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당조팝나무
학명 : Spiraea chinensis Maxim.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난형 또는 난상 능형으로 길이 2.5~7cm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주걱형이며 두껍고 양면에 주름이 많으며 뒷면에 연모가 약간 밀생하고 중부 이상에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4~11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새 가지 끝에 산형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삼각형 꽃잎은 5개로 난형 수술은 20개 밀선은 10개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가을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어린가지는 갈색으로 짧은 털이 밀생하고 뒤에 수피는 세로로 갈라져 떨어진다.
분포 : 경북 강원 황해 함북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특징 : 암생식생으로 내건성과 맹아력이 크며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도 양호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Hort. Petrop. 6 : 197 (18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당단풍나무
학명 :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과명 : 단풍나무과(Aceraceae)
속명 : 단풍나무속(Acer)
이명 : 고로쇠나무 고로실나무 넓은고로실나무 단풍나무 당단풍 박달나무 산단풍 산단풍나무 서울단풍서울단풍나무서울섬달나무섬단풍나무 아기단풍애기단풍애기단풍나무왕단풍 왕단풍나무 좁은단풍 털단풍 털참단풍
잎 : 잎은 대생하며 원형 심장저이고 길이 7-10cm로서 보통 9-11개로 갈라지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뒷면은 엽맥을 따라 연모(軟毛)가 있으며 엽병은 처음에 연모가 있다. 각 열편은 예두로 복거치가 있다.
꽃 : 꽃은 잡성 양성화로 지름 3-4cm의 정생하는 산방화서에 10-20개의 꽃이 달리며 양성화는 2-3개가 달리고 5월에 피며 길이 1cm정도이다. 화경은 길이 2-3cm이며 꽃받침잎은 5-6개로서 녹자색이고 피침형으로 길이 4-5mm로서 털이 있으며 꽃잎은 4개이고 백색 또는 황백색으로 도란형이며 길이 4mm이다. 자방의 털이 일찍 떨어지고 수꽃에 암술의 흔적과 4-8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시과는 자황색으로 털이 거의 없고 길이 2-2.5cm 너비 5-6mm이며 날개는 70˚정도 벌어지고 길이 2㎝정도로서 좁은 단풍에 비해 끝의 폭이 넓고 둥글며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잿빛이고 애가지는 녹색 또는 자록색이며 흰털이 성글게 있고 묵은가지는 흰가루로 덮인다.
분포 : ▶중국에도 분포한다. ▶경남 경북 전남 및 강원도 이북 지역의 산지에 더러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좁은단풍(var. koreanum Nak.) : 과시가 작고 긴 타원형이며 평행으로 벌어진 것. ▶넓은고로실나무(var. ambiguum NAK.) : 잎의 기부가 절저이고 과시가 도란형으로서 넓게 벌어진다. ▶왕단풍(var. macrocarpum NAK.) : 열매가 크다. ▶털참단풍(var.lanuginosum NAK.)(var.pilosum Nak.et Kawamoto) : 잎 뒷면과 열매에 백색 털이 남아 있다. ▶서울단풍(var. n
특징 : 손바닥모양의 잎으로 구성된 수관은 차광미가 뛰어나고 우산모양의 아름다운 수형은 여름철의 녹음을 더 한층 시원스럽게 하며 가을에 무르익는 붉은색 단풍은 흡사 꽃같은 느낌을 주며 우리 나라의 가을 산야를 아름답게 물들이는 것은 대부분 이 단풍나무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aint-Peterburgsk. Bot. Sada 22: 725 (190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당느릅나무
학명 : Ulmus davidiana Planch.
과명 : 느릅나무과(Ulmaceae)
속명 : 느릅나무속(Ulmus)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이그러진 예저이고 길이 4-8cm 너비 2-6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복거치가 있으며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엽병도 길이 3-7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3월에 피며 1년지 엽액에 모여 취산화서로 달린다. 화피는 종형이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0-15mm이며 중앙부에 잔털이 있고 4-5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날개의 약간 윗부분에 붙어 있다.
줄기 : 높이 15m 지름 50-70cm이고 수피는 갈색이며 소지에 융모가 있다.
뿌리 : 많은 신생근이 잘 생긴다.
분포 : 진주 경기 및 함북의 해발 600m 이하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느릅나무(U. davidiana var. japonica Nak.) : 엽병과 잎 뒷면 맥 사이에 짧은 털이 모여 있고 열매는 시과로 털이 없거나 선단에만 있으며 비교적 흔히 자란다. ▶혹느릅나무(U. davidiana for. suberosa Nak.): 가지에 코르크가 발달한 것. ▶민느릅나무(U. davidiana var. laevigata Nak.): 소지에 털이 없고 잎표면에 윤채가 있다.
