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바랭이

    학명 :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바랭이속(Digitaria)
    이명 : 바랑이 털바랑이
    잎 : 엽신은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8-20cm 나비 5-12mm로서 분록색 또는 연한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는 두꺼우며 껄끄럽다. 엽초는 마디사이보다 짧으며 벌어진 털이 있거나 없다. 엽설(葉舌)은 막질로서 황갈색이며 길이 1-3mm이고 절두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화서는 나중에 높이 자라며 3-8개의 가지가 달리고 가지는 비스듬히 퍼지며 길이 5-1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소수(小穗)는 대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같이 달리고 길이 3mm정도로서 연한 녹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예첨두이다. 첫째 포영은 삼각형이고 길이 0.5mm정도이며 둘째 포영은 소수(小穗) 길이의 3/5-2/3로서 피침형이고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백색 털이 있다. 호영은 5-7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줄기 : 밑부분이 지상을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고 측지와 더불어 윗부분이 곧게 40-70cm정도 자란다.
    뿌리 :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분포 : ▶전세계의 온대와 열대에서 자란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carniol. (ed. 2) 1: 52. (177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학명 : Triticum aestivum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밀속(Triticum)

    잎 : 잎은 길이 13-15㎝ 폭 10-20㎜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뒤로 처진다. 엽초 윗가장자리에는 백색 부속물이 있어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갈라지지 않고 굵으며 길이 6-10cm이다. 小穗(소수)는 대가 없고 화서축 양쪽에 인접하여 달리며 넓은 난형으로서 길이 1cm정도이고 4-5개의 소화로 된다. 포영은 호영과 비슷하지만 작으며 호영은 길이 9mm로서 9맥이 있고 끝에 까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수술은 3개이다.
    열매 : 영과는 넓은 타원체이며 갈색이고 영에서 잘 떨어지며 중요한 식용작물의 하나로서 많은 품종이 있다.
    줄기 : 2-3대가 같이 나와서 높이 1m정도 자라고 곧게서며 밋밋하고 마디가 길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경작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 또는 이년생 초본.

    특징 : ▶오래전에 도래된 재배 작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민주름조개풀

    학명 :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japonicus (Steud.) Koidz.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주름조개풀속(Oplismenus)
    이명 : 명들래 주름풀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3-7㎝ 나비 1.-1.5㎝로서 엽초와 더불어 털이 약간 있고 화설(花舌)은 매우 짧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6-12㎝로서 6-15㎜의 가지가 갈라지며 소수(小穗)가 밀착하고 소수는 길이 3㎜정도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털이 적다. 포영은 까락이 있고 둘째 것은 보다 길며 3맥이 있다. 첫째 소화(小花)의 호영은 길이 3㎜정도로서 짧은 까락이 있고 둘째 소화의 호영은 까락이 없으며 열매를 맺는다. 까락에 점액이 생겨서 영과가 들어 있는 소수는 옷에 붙는다. 화서의 중축에 긴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뿌리가 내려 퍼진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ROEM. et SCHULT) 참주름조개풀 (for.elongatus Y.LEE)
    특징 : 털이 적고 화서의 중축에 긴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9 : 302 (192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민숲개밀

    학명 : Brachypodium sylvaticum var. miserum (Thunb.) Koidz.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숲개밀속(Brachypodium)

    잎 : 잎은 편평하지만 안쪽으로 꼬이고 길이 10-20㎝ 나비 5-10㎜로서 양끝이 좁으며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엽초에는 대개 털이 많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화서는 길이 7-13㎝로서 10개 정도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곧추서고 연한 녹색이며 길이 15-30㎜로서 4-10개의 꽃이 달린다. 소수경(小穗梗)은 길이 1㎜정도이고 포영은 길이가 같지 않으며 피침형 예두이고 첫째 것은 3-4맥이 있으며 길이 5-7㎜이고 둘째 것은 7-8맥이 있으며 길이 8-11㎜이다. 호영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10-12㎜이고 끝이 길이 5-10㎜의 까락으로 된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
    유사종 : 숲개밀 Brachypodium sylvaticum (HUDS.) BEAUV.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mb. orient.-asiat. 80.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5. No Image

