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잡싸리

    학명 : Lespedeza xschindleri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약간 요두이고 길이 2~6cm로서 엽맥의 연장인 짧은 침상의 돌기가 있으며 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회록색으로서 복모가 약간 있다.
    꽃 : 총상화서는 액생 또는 정생하고 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형성하기도 하며 소화경은 길이 1.5-2.5cm이다. 꽃받침통은 긴 털로 덮여있고 중앙 이하까지 깊게 4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이 가장 길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털이 있으며 길이 7~8mm 나비 4-5mm로서 긴 타원형이고 종자는 콩팥 비슷하며 길이 3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1-2m이고 가지에 능선과 더불어 복모가 있으며 겨울 동안 지상부가 거의 말라 죽는다.


    형태 : 낙엽 아관목
    유사종 : 싸리 풀싸리
    특징 : 싸리와 풀싸리의 잡종인 낙엽 아관목. 월동중에 지상부가 거의 말라 죽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2. No Image

    싸리

    학명 : Lespedeza bicolor Turcz.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이명 : 싸리나무
    잎 : 잎은 3출엽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2-5㎝로서 원두(圓頭)또는 약간 요두(凹頭)이며 엽맥의 연장인 짧은 침상의 돌기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복모가 약간 있다. 총엽병은 길이 2.5-5㎝로서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소엽병은 길이 5㎜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길이 4-8㎝로서 엽액이나 가지 끝에 달리며 원추화서를 형성하기도 한다.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자색 또는 홍자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1-3㎜로서 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통은 견모가 있으며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뒤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협과(莢果)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부리처럼 길고 길이 7-8㎜ 넓이 5㎜로 복모가 약간 있으며 10-11월에 익는다. 종자는 신장형 비슷하고 갈색 바탕에 짙은 색의 반점이 있다.
    줄기 : 줄기 및 가지는 월동중 반 이상은 말라 죽는다. 소지는 능선이 있고 암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목재는 연한 녹색이며 수는 충실하고 백색이다.

    분포 :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수직적으로 표고 100~1 700m 수평적으로 전국 각지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이다.
    유사종 :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 높이 1-2m에 이르고 밑에서 줄기가 돋아나 많은 가지로 갈라진다. ▶풀싸리(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T. Lee L. japonica var. intermedia Nak.): 8-9월에 피는 꽃은 붉은 자주색이고 가지 끝 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원추화서를 이룬다. 지상부의 대부분이 말라죽는다.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L. bicolor var. japonica N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13: 69 (18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3. No Image

    속리싸리

    학명 : Lespedeza tetralob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으로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밑은 뭉뚝하고 끝은 둥글거나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며 톱니는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단생 또는 복생하고 짙은 자색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서 거의 털이 있다.


    분포 : 충북 속리산의 산기슭에 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풀싸리에 비해 줄기는 겨울철에 말라죽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4. No Image

    선녀싸리

    학명 : Lespedeza cyrtobotrya f. alba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이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잎 끝은 요두(凹頭) 또는 원두圓頭)이며 원저(圓底)이다.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엽병은 짧으며 털이 있다.
    꽃 : 화서는 총상이지만 짧기 때문에 두상같이 보이고 화축에 밀모가 있으며 꽃은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서리가 내리기 직전까지 계속하여 순백색으로 피고 소화경은 길이 1-4mm이다. 꽃받침은 중열되고 털이 있으며 점첨두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길이 8mm이며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원형으로 되며 노목의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소지에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의 표고 100-1 400m 사이의 산중턱 양지쪽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참싸리(for. semialba T.Lee): 기판과 익판이 백색이며 용골판이 다소 홍색이도는 것. ▶긴잎참싸리(var. longifolia Nak.): 잎이 타원형이고 참싸리의 화서가 달리는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5. No Image