특징 : 목재는 휘어지는 성질이 뛰어나며 잘 갈라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mpt. Rendu. Acad. Sci. Paris 74: 1498 (187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
No Image
당나리
학명 : Lilium brownii F.Br. ex Miellez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이명 : 당개나리 어우스트레일백합 좀산나리
잎 : 잎은 어긋난다.
꽃 : 꽃은 6월말부터 8월초까지 피지만 온실에서 재배를 하면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핀다. 꽃은 꽃줄기 끝에 1∼4개씩 옆을 향하여 달리고 바깥쪽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 돌며 안쪽은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연한 황색이었다가 백황색으로 변한다. 향기가 있으며 변종 중에는 향기가 강한 것도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인데 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줄기 : 줄기는 녹색이고 짙은 자주색의 점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at. Expos. S. Hort Lille (1841)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당근
학명 : Daucus carota subsp. sativa (Hoffm.) Arcang.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당근속(Daucus)
이명 : 홍당무
잎 : 잎은 3회우상복엽이고 털이 있으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큰 산형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잎 모양이며 뒤로 젖혀지고 깊게 갈라진다.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 5개이며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긴 타원형이고 가시같은 털이 있으며 익으면 잎은 말라버린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세로로 능선이 있으며 퍼진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곧게 내리고 굵으며 거꾸로 된 원추형이고 카로틴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황색 감색 또는 적색이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채소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형태 : 1-2년초
유사종 : ▶갯당근(D. littoralis var. koreana Nak.): 바닷가에서 자라며 당근이 퍼져 나간 것으로서 당근의 기본종으로 보고 있다.
특징 : 세계에 약 60종 우리 나라에는 재배종이 1종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mp. fl. ital. 299 (188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당귤나무
학명 : Citrus sinensis (L.) Osbeck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귤속(Citrus)
이명 : 감귤나무 네이불 당귤 )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5~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병의 날개가 없거나 좁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백색이고 향기가 있으며 엽액에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20개 정도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지름 3-4㎝의 원형 또는 난형이며 등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중심부가 충실하다. 외과피는 얇으며 과육과 잘 떨어지고 밋밋하며 광택이 난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가시가 없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재식하고 있다.
형태 : 상록 활엽 소교목
유사종 : ▶광귤나무(C. aurantium L var. daidai Mak.) ▶홍귤나무(C. deliciosa) ▶유자나무(C. junos) ▶여름귤나무(C. natsudaida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Dagbok Ostind. Resa 41(1757), nom. nud. ;Mori, Enum. Pl. Kor. 229(1922)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당광나무
학명 : Ligustrum lucidum Aiton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쥐똥나무속(Ligustrum)
이명 : 광나무 제주광나무 참여정실
잎 : 잎은 대생하고 혁질이며 난형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5-12cm 폭 3-5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뚜렷하지 않은 잔점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2cm로서 자줏빛이 돈다.
꽃 : 꽃은 양성으로 8월에 피고 길이 2-5mm의 짧은 화경이 있고 복총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12-20cm이다. 화관은 길이 3-4mm이고 백색이며 4개로 갈라지고 통부가 열편보다 약간 짧으며 수술대는 길고 꽃밥은 길이 1.2-1.5mm로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길이 1.5mm이고 암술대는 길이 2.5-3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상 핵과로 길이 8-10mm인 타원형이고 9-10월에 자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 5-10m이고 가지가 퍼지며 수피는 회색이고 털이 없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소교목.
유사종 : 광나무
특징 : 광나무에 비해 잎은 대형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us Kew., ed. 2, 1 : 19 (W.T.Aiton, 181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당개지치
학명 :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과명 : 지치과(Boraginaceae)
속명 : 당개지치속(Brachybotrys)
이명 : 당꽃마리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막질의 초엽같고 위로 가면서 긴 엽병 끝에서 엽신이 자라기 시작하며 엽병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싸고 표면과 가장자리에 긴 백색털이 있으며 끝에서는 마디사이가 짧아져서 5-7개의 잎이 밀생하여 윤생한 것처럼 보인다. 정엽은 긴 타원형 도피침상 타원형 또는 방추형이고 양끝이 좁지만 특히 선단이 바늘같이 뾰족한 급첨두에 예저이며 길이 5-12cm 폭 2-6cm로서 짧은 엽병과 복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지름 1cm정도이며 5-7개송이가 줄기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4cm정도이며 소화경은 길이 5-20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길이 8mm정도로서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가 꽃받침과 비슷하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둔두이며 길이 4.5mm이고 화관통은 길이 2.5mm이며 후부에 5개 부속물이 있다. 수술은 5개로서 짧으며 암술대는 1개로서 길게 화관밖으로 빠져나온다. 열
열매 : 소견과는 삼각추형으로 길이 3mm가량이며 흑색으로 익고 짧은 털이 있으며 과경이 밑으로 처진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고 가지가 없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잎과 더불어 짧은 털이 복생한다.
