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엷은갈미사초
학명 : Carex eleusinoides Turcz. ex Besser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선형(너비 2~2.5mm)이며 줄기보다 짧고 편평하며 엽연은 거칠다.
꽃 : 꽃은 단성화고 6월경이 피며 화서는 3~5개의 소수로 되었는데 서로 모양이 비슷하고 가까이 모여 있으며 곧추 선다. 아래의 포엽은 잎모양이고 화서보다 길며 엽초는 없다. 맨 위에 나는 소수는 윗부분에 암꽃이 피고 아래에 수꽃이 피며 짧은기둥모양(길이 1~3cm)이다. 그 밖의 소수는 암소수며 원주형(길이 1~2cm)이고 짧은 대가 있다. 화영은 나선형으로 돌려 붙는다. 자화영은 길이가 과포보다 짧거나 거의 같고 너비는 훨씬 좁은 긴타원형이며 검은 자색이
열매 : 열매는 7월경에 여물며 넓은 도란형(길이 1.5mm 너비 1.2mm정도)이며 납작하게 세모 났으며 과포속에 성글게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세모지고 거칠다. 줄기 밑부분에 있는 엽신이 없는 엽초는 자색이 도는 갈색이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식물체는 포기져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열녀목
학명 : Prunus salicina var. columnaris (Uyeki) Uyek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벚나무속(Prunus)
이명 : 열려수 열여목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도란형 또는 타원상 긴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5-10㎝ 폭 2-4㎝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간혹 복거치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약간 있지만 없어지거나 맥액에 약간 남으며 엽병은 길이 1-2㎝이고 2-5개의 선(腺)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0-2.2㎝로 백색이고 보통 3개씩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1.7-1.8㎝이며 꽃받침열편은 톱니가 약간 있고 꽃잎은 길이 1㎝이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 또는 구형으로서 밑부분이 들어가며 자연생의 것은 지름 2.2㎝이지만 재배종은 길이가 7㎝에 달하며 한쪽에 홈이 있고 7월에 황색 또는 자적색으로 익는다. 과육은 연한 황색이고 핵은 도란형이며 양끝이 약간 좁고 결이 거칠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윤채가 있다. 가지가 곧추서서 수형이 빗자루같이 된다.
분포 : 경기도 충청남도의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자두나무(P. salicina Lindl.): 중국 원산 ▶서양자두(P. domestica L.): 잎 뒷면에 털이 있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벽흑색인 것.
특징 : 잎과 꽃 등이 자두나무와 닮았으나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곧게 그리고 약간 꼬이며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Chosen Nat. Hist. 17 : 54 (193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No Image
연화바위솔
학명 : Orostachys iwarenge (Makino) Hara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바위솔속(Orostachys)
이명 : 바위연꽃
잎 : 근생엽은 총생하고 육질이며 편형하고 긴 타원상 주걱형이며 끝이 뭉뚝하거나 둥글고 길이 3-7cm 폭 7-28mm로서 백록색이며 경생엽은 호생한다.
꽃 : 화축은 직립하며 하단부에 잎이 밀생하고 화수(花穗)에는 매우 많은 꽃이 달리며 화축의 길이는 5-20cm이다. 꽃은 10-11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이 짧고 꽃 밑에 2개의 작은 포가 달리며 포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길이 5-7mm로서 꽃받침 길이의 약 2배이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열편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수술은 10개 꽃밥은 담황색이다. 자방은 5개이고 암술대는 짧다.
열매 : 열매는 대과(袋果)로서 긴 타원형이고 양쪽이 뾰족하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비후하다.
분포 : 제주도 해안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바위솔(O. japonicus):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근생엽은 로제트 모양 피침형이다. ▶둥근바위솔(O. malacophyllus): 근경은 짧고 비대 잎은 주걱모양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이다. ▶좀바위솔(O. minutus): 잎은 비늘 모양 긴 타원형 끝이 송곳 끝 같고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특징 : ▶개화 후에 枯死(고사)한다. ▶관상용 재배를 위해 채취하여 야생하는 개체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어릴 때 바위에 잎이 퍼져 붙은 상태가 연꽃 같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
No Image
연필향나무
학명 : Juniperus virginiana L.