    민바랭이새

    학명 :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나도바랭이새속(Microstegium)
    이명 : 대잎바랭이새댓잎새민바랭이
    잎 : 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7㎝ 나비 7-10㎜이며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처럼 꺼칠꺼칠하고 양면에 털이 없거나 짧은 연모가 있고 때로는 잎 밑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엽초는 마디 사이보다 짧고 짧은 털이 있다. 엽설은 밝은 갈색이고 절두이며 길이 0.3㎜로서 짧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3-4개의 수상화서가 장상 비슷하게 배열되어 총상화서 모양을 이루며 수상화서는 길이 4-6㎝로서 대가 없고 녹색이며 마디사이가 길리 3-5mm로서 끝에 털이 윤생한다. 소수(小穗)는 모두 대가 있고 길이 3㎜정도로서 밑부분에 속모가 있으며 모두 결실성이다. 첫째 포영은 뒷면이 약간 들어가며 윗부분이 거칠고 6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다소 거칠고 끝이 뾰족하며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2mm정도로서 까락이 있고 까락은 길이 6-8

    줄기 : 높이 20-70cm이고 마디에 털이 없으며 가냘프고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분포 : 남부 지역 주로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3 : 394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민바랭이

    학명 : Digitaria violascens Link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바랭이속(Digitaria)
    이명 : 민바랑이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6~12cm 폭 5~8mm로서 표면은 분백색이 돌며 털이 없으나 엽초의 윗가장자리 근처에 퍼진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다. 엽설은 갈색이 돌고 길이 1-1.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4-10개의 가지가 비스듬히 서고 가지는 길이 4-10cm이다. 소수(小穗)는 대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같이 달리며 2줄로 배열되고 길이 1.5-2mm로서 녹백색 바탕에 적자색이 돈다. 첫째 포영은 없거나 흔적만 있으며 둘째 포영은 소수보다 약간 짧고 3맥과 더불어 잔털이 있다. 호영은 7맥이 있으며 맥 사이에는 곱슬털이 있고 내영은 호영과 크기가 같으며 흑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50cm이고 밑부분이 비스듬히 서면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마디에서 뿌리가 돋지만 땅을 기지는 않는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 berol. 1: 229. (18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민메기이삭

    학명 : Agrostis canina f. mutica (Gaudin) Jansen & Wach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겨이삭속(Agrostis)
    이명 : 두메겨이삭민메겨이삭
    잎 : 잎은 접히기도 하지만 흔히 편평하고 길이 2~10cm 폭 1~3cm이며 근생엽은 폭 2mm이하이다. 엽설은 길이 2~3㎜로서 긴 타원형이고 막질이며 둔두이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5~12cm 폭 1~5cm로서 가지가 3~6개씩이고 퍼지며 거칠다. 소수(小穗)는 길이 1.5cm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자줏빛이 돌지만 연한 녹색인 것도 있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같으며 1맥이 있고 끝이 뽀족하며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짧은 털이 있으며 희미한 3맥이 있고 호영보다 짧은 까락이 있으며 내영은 거의 없다. 기반(基盤)에 짧은 털이 있고 꽃밥은 길이 1mm정도이다.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다소 총생하며 높이 20-60cm이다.
    뿌리 : 근경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검은겨이삭(Agrostis canina L.):호영은 희미한 3맥이 있고 중륵이 뒷면 중앙부에서부터 까락으로 되며 까락은 길이 1~2mm이고 중앙부에서 꺾이며 내영은 거의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d. Kruidk. Arch. 50: 112 (1940)
    1) Catalogue of new world grasses (MissouriBotanicGarden, 2002)


    Read More
  8. No Image

    민둥빕새귀리

    학명 : Bromus tectorum var. glabratus Spenner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귀리속(Bromus)

    잎 : 잎은 어긋나고 양면에 털이 있다. 길이 3~12cm 나비 2~4mm이다. 엽초는 원통형으로 밑을 향한 털이 밀생하며 절간보다 길다. 엽설은 흰색이고 막질이다. 높이 1~2mm이고 끝이 갈라진다.
    꽃 : 꽃은 5~7월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화서 길이는 6~18cm이고 끝이 늘어진다. 각 마디에 2~5개의 가지가 생기고 가지마다 소수는 2~4개이다. 소수 길이는 1.8~2.2cm으로 좁은 타원형이며 소화는 5~8개이다. 제1포영 길이는 4~6mm으로 1맥이고 제2포영 길이는 8~9mm으로 3맥이다. 호영 길이 는 10~12mm으로 7맥이다. 끝 톱니는 2개 톱니 사이에 1.2~1.4cm의 긴 까락이 있다. 내영 길이는 8~10mm이고 용골부에
    열매 : 열매는 영과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모여난다.

