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버들바늘꽃

    학명 : Epilobium palustre L. var. palustre
    과명 : 바늘꽃과(Onagraceae)
    속명 : 바늘꽃속 (Epilobium)
    이명 : 구름바늘꽃 좀버들바늘꽃
    잎 : 중앙부의 경생엽은 선상 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 또는 둔저이며 길이 2-6cm 폭 2-15mm로서 표면과 뒷면 맥위 및 가장자리에 굽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줄기나 가지끝 엽액에서 핀다. 소화경에 굽은 털이 밀생하며 꽃받침은 길이 4-5mm로 4개의 피침상의 열편이 있다. 꽃잎도 4개이며 길이 5-8mm로서 도란형이고 끝이 오목하다. 자방은 굽은 털이 밀생하며 선모가 약간 있고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굵은 곤봉형이다.
    열매 : 삭과는 원주형이고 길이 5.5-8cm로서 특히 능선 위에 굽은 털이 있으며 소과경은 길이 1-2.5mm이고 종자는 도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길이 1.5-2.7mm로 되며 겉에 유두상 돌기가 있고 관모는 거의 백색이다.
    줄기 : 높이 10-6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능선이 없고 윗부분에 굽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때로는 길게 벋으며 윗부분에서 실같은 포복지가 발달하여 지하 또는 지상으로 길게 뻗고 비늘같은 잎이 대생하며 끝에서 타원형의 동아가 생겨 땅속에서 월동한다.
    분포 : ▶원종은 아시아 유럽 북미의 한·온대에 분포한다. ▶북부지방 특히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바늘꽃: 높이 30-80cm.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린다. ▶한라바늘꽃: 줄기와 잎에 구부러진 털만 있거나 윗부분에 선모가 있고 자방과 꽃자루에 구부러진 털과 선모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뱀고사리

    학명 : Athyrium yokoscense (Franch. & Sav.) H.Christ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이명 : 새고비 풀고비
    잎 : 엽병은 길이 15~40cm로서 엽신보다 짧거나 거의 비슷하고 인편은 기부에 많으며 위로 갈수록 적고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으며 갈색 또는 흑색이고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이다. 엽신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20~40cm 폭10~15cm로서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전열된다. 우편은 피침형이고 긴 예첨두로서 폭 2~5mm이며 밑부분에는 성글게 달리고 우축에 좁은 날개가 있다. 소우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과 가장자리의 중간부에 달리며 포막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거나 갈고리처럼 굽고 길이 약 1m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많은 잎이 끝에서 총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4:668 (18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3. No Image

    백합

    학명 : Lilium longiflorum Thunb.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이명 : 나팔나리 백향나리 왕나리
    잎 :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길이 10-18㎝ 폭 5-15㎜이고 털은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줄기끝에 2-3개 옆을 향해 벌어지고 통부는 길며 나팔처럼 벌어지고 향기가 있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12-16㎝로서 반점이 없고 백색이며 외화피 뒷면은 중륵이 튀어나오고 다소 녹색이 돌며 안쪽 밑부분에 짧은 털이 있고 윗부분이 약간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보다 짧으며 꽃밥은 황색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6-9㎝로서 긴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30-100cm이며 평활하다.
    뿌리 : 인경은 편구형이고 지름 5-6㎝이며 인편은 환절이 없고 연황색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ans. Linn. Soc. 2 : 333 (179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백정화

    학명 : Serissa japonica (Thunb.) Thunb.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백정화속(Serissa)
    이명 : 두메별꽃 백마골 백정꽃
    잎 : 잎은 대생하며 좁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cm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붙으며 탁엽이 자모(刺毛)같이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자색으로서 엽액에 달리며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백색 털이 있고 열편은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며 화관 통부에 붙어 있고 암술보다 긴 것과 짧은 것 두 종류가 있다. 원예품종에는 겹꽃과 많첩인 것 또는 잎에 반문(斑紋)이 있는 것 등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진다.

    분포 : 남부 지방에 식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특징 : 白丁花란 꽃모양을 따라 붙여진 이름이며 만천성(滿天星)이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va Gen. Pl. 9 : 132 (179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백일홍

    학명 : Zinnia violacea Cav.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백일홍속(Zinnia)
    이명 : 백일초
    잎 :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털이 나서 거칠다.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장 모양이다.
    꽃 : 꽃은 6∼10월에 피고 두화는 긴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은 지름 5∼15cm이고 빛깔은 녹색과 하늘색을 제외한 여러 가지이다. 총포조각은 둥글고 끝이 둔하며 윗가장자리가 검은색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9월에 익는다. 씨를 심어 번식한다.


