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솜방망이
학명 :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솜방망이속(Tephroseris)
이명 : 구설초들솜쟁이 산방망이소곰쟁이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퍼지고 개화기까지 남아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cm 나비 1.5~2.5cm로서 끝은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잔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많은 솜털로 덮여 있기 때문에 솜방망이라고 한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기부의 잎은 도피침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7-11cm 나비 1-1.5cm로서 반 정도 원줄기를 얼싸 안으며 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4cm로서 3-9개가 산방상 또는 산형 비슷하게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백색 털로 덮여 있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8mm 폭 11mm이며 포린은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는데 길이가 12-16mm 폭은 2~3mm로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가 2.5mm이며 원통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관모는 길이 11mm로 설백색이 난다.
줄기 : 높이 20~65cm이며 곧게 자라고 원줄기는 화경상花莖狀으소서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며 자줏빛이 돈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산솜방망이(Senecio flammeus Turez.) ▶쑥방망이(S. argunensis Turez.)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olia Geobot. Phytotax. 12: 429 (19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솜대
학명 :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ean) Stapf ex Rendl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왕대속(Phyllostachys)
이명 : 담죽 분검정대 분죽
잎 : 잎은 피침형이며 1-5(보통2-3개)개씩 달리고 길이 6-10cm 폭 10-15mm로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잔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중륵을 따라 잔털이 있는 것이 있고 견모(肩毛)는 5개 내외로서 점차 떨어진다.
꽃 : 약 60년을 주기로 개화 결실 후 고사한다. 화서를 둘러싼 포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2-5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2m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3개이다. 자방은 긴 난형이며 암술머리가 3개이고 죽순은 4-5월에 나오며 연한 적갈색이다.
열매 : 남색의 둥근 장과로서 지름 5~7mm이며 붉게 익는다.
줄기 : 높이 10m이상 지름 5-8cm이고 처음에는 백분으로 덮여 있지만 황록색으로 된다. 마디가 있고 내공으로 단통형이며 표면은 윤기가 있다.
뿌리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해안선을 따라 강원도 남부 및 충남 이남에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상록 목본
유사종 : ▶오죽 (P.nigra MUNRO) : 줄기가 검다. ▶반죽 (for.punctata NAK.) : 환경에 따라 색이 다르고 황색 줄기에 흑색반점이 있다. ▶관암죽(P.compressa UYEKI) : 잎이 3-7(보통5-6)개씩 달리며 가지 첫마디가 편압되고 초상엽에 잔털이 있으며 전북 위봉산록에서 재배한다.
특징 : 오죽과 달리 줄기는 연한 녹색이서 연한 황색으로 변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36 : 443 (190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솔새
학명 :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Willd.)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솔새속(Themeda)
이명 : 솔줄 솔풀
잎 : 잎은 근생엽과 경생엽의 두가지가 있으며 길이 30~50cm 폭 3~8mm로서 가장자리가 뒬 말리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밑부분에 긴 털이 있다. 특히 기부와 엽초 가장자리에는 털이 많다. 엽설은 길이 1~3mm로서 막질이고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8울에 피며 화서는 길이 20~40cm로서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 ㄴ수상화서가 연속되어 원추형으로 되고 각 화수(花穗)에 포가 있다. 각 소수(小穗)는 윤상으로 배열된 4개의 수꽃 중에 1개의 암꽃이 있으며 밑에는 속모가 있다. 포영은 백색이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으며 앞쪽에서 길이 3.5-7cm의 흑색 까락이 나온다. 수꽃은 길이 1cm정도로서 까락이 없고 포영은 적색이며 외영 위쪽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70-100cm이고 뿌리에서 많은 잎과 화경(花莖)이 총생한다.
분포 :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213 (19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솔비녀골풀
학명 : Juncus ounsanensis T.H.Chung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꽃 : 꽃은 취산화서에 달리고 포는 잎처럼 생기며 꽃이삭보다 길다. 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 4mm 정도이며 수술은 3개로서 화피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 3mm 정도이며 3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밑에서 줄 모양의 잎이 모여난다.
분포 : 한국 원산 근처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Nakai, 2 Parts; Part 1, 8 Feb 1909; Part 2, 28 Dec 1911)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솔비나무
학명 : Maackia fauriei (H.Lev.) Takeda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다릅나무속(Maackia)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9-17(보통13개이상)개이고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6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둔하며 처음에는 면모가 있으나 성숙함에 따라 없어지고 소엽병은 길이 5mm정도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밀생하여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4mm정도로서 화서축과 더불어 갈색 복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갈색 복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편평한 긴 타원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3~7cm 나비 5-8mm로서 한쪽에 날개가 있다.