과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 향나무속(Juniperus)
잎 : 잎은 인엽과 침엽이 섞여나며 몇년간 달려 있는 침엽은 대생하거나 간혹 3개씩 달리며 길이 5-6mm로서 점첨두이고 표면은 회록색이며 오목하고 뒷면은 도드라지며 녹색이다. 인엽은 능상 원형이고 첨두로서 길이 1.5mm이며 윗부분은 떨어지고 보통 자록색이며 흔히 지점이 있다. 노목이 되면 인편엽이 많아진다.
꽃 : 암수딴그루로서 꽃은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 구과는 아구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지름 6mm 로서 자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1-2개씩 들어 있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3mm로서 홈이 있고 다음해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원산지에서는 수고 30m 지름 1m이상 자라며 수피는 적갈색이고 세로로 터지며 소지는 향나무보다 가늘고 지름 1mm이하이다. 수관은 원추형이거나 좁은 타원형이다.
분포 : ▶미국의 동부지역과 대서양 연안에 걸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 식재한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
유사종 : ▶노간주나무(J. rigida Seeb. & Zucc) ▶곱향나무(J. communis var. nipponica Wilson): 주간이 옆으로 자라고 열매가 잎보다 길며 북부 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는 것. ▶뚝향나무(J. chinensis L. var. horizontalis Nakai): 향나무에 비해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진다.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원줄기는
특징 : ▶우리 나라에 1930년경에 도입되었다. ▶어릴 때의 생장이 본 속중에서 가장 빠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연지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indica var. coccinea S.T.Kim & S.T.Le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골무꽃속(Scutellaria)
꽃 : 화관의 색도 진한 분홍색으로 화관 하순에 진한 분홍색 점이 있으며 기부가 급격히 굽고 많은 털이 있다. 길이 1.5㎝정도이다.
줄기 : 비바리골무꽃과 마찬가지로 개체의 크기가 떡잎골무꽃보다 약간 작다. 줄기는 진한 분홍색으로 다소 직립하고 20-30㎝정도이며 많은 털을 가진다.
분포 : 제주도 산굼부리에서 발견되었다.
유사종 : ▶비바리골무꽃 ▶떡잎골무꽃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4(2)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24 : 74 (1994)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연잎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coreanum H.Lev.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꿩의다리속(Thalictrum)
이명 : 돈잎꿩의다리 련잎가락풀 )련잎꿩의다리 )좀연잎꿩의다리
잎 : 잎은 엽병이 길며 1-2회 3출엽이고 소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둥글고 소엽병이 밑에서부터 1/4정도 올라가서 달리므로 방패같고 그 모양이 연잎같으며 밑에서부터 1/3정도의 가장자리에 둥근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이 각 10cm정도로서 뒷면이 분백색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는 작은 원추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20mm로서 가늘고 꽃받침잎은 4-5개로서 일찍 떨어지며 연한 자백색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방추형이고 능선과 더불어 맥이 뚜렷한다.
줄기 : 높이가 60cm정도 되고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비대하다.
분포 : 설악산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은꿩의다리 (T.actcefolium S. et Z.): 중부 이남지역에 자생하며 높이 60cm 미만으로 7-8월에 붉은 색으로 개화한다. ▶산꿩의다리 (T. filamentosum MAX.): 전국의 습윤한 낙엽수림 밑에 자생한다. ▶돈잎꿩의다리 (var.minus NAK.) : 높이 20cm로서 잎의 길이가 3cm를 넘지 못한다. ▶꼭지연잎꿩의다리 (T.ichangense LECOYER) : 열매에 소과경이 있다.
특징 : ▶둥근 잎이 연잎 모양이다. ▶설악산 부근의 주민들 사이에서는 삼지구엽초로 그릇되게 알려져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Geogr. Bot. 11 : 197 (190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연복초
학명 : Adoxa moschatellina L.
과명 : 연복초과(Adoxaceae)
속명 : 연복추속(Adoxa)
이명 : 련복초 )
잎 : 근생엽은 1-3개이고 엽병은 길이 4-9cm이며 3-9개의 소엽으로 갈라져 1-2회3출복엽으로 되고 원줄기의 높이와 비슷하게 자라고 소엽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 1-2cm이며 3개로 갈라진다. 경생엽은 엽병이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지름 2-3mm로서 줄기 끝에 5개 정도 모여 두상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없으며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진다. 가장 윗부분의 꽃은 화관이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8개이며 옆에 달려 있는 꽃은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10개이다.
열매 : 핵과는 지름 2-3mm의 구형으로서 3-5개가 뭉쳐 있으며 5월말에 익는다.