    분포 : 멕시코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 1: 57, pl. 81 (17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백운풀

    학명 : Hedyotis diffusa Willd.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수염치자풀속(Hedyotis)
    이명 : 긴잎치자풀 두잎갈퀴 실낚시돌풀 쌍낚시풀 치자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지만 거칠거칠하며 길이 1~3.5cm 폭 1.5~3mm로서 주맥만이 나타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2mm정도로서 백색이거나 다소 붉은빛이 돌며 엽액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0-3mm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5mm정도로서 뾰족하고 화관은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지름 5mm정도로서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으며 끝에 꽃받침열편이 남아 있고 종자에 능각이 있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거나 곧추선다.

    분포 : 전라 남도 백운산록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긴잎백운풀 (var.longipes Nak.): 소화경이 열매보다 2-4배 길다.
    특징 : 백운산 밑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백운풀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1 : 566 (1797)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7. No Image

    백운취

    학명 : Saussurea insularis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잎 : 줄기 아래의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9~10cm 나비 6~9cm로서 끝은 짧은 미상이 되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나 양끝이 화살처럼 약간 뾰족하게 퍼지기도 한다. 가장자리에는 끝이 뾰족한 톱니가 불규칙하다. 위 면에는 짧고 거친 털이 약간 있고 아래 면은 백회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으나 자라면서 드문드문 떨어져나가 가을에는 거의 없어진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며 아래 면에 백회색 거미줄 털이 많다.
    꽃 : 5~6월경 줄기가 갈라져서 끝에 두화가 생겨 성긴 산방화서를 이룬다. 총포는 길이 9~11mm 나비 6~8mm의 원통형으로 백회색 거미줄 털이 엉켜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기도 한다. 포편은 밀착해서 7열을 이루는데 외편은 길이 2mm의 끝이 뾰족한 정삼각형에 가깝고 중편 내편으로 갈수록 길어져서 내편은 선형이 된다. 9월~10월초에 걸쳐서 길이 9~11mm 전후의 옅은 홍자색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6mm의 수과로 두 줄의 우모상 관모가 있다.



    형태 : 근엽이 있으나 꽃필 즈음 말라 없어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8. No Image

    백운쇠물푸레

    학명 : Fraxinus sieboldiana var. quadrijuga (Nakai) T.B.Le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물푸레나무속(Fraxinus)
    이명 : 백운물푸래
    잎 : 잎은 대생하고 7-9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털이 없고 엽병은 길이 1-2cm이며 밑부분이 검은빛이 돌고 넓다. 정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지면서 소엽병으로 끝나며 길이 17-42mm 폭 8-28mm로서 윗부분에 낮은 톱니가 약간 있다. 측소엽은 엽병이 없고 난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7-48mm 폭 4-21mm로서 중앙 이상에 낮은 톱니가 있다.


    줄기 : 가지가 가늘고 수피는 회록색 또는 회갈색이며 어릴 때 잔털이 있고 동아는 난형이며 흑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털이 없다.

    분포 : 백운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소교목

    특징 : ▶극히 드물게 나타난다. ▶쇠물푸레에 비해 소엽이 많은 것이 특색이지만 쇠물푸레에도 소엽이 9개 달리는 것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kor. 615, f. 2458 (1980)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9. No Image

    백운배나무

    학명 : Pyrus ussuriensis var. hakunensis (Nakai) T.B.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잎 :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원형이거나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길이 4∼8cm이다. 잎맥 위에 복모가 나고 잎자루에 갈색 털이 나며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3cm 정도이다. 소화경은 길이 15~20mm로 꽃받침과 더불어 갈색 털이 밀생한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다.
    열매 : 열매는 거의 둥글고 지름 3∼4cm로 10월에 익으며 향기가 있고 맛이 좋다.
    줄기 : 가지가 퍼지고 2∼3년 묵은 가지는 검은 갈색이며 새가지에 갈색 털이 난다.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고 털이 없다.

