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민물오리나무

    학명 : Alnus hirsuta f. glabra T.B.Lee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오리나무속(Alnus)

    잎 : 잎은 길이 8-14㎝의 넓은 계란형으로 예두(銳頭) 원저(圓底)이고 겹톱니가 있으며 5-8개로 얕게 갈라진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다. 잎 뒷면에는 털이 없거나 맥 위에만 털이 있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4월에 개화하는데 수꽃은 가지 끝에 암꽃은 수꽃 밑에 핀다.
    열매 : 과수는 길이 1.5-2.0㎝의 타원형으로 10월에 흑갈색으로 익고 종자에는 극히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가 곧아 원추형의 수형을 이루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평활하다. 어린가지의 털은 자라면서 생긴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지에 자라지만 거의 전 지역에 심어져 있고 일본과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산오리나무(A. hirsuta Rupr.): 잎은 난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절저 또는 넓은 설저이며 뒷면 맥상에 갈색털이 있다.
    특징 : 제1차 천이식생의 선구 역할을 하는 사방조림 수종으로 물갬나무와 함께 많이 식재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2. No Image

    민메기이삭

    학명 : Agrostis canina f. mutica (Gaudin) Jansen & Wach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겨이삭속(Agrostis)
    이명 : 두메겨이삭민메겨이삭
    잎 : 잎은 접히기도 하지만 흔히 편평하고 길이 2~10cm 폭 1~3cm이며 근생엽은 폭 2mm이하이다. 엽설은 길이 2~3㎜로서 긴 타원형이고 막질이며 둔두이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5~12cm 폭 1~5cm로서 가지가 3~6개씩이고 퍼지며 거칠다. 소수(小穗)는 길이 1.5cm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자줏빛이 돌지만 연한 녹색인 것도 있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같으며 1맥이 있고 끝이 뽀족하며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짧은 털이 있으며 희미한 3맥이 있고 호영보다 짧은 까락이 있으며 내영은 거의 없다. 기반(基盤)에 짧은 털이 있고 꽃밥은 길이 1mm정도이다.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다소 총생하며 높이 20-60cm이다.
    뿌리 : 근경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검은겨이삭(Agrostis canina L.):호영은 희미한 3맥이 있고 중륵이 뒷면 중앙부에서부터 까락으로 되며 까락은 길이 1~2mm이고 중앙부에서 꺾이며 내영은 거의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d. Kruidk. Arch. 50: 112 (1940)
    1) Catalogue of new world grasses (MissouriBotanicGarden, 2002)


    Read More
  3. No Image

    민매화마름

    학명 : Ranunculus yezoensis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잎 : 잎은 호생하며 짧은 엽초위에 잔털이 돋은 짧은 엽병이 있고 3-4회 갈라져서 실같은 열편으로 된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잎과 대생한 화경은 길이 3-7cm이며 물 위로 올라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길이 3-4.5mm이며 털이 없고 꽃잎은 5개이며 도란형으로서 밑부분에 누른 빛이 돌고 소인편이 붙어 있으며 길이 6-9mm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고 꽃밥은 길이 1mm정도이다. 화탁은 길이 2mm정도이며 처음부터 털이 없다.
    열매 : 취과는 지름 5-6mm로서 둥글고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고 처음부터 털이 없고 길이 1.5-2.2mm로서 마르면 옆으로 주름이 진다.
    줄기 : 길이가 50cm에 달하며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
    유사종 : 매화마름 (Ranunculus kazusensis) : 화탁과 수과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4. No Image

    민망초

    학명 : Erigeron acris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개망초속(Erigeron)
    이명 : 개망초만주망초민들망초민망풀민잔꽃풀버들망초산민망초
    잎 : 근생엽은 개화시 거의 없어지며 주걱형이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3.5-6.5cm 나비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다소 있거나 없다. 중앙부의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6㎝ 나비 4-16㎜로서 가장자리가 흔히 밋밋하고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다.
    꽃 : 두화는 백색이고 줄기 끝에 총상 또는 산방상으로 달리며 지름 17mm이고 꽃이 필 때의 화경은 길이 1.5-5cm이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6-9mm 지름 14-20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mm로서 가장자리에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4-6mm로서 오백색(汚白色)이거나 붉은빛이 돈다.
    줄기 : 높이 15-9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털이 다소 있고 가지가 산방상으로 퍼진다.