줄기 : 높이 8-17cm이며 줄기는 가늘고 가지가 없으며 2개의 3출복엽이 마주 붙는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마디가 다소 짧고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며 가늘고 긴 포복지가 옆으로 벋는다.
분포 : 가야산 광릉 및 북부지방의 높은 지대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복수초 근처에서 자라던 것이 복수초를 캘 때 같이 달려 나왔기 때문에 연복초 (連福草)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연보라과남풀
학명 :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f. alboviolacea W.K.Paik & W.T.Lee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잎 : 근생엽은 없거나 비늘잎으로 되거나 작다. 경생엽은 마주나고 드물게 3잎 돌려나며 피침형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으로 길이 5~17cm 너비 1~3.5cm이다.
꽃 : 꽃은 1~25개달리며 가지 선단이나 윗쪽 잎겨드랑이에 나고 꽃자루는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자루가 있어 화관 밖으로 돌출한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고 단순하거나 드물게 밑의 마디에서 연약한 가지가 나오기도 하며 4개의 능선이 있고 높이 26~120cm이다.
뿌리 : 뿌리는 굵으며 뿌리줄기는 짧은 마디가 있으며 길다.
분포 : 한반도(경기도 포천군 운악산 계곡)
형태 : 여러해살이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산 용담과 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백원기, 1993)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연밥피나무
학명 : Tilia koreana Nakai
과명 : 피나무과(Tiliaceae)
속명 : 피나무속(Tilia)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갑자기 뾰족해진 첨두이며 심장저이고 길이 3~9cm로서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엽맥을 따라 털이 있는 것도 있고 맥액에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4cm이다.
꽃 : 취산화서는 엽액에 달리며 3-8개의 양성화가 달리고 화경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화경의 포는 피침형으로서 털이 없고 둔두 또는 첨두이다. 꽃받침잎은 겉에 성모가 있으며 꽃잎은 5개로서 좁고 꽃받침보다 길며 수술은 많고 자방에 털이 있으며 암술머리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 긴 도란형이고 길이 10mm 지름 5-6mm로서 짧은 성모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가 15m 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평안피나무(var. grosseserrata Nakai): 잎이 긴 점첨두로서 큰 톱니가 있다. ▶털피나무(T. rufa Nakai) ▶뽕잎피나무(T. taquetii Schneider)
특징 : 산공재로 연하고 가벼우며 나무갗은 치밀하고 고우며 내후 보존성은 낮고 접착 표면 마무리는 보통이며 절삭가공 건조 등이 용이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hosen Shokubutsu 174 (Nakai,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연밥매자나무
학명 : Berberis koreana var. ellipsoides Nakai
과명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속명 : 매자나무속(Berberis)
이명 : 연밥매자
잎 : 잎은 혁질이며 도란형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3-7cm로서 둔두 예저이며 침상의 예리한 톱니는 고르지 않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회록색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월에 피며 잎보다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2-4cm이며 소화경은 길이 4-6mm이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고 지름 6mm정도로서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소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적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고 가시는 길이 5-10mm이다.
분포 :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매자나무(B. koreana): 갈라지지 않는 가시가 있고 잎은 넓은 난형 양면에 털이 없다. ▶좁은잎매자나무(var. angustifolia): 가시가 있고 잎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21: 72 (1936)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연밥갈매나무
학명 : Rhamnus shozyoensis Nakai
과명 : 갈매나무과(Rhamnaceae)
속명 : 갈매나무속(Rhamnus)
이명 : 연밥갈매
잎 : 잎은 대생 또는 아대생하며 선상 피침형 선상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길이 3.5-11cm 나비 6-25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6-18mm로서 털이 없으며 탁엽은 일찍 떨어지고 길이 3m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 짧은 가지의 끝이나 긴 가지 밑의 잎겨드랑이에 1~2송이씩 달림.
열매 : 소과경은 길이 7mm이며 열매는 핵과로 도란형이고 길이 10mm 나비 7mm로서 흑색으로 익으며 털이 없고 2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복면 중앙부에 구멍이 있다.
줄기 : 소지는 갈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늙은 가지는 회색이고 끝이 대개 가시로 변한다.