    분포 : 백운산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kor. 461 (1980)

    Read More
  10. No Image

    백운란

    학명 : Vexillabium yakushimensis (Yamam.) F.Maek.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백운란속(Vexillabium)
    이명 : 백운난초 백운란초 백운산난초
    잎 : 잎은 2-4개이고 난상 원형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길이 3-7mm 나비 2.5-7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다. 엽병은 길이 3-6m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5-12㎝로서 밑에 2개의 포가 있으며 윗부분에 털이 약간 있고 수상화서는 길이 1-3㎝로서 7월경에 1-4개의 백색꽃이 달린다. 포는 피침형이며 길이 4-5m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으며 자방은 길이 5mm로서 5맥이 있다. 꽃받침통은 중앙에서 갈라지고 열편에 희미한 점과 약간의 잔털이 있으며 중앙열편에 꽃잎이 붙는다. 순판은 길이와 나비가 각 4.5mm로서 끝이 다소 파지고 밑으로 갈수록 갑자기 좁아지며

    줄기 : 근경이 길게 뻗는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전남 백운산 백양산 내장산 제주도 울릉도 등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기본종은 각 부분이 보다 크고 순판이 깊게 파진다.
    특징 : 한국과 일본에 3종이 분포하는 아주 희귀하고 작으며 잘 알려지지 않은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1:459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1. No Image

    백운기름나물

    학명 : Peucedanum hakuunense Nakai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기름나물속(Peucedanum)

    잎 : 근생엽은 3회 3출복엽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길이 10~18.6cm이며 엽병은 밑부분이 넓어져 원줄기를 감싸고 열편은 넓은 삼각형이며 2회우상 비슷하게 갈라져서 폭 1-2mm의 최종열편으로 된다. 경생엽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총포엽은 없다.
    꽃 : 꽃은 흰색으로 복산형화서로 달리며 소산경은 15~30개이고 길이 15-28mm로서 털같은 돌기가 있으며 소산화서는 폭 7-13mm이고 소총포엽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많으며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고 소화경은 길이 2-5mm로서 털같은 돌기가 있다. 자방은 털같은 잔돌기가 있으며 꽃받침열편은 길이 0.5-0.7mm이고 꽃잎은 백색이며 수술은 꽃잎보다 길고 자주색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납작한 타원형이며 길이 4mm 폭 2.5mm로서 흑색이고 뒷면에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흰색의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40-60cm이고 원줄기는 녹색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깊게 들어가며 선단에 마른 엽병 흔적으로 덮여 있다.
    분포 : 백운산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름나물(P. elegans): 줄기는 털이 없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며 3회 깃꼴겹잎이다. ▶기름나물(P. terebinthaceum): 흔히 홍자색이 돈다. 잎은 2회 3출엽 잎자루는 길고 넓은 난형이다. ▶산기름나물(P. deltoideum): 작은잎이 기름나물에 비해 넓다. ▶두메기름나물(P. coreanum): 원줄기는 자줏빛 근생엽은 3출겹잎 갈래는 넓은 난형 다시 얕게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Read More
  12. No Image

    백양꽃

    학명 :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Nakai) T.Koyama
    과명 : 수선화과(Amaryllidaceae)
    속명 : 상사화속(Lycoris)
    이명 : 가을가재무릇 가재무릇

    꽃 : 꽃대가 9월에 올라와 적갈색의 꽃을 피움


    뿌리 : 인경이 난형이며 길이 30-37mm 지름27-35mm
    분포 :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의 산지의 계곡부에 드물게 분포
    형태 : 다년초로서 인경이 난형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aileya 7: 6 (1959)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3. No Image

    백송

    학명 : Pinus bungeana Zucc. ex Endl.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소나무속(Pinus)
    이명 : 흰소나무
    잎 : 잎은 3개씩 속생하며 길이 5-10cm 폭 1.8mm로서 굳고 곧으며 녹색을 띤다. 아린이 빨리 떨어지고 횡단면 위의 수지구는 외위(外位)로서 5개이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꽃은 5월에 개화한다.
    열매 : 구과는 난형이고 길이 6cm 폭 4.5cm로서 50-60개의 실편으로 구성되고 실편은 갈색이 돌며 옆으로 주름이 발달하고 중앙부의 돌기는 길이 3mm쯤 되는데 그 끝이 예리하지 않으며 약간 아래로 향한다. 성숙하면 실편은 갈색으로 되고 종자는 스스로 떨어져 나가지만 구과는 가지 위에 남는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9-12mm 폭 7.5-9mm로서 흑갈색이지만 표면에 담갈색의 반점을 가지는 것이 많고 뒷면은 대개 연한 갈색 바탕에 반점이 있고 탈락하기
    줄기 : 높이 15m 지름 1.7m에 달하며 수피는 밋밋하고 큰비늘처럼 벗겨져 회백색을 나타내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한다. 어릴 때에는 줄기의 색깔이 연한 녹색을 띠나 수령이 많아짐에 따라 회백색으로 변하고 표면이 평활하고 플라타너스의 수피처럼 얼룩을 만들면서 얇게 수피가 떨어져 나간다. 큰 가지가 나오며 수관이 둥글게 발달한다.