    분포 :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월년초
    유사종 : ▶산민망초 var.kamtschaticus Herder :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863 (175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5. No Image

    민말똥비름

    학명 : Sedum alfredii Hance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돌나물속(Sedum)
    이명 : 말똥비름 알돌나물 )
    잎 : 잎은 호생하고 대개 낙엽성이고 엽신은 주걱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1.2~3cm 너비 0.2~0.6cm이고 엽저는 편평한 쐐기꼴이며 엽두는 둔두이거나 때때로 엽연이 거치로 갈라져 있다.
    꽃 : 산방상 취산화서는 직경 5~8cm이고 많은 꽃이 달리며 포는 잎과 같다. 꽃은 화병이 없으며 5갈래로 갈라지고 직경 1mm이다. 꽃받침잎은 긴 주걱모양이며 길이 3~5mm 너비 1~1.5mm이고 화판은 황색이며 피침형에서 긴 피침형으로 길이 4~6mm 너비 1.6~1.8mm로서 아랫부분은 합생하고 미철두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받침의 앞에 있는 것은 길이 약 4mm 화판 아래에 있는 것은 길이 1~1.5mm이다. 밀선은 주걱모양의 4
    열매 : 골돌과는 비대칭적으로 분지하였으며 종자는 다수이고 갈색이며 약 0.6 mm이다.
    줄기 : 줄기는 분지하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분지한다.

    분포 : 중국 대만 일본 한국.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n. Bot. 8 : 7(1870); Palibin, Consp. Fl. Kor. 1 : 92(1898) ()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민땅비싸리

    학명 : Indigofera koreana Ohw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땅비싸리속 (Indigofera)
    이명 : 고려당비사리 민땅비수리 좀땅비싸리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굵으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미철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1-4cm이다.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다.
    꽃 : 엽액에 총상화서가 달리며 길이 12㎝로서 잎과 거의 길이가 같고 꽃은 5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6월말까지 계속하여 피며 길이 2㎝정도로서 장미색이다. 꽃받침은 길이 3mm정도이며 피침상의 열편에 털이 약간 있고 기판의 겉에도 털이 있다.
    열매 : 협과는 길이 3.5-5.5㎝인 원주형이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뿌리에서 많은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가지에 세로로 된 선상돌기가 있다. 소지에 줄이 약간 있으며 처음에는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전국의 표고 50-700m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관목
    유사종 : ▶큰땅비싸리(var. coreana Craib.): 화서가 잎보다 두 배 정도 길고 꽃받침의 길이가 4mm 정도이며 열편이 좁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Vol. 1+, 191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7. No Image

    민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chinense var. angustatum H. Hara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등골나물속(Eupatorium)
    이명 : 향등골나물





    분포 : 한반도 일본


    특징 : 기본종에 비해 잎은 3전열하고 열편은 결각 또는 우열하며 잎뒤에 선점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atophytarum Japon. 2 : 200 (H. Hara, 1952)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8. No Image

    민들레

    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이명 : 안질방이
    잎 :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우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잎보다 다소 짧은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바로 꽃 밑에만 밀모가 남는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12mm이지만 15mm로 자라며 지름 25-27mm이고 외포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간혹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곧추서며 뿔같은 소돌기가 있다. 화관은 황색으로서 가장자리의 것은 길이 15mm 나비 2-2.5mm이고 통부는 길이 5mm내외이며 털이 없다.
    열매 : 5-6월이 되면 꽃이 시든 자리에서 씨앗의 날개가 돋아나 하얗고 둥근 모양으로 부푼다. 수과는 갈색이 돌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 나비 1.2-1.5mm로서 윗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표면에 6줄의 홈이 있으며 부리는 길이 6-8mm이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연한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가 없이 잎이 총생하여 옆으로 퍼진다.
    뿌리 : 육질로서 길며 포공영근(浦公英根)이라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민들레 산 민들레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등이 있다. ▶서양민들레는 식용민들레도 귀화식물화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크고 꽃이 가을까지 계속 피는 것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특징 : 생약의 포공영은 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 민들레에는 `이눌린` `팔미틴` `세로친`등 특수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Hort. Berg. 4-2: 14 (190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9. No Image