    분포 :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일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9. No Image

    미국개기장

    학명 :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기장속(Panicum)

    잎 : 잎은 길이 20~40cm 폭 8~15mm로서 편평하고 약간 접히며 털이 없고 줄기와 더불어 엽초는 광택이 나고 털이 없으며 때로 홍자색이 돈다. 엽설은 퇴화되어 털이 줄로 돋아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핀다. 줄기 끝의 원추화서는 원추상 구형으로서 가지가 벌어지며 잔돌기가 있고 가지에 다수의 소수(小穗)가 조밀하게 달려 곧게 서거나 옆으로 퍼진다. 소수는 대가 있으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길이 2.5mm정도로서 연한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줏빛이 돌고 털이 없다. 첫째 포영은 둔두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5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막질로서 퇴화된 호영과 길이가 같으며 5맥이 있다. 퇴회된 호영은 7맥이 있고 막질이지만 암꽃의 호영은

    줄기 : 높이 40-100cm이며 굵고 털이 없어 매끄러우며 하부가 땅을 기거나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지리적으로 남아메리카와 유럽 아시아등지에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전역에 자라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or.-Amer. (Michaux) 1 : 48 (Michaux., 180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물피

    학명 :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Vasinger)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피속(Echinochloa)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30-50cm 넓이 1-2cm로서 털이 없으며 엽초는 밑부분의 것은 홍자색이 돌고 엽설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25cm이고 가지는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의 것은 길이 3-5cm이다. 소수(小穗)는 난형이고 길이 3-4mm로서 흔히 적자색이 돌며 겉에 가시같은 털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소수의 1/2-3/5 이고 둘째 포영은 소수길이와 비슷하며 5맥이 있고 까락이 짧다. 호영은 때때로 굳어지며 끝에 길이 2-4cm의까락이 있거나 없고 내영은 길이 3-3.5mm로서 예두이다.
    열매 : 영과는 길이 3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80-100cm이고 총생하며 기부(基部)로부터 곧추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우수리 일본 인도에 분포한다.
    형태 : 수생 일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1(1): 38. (194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물참새피

    학명 : Paspalum distichum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피속(Paspalum)
    이명 : 갈래참새피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고 엽초는 대개 털이 없고 절간(節間)보다 짧다. 엽설(葉舌)은 높이 2㎜이고 잎새는 길이 5-10㎝ 폭 6-8㎜ 털이 없다.
    꽃 : 꽃은 6-9월에 핀다. 화서(花序)는 2개의 총(總)으로 이루어지며 총은 길이 4-9㎝ 2열(列)로 담녹색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소수는 장타원형 길이 3㎜ 미모(微毛)가 산생한다. 제1포영이 없거나 또는 인편상이며 제2포영은 3-5맥 소수와 같은 길이이다. 제1소화는 불임성(不稔性) 제2소화는 양성이며 임성(稔性)이다. 암술머리는 흑자색이며 꽃밥은 길이 1.5㎜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높이 20-40㎝ 기부는 광범위하게 포복하며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분포 : 열대 아시아로부터 북아메리카 열대 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 발견되었고 목포와 전주에서도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서는 1994 년 6 월 제주도 용수리에서 채집되었다. 그리고 `털물참새피(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가 남부지방에 귀화되었다. ▶이변종은 엽초와 마디에 긴 털이 밀생하며 총(總)이 2-3개인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Syst. Nat. ed. 10. 2: 855 (1759)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Read More
  12. No Image

    물잔디

    학명 : Pseudoraphis ukishib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물잔디속(Pseudoraphis)
    이명 : 선물잔디
    잎 : 잎은 선형이며 길이 3-5㎝ 나비 2-4㎜로서 분록색이고 엽설은 절두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총상화서는 길이 3-6cm로서 잎 사이에서 환전히 나오지 않으며 꽃이 진 다음 1-2개의 잎과 더불어 젖혀진다. 중축은 밋밋하고 가지는 길이 2.5cm로서 중앙보다 밑부분에 1개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소수는 대가 없으며 점첨두이고 길이 4-5mm로서 1-2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가지 끝이 굳은 털로 끝나므로 까락같이 보인다. 첫째 포영은 길이 0.5mm정도이고 둘째 포영은 가장 길며 7맥이 있고 양성화의 호영은 3개로 갈라지며

    줄기 : 총생하고 사방으로 퍼져서 물 위에 뜨며 물이 마르면 진흙 위에 퍼지고 길이 60cm이상 자라며 끝부분이 비스듬히 선다.