    분포 : 표고 500-1 000m 지대에 분포하나 곳에 따라서는 많이 심어져 있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600여년 전에 외교사절단에 의하여 우리나라에 들여왔다. ▶백송은 중국 북부지방에 나는 그곳 특산 수종으로 산서(山西) 호북(湖北) 하남(河南)서부 협서(狹西) 감숙(甘肅)남부 사천(四川)북부에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밀양 예산 보은 평양 등 각처에 있는 큰 나무는 대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껍질이 벗겨지면서 백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백송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잎은 3개씩 속생하여 다른 소나무와 쉽게 구별되며 또한 다른 소나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Conif. 166 (184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백설취

    학명 : Saussurea rectinervis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눈분취 백설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10~20cm 폭 3~11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굽은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10쌍 정도의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얕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작고 엽병이 없으며 선형으로서 원줄기로 흐르지 않는다.
    꽃 : 두화는 적고 지름 18mm 정도로서 총상으로 달리며 길이 2cm 정도의 화경이 있다. 총포는 길이 15mm 지름 2cm로서 윗부분에 자줏빛이 돌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넓은 난형이고 중편은 긴 타원형이며 외편과 더불어 둔두이고 끝이 다소 갈라지며 내편은 선형 예두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1mm 정도이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 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14-3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고 짧은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백설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5. No Image

    백서향

    학명 : Daphne kiusiana Miq.
    과명 :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속명 : 팥꽃나무속(Daphne)
    이명 : 개서향나무 개후초 백서향나무 흰서향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예두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5-8cm 너비 1.2-3.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이 좁아져 짧은 엽병과 연속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3-4월에 피고 백색이며 전년지 끝에 모여 달리고 포는 넓은 피침형이며 화경은 길이 2mm정도로서 백색의 잔털이 있고 꽃받침통은 길이 7-8mm로서 잔털이 있으며 열편은 4개이고 길이 3mm정도이며 겉에 털이 있다. 자방은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암술대에 털이 없고 암술머리는 두상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난상 구형이고 주홍색이며 길이 8mm정도이고 5-6월에 익으면 독이 있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고 청감색으로 가지가 많이나와 피복형의 수형을 이룬다.

    분포 : 경남 거제도와 전남 흑산도 제주도의 표고 50-1 300m인 해변가 산록에서 자란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Lugduno-Batavi 3: 134 (1867)

    Read More
  16. No Image

    백산새풀

    학명 : Calamagrostis angustifolia Kom.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이명 : 백두산돌피 백두산새풀
    잎 : 잎은 선형으로 길이 30cm 나비 2~5mm이고 양쪽 맥 위에 잔돌기가 있으며 엽설은 길이 1~3mm로서 막질이고 엽초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cm 이상이고 가지에 잔 돌기가 있으며 길이 3~3.2mm의 좁은 피침형인 소수가 밀착한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길이 3mm 이하이며 자줏빛이 돌고 제1포영은 1맥 제2포영은 3맥이다. 호영은 길이 3mm로서 자줏빛이 돌고 5맥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뒷면 중앙에서 까락이 나며 기반의 털이 호영보다 짧다. 내영은 길이 1.8mm로 3맥이고 자주색이다.

    줄기 : 줄기는 모여나며 마디는 6~7개이다.
    뿌리 : 근경은 포복한다.
    분포 : 함북(백두산 지역)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ter. Gerb. Glavn. Bot. Sada SSSR 6 : 192 (192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백산버들

    학명 : Salix xerophila var. fuscescens (Nakai) W.T.Lee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잎 : 잎 뒷면에 갈색 미모(微毛)가 있고 잎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3-10cm 폭 4cm로서 첨두에 예저이고 톱니가 있거나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흰빛이 돌고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 4월에 핀다. 화수(花穗)는 잎보다 먼저 전년지(前年枝)에서 액생하고 털이 있는 화축 기부에 2-3개의 소엽이 달린다. 웅화수(雄花穗)는 길이 2-3cm이며 포는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있고 수술은 2개 밀선은 1개이다. 자화수(雌花穗)는 길이 1-2cm이며 포는 긴 타원형이고 밀선은 1-2개이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밀모가 있고 짧은 암술대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수(果穗)는 길이 3-7cm이고 열매는 길이 4-8mm로서 털이 있으며 6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5-10cm이며 소지는 녹색이고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분포 : 평남 소백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백부자