뿌리 : 근경이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움이 돋아 군락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북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Pl. ser. 2, 13(3): 43 (Hook., 187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당개서어나무
학명 : Carpinus tschonoskii var. brevicalycina Nakai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서어나무속(Carpinus)
이명 : 당개서나무
잎 : 잎은 2줄로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2cm 폭 3-4cm로서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으며 뒷면에 털이 있고 측맥은 14-16쌍이다. 엽병은 길이 4-12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웅화수는 대가 없고 포는 털이 없으며 수꽃은 한 포린에 1개씩 달리고 4-8개의 수술이 있다. 자화수는 대가 있으며 암꽃은 각 포린에 2개씩 달리고 각 1개의 자방과 2개의 암술대가 있다. 길이 4-8cm의 화서를 이루고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 과수는 길이 6-7cm로서 중축과 화축에 털이 있으며 과포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2-3.2cm이며 첨두이고 가장자리 한측면만 거치가 있다. 소견과는 삼각상 난형으로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이 화피 밖으로 나오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고 울퉁불퉁하지만 터지지 않으며 소지는 털이 있고 백색 피목이 산재한다.
분포 : 백양산과 지리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긴서어나무(var. longispica Uyeki): 화서의 길이가 13-15㎝ 대의 길이가 4-4.5㎝인 것. ▶왕서어나무(var. macrophylla Nakai): 잎이 둥근 타원형이고 길이 7-9㎝ 폭 5-5.5㎝이며 엽병의 길이가 8-25㎜ 인 것. ▶개서어나무(C. tschonoskii Maxim.) ▶왕개서어나무(C. tschonoskii var. eximia Hatus.): 잎은 길이 9-10.5㎝ 폭 5.5-6㎝이고 소견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andb. Kor. Manch. For. 92 (19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당개나리
학명 : Forsythia suspensa (Thunb.) Vahl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개나리속(Forsythia)
잎 : 잎은 단엽 혹은 3개로 갈라지거나 3출엽이다. 엽병은 0.8~1.5cm로서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다. 엽신은 난형 또는 광난형 혹은 타원상 난형으로서 길이 2~10cm 너비 1.5~5cm이고 혁질이며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드물게 엽맥을 따라 융모가 있는 경우도 있으며 엽저는 둥근것에서부터 설형까지 다양하고 엽두는 예리하며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엽액에서 1개 또는 2개가 모여나며 화병은 5~6 mm이다. 꽃받침 열편은 타원형으로서 길이 (5~)6~7 mm이고 섬모가 있다. 화관은 황색이고 꽃받침 열편과 거의 비슷하며 열편은 도란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1.2~2 cm이다. 암술은 3~5mm의 수술을 가진 꽃에서는 5~7mm 6~7mm의 수술을 가진 꽃에서는 약 3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 타원형으로서 길이 1.2~2.5cm 너비 6~12 mm이며 과병은 0.7~1.5cm이고 피목이 산재한다.
줄기 : 가지는 많이 갈라지고 소지는 황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절간은 비어있다.
분포 : 중국
형태 :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담팔수
학명 :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hunb.) H. Hara
과명 : 담팔수과(Elaeocarpaceae)
속명 : 담팔수속(Elaeocarpus)
이명 : 담팥수
잎 : 잎은 길이 12~15cm 폭 1.6-3㎝로 호생하고 혁질이며 도피침형 또는 좁은 도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예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광택이 나고 뒷면은 회록색을 띠며 가장자리는 파상의 톱니가 있다.
꽃 : 잎이 떨어진 전년도 엽액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길이 10cm로서 털이 있고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받침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양면에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중앙가지 잘게 젖혀지며 길이 4-5mm로서 연한 황색이고 5개의 선과 20개의 수술이 있으며 자방에 융모가 있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이고 길이 20-25mm로서 9월에 흑벽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크고 겉에 주름이 진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소지에 털 없다. 수피는 회갈색으로 미끄러우며 내피에 탄닌이 함유되어 있다.
분포 : ▶일본 대만 등에도 분포한다. ▶제주도에서 자라며 표고 300m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수형:원개형.