    분포 :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273. (19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물억새

    학명 :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억새속(Miscanthus)
    이명 : 큰억새
    잎 : 잎은 길이 40-80cm 넓이 1-3cm로서 밑부분의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은 다소 분백색을 띤다. 엽초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엽설은 길이 0.5-1mm이고 끝은 둥글며 털이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5-40cm 폭 5-12cm로서 산방상이고 화서축은 원추화서 길이의 1/2정도이며 마디 부근에 털이 있다. 가지는 길이 20-40cm이고 소수(小穗)는 2개씩 달리며 길이 5-6mm로서 피침형 예첨두이고 길고 짧은 대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길이 10-15mm의 백색털이 속생한다. 첫째 포영은 길이 4-5mm이며 윗부분에 긴 털이 있고 둘째 포영은 주형(舟形)으로서 3맥이 있다. 첫째 외영은 선상피침형으로 3맥이고 털이

    줄기 : 높이 1-2.5m이고 곧추서며 털이 없으나 마디에는 긴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땅속으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대형의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넓은잎물억새 (for.latifolius Adati) : 잎의 나비가 3-5cm이다. ▶가는잎물억새 (var.gracilis Y.Lee) : 잎의 나비가 5-10mm이고 첫째 포영에 2맥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10: 65. (188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물뚝새

    학명 : Sacciolepis indica var. oryzetorum (Makino)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물뚝새속(Sacciolepis)
    이명 : 물뚝새풀 큰이삭피
    잎 : 잎몸은 선형 길이 4-20㎝ 나비 3-6㎜ 끝이 뾰족하고 털이 없다. 엽설은 길이 0.5㎜이고 막질이다. 잎은 길이 10-30㎝ 나비 2-4㎜로서 털이 없고 엽설은 막질이며 짧고 털이 없다.
    꽃 : 이삭화서 모양의 원추화서는 길이 2-12㎝ 조밀하게 배열되고 작은이삭은 길이 2.5㎜ 긴 타원상 원추형 보통은 흰색의 긴 털이 있다. 제1호영은 길이 1.5-2㎜ 작은이삭을 감싸고 5맥이다. 제2호영은 작은이삭과 길이가 같고 납작한 주머니 모양 종이질 같은 막질 보통 9맥이다. 불결실성 외영은 단단하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는 내영을 감싸고 3맥 수술 3개이다. 원추화서는 길이 1-6㎝ 지름 4-6㎜로서 화서는 녹색바탕에 흑자색이 돈

    줄기 : 곧게 서고 밑동은 땅을 기며 밑에서 가지를 낸다.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서 굽었다가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좀물뚝새 (Sacciolepis indica (L.) CHASE)
    특징 : ▶메마른 곳에 나는 것과 물기가 많은 곳에 나는 것이 다르게 나타난다. ▶밑부분이 벌어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144. (195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5. No Image

    물대

    학명 : Arundo donax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물대속(Arundo)
    이명 : 시내대 옹진갈왕갈대
    잎 : 잎은 길이 50-70㎝ 나비 2-5㎝로서 백녹색이며 엽설은 절두이고 길이 1-2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화수는 원추형이며 곧추서고 길이 30-70㎝로서 다소 적자색이 돌며 가지가 깔깔하고 소수는 3-5개의 꽃으로 되며 길이 8-12mm이다. 포영은 길이가 같고 3맥이 있으며 중륵은 없고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7-10mm로서 3-5맥 이외의 짧은 소맥이 있고 뒷면 밑부분에 긴털이 있으며 2개로 갈라진 사이에서 길이 1-3mm의 까락이 곧추서고 기반의 양쪽 윗부분에 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 길이의 1/2-2/3이다.