    민둥체꽃

    학명 : Scabiosa tschiliensis f. zuikoensis (Nakai) W.T.Lee
    과명 : 산토끼꽃과(Dipsacaceae)
    속명 : 체꽃속(Scabiosa)
    이명 : 민둥솔체꽃 민들체꽃 서홍체꽃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경생엽은 대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큰 톱니가 있으며 위로 올라가면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길이 9cm 폭 3cm이며 포엽은 선형이고 밋밋하다. 엽병은 날개가 있으며 밑부분이 다소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하늘색으로서 두상화서에 달리고 외총포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양면에 털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꽃이 필 때는 길이 5mm정도이다. 가장자리의 꽃은 길이 13mm정도이고 겉에 털이 밀생하며 5개로 갈라지고 바깥열편이 가장 크며 중앙부의 꽃은 통상화로서 4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0-90cm이고 퍼진 털과 꼬부라진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유사종 : ▶솔체꽃 : 기본종 ▶체꽃 (for. pinnata NAK.) : 잎이 우상으로 갈라진다. ▶구름체꽃 (for. alpina NAK.) : 꽃이 필 때 근생엽이 있고 꽃받침의 자침(刺針)이 다소 길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민둥아까시나무

    학명 : Robinia pseudoacacia var. umbraculi-fera DC.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아까시나무속(Robinia)
    이명 : 구와아까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소엽은 9-19개로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2.5-4.5cm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나 어릴 때 뒷면에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이 피지 않는다.
    열매 : 열매는 넓은 선형의 협과로 길이 5-10cm로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9월에 익는데 5-1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길이 5m의 편평한 신장형이고 흑갈색이다.
    줄기 : 소지는 털이 거의 없고 가시도 없으며 수피는 황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진다. 수관이 둥글다.

    분포 : 전국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아까시나무(R. pseudo-acacia L.): 가지에는 가시가 있고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핀다. 향기가 강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기판은 뒤로 젖혀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1. No Image

    민둥빕새귀리

    학명 : Bromus tectorum var. glabratus Spenner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귀리속(Bromus)

    잎 : 잎은 어긋나고 양면에 털이 있다. 길이 3~12cm 나비 2~4mm이다. 엽초는 원통형으로 밑을 향한 털이 밀생하며 절간보다 길다. 엽설은 흰색이고 막질이다. 높이 1~2mm이고 끝이 갈라진다.
    꽃 : 꽃은 5~7월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화서 길이는 6~18cm이고 끝이 늘어진다. 각 마디에 2~5개의 가지가 생기고 가지마다 소수는 2~4개이다. 소수 길이는 1.8~2.2cm으로 좁은 타원형이며 소화는 5~8개이다. 제1포영 길이는 4~6mm으로 1맥이고 제2포영 길이는 8~9mm으로 3맥이다. 호영 길이 는 10~12mm으로 7맥이다. 끝 톱니는 2개 톱니 사이에 1.2~1.4cm의 긴 까락이 있다. 내영 길이는 8~10mm이고 용골부에
    열매 : 열매는 영과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모여난다.