분포 : 제주도의 산 중턱 한라산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낙엽 소교목
유사종 : 다릅나무와 비슷하지만 소엽이 작고 많은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tes Roy. Bot. Card. Edinb. 8: 101 (191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솔방울고랭이
학명 : Scirpus karuizawensis Makino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이명 : 꽃방울골 나도고랭이 방울골 솔방울골
잎 : 기부에서 난 잎은 엽초만 있다. 화경(花莖)에 달린 잎은 편평하거나 안으로 약간 접어들며 폭 3-6mm로서 가장자리와 뒷면 및 중륵이 거칠다. 엽초는 헐겁게 둘러싸고 길이 3-10mm로서 끝이 수평하다.
꽃 : 7~9월에 개화한다. 분화서는 2-3개로서 2회 갈라지지만 옆에 달려있는 1개의 분화서는 5-10개의 소수군이 모여 달리며 갈라지지 않으나 정화수는 10-30개의 소수군이 달린다. 포는 1-3개로서 화경보다 길고 가지는 길이가 7cm에 달하며 소지는 2-10개씩 모여 달리고 대가 없으며 길이 5-7mm 지름 2.5-3mm로서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둔두이며 흑갈색이다. 인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2-2.5mm 폭 1-1.2mm로서
열매 : 수과는 돌기를 제외한 길이가 1mm정도로서 편평하게 세모진 도란형이다.
줄기 : 높이 80-150cm이며 둔하게 세모지고 5~7개의 마디가 있다.
뿌리 : 뿌리줄기가 짧다.
분포 : 주로 경기도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8 : 119 (190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솔나물
학명 : Galium verum var. asiaticum Nakai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큰솔나물
잎 : 잎은 길이 2-3cm 나비 1.5-3mm로서 선형이고 8-10개가 윤생하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2.5mm정도로서 4개로 갈라지며 황색이고 엽액과 원줄기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4개의 수술이 있다. 화서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타원형이며 2개씩 달리고 겉에 털이 없다.
줄기 : 길이가 70-100cm정도로 곧추 자라면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의 마디에 털이 있다.
뿌리 : 옆으로 뻗는 근경이 있고 마디마다 잔뿌리가 내린다.
분포 : 전국의 산야 양지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애기솔나물(G. pusillum Nakai):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백롬담 근처 풀밭에 걸쳐 자라는 다년초이다. 관상가치가 뛰어난 자생식물이다. ▶흰솔나물(Galium verum for. nikkoense Ohwi): 줄기 끝에서 흰색 꽃이 피고 향기가 좋다. ▶털솔나물 (var.trachycarpum DC.): 자방에 털이 있다. ▶흰털솔나물 (for.album Nak.): 연한 황색 꽃이 피고 자방에 털이 있다. ▶개솔나물 (for.int
특징 : 꽃에서 강한 향기가 나는 방향성 식물이다. 희랍 고명 galion은 gala(乳)유에서 유래된 말로서 치즈를 만들 때 젖을 엉키게 하기 위해 솔나물을 이용하였는데 속명 Galium은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5 : 344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손바닥난초
학명 : Gymnadenia conopsea (L.) R.A.Br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손바닥난초속(Gymnadenia)
이명 : 뿌리난초 손바닥난 손바닥란 손뿌리난초
잎 : 잎은 넓은 선형이고 길이 6-20cm 나비 1-4cm 정도로 끝이 뾰족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끝이 둔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화서는 길이 7-15㎝로서 꽃이 빽빽하게 달리며 포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꽃과 길이가 같다. 꽃받침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mm로서 퍼지며 2-3맥이 있고 꽃잎은 일그러진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짧다. 순편은 사각상 원형이며 길이 6-8mm로서 거의 비슷한 크기로 3개로 갈라지고 거(距)는가늘며 길이 15mm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0mm가량의 타원형으로 자루가 없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곧추 서며 가지를 치지 않고 털이 없다.
뿌리 : 뿌리의 일부분이 손바닥처럼 굵어지며 4-6개의 잎이 호생한다.