    좀싸리

    학명 : Lespedeza virgata (Thunb.) DC.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이명 : 좀풀싸리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긴 타원형으로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원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잔털이 있고 거치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2cm정도로서 털이 있다.
    꽃 : 엽액에서 털같이 가는 화경이 나와 윗부분에 몇개의 꽃이 달려 총상화서를 이루며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6mm정도로서 육색 또는 백색이며 소포액에 2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자줏빛이 돌고 깊게 4개로 갈라지며 뒤쪽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길이 4-5mm이며 열편이 길고 뾰족하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양끝이 좁고 겉에 털이 없으나 그물맥이 있으며 10월에 익는다. 종자는 1개씩 들어 있고 능형에 가까우며 지름 1.7-2mm로서 황록색 바탕에 적색 반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잔털이 약간 있으며 가늘고 한군데에서 여러개가 나와 비스듬히 서며 능선이 있고 자줏빛이 돈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 숲 속에 난다.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반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2 : 350 (DC., 182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삼색싸리

    학명 : 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이명 : 삼색조록싸리
    잎 : 잎은 3출엽이며 길이 3-6㎝의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엽병과 더불어 견모가 있다. 끝은 차츰 뾰족해지고 톱니가 없다.
    꽃 : 꽃은 액생 또는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3-8㎝이며 6-7월에 피는 홍자색꽃은 길이 8-12㎜이다. 기판은 흰색 익판은 자색 용골판은 홍색인 것이 특색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이고 9-10월에 익으며 길이 1.0-1.5㎝의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과 더불어 복모가 있다. 종자는 콩팥형이며 녹색 바탕에 짙은 녹색무늬가 있다.
    줄기 : 수피는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진다.

    분포 : 전라 남도 산지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조록싸리(var. tomentella Nak.): 어린가지와 화서에 개출모가 있다. ▶조록싸리(L. maximowiczii Schneid): 꽃은 홍자색이다. ▶흰조록싸리(for. albiflora Uyeki): 흰꽃이 피며 강원도 난곡(蘭谷)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esp. Jap. & Kor. 40 (19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비수리

    학명 : Lespedeza cuneata G.Don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선상 도피침형이고 절두 또는 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2cm 너비 2-4㎜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5-15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보다 짧으며 엽액에 모여 달리고 기판 중앙부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지고 각 열편은 길이 2-3mm로서 1맥과 견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넓은 난형이며 길이 3mm로서 10월에 암갈색으로 익고 잔털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신장형에 가깝고 길이 1.5-2mm로서 황록색 바탕에 적색 반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늘며 짧은 가지는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의 들에 난다. ▶일본과 중국 대만등지에도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초본성 아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Hist. 2: 307 (18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부채싸리

    학명 : Lespedeza thunbergii var. retusa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잎 끝이 현저한 요두로 중륵의 연장인 침상의 돌기가 있고 예저이며 길이 2-6cm로서 양면에 짧은 복모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액생하는 총상화서 또는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5-2.5cm이고 화관은 홍자색이며 꽃받침잎은 깊게 4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뒤쪽의 1개가 다시 2개로 갈라지며 밑의 것이 가장 길다. 기판은 연한 홍색 진한 홍색 등 변이가 있고 익판은 홍색 또는 자홍색이며 꽃받침통은 자록색 또는 녹색이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7-8mm 나비 4-5mm로서 털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있고 종자는 신장형이고 길이 3mm 나비 4mm로서 밤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겨울동안 지상부가 대부분 말라죽고 높이 1-2m이며 가지에 능선과 더불어 복모가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400m 에 이르는 산록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풀싸리(for.alba T.LEE): 백색 꽃이 피는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9. No Image

    땅비수리

    학명 : Lespedeza juncea (L.f.) Pers.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선상 타원형 긴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원두 절두 또는 약간 요두이며 예저이다.
    꽃 : 엽액에서 나오는 짧은 또는 긴 총상화서에 1-4개의 정상화가 달리고 그 밑에 화경이 거의 없는 폐쇄화가 달리며 꽃은 백색이고 기판의 중앙부와 용골판의 끝이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거의 밑부분까지 4개로 갈라지며 뒤쪽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에 3-5맥이 있다.
    열매 : 협과는 원반처럼 편평하며 둥글고 끝이 뾰족하며 열매는 털이 있고 회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가지에 능선과 잔털이 있다.

