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올벚나무
학명 : Prunus pendula f. ascendens (Makino) Ohw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벚나무속(Prunus)
이명 : 발강올벗나무 붉은올벗나무 올벗나무 화엄벗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만 털이 남으며 가장자리에 예거치 또는 복거치가 있고 엽병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1.5-1.8cm로서 연홍색이고 2-5개가 산형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8-10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밑부분이 넓고 길이 5mm로서 털이 있으며 꽃잎은 타원상 도란형이고 길이 10mm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며 6-7월에 검게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굵고 수형이 웅대하며 가지가 많다. 작은 가지는 회색빛 나는 보라색이고 수피는 회갈색이다. 수피는 광택이 있고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다.
분포 : ▶지리적으로는 황해도 장산곶 제주도 위봉산 지리산 보길도에 분포해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능수벚나무(Prunus itosakura Sieb.)
특징 : ▶천연기념물 제38호 - ⓐ소재지:전남 구례 화엄사 ⓑ지정사유:老巨樹(노거수) ⓒ수령 310년 수고 15m 흉고줄기둘레 5m 수관폭 동4m 서5m 남7.5m 북2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29 : 363 (1954)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올방개아재비
학명 : Eleocharis kamtschatica (C.A.Mey.) Kom.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바늘골속(Eleocharis)
이명 : 검바늘골 검은바늘골 골풀아재비 물골 석냥골
잎 : 윗부분의 엽초는 5-8㎝이고 붉은 자갈색이며 가장자리가 수평으로 자른 것 같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소수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7-20mm 지름 3-5mm로서 짙은 자갈색이며 가장 밑부분의 인편 1개만이 꽃이 없고 화경(花莖)을 감싼다. 그밖의 인편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4-5mm로서 곧추서고 끝이 둔하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해면질이며 난형 또는 삼각형이고 길이 1-2mm로서 수과와 폭이 거의 같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4-5개로서 수과보다 길거나 짧으며 밑을 향한 잔돌기가 있다.
열매 : 수과는 황갈색이며 렌즈형이고 길이 1-1.5㎜로서 밋밋하다.
줄기 : 가늘게 뻗는 줄기가 있으며 높이 5-50㎝ 지름 1mm로서 원통형이다.
분포 : 목포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물꼬챙이 (E. mamillata var. cyclocarpa KITAGAWA)
특징 : ▶물꼬챙이와 비슷하지만 전체적으로 작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Penins. Kamtschatka 1: 207 (19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올방개
학명 : Eleocharis kuroguwai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바늘골속(Eleocharis)
이명 : 올메 올미장대
잎 : 엽초는 얇은 막질로 짙은 적갈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50~90cm 지름 3-4mm로서 둥글며 흑록색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격막이 있다. 꽃은 7~10월에 피고 화수는 원주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2~4cm 직경 3~5mm로서 황록색 또는 볏짚색이다. 인편은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6-8mm로서 끝이 둥글고 뾰족하며 중륵이 뚜렷하지 않고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맥이 있다. 암술대는 압축된 삼각형으로서 밑부분이 뚜렷한 반상체로 되며 수과보다 4~5배정도 길고 끝이 2~3개로 갈라진다. 화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1.8~2mm로서 부풀은 렌즈형이고 황갈색이 난다.
줄기 : 줄기는 둥글며 속이 비어있고 마디가 있으며 마디마다 격막으로 막혀 있다. 줄기색은 녹색이 나며 싱그럽다. 기타 형태는 꽃대와 비슷하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고 그 끝에 직경 5~8mm정도 되는 괴경이 달린다. 줄기 밑부분에서는 많은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어있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수생 숙근성 다년초 관경식물이다.
유사종 : ▶남방개(E. dulcis Trin) ▶쇠털골(E. acidularis for longiseta T. Koyama) ▶네모골(E. wichurae B cklr.) ▶올방개아재비(E. kamtschatica Kom.) ▶물꼬챙이골(E. manillata var. cryclocarpa Kitakaw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2: 654 (1936)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6)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올미
학명 : Sagittaria pygmaea Miq.
과명 : 택사과(Alismataceae)
속명 : 보풀속(Sagittaria)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선형이며 길이 10~18cm 폭 5~8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다수의 평행맥이 있다.