분포 : 한라산 백두산을 비롯한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제주도 자생식물체는 개체의 크기가 소형이고 백두산에 자생하는 개체는 상대적으로 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 Kew. ed. 2:5:191 (Aiton, 181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손바닥나비난초
학명 : Orchis aristata Fisch. ex Lindl.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난초속(Orchis)
잎 : 잎은 3~6개로 줄기에 호생하며 엽병은 없다. 엽신은 도란형 피침형 혹은 넓은선형(길이 7~15cm 너비 17~30mm)이며 밑부분은 좁아져서 엽초와 연결되고 끝은 뭉툭하며 잎 앞면에는 자색의 반점이 있다.
꽃 : 6월~8월에 줄기끝에서 총상화서(길이 4~10cm)를 이루고 10여개의 붉은자색 꽃이 성글게 핀다. 포엽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은 뾰족하다. 길이는 꽃의 길이와 비슷하다. 외화피편은 피침형 (길이 8~13mm)이며 끝은 날카롭게 뾰족하고 3개의 줄이 있다. 외화피의 윗 화피편은 곧추 서고 측 화피편은 옆으로 벌어진다. 내화피편은 좁은 난형이며 날카롭게 뾰족하고 외화피편보다 좀 짧으며 2개의 줄이 있다. 순판은 도란상 삼각형이며 외화피편보다 좀 길며 안쪽에
열매 : 삭과는 7~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한대씩 나와 곧추 자라는데 세로로 능각이 있으며 밑부분에는 몇 개의 엽초 모양의 비늘 소엽이 있고 윗부분에는 가늘고 긴 엽초 모양의 잎이 있다.
뿌리 : 2~3갈래로 갈라진 1~2개의 뿔모양 구근과 여러 개의 뿌리가 있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러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 sp. orchid. pl. 262 (183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손고비
학명 : Colysis elliptica (Thunb.) Ching
과명 : 고란초과(Polypodiaceae)
속명 : 손고비속(Colysis)
이명 : 가지창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50㎝ 로서 볏짚색이고 밑부분에 일찍 떨어지는 인편이 약간 있다. 엽신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10-25㎝ 나비 10-20㎝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녹색이며 중축 윗부분에 좁은 날개가 있다. 우편은 2-6쌍이고 선상 피침형이지만 나엽의 것은 때로 피침형이며 길이 7-20㎝ 나비 8-2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은 좁아져 중축으로 흐름. 엽맥은 양면에 있어서 모두 뚜렷하지 않고 포자낭이
열매 : 포자낭군은 선형이고 우편의 중륵과 가장자리 중앙에 달리며 기이 5-15mm이고 포막은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돋는다.
분포 : 제주도의 섭섬 및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Fan. Mem. Inst. Biol. 4:333 (19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속털개밀
학명 :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개밀속(Agropyron)
이명 : 털개밀
잎 : 잎은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15-25cm 폭 4-10mm로서 앞뒷면에 털이 없으며 변두리는 껄껄하다. 엽초는 변두리에 털이 다소 있다. 엽설은 막질로서 길이 1mm이이며 절두로서 갈색이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10-20cm로서 끝이 처지고 연한 녹색이다. 소수(小穗)는 곧게 서며 5-8개의 소화로 되고 대가 거의 없으며 길이 10-15mm이다. 소수축은 짧은 털이 복생한다. 포영은 긴 타원형이고 5-7맥이 있으며 길이 5-8mm로서 길이가 같지 않다. 호영은 길이 9mm로서 포영보다 길고 간혹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잔점과 5맥이 있고 끝에 길이 10-16mm의 까락이 있어 약간 젖혀지지만 마르면 뒤로 굽는다. 내영은
줄기 : 높이 30-90cm이며 곧게 서고 단생 또는 총생하며 털이 없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2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David. 1 : 341 (188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속속이풀
학명 : Rorippa palustris (Leyss.) Besser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개갓냉이속(Rorippa)
이명 : 속속냉이
잎 : 근생엽은 뭉쳐나 로제트형으로 되고 길이 7-15cm 폭 15-30mm로서 깊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과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6-17cm이다. 꼭대기열편이 가장 크며 난형이고 옆열편은 아래로 점차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이저로서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고 톱니가 있으며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지름 5mm가량의 십자화가 총상으로 달리고 화서는 길이 5-15cm이며 소화경은 길이 5-7mm로서 옆으로 퍼지거나 밑으로 약간 젖혀진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다. 꽃잎도 4개이며 주걱모양으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황색이며 4강웅예(4强雄蘂)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단각과는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원주형으로서 길이 4-6mm 폭 2-2.5mm이고 6-7월에 익는다. 소과경은 열매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암술대가 매우 짧다. 종자는 길이 0.5mm가량이고 난형이며 담갈색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많이 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반구의 난대와 온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특징 : 열매가 개갓냉이나 좀개갓냉이에 비해 보다 짧고 통통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27 (1820)
참고문헌 :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
No Image
속리싸리
학명 : Lespedeza tetralob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으로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밑은 뭉뚝하고 끝은 둥글거나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며 톱니는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단생 또는 복생하고 짙은 자색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서 거의 털이 있다.