    분포 : 중부이북
    형태 : 초본성
    유사종 : ▶개파리채 var.subsericea KOM. : 겉모양이 비수리 같다. ▶털파리채 var.umbrosa T.LEE : 뿌리에서 맹아가 나온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Persoon) 2: 318 (Persoon., 1807)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땅괭이싸리

    학명 : Lespedeza xpatentihirta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난형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1-2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밀모가 있다.
    꽃 : 8-9월에 짧은 또는 전혀 화경이 없어 보이는 화서가 엽액에서 나와 3-5개의 백색 꽃이 모여서 핀다. 꽃받침은 깊고 가늘게 5개로 갈라지며 긴 털이 밀생하고 각 열편에 3-5맥이 있으며 기판은 도란형이고 기부에 자줏빛이 돈다. 진정화보다 폐쇄화가 잘 결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난상 원형이며 표면에 그물맥과 견모가 있고 10월에 익으며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줄기 : 줄기가 철사처럼 가늘고 잎과 더불어 퍼진 털로 덮여 있으며 지면으로 기어간다.

    분포 : 황해도 이남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긴괭이싸리 var. pedunculata T. LEE : 화경의 길이가 12mm에 달한다. ▶괭이싸리 L. pilosa S. et Z. ▶땅비수리 L. juncea var. inschanica Max. : 엽액에서 나오는 짧은 또는 긴 총상화서에 1-4개의 정상화가 달리고 그 밑에 화경이 거의 없는 폐쇄화가 달리며 꽃은 백색이고 기판의 중앙부와 용골판의 끝이 자주색이다.
    특징 : 땅비수리와 괭이싸리의 중간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1. No Image

    늦싸리

    학명 : Lespedeza maximowiczii var. elongat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이며 난상 타원형이고 첨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3-6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견모가 있다. 소엽의 폭이 아주 좁다. 엽병은 길이 3c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탁엽은 선형이고 뾰족하다.
    꽃 : 꽃은 액생 또는 정생하는 길이 3-12cm의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축에 털이 있으며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8-12mm로서 홍자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1-2mm이고 털이 있다. 꽃받침은 중열 예첨두로서 길이 3-4mm이며 옆에 달려있는 포는 피침형이고 기판은 자적색 익판은 홍자색 용골판은 연한 홍색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이고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0-1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받침과 더불어 복모가 있고 9-10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신장형이고 녹색 바탕에 짙은 갈색 무늬가 있다.
    줄기 : 수피는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소지는 둥글다. 재부(材部)는 연한 녹색이고 골속은 백색이다.

    분포 : 충북 단양 강원도 삼척 경남 하동 지리산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조록싸리(var. tomentella Nak.): 어린가지와 화서 및 잎표면에 개출모가 있다. ▶삼색싸리(var. tricolor Nak.): 기판이 백색 익판이 자주색 용골판이 홍색으로 3가지 색깔의 꽃이 핀다. 완도 및 진도에 자란다. ▶흰조록싸리(for. albiflora Uyeki):접협화의 모두가 흰꽃이 핀다.
    특징 : ▶조록싸리와 닮았으나 소엽의 폭이 아주 좁고 꽃이 8-9월에 피는 것이 다르다.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2. No Image

    눈해변싸리

    학명 : Lespedeza macrovirgata Kitag.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이명 : 눈개싸리 왕좀싸리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긴 터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표면은 털이 없으으나 뒷면에는 짧은 복모가 있다.
    꽃 : 액생하는 화서는 철사같이 가늘며 잔털이 있고 길이 7cm정도로서 10개정도의 꽃이 상반부에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8월에 피고 좀싸리와 비슷하며 길이 9mm정도로서 꽃잎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꽃받침은 깊게 4개로 갈라지고 뒤쪽의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며 겉에 긴 견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잘 익지 않지만 간혹 9월에 익는 것이 있고 편평한 타원형으로서 겉에 잔털과 더불어 그물맥이 있으며 꽃받침의 길이와 거의 같은 크기에 달한다.