꽃 : 수면 위로 뻗은 화경(花莖)은 곧게 서고 길이 10-25cm이며 1-2단으로 윤생하고 상부에 수꽃 하부에 화병이 없는 1개의 암꽃이 달린다. 꽃은 백색이며 7~9월에 피고 가지 밑에 포가 있다. 암꽃에는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 3개이고 암술이 많으며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수꽃은 길이 1-3cm의 화경이 있고 꽃잎과 꽃받침은 각 3개이며 수술은 1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는 날개가 있으며 길이와 나비가 각 5mm정도로서 암술대가 남아 있다.
뿌리 : 지하경은 가늘고 길게 옆으로 뻗으며 끝에 과경이 달린다.
분포 :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 Bat. Lugduno Batavi 2 : 138 (186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올리브나무
학명 : Olea europaea L.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올리브나무속(Olea)
잎 : 잎은 타원형으로 은빛을 띠는 녹색이며 길이 4~10cm 폭 1~3cm입니다.
꽃 : 꽃은 백색으로 작게 핀다.
열매 : 과실은 작은 핵과로 길이 1~1.5cm 정도이다. 야생종은 재배되는 품종에 비해 열매가 작고 과육이 적다.
분포 : 지중해 아시아 아프리카 일부
형태 : 상록의 교목 또는 관목
특징 : 보통은 여러 줄기가 자라지만 외대로 가꿀 수도 있다. 꽤 빠르게 오래된 모습으로 변하는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옥잠화
학명 : Hosta plantaginea (Lam.) Asc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비비추속(Hosta)
이명 : 둥근옥잠화 비녀옥잠화
잎 : 잎은 엽병이 길며 길이 15-22cm 폭 10-17cm로서 녹색이고 난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파상으로서 8-9쌍의 맥이 있고 밋밋하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40-56cm정도인데 더러 1m이상되는 것도 있고 1-2(4)개의 포가 달리며 꽃은 총상으로 달리고 포는 2개이며 밑의 것은 길이 3-8cm로서 긴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녹색이다. 화관통부는 담자색이고 길이 11.5cm정도로서 가운데 부분부터 깔때기모양으로 벌어지는데 꽃잎은 약간 뒤로 젖혀져 있다. 꽃은 아침에 피고 해가 지면 오므라 든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고 암술은 한 개이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원주형이며 길이 6.5cm 지름 7-8mm로서 밑으로 처지고 종자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10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이 굵다.
분포 : 전국에 널리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긴옥잠화 (var.japonica HIKUTI et MAEKAWA) : 잎이 보다 길고 꽃이 좁으며 열매를 맺지 못한다.
특징 : 근경(根莖 뿌리줄기)이 굵은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Zeit. 21:53 (186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옥수수
학명 : Zea may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옥수수속(Zea)
이명 : 강낭이 강냉이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1m정도에 달하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져서 처지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수꽃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큰 원추형의 화서를 형성한다. 화서의 분지에는 각 2개의 꽃이 달린 소수(小穗)가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수술이 각 3개씩 있으며 포영에 잔털이 있다. 자화수(雌花穗)는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많은 꽃이 화축에 정렬하며 각각 막질의 영과 1개의 자방이 있다. 암술대는 적갈색이고 화서를 둘러싸고 있는 포영 밖으로 나와 밑으로 처진다. 화서축은 길이 20-30cm로 자라서 굵어지며 많은 영과가 달린다.
열매 : 영과는 편구형이고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며 지름 6mm정도로서 보통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것 및 그 밖의 여러 가지가 있다. 모양이 어금니와 비슷하고 옥수수 수염을 옥촉서예라 한다.
줄기 : 높이 1-3m이고 곧게 자란다. 땅에 가장 가까운 곳에 2~3개의 줄기 마디가 있다.
뿌리 : 줄기 마디에서 굵은 곁뿌리가 나와 땅 속으로 들어가 가는 뿌리를 낸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1년초.
특징 : ▶주요한 재배작물의 하나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옥매
학명 : Prunus glandulosa f. albiplena Koehn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벚나무속(Prunus)
이명 : 만첩옥매 백매 흰옥매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3-9cm로서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4-6mm이다.
꽃 : 꽃은 5월에 잎과 같이 피며 백색 만첩이고 소화경은 뒤로 젖혀지고 선상(腺狀)의 잔톱니가 있으며 꽃잎은 타원형으로서 백색이고 암술대와 자방에 털이 없으나 간혹 잔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은 줄기를 감싸듯 가득히 다닥다닥 붙어 핀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거의 둥글며 지름 1-1.2cm로서 털이 없고 붉게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며 가지에 털이 없고 총생한다. 해마다 땅에서 새로운 가지가 많이 나온다.