    줄기 : 높이 2-4m이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퉁퉁하고 짧다.
    분포 : 남부지방에 재식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문수조릿대

    학명 : Arundinaria munsuensis Y.N.Le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속(Arundinaria)

    잎 : 엽초는 길이 5-6㎝ 가장자리에 털이 많다. 잎은 피침형 길이 8㎝ 폭 1.2㎝이다. 잎귀에는 곧은 강모가 있고 엽설은 짧고 막질이다.
    꽃 : 줄기의 끝에 있는 작은이삭은 납작하게 압축되어 있고 길이 3㎝ 폭 5㎜ 보통 3-5개의 낱꽃이 있다. 외영은 피침형 길이 2.2㎝ 11맥이 있으며 끝은 까락 모양 내영은 2개의 용골 모양 능선이 있고 강모가 있으며 길이 1.9㎝이다. 수술은 3개 수술대는 길이 1.2㎝이다. 꽃밥은 노란색이며 길이 0.5㎝이다. 인피는 3장 투명하고 피침형 털이 있으며 길이 4.5-5㎜ 폭 1-1.2㎜이다. 암술은 3개의 깃털모양의 암술머리를 가

    줄기 : 줄기는 곧게 서며 지름 1.5-3㎜ 절간은 길이 15㎝이다. 땅속줄기는 기어서 뻗어 나가고 길다.

    분포 : 지리산 문수골에서 발견하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7. No Image

    묏억새

    학명 : Miscanthus sinensis var. ionandros (Nakai) Y.N.Le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억새속(Miscanthus)


    꽃 : 화서는 부채 모양이고 원추화서의 가지는 길이 30-40㎝이며 작은이삭은 길이 6-8㎜이다. 제1호영은 좁고 3맥이다. 등에 긴 연모가 있다. 제2호영은 등에 털이 없다.

    줄기 : 키는 3-3.6m이고 마디에 긴 연모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8. No Image

    모새달

    학명 :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모새달속(Phacelurus)

    잎 : 잎은 편평하며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0-40㎝ 나비 1-4cm로서 털이 없거나 긴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가장자리가 작은 톱니 모양으로 꺼칠꺼칠하다. 엽초는 둥글며 가장자리와 위끝에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2㎜이다.
    꽃 : 꽃은 6-10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10-25㎝로서 중축에 5-12개의 수상화서가 산방상으로 달리며 잎 뒷면과 더불어 분록색이거나 자줏빛이 약간 돈다. 소수(小穗)는 각 마디에 2개씩 달리고 그 중 1개는 대가 있으며 1개는 대가 없고 화수축에 붙어서 굵은 가지처럼 보인다. 소수는 길이 10mm정도로서 예두이며 까락이나 털이 없다. 대가 없는 포영은 2개의 능각과 4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1개의 능각과 3맥이 있다. 2개의 호영은 비슷하며 3맥이 있고

    줄기 : 높이 80-120cm이고 곧게 서며 가지는 없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황해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가는잎모새달 (var.angustifolius Kitag.): 잎의 나비가 5-8mm이고 화경(花莖)이 가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4(2): 59.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메귀리

    학명 : Avena fatua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귀리속(Avena)
    이명 : 귀보리
    잎 : 잎은 길이 10~25cm 폭 0.7~1.5cm로서 녹색이며 엽초에 털이 없고 엽설은 둔두이며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5-30cm로서 퍼지며 가지는 잔돌기가 있고 거의 윤생한다. 소수(小穗)는 녹색이며 3-4개의 소화로 되고 밑으로 처지며 길이 20mm이고 익으면 쉽게 탈락한다. 포영은 좌우로 퍼지고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거의 능각이 없으며 크기가 같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호영은 황갈색이며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겉에 긴 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에서 견모가 속생하며 뒷면에 길이 2cm정도의 구부러진 흑갈색
    열매 : 영과는 방추형이고 한쪽에 홈이 있으며 끝에 털이 있다.
    줄기 : 1포기에서 3-4대가 나오고 높이 60-100cm이며 매끄럽고 속이 비어 있다.

    분포 : ▶지리적으로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널리 분포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마디포아풀

    학명 :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섬꾸렘이풀
    잎 : 잎은 길이 10-15㎝ 나비 1.5-3㎜이며 엽초는 밋밋하고 윗부분이 편평하며 엽설은 길이 1-2㎜로서 둔두이고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20cm이며 성기게 퍼지고 난형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잔이삭은 편평하며 녹색으로서 흰빛이 돌고 3-5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길이 3-5mm이다. 포영은 예두로서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1.5mm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2.5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능선이 거칠다. 호영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2.5mm 정도로서 측면 밑부분과 맥 위에 백색 털이 있

    줄기 : 밑부분에서 굽으나 윗부분은 곧추 자라고 높이 40-50cm로서 짙은 녹색이다.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밑부분의 1-2마디가 굵어진다.

    분포 : 제주도와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7 : 116 (191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