    분포 : 경기도 서해안에 남
    형태 : 낙엽반관목
    유사종 : 좀싸리 개싸리
    특징 : 개싸리와 좀싸리의 잡종으로서 좀싸리와 비슷하나 잎이 크고 개싸리처럼 건장하게 보이는 것이 특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8 : 100, fig. 13 ()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넌출비수리

    학명 : Lespedeza intermixta Makino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이명 : 덩굴비수리
    잎 : 잎이 비수리의 잎보다 넓으며 크고 원줄기와 더불어 긴 털이 있는 것이 특색이지만 때로는 눈비수리의 잎과 같이 비수리와 구별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꽃 : 꽃이 8-9월에 피지만 열매는 극히 드물다.

    줄기 : 원줄기가 반 정도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다가 옆으로 뻗지만 때로는 가지가 곧추서기도 하고 직각 비슷하게 벌어진다.

    분포 : 진도 지도 제주도 등 남쪽 섬의 바닷가.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비수리와 괭이싸리의 잡종으로서 진도 지도 제주도 등 남쪽 섬의 바닷가에서 비교적 흔히 자란다. 비수리는 곧추 자라고 가지가 예각으로 갈라지며 잎이 선형에 가깝지만 괭이싸리는 이와 반대로 지면을 따라 기면서 가지가 둔각으로 갈라지고 잎은 원형에 가까우며 긴 털이 있다. 넌출비수리는 양자의 중간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7 : 249 (191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꽃참싸리

    학명 : Lespedeza xnakaii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이며 소엽은 넓은 타원형이고 약간 요두이며 예저로서 표면에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은 싸리나 참싸리와 구별하기 어렵다.
    꽃 : 화서는 액생하는 총상화서로서 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길며 싸리의 화경처럼 가늘고 꽃은 싸리와 같으며 길이 1cm정도이다. 꽃받침은 길이 6mm정도로서 반 이상 깊이 갈라지고 열편 끝이 참싸리의 것처럼 뾰족하다.




    형태 : 낙엽 관목
    유사종 : 싸리 참싸리
    특징 : 강원도 운간리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싸리와 참싸리의 잡종으로 여겨지며 참싸리에 비해 화서의 길이가 잎보다 긴 것이 특색이고 고양싸리와 혼동되기 쉬우나 잎표면에 털이 적으므로 구별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5. No Image

    꽃비수리

    학명 : Lespedeza rosea Y.N.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호생하며 3장의 소엽으로 된 겹잎으로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끝은 바늘꽃돌기가 있고 길이는 1~2cm로 엽연은 밋밋하다.
    꽃 : 꽃은 잎겨드랑이에 모여 붙고 붉은 자주색으로 기판 안쪽은 흰색이다.

    줄기 : 줄기는 옆으로 늘어진다. 전체에 털이 있다.

    분포 : 한반도(강원도 태백산)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이 종은 비수리와 참싸리의 자연 잡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nov. ()
    1)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6. No Image

    긴잎참싸리

    학명 : Lespedeza cyrtobotrya var. longifoli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이며 타원형이고 잎 끝은 요두(凹頭) 또는 원두圓頭)이며 원저(圓底)이다.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엽병은 짧으며 털이 있다.
    꽃 : 화서는 총상이지만 짧기 때문에 두상같이 보이고 화축에 밀모가 있으며 꽃은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서리가 내리기 직전까지 계속하여 홍자색으로 피고 소화경은 길이 1-4mm이다. 꽃받침은 중열되고 털이 있으며 점첨두이고 기판은 원두 또는 요두이고 홍색이며 익판은 자주색 용골판은 엷은 자주색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길이 8mm이며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원형으로 되며 노목의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소지에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의 표고 100-1 400m 사이의 산중턱 양지쪽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참싸리(for. semialba T.Lee): 기판과 익판이 백색이며 용골판이 다소 홍색이도는 것. ▶선녀싸리(for. alba T.LEE): 꽃이 순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7. No Image

    긴괭이싸리

    학명 : Lespedeza pilosa var. pedunculata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난형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1-2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밀모가 있다.
    꽃 : 8-9월에 화경의 길이가 12㎜에 달하는 화서가 엽액에서 나와 3-5개의 백색 꽃이 모여서 핀다. 꽃받침은 깊고 가늘게 5개로 갈라지며 긴 털이 밀생하고 각 열편에 3-5맥이 있으며 기판은 도란형이고 기부에 자줏빛이 돈다. 진정화보다 폐쇄화가 잘 결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난상 원형이며 표면에 그물맥과 견모가 있고 10월에 익으며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줄기 : 줄기가 철사처럼 가늘고 잎과 더불어 퍼진 털로 덮여 있으며 지면으로 기어간다.