분포 : 평안 북도 창성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
유사종 : 참갈매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좁고 열매가 긴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hosen Shokubutsu 212 (Nakai, 1914)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연리초
학명 : Lathyrus quinquenervius (Miq.) Litv.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연리초속(Lathyrus)
잎 : 잎은 호생하고1-3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끝에 갈라지지 않은 덩굴손이 있고 소엽은 비스듬히 마주서며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끝이 날카롭고 길이 6~10cm 나비 4-7mm로서 중륵 양쪽에 측맥이 3개씩 있다. 탁엽(托葉)은 2개로 갈라지며 길이 10-25mm 나비 1.3mm로서 피침형이다.
꽃 : 꽃은 홍자색으로 5월에 피며 길이 15-20mm로서 5-8개의 꽃이 액출(腋出)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花梗)은 길이 10-15cm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밑의 열편이 통부의 길이와 비슷하다. 기판(旗瓣)은 크고 난상 원형이며 끝이 오목 들어가고 익판(翼瓣)은 화조(花爪)가 있고 광란형이며 용골판은 단조(短爪)가 있고 끝이 날카롭다. 10개의 수술은 양체(兩體)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협과(莢果)는 선형이며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는 녹색이고 세모가 지며 나비 1-2mm의 날개가 있고 곧게 선다.
뿌리 : 지하경이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중국 동부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경기 황해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벌노랑이(L. corniculatus var. japonicus) 활량나물(L. davidi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m. & Aliss., Opred. Rast. Dal'nevost. Kraja 2: 683 (19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연리갈퀴
학명 : Vicia venosa (Willd.) Maxim.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네잎갈퀴 선나래갈퀴 연리갈키 좁은네잎말굴레풀
잎 : 잎은 호생하고 2-6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1회우상복엽이다. 소엽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2-7cm 나비 2-6mm로서 양끝이 좁고 탁엽은 난형이며 길이가 1cm이상이다.
꽃 : 총상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화경이 길며 약간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꽃은 7월에 피며 길이 16mm정도로서 보라색이고 화관은 접형(蝶形)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긴 털이 약간 있으며 첫째 열편이 가장 길고 밑부분이 넓은 삼각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열매 : 열매는 선상 타원형의 협과이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능선이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 Biol. 9 : 66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연꽃
학명 : Nelumbo nucifera Gaertn.
과명 : 수련과(Nymphaeaceae)
속명 : 연속(Nelumbo)
이명 : 연
잎 : 잎은 근경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물 위에 높이 솟고 둥근 방패모양이며 백록색이고 엽맥이 사방으로 퍼지며 지름 40cm정도로서 물에 잘 젖지 않고 엽병은 원주형이며 짧고 뾰족한 가시가 산생한다. 꽃잎과 더불어 수면보다 위에서 전개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5-20cm로서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다. 뿌리에서 화경(花梗)이 나오고 화경은 엽병처럼 가시가 있으며 화경 끝에 대형의 꽃이 1송이 핀다. 꽃받침은 4~5조각인데 녹색이고 소형이며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여러개이며 길이 8-12cm 폭 3-7mm로서 도란형이고 둔두이며 화탁은 크고 해면질이며 길이와 지름이 각 10cm정도로서 표면이 평탄하고 역원추형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타원형이고 길이 20mm정도이며 검게 익고 먹을 수 있다. 과실을 연실(蓮實)이라 한다.
뿌리 :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원주형이고 마디가 많으며 가을철에 끝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분포 : ▶인도 중국 일본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ruct. sem. pl. 1:73 (178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여주
학명 : Momordica charantia L.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여주속(Momordica)
이명 : 긴여주 여자 여지 유자
잎 :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길며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며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1가화이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황색이다. 꽃받침은 종모양이다. 화관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3개이며 암술대도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박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혹 같은 돌기가 있고 황적색으로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져서 홍색 육질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이 1∼3m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건을 감아서 올라간다.
분포 : 아시아 열대지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여우팥
학명 : Dunbaria villosa (Thunb.) Makino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여우팥속(Dunbaria)
이명 : 덩굴돌팥돌팥새돔부새콩여호팥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비스듬히 선 짧은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적갈색 선점이 있고 정소엽은 사각형 비슷하며 길이와 나비가 각 1.5-3cm로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진다. 탁엽은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mm로서 털이 있고 소탁엽은 극히 작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화경이 짧고 3-8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마디에 1개씩 달리며 길이와 나비가 각 15-18mm로서 황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6-8mm이다. 꽃받침은 길이 10mm로서 선모가 밀생하며 밑의 열편이 가장 길고 기판은 둥글며 밑부분에 짧은 화조가 있고 양쪽에 둔한 돌기가 1개씩 있으며 용골판은 반 정도 오른쪽으로 꼬이고 거(距)가 없다.