    분포 :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일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2. No Image

    민둥갈퀴

    학명 : Galium kinuta Nakai & Hara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민둥갈퀴덩굴 민둥갈키 민둥갈키덩굴
    잎 : 잎은 4장씩 윤생하며 그 중 2개는 정상엽이고 2개는 탁엽이며 좁은 난형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3(5)맥이 있으며 윗부분이 차차 좁아져 뾰족해지고 길이 3-5cm 나비 1-2cm로서 표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짧은 강모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는 원줄기 끝에 모여 달려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되며 소화경이 있고 화관은 4개로 갈라지며 지름 4mm이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붙어 있고 반구형이며 평활하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밑에서 가지가 갈리지지 않으며 네모가 지고 평활하며 다소 자주색을 띤다.
    뿌리 : 뿌리는 황적색이고 옆으로 자람.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열매에 갈고리 같은 털이 없으며 전체가 평활하기 때문에 민둥갈퀴라로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9 : 518 (19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민대팻집나무

    학명 : Ilex macropoda f. pseudomacropoda (Loes.) H. Hara
    과명 :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속명 : 감탕나무속(Ilex)
    이명 : 청대패집나무 청대팻집나무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하고 얇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10cm 나비 3-4.5cm이다. 잎의 뒷면에는 털이 전혀 없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측맥은 6-8쌍으로서 뒷면에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2cm 가량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암꽃은 짧은 가지 위에 몇송이씩 모여 붙지만 수꽃은 다수의 송이가 모여붙는다. 수꽃에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이 4개씩 있고 암꽃은 4-5개의 작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자방은 난상 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육질이고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지름 7~8mm이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가지는 짧고 소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지리산 조계산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유사종 : ▶대팻집나무(l. macropoda Miq.): 잎은 길이 3-10㎝ 나비 3.0-4.5㎝의 타원형으로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특징 : 목재가 치밀하고 무거우며 건조 후에도 갈라지지 않아 대팻집을 만드는데 이에 연유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4. No Image

    민눈양지꽃

    학명 : Potentilla yokusaina Makino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섬양지꽃 큰세잎양지꽃
    잎 : 근생엽은 총생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출복엽이고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사각상 난형이고 길이 1.5-4cm 폭1.2-3cm로서 가장자리에 깊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과 더불어 백색 복모가 있고 탁엽은 막질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0-20cm로서 2-3개로 갈라져 짧은 소화경 끝에 꽃이 1개씩 달리며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15-20mm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부악편도 5개로서 이와 비슷하지만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꽃잎은 5개이며 넓은 도심장형이고 끝이 파지며 꽃받침보다 1.5배정도 길고 수평으로 퍼지며 화탁 주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암술대는 길이 2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줄기는 가늘며 포복지가 길게 뻗고 전체에 긴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4 : 142 (191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민나자스말

    학명 : Najas marina L.
    과명 : 나자스말과(Najadaceae)
    속명 : 나스말속(Najas)
    이명 : 가시말 큰마디말
    잎 : 잎은 대생하고 선형이며 길이 3.5-.5.5㎝ 나비 2-3㎜로서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와 가시가 있고 엽초는 길이 3mm정도로 소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9월에 피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고 화경이 없다. 수꽃은 막질의 포에 싸이며 1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3-4mm이며 암꽃은 나출되고 1개의 암술이 있으며 2-3개의 암술머리는 실같이 가늘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4-6mm로서 표면에 있는 그물같은 눈이 뚜렷치 않다. 종자도 형태가 비슷하며 표면에 오목한 점이 있다.
    줄기 : 녹색이며 가지가 갈라지고 가시가 산생하며 지면과 닿는 곳에 수염뿌리가 돋는다.

    분포 : 중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수초.
    유사종 : ▶나자스말: 전체가 황록색 황갈색 줄기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가장자리에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잔톱니가 있으며 엽초는 짧고 상단이 귓볼 모양으로 늘어진다.
    특징 : 전세계에 1속 35종 우리 나라에는 3종이 분포한다. 물 속에 잠기는 수초로 담수나 염수에 서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Read More
  16. No Image