    분포 : 황해도 이남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괭이싸리 L. pilosa S. et Z. : 화경은 짧거나 전혀 없다. ▶땅괭이싸리 L. X patentihirta T. LEE : 땅비수리와 괭이싸리의 중간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괭이싸리

    학명 : Lespedeza pilosa (Thunb.) Siebold & Zucc.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난형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1-2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밀모가 있다.
    꽃 : 8-9월에 짧은 또는 전혀 화경이 없어 보이는 화서가 엽액에서 나와 3-5개의 백색 꽃이 모여서 핀다. 꽃받침은 깊고 가늘게 5개로 갈라지며 긴 털이 밀생하고 각 열편에 3-5맥이 있으며 기판은 도란형이고 기부에 자줏빛이 돈다. 진정화보다 폐쇄화가 잘 결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난상 원형이며 표면에 그물맥과 견모가 있고 10월에 익으며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줄기 : 줄기가 철사처럼 가늘고 잎과 더불어 퍼진 털로 덮여 있으며 지면으로 기어간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긴괭이싸리 var. pedunculata T. LEE : 화경의 길이가 12mm에 달한다. ▶땅괭이싸리 L. X patentihirta T. LEE : 땅비수리와 괭이싸리의 중간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1: 121 (184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고양싸리

    학명 : Lespedeza xrobust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으로 소엽은 도란형 긴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풀싸리와 비슷한 복모가 있다.
    꽃 : 꽃은 길이 3-7cm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mm로 잔털이 있고 화관은 길이 12mm로 자주색이며 꽃받침은 4개로 깊이 갈라지고 첨두로서 털이 있고 기판은 첨두이며 8-9월에 개화한다.
    열매 : 꼬투리는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8mm이며 털이 있고 10월에 성숙한다.


    분포 : 전남 무등산과 청량리 등지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관목

    특징 : 참싸리와 풀싸리의 잡종으로 추정된다. 싸리와 비슷하지만 잎 표면의 털이 떨어지지 않으므로 구별할 수 있고 또 참싸리와도 비슷하지만 화서가 잎보다 긴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20. No Image

    검나무싸리

    학명 : Lespedeza melananth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이명 : 쇠싸리 흑싸리
    잎 : 잎은 3출엽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2-5㎝로서 원두(圓頭)또는 약간 요두(凹頭)이며 엽맥의 연장인 짧은 침상의 돌기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복모가 약간 있다. 총엽병은 길이 2.5-5㎝로서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소엽병은 길이 5㎜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길이 4-8㎝로서 엽액이나 가지 끝에 달리며 원추화서를 형성하기도 한다.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자색 또는 홍자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1-3㎜로서 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통은 견모가 있으며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뒤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협과(莢果)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부리처럼 길고 길이 7-8㎜ 넓이 5㎜로 복모가 약간 있으며 10-11월에 익는다. 종자는 신장형 비슷하고 갈색 바탕에 짙은 색의 반점이 있다.
    줄기 : 줄기 및 가지는 월동중 반 이상은 말라 죽는다. 소지는 능선이 있고 암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목재는 연한 녹색이며 수는 충실하고 백색이다.

    분포 : 중부 이남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이다.
    유사종 :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 높이 1-2m에 이르고 밑에서 줄기가 돋아나 많은 가지로 갈라진다. ▶풀싸리(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T. Lee L. japonica var. intermedia Nak.): 8-9월에 피는 꽃은 붉은 자주색이고 가지 끝 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원추화서를 이룬다. 지상부의 대부분이 말라죽는다.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
    특징 : ▶꽃이 흑자색이다. ▶맹아력이 강하다.(L. bicolor var. japonica N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