분포 : 충북 속리산의 산기슭에 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풀싸리에 비해 줄기는 겨울철에 말라죽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속리기린초
학명 : Sedum zokuriense Nakai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돌나물속(Sedum)
이명 : 바위기린초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긴 타원상 도란형 또는 주걱형이고 밑으로 내려가면서 작아져서 비늘같은 잎으로 되며 끝이 둔하고 잎 상반부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엽병은 길이 2-3mm이다.
꽃 : 꽃은 황색이고 화서는 줄기 끝에 달리며 1~6개의 꽃이 피고 큰 것은 지름 10mm 정도로서 화경(花梗)이 없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또는 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mm 폭0.5-0.7mm로서 녹색이다. 꽃잎은 황색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꽃밥은 둥글며 심피는 3-5개가 곧추서고 암술대는 길이 1.5-1.7mm이며 암술머리는 점상(點狀)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3~5개이며 길이 2mm정도이고 퍼진다.
줄기 : 줄기는 근경에서 총생하고 원줄기는 높이 10-18cm로서 털은 없으며 녹색이고 밑부분이 적자색이다.
뿌리 : 근경은 선단이 목질화되고 굵으며 길이 8-20mm로서 선단에 원줄기가 총생한다.
분포 : 충북 속리산 군자산 전남 추자도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 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5: 674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속단
학명 : Phlomis umbrosa Turcz.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속단속(Phlomis)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상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큰 것은 길이 13cm 나비 10cm 또는 그 이상되는 것도 있으나 위로 갈면서 작아지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붉은빛이 돌고 윤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여 전체가 큰 원추화서로 되며 각 소화서는 엽액에서 대생하고 다시 분지 위에서 소화경이 대생하여 각각 4-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8mm정도이고 열편은 털 같은 돌기로 되며 잔털이 약간 있고 화관은 순형이며 길이 1.8cm정도이고 상순은 모자형으로서 겉에 우단같은 털이 밀생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겉에 털이 있다. 소포는 길이 7-10mm로서 선형이며 짧은
열매 : 수과로서 광란형으로 꽃받침으로 싸여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며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 : 뿌리에 비대한 괴근이 4-5개 정도 달린다. 뿌리를 속단(續斷)이라 한다.
분포 : 한국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속단(P. koraiens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14 : 76 (18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소태나무
학명 :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과명 : 소태나무과(Simaroubaceae)
속명 : 소태나무속(Picrasma)
이명 : 쇠태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5개이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의저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4-10cm 폭 1.5-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 맥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잎은 가을에 황색으로 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새가지의 엽액에서 5-6월에 피며 지름 4-7㎜로서 녹색이 돌고 지름 8-15cm의 취산화서에 달린다. 4-5개의 꽃잎과 수술이 있으며 합생하는 암술대가 갈라진 자방 밑에 달리고 암술머리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며 9월경에 적색으로 성숙하는데 3-4개가 모여서 나고 지름은 6-7mm쯤이며 숙존(宿存)악이 있다.
줄기 : 줄기가 직립하고 가지가 층을 형성하여 수평을 이루며 수피는 적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쓰며 황색 피목이 있다. 어릴때에는 가는 털이 있으며 겨울눈에는 인편이 없고 홍갈색의 가는 털이 많이 나 있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인도 히말라야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지의 표고 100-1 100m의 양지에서 드물게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밑에 흰색 또는 노란색의 얼룩이 들어 있는 변종이 있다.