특징 : 우리 나라에 몇 그루밖에 없는 희귀목이므로 천연기념물(제163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수형이 우산모양으로 아름다우며 가을에 붉에 물드는 단풍 또한 아름답다. ⓐ소재지:제주도 서귀포시 서흥동 ⓑ지정사유:희귀수종의 자생지(자생지 북한계) ⓒ면적:4 953㎡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26 : 93 (1951)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담쟁이덩굴
학명 :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담쟁이덩굴속(Parthenocissus)
이명 : 담장넝쿨 담장이덩굴돌담장이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 심장저이고 나비 10-20c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때로 소엽병이 있는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복엽이고 엽병이 잎보다 길다. 잎이 가을철에 붉게 단풍든다. 생육지에 따라서 잎의 크기에는 2-3배의 차이가 있다.
꽃 : 취산화서는 액생하거나 짧은 가지 끝에서 자라며 많은 소화가 달리고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며 황록색이다. 꽃받침은 절형이고 꽃잎과 수술은 각 5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백분으로 덮여 있으며 지름 6-8mm로서 8~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길이 10m 이상 뻗고 덩굴손은 잎과 대생하며 갈라져서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겨 담벽이나 암벽에 잘 부착하고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 : 측근은 잔뿌리로 발달하여 천근성이다.
분포 : ▶중국 일본 대만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 600m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만목.
유사종 : ▶미국담쟁이덩굴(P.quinquefolia Planch.) : 잎이 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장상복엽이다.
특징 : 담을 기어오른다 하여 담쟁이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속성수로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라며 가을에 단풍이 붉게 들어 장관을 이룬다. ▶기근과 흡반이 발달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Phan. 5 : 452 (A.DC. & C.DC., 188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담자리참꽃
학명 : Rhododendron lapponicum subsp. parvifolium var. alpinu (Glehn) T.Yamaz.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담자리꽃나무 담자리참꽃나무애기황산참꽃
잎 : 잎은 어긋나며 길이 1cm의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고 거치가 없다. 잎의 뒷면에 흰색 비늘털이 빽빽이 있는데 나중에는 갈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지름 1.3cm의 정제화이고 6∼7월에 자줏빛을 띤 장밋빛으로 피며 2∼3개가 가지 끝에 달린다. 화관은 4개의 조각으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밑에 털이 있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지며 암술대는 길고 밑으로 향한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고 길이 5mm의 난형이며 갈색 비늘 털로 싸여 있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길다.
분포 : 한국(평북 함북) 시베리아
특징 : 고산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 Revision of the Genus Rhododendron in Japan, Taiwan, Korea and Sakhalin 17 (T.Yamaz., 199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담자리꽃나무
학명 : Dryas octopetala var. asiatica (Nakai)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담자리꽃나무속(Dryas)
이명 : 담자리꽃
잎 : 잎은 호생이나 총생처럼 보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나비 6~15mm이며 엽맥이 들어가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20mm이며 백색 털이 있고 중앙부까지 탁엽이 붙어 있다.
꽃 : 꽃은 6월에 백색으로 피고 길이 3~10cm의 화경 끝에 1개씩 달리며 꽃의 지름은 2cm 정도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8~9개이고 수술과 암술대가 많으며 암술대는 자방과 더불어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백모가 있고 화주는 과시에 3cm로 신장하며 흰색의 긴 털이 우상으로 난다.
줄기 : 줄기는 가지를 치면서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풀 같은 상록성 낙엽활엽 소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7 : 47, t. 17 (191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담상이삭풀
학명 : Brachyelytrum erectum var. japonicum Hack.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숲개밀속(Brachyelytrum)
이명 : 단포새
잎 : 잎은 납작하고 선형이며 밝은 녹색이고 길이 7-12㎝ 폭 4-7㎜로서 가장자리와 표면에 연모가 약간 있다. 엽설은 절두로서 길이 2-3㎜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10-15㎝이며 가지는 짧고 곧추서거나 들어붙는다. 소수는 짧은 대가 있으며 1개의 꽃으로 구성되고 녹색으로서 길이 8-9mm이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며 1맥이 있고 첫째 것은 길이 1-1.5mm이며 둘째 것은 길이 2-3mm이다. 호영은 좁은 피침형으로서 잔점이 있고 끝이 점차 뾰족해져서 길이 10-15mm의 까락으로 된다. 기반(基盤) 양쪽에는 잔털이 있으며 소축의 돌기는 길이 4mm정도로서 내영 전면에 붙고 수술은
줄기 : 높이 50-7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냘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일본과 한국에 1종 북아메리카에 1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7(9): 647. (189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담배풀
학명 : Carpesium abrotanoides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담배풀속(Carpesium)
이명 : 담배나물 학슬
잎 : 근생엽은 긴 엽병이 있고 개화기가 되면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로 되고 길이 20-28cm 폭 8.5-15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긴 타원형으로 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8cm로서 엽액에 수상으로 달리며 보통 포가 없고 총포는 길이 7~8mm 지름 1~1.5mm로서 종형이며 포린은 3줄로 배열되고 겉의 것이 짧으며 난형 예첨두로서 짧은 털이 있고 중앙의 것과 안쪽의 것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수꽃과 양성의 통꽃이 혼생한다. 소화는 130-300개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mm로서 선점과 길이 0.7mm정도의 부리가 있으며 관모가 없고 끈끈하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밀생한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목질이다.
