 둥글고 2개이며 수술은 대가 거의 없고 2개이다. 자화서는 1-2개의 꽃이 달리며 대가 없고 화피열편은 3개로서 그 중 2개는 길며 자방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줄기 : 높이 5-10cm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평안 북도 강계와 함경 남도 삼수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모시물통이(P. monglic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난형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바위모시

    학명 : Oreocnide fruticosa (Gaudich.) Hand.-Mazz.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바위모시속(Oreocnide)

    잎 :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란상 타원형 으로 얇으며 길이 6~12cm 폭 2.5~5cm로서 거친 거치가 있다. 잎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뒷면은 어릴 때 선모가 있어서 백색을 띠고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엽병은 0.5~5cm이다.
    꽃 : 3~4월에 지난해 가지의 낙엽된 엽액에 작은 구형으로 뭉쳐 핀다.

    줄기 : 줄기는 가늘며 길게 뻗으며 어릴 때는 거친 털이 있다.

    분포 : 제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mb. Sin. 7 : 154 (Hand.-Mazz., 1931)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4. No Image

    가는잎쐐기풀

    학명 :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쐐기풀속(Urtica)
    이명 : 가는쐐기풀 꼬리쐐기풀










    학명출전 : Suppl. Hort. Hafn. 107 (18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