특징 : ▶천연기념물 제174호(경상북도 안동 송사동)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2 479㎡ ⓑ지정사유:노거수 ⓒ나무높이:20m ⓓ뿌리목둘레:4.65m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물건 방조 어부림은 천연기념물 제150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23 438㎡이고 지정사유는 방풍림의 역사적인 유물이다. 이 어부림을 구성하는 수종에는 팽나무 푸조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 말채나무 느티나무 소태나무 초피나무 갈매나무 윤노리나무 쥐똥나무 생강나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Jav. Rar. 198 (184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소철
학명 : Cycas revoluta Thunb.
과명 : 소철과(Cycadaceae)
속명 : 소철속(Cycas)
잎 : 잎은 1회우상복엽이고 우편은 호생하며 선형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며 길이 8-20cm 폭 5-8cm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자화수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0~60cm 폭 10~13cm로서 많은 실편으로 된 구과형이며 인편 뒤쪽에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고 원줄기에 가까운 양쪽에 3-5개의 배주가 달리며 윗부분에서 황갈색의 털같은 것이 밀생한다. 자생지에서 6~7월에 개화한다.
열매 : 종자는 길이 4cm정도로 편평하고 외종피는 적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익은 종자 말린 것을 무루자(無漏子)라고 한다.
줄기 : 가지가 없고 줄기가 하나로 자라거나 밑부분에서 작은 것이 돋으며 높이 1-4m이고 원주형으로서 엽흔이 겉을 둘러싸며 끝에서 많은 잎이 윤상으로 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남부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제주도에서는 뜰에서도 자라지만 기타 지역에서는 온실이나 집안에서 재배한다.
형태 : 상록성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유사종 : ▶대만소철(C. taiwaniana): 열편 가장자리가 말리지 않는다. ▶운남소철(C. siamensis): 줄기가 왜소하고 기부가 팽창되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229 (178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소영도리나무
학명 : Weigela praecox (Lemoine) L.H.Bailey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병꽃나무속(Weigela)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5~12cm 나비 2~3cm로서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0-2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1-3개씩 액생하며 꽃받침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가 설 다르게 유합되며 길이 7-10mm로서 털이 있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중앙 이상이 갑자기 넓어지며 길이 3-4cm로서 겉에 털이 있고 5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털이 있을 때도 있으나 밑부분에는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3-18mm로서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어린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 황해도 및 북부지방의 표고 100~1 900m에서 자라며 지리적으로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산소영도리나무(W. praecox L. H. Bailey var. pilosa Nakai):꽃받침통과 자방에 털이 없고 잎 뒷면 맥 위에만 잔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t. Herb. 2-1: 54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소엽풀
학명 : Limnophila aromatica (Lam.) Merr.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구와말속(Limnophila)
이명 : 소향풀 참소엽풀
잎 : 잎은 대생하거나 밑부분에서 3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cm 폭 3~7(10)mm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낮은 톱니가 있다.
꽃 : 9~10월에 개화하며 황백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7~15mm이고 꽃받침 밑에 소포가 잇다. 꽃받침은 길이 5~7mm로서 5개로 중열되며 열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화관은 길이 10mm 정도로서 다소 황백색이 돌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짧다.
열매 : 삭과는 넓은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은며 종자는 뒷면에 2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0.3mm 정도로서 흑색이고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20-25cm이고 털이 없으며 입상 돌기모 입상(粒狀) 돌기모(突起毛)가 있고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전체에 소엽같은 향기가 있기 때문에 소엽풀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terpr. Rumph. Herb. Amboin 466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소엽맥문동
학명 : Ophiopogon japonicus (L.f.) KerGawl.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맥문아재비속(Ophiopogon)
이명 : 겨우사리맥문동 긴잎맥문동 좁은맥문동
잎 : 잎은 밑부분에서 총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10-30cm 폭 2-4mm로서 끝이 둔하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길이 4-5mm로서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7-12cm 폭 1-1.5mm로서 편평하며 예리한 능선이 있다. 총상화서는 길이 1-3cm로서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6mm로서 중앙 또는 꽃밑에 관절이 있다. 꽃잎과 수술은 각 6개이며 자방은 중위로서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장과이며 노출된 열매는 짙은 하늘색이고 둥글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새순이 나오고 수염뿌리 끝이 땅콩처럼 굵어지는 것도 있다.
분포 :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맥문아재비(O. jaburan (Kunth) Lodd.)을 비롯하여 속은 다르나 맥문동 및 개맥문동(Liriope spocata Lour.)이 있다.
특징 : "보통의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에 비해 잎이 특히 작고 가늘게 생겼기 때문에 ""소엽""맥문동이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pl. 1063 (188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