분포 :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특징 : 전체에 가는털이 있으며 냄새가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담배취
학명 : Saussurea conandrifoli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강계분취 담배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에 없어지고 엽병의 넓은 날개가 줄기로 흐르며 넓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9~1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뒷면은 다소 은백색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 : 7~8월에 개화하고 홍자색이며 두화는 2~6개가 엉성하게 산방상으올 달린다. 총포는 종형이고 밑부분이 원저이며 길이 14~16mm 지름 20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고 포편은 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가장 짧고 끝이 뾰족하며 젖혀진다.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35-50cm이고 줄기는 화경상(花莖狀)이며 흔히 날개와 더불어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평안도 및 함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9 : 196 (191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
No Image
담배
학명 : Nicotiana tabacum L.
과명 : 가지과(Solanaceae)
속명 : 담배속(Nicotiana)
이명 : 연초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50cm이며 밑이 거의 둥근모양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짧고 날개가 있으며 밑으로 흐른다. 잎에 선모가 밀생하여 끈적끈적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으로 끝 부분의 색이 짙고 원줄기 끝에 큰 원추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0-20(25)mm이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길이 12-20(25)mm로서 선모가 있으며 열편은 통부보다 짧거나 같고 화관은 통부의 길이가 10(7)-15mm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로서 화관 후부喉部에 달리며 박으로 나오지 않거나 약간 나온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꽃받침에 싸이고 종자는 다수이다.
줄기 : 높이 1.5-2m이고 줄기에 선모가 밀생하여 끈적끈적하다.
분포 : 밭에서 재배
형태 : 일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mmunis L.
과명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속명 : 닭의장풀속(Commelina)
이명 : 닭개비 닭기씻개비 닭의꼬꼬 닭의밑씻개 닭의발씻개
잎 : 잎은 호생하며 마디가 굵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막질의 엽초로 되며 길이 5-7cm 폭 1-2.5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 있다. 엽초는 입구에 긴 털이 있고 약간 두꺼우며 질이 연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엽액에서 나온 화경(花莖) 끝의 포로 싸여 하늘색 꽃이 핀다. 포는 넓은 심장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없거나 있다. 외화피 3개는 무색이고 막질이며 안쪽 3개 중 위쪽의 2개는 둥글고 하늘색이며 지름 6mm이지만 다른 1개는 작고 무색이다. 2개의 수술과 꽃밥이 없는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육질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지며 2-4개의 종자를 산출한다.
줄기 : 높이 15-5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고 상부는 비스듬히 올라가며 마디는 크다.
뿌리 :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일본 사할린 우수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큰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 꽃은 한 장의 커다란 포에 싸여 있고 위쪽의 보라색 꽃잎은 2장이며 둥글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흰닭의장풀(Commeline communis for. albiflora Makino) : 옛 선비들은 대나무를 닮은 이 풀을 수반의 맑은 물에 재배하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닭의덩굴
학명 : Fallopia dumetorum (L.) Holub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닭의덩굴속(Fallopia)
이명 : 개여뀌덩굴산덩굴메밀산덩굴역귀여뀌덩굴참덩굴메밀
잎 : 잎은 호생하고 화살모양의 난형으로 길이 5~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형이며 양쪽 열편의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양면의 맥과 가장자리에 미세한 돌기가 있으며 엽병은 길다. 엽초는 짧고 연모가 없다.
꽃 : 꽃은 6~9월에 홍색으로 피고 잎짬에 모여 나며 가지 끝의 잎이 작고 마디 사이가 짧아져서 총상으로 된다. 숙존성 화피편은 등쪽에 날개가 발달하고 하부는 소화경으로 흐른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삼릉형이고 흑색이며 약간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길게 뻗어 다른 물체에 감기고 가지가 많으며 종선과 미세한 돌기가 있다.
분포 : 북반구에 널리 귀화했다.
형태 : 덩굴성 일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olia Geobot. Phytotax. 6: 177 (197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