열매 : 협과는 편평한 선형이며 털이 있고 길이 4.5-5cm 나비 8mm로서 6-8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퍼지거나 꼬부라진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라도 및 경상도 이남
형태 : 덩굴성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여우콩
학명 : Rhynchosia volubilis Lour.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여우콩속(Rhynchosia)
이명 : 개녹각녹각덩굴들콩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엽병 끝에 3개의 소엽이 달리며 소엽은 도란형 또는 도란상 마름잎형이고 정소엽은 길이 3-5cm 나비 2.5cm로서 양면에 털이 많으며 뒷면 맥 위에 누른 빛이 도는 털이 밀생하고 뒷면에 황갈색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짧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이다. 탁엽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4-5mm로서 갈색이 돌며 맥이 뚜렷하고 소탁엽은 실처럼 가늘며 길이 2-3mm이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고 길이 2-4cm로서 10-20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8~10mm로서 황색이며 접형화이다. 포는 타원형이고 길이 4-6mm로서 갈색이며 꽃받침잎은 짧은 털이 밀생하고 선점이 있으며 길이 6-8mm 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납작한 타원형이고 길이 1.5cm 나비 8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종선 이외에는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익으면 붉은빛이 돌고 2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으며 꼬투리가 터진 다음에도 종자가 달려 있다.
줄기 : 밑으로 향한 짧은 갈색 털로 덮여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이남; 전라도 및 경상도.
형태 : 덩굴성 다년초
특징 : 전체에 갈색의 거친 털이 밀생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Cochinch. 2: 562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여우주머니
학명 : Phyllanthus ussuriensis Rupr. & Maxim.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여우주머니속(Phyllanthus)
이명 : 좀여우구슬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거의 없고 넓은 피침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7~20mm 폭 3-6mm로서 뒷면에 다소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암꽃은 꽃받침잎이 6개로서 열매일 때는 젖혀지며 긴 타원형이고 수꽃은 4-5개의 꽃받침잎과 2개의 수술 및 4개의 선체가 있다. 꽃은 액생하고 소형이며 화경은 길이 2~4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편구형이며 지름 2.5mm로서 길이 1-4mm의 대가 있고 연한 황록색이며 종자는 황갈색이고 길이 1.2mm로서 짙은 갈색 반점과 더불어 세로로 짧은 줄이 있다.
줄기 : 높이 15-4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원줄기와 가지에 잎이 달리고 가지는 한쪽에 좁은 날개가 있거나 줄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여우구슬(P. urinaria): 전체가 붉은빛이 돌고 줄기 밑부분에 도란상 삼각형의 잎 몇 장이외에는 모두 비늘 모양의 잎이다. 꽃은 적갈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phys. math. Acad. Petrop. 15: 222 (185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여우오줌
학명 : Carpesium macrocephalum Franch. & Sav.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담배풀속(Carpesium)
이명 : 왕담배풀
잎 : 밑부분의 잎은 난형이고 엽병이 길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0-40cm 나비 10-13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복거치가 있고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중앙부의 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중앙 이하가 갑자기 좁아지고 윗부분의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이고 암꽃과 양성의 통꽃이 혼생하며 두상화서는 원줄기와 가지에서 1개씩 정생하고 지름 25~30mm로서 다소 밑으로 처지며 포엽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7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8-10mm 지름 23-30mm이고 외포편이 포엽과 비슷하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5~6mm 지름 1mm 정도로서 중앙부가 다소 굽으며 길이 1mm정도의 부리가 있고 겉에 선점이 있다.
줄기 : 가지가 굵고 잔털이 밀생한다.
분포 : 경기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405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여우버들
학명 : Salix xerophila Flod. f. xerophila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마른잎버들 여호버들
잎 : 잎은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3~10cm 나비 4cm로 양끝이 뾰족하고 얕은 파상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 : 꽃은 자웅이가로 미상화서이고 전년지 잎짬에 나며 기부에 2~3개의 소엽이 달리고 봄에 잎보다 앞서 핀다. 수술은 2개 밀선은 1개이고 자방에 밀모이고 주두는 4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견모가 있고 여름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녹색으로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경북(가야산) 이북에 나며 만주 몽고 아무르 우수리 소련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Not. 1930 : 334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