    민나도국수나무

    학명 : Neillia uyekii f. papilosa (Nakai) W.T.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이명 : 민둥나도국수나무민조팝나무아재비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점첨두 아심장저로 길이 5-8cm 폭 2-4cm이며 가장자리는 결각상으로 얕게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전혀 없으며 뒷면은 엽맥이외에는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없는 것과 잔털이 있는 것이 있다.
    꽃 : 꽃은 가지 끝에 10-25개가 길이 4-9cm의 총상화서를 이루며 꽃자루와 밀모가 있고 화관은 지름 5-6mm이며 꽃받침통에 선모가 있고 꽃잎은 백색이고 5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골돌과로 난형이고 선모가 밀생하며 윗부분에 꽃받침잎이 남아 있다. 한 열매에 약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수피는 황갈색인데 오래 되면 벗겨지며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북한에 자생한다.(평안북도 영변 창성)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나도국수나무(N. uyekii Nakai): 전국에 걸쳐 자라며 잎 표면에는 털이 약간 있다.
    특징 : 5월에 피는 황백색 꽃은 귀엽고 맹아력이 강하다. 나도국수나무에 비해 잎의 표면에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482 (1996)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7. No Image

    민꾸지나무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f. lucida (Hatus.) T.B.Lee
    과명 : 뽕나무과(Moraceae)
    속명 : 닥나무속(Broussonetia)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러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거칠며 윤채가 돈다. 뒷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700m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성 활엽 교목(보통 관목상태)
    유사종 : ▶마주잎꾸지나무(for.oppositifolia): 잎이 대생한다. ▶꾸지나무(B. papyrifera Vent.):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인데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3-4개로 갈라진 결각상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 Pl. Kor. 256 (1966)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8. No Image

    민꽃다지

    학명 : Draba nemorosa f. leiocarpa (Lindb.) Kitag.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꽃다지속(Draba)
    이명 : 개꽃다지
    잎 : 근생엽은 모여나고 엽병이 없으며 잎이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4cm 폭 8-15mm로서 톱니가 약간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1-3cm 폭 8-15mm로서 둔두 예저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황색으로 4~6월에 피며 총상화서로서 원줄기의 가지 끝에 정생(頂生)한다.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꽃잎은 4개이고 넓은 주걱형이며 길이 3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4조각이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5mm정도이다. 6개의 수술중 4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짧은 각과(角果)로서 편평하며 장타원형이고 길이 5-8mm 폭 2mm로서 털이 없다. 종자를 정력자라고 한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를 치고 하부에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성상모(星狀毛)가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꽃다지(D. nemorosa var. hebecarpa Lindbl.): 긴 타원형의 열매는 전체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40: 139 (196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9. No Image

    민꼭두서니

    학명 : Rubia chinensis var. glabrescens (Nakai) Kitag.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꼭두서니속(Rubia)
    이명 : 꼭두서니민꼭두선이 민큰꼭두서니 민큰꼭두선이 쇠꼭두서니 쇠꼭두선이 큰꼭두서니큰꼭두선이
    잎 : 잎은 어긋나고 좌우가 같지 않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갈라진다. 톱니는 있는 것도 있으며 대개 턱잎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짬과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이 있다. 화관은 지름이 3~5mm이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 : 과실은 장과로 구형이고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가시가 없다.
    뿌리 : 근경은 가늘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 Fl. Mansg. 406 (1939)

    Read More
  20. No Image

    민긴잎갈퀴

    학명 : Galium boreale var. lanceolatum Nakai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민긴잎갈퀴 북꽃갈퀴 북녘갈퀴 북선갈퀴 북선꽃갈퀴
    잎 : 잎은 4개씩 윤생하며 피침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질이 두껍고 3맥이 뚜렷하며 길이 1-3.5cm 나비 2-10mm로서 표면 가장자리 근처와 마디에 짧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취산화서는 가지 끝에 모여서 산방상으로 되고 화경 및 소화경이 굵으며 마디부분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다. 자방에는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붙어 있으며 열매에 털이 거의 없다.
    줄기 : 높이 20-50cm이고 곧추 자라며 가지가 짧고 총생한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긴잎갈퀴 (var. vulgare TURCZ.) ▶털긴잎갈퀴 (var. koreanum NAK.):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넓은긴잎갈퀴 (var. latifolium TURCZ.): 잎이 보다 넓다.
    특징 : 긴잎갈퀴와 닮았으나 열매에 털이 거의 없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5 : 340 (19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