    학명 : Aconitum koreanum R.Raymund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초오속(Aconitum)
    이명 : 노랑돌쩌귀 노랑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10cm에 이르는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거의 없어지며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裂片)이 다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황색 또는 황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줄기상부 또는 그 부근의 엽액에서 7-8개가 총상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0.5-4mm로 짧으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중부에 선상포엽이 2개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뒤쪽의 것은 고깔같으며 앞이마쪽이 나와 있고 옆의 것은 거의 둥글며 옆으로 서고 밑부분의 2개는 비스듬히 밑으로 퍼진다. 꽃잎은 2개로서 길게 자라 뒤쪽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3개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며 길이 1-2cm이고 털이 없으며 끝에 암술대가 달려 있어 뾰족하다. 종자는 세모진 타원형이며 매끄럽고 길이 4mm 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서며 화서 이외에는 털이 없다.
    뿌리 : 마늘쪽같은 뿌리가 2개 간혹 3개씩 발달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백부자(노랑돌쩌귀) : 약 200종이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지역에 자라며 모두가 유독식물이다. 우리나라에는 약 40종류가 자생하는데 종속지적 지견이 정설적이 아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venyt. Kozlem. 5: 20 (190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백미꽃

    학명 : Cynanchum atratum Bunge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이명 : 백미 아마존 털개백미 털백미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6-15cm 폭 3-10cm로서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8-12mm이고 후질(厚質)이다.
    꽃 : 꽃은 흑자색으로 5-7월에 피며 화병이 있고 꼭대기 엽액마다 모여 달리고 화경(花梗)이 거의 없으며 소화경(小花梗)은 산형(傘形)으로 달리고 꽃보다 짧다. 꽃받침은 녹색으로서 5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피침형이며 화관통보다 짧고 화관은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안쪽은 짙은 자주색으로서 털이 없고 끝에서부터 1/2-2/3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둔두이다. 부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원두이
    열매 : 골돌과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8cm 지름 1.5cm로서 잔털이 밀생하고 종자에 긴 백색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전체에 털이 밀포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 : 뿌리와 근경을 백미(白薇)라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민백미꽃(C. ascyrifolium Matsumura): 흰색꽃이 핀다. ▶흑박주가리(C. nipponicum) ▶푸른백미꽃(for. viridescens OHWI): 꽃에 녹색이 돈다.
    특징 : 세계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약 10종이 분포한다. 식물체에 흰색의 유액이 들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Chin. Bor. 45 (Bunge, 18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백목련

    학명 : Magnolia denudata Desr.
    과명 : 목련과(Magnoliaceae)
    속명 : 목련속(Magnolia)
    이명 : 흰가지꽃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10~15cm 폭 3~7cm로서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두이지만 뾰족해지고 예저이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광택이 있는 연녹색이며 엽맥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양성화이며 이른 봄(4-5월) 가지 끝에서 큰 백색 꽃이 피고 꽃은 지름 12-15㎝로서 향기가 짙다. 다른 목련류처럼 꽃잎이 6장이나 바깥 꽃받침 3장이 흡사 꽃잎 같아 9장으로 보인다. 꽃잎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며 도란형에 가깝고 약간 육질이다. 화아는 대형으로 때로는 4㎝까지 되는 것도 있으며 긴 황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홍갈색 골돌로서 길이 8-12cm이고 원주형이며 갈색이 돈다. 9-10월에 익고 화탁이 길게 발달한 집과이다. 종피가 갈라지고 붉은 종자가 흰실에 매달린다.
    줄기 : 줄기는 곧고 높이가 15m에 달하며 어린가지와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식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자주목련(var.purpurascens Rehder et Wilson): 백목련과 비슷하나 꽃잎의 겉이 연한 홍자색이고 안쪽이 백색이다. ▶백자목련(var.purpurascens Rehd. et Wils): 꽃잎의 내면은 흰색이고 외면은 담홍자색이며 남부지방에서 관상수로 심고 있는데 중국 중부지방이 원산이다.
    특징 : 이른 봄 잎이 나오기 전에 피는 커다란 흰색 꽃은 청초한 느낌을 주며 4월의 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Lamarck) 3: 675 (Lamarck, 179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