분포 : 전국의 정원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홍매(P. sinensis)- 빨간 꽃이 피는 것. ▶산매나무- 매화같이 흰빛깔 홑겹꽃이 띄엄띄엄 피는 것.
특징 : 가지에 털이 없고 밀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Wilson. 1 : 264 (1912)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옥녀꽃대
학명 : Chloranthus fortunei (A.Gray) Solms
과명 :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속명 :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
이명 : 조선꽃대
잎 : 잎은 줄기 끝에 4장이 모여 나며 넓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백색으로 향기가 있고 수술은 3개이며 가늘다. 양쪽 수술대에는 1실로 된 꽃밥이 있고 가운데 수술대에 2실로 된 꽃밥이 있다. 씨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없다. 홀아비꽃대에 비해 남부 지방에 자라며 가운데 수술에 2실로 된 꽃밥이 있는 것이 다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며 둥글고 노란색이 도는 녹색으로 7~8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제주도와 남부 지방의 숲 속에 자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16: 476 (DC., 186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죽
학명 : Phyllostachys nigra (Lodd.) Munr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왕대속(Phyllostachys)
이명 : 검정대 분죽흑죽
잎 : 잎은 보통 1-5(보통 2-3개)씩 달리며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0cm 폭 1-1.5cm로서 잔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에 중륵을 따라 잔털이 있는 것이 있고 견모(肩毛)는 5개 내외로서 점차 떨어진다. 엽초에 연모가 있다.
꽃 : 꽃은 양성 또는 단성으로 2-5개가 화서를 둘러싼 넓은 피침형 포에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2mm로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내영은 3개이다. 자방은 5개 내외로서 점차 떨어지고 긴 난형으로 암술머리가 3개이다.
줄기 : 높이 10m이상 지름 5-8cm이고 줄기가 검다. 죽순은 4-5월에 나온다.
분포 :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유사종 : ▶솜대(P. nigra var. henonis) : 포엽에 흑자색 반점이 없고 엽초에 털이 많은 점이 왕대와 다르며 오죽과 비슷하지만 원대의 지름이 5-8cm까지 굵어지고 수피가 흑자색으로 되지 않는다. ▶반죽(for.punctata NAK.):환경에 따라 색이 다르고 황색 줄기에 흑색반점이 있는 것. ▶관암죽(P.compressa UYEKI):잎이 3~7개씩 달리며 가지 첫마디가 편압되고 초상엽에 잔털이 있는 것.
특징 : ▶줄기가 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hr. 38(1867); Nakai, Fl. sylv. kor. 20 : 49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이풀
학명 : Sanguisorba officinalis L.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오이풀속(Sanguisorba)
이명 : 수박풀외순나물지우지우초
잎 : 잎은 엽병이 길며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1개로 긴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원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2.5-5cm 폭1-2.5(3.5㎝)cm로서 삼각형의 톱니가 있고 털은 없으며 소엽병은 길이 6~30mm이고 밑 부분에 흔히 소엽편이 있다. 근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작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혈적색이고 수상화서는 긴 대가 있으며 길이1~2.5cm 지름 6~8mm로서 곧게 서고 포는 넓은 타원형이며 소포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넓은 타원형이고 수술도 4개로서 꽃받침보다 짧으며 꽃밥은 흑갈색이다. 심피는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사각형이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30-15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비스듬히 방추형으로 자라고 다시 방추형의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중국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유사종 : ▶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alba Trautv. et Meyer) ▶자주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purpurea Trautv. et Meyer) ▶큰오이풀(S. stipulata Rafin.)은 백두산 자생종이다. ▶산오이풀(S. hakusanensis makino)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긴오이풀(S. longifolia Bertol.)은 속리산 이북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
No Image
오이
학명 : Cucumis sativus L.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오이속(Cucumis)
이명 : 물외 외
잎 : 잎은 호생이고 엽병이 길며 길이 8-15cm로서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질이 거칠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주름이 지고 지름 3cm정도로서 짧은 대가 있으며 수꽃은 3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밑부분에 자모(刺毛)가 달린 긴 자방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원주형이며 어릴때는 자모가 있고 길이 15-30cm로서 녹백색 또는 짙은 녹색에서 황갈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황백색이고 편평한 난상 피침형이다.
줄기 : 엽액에서 난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길게 뻗고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굵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덩굴성 1년초
유사종 : ▶참외: 인도 원산. 잎은 호생 잎자루는 길고 얕게 갈라져 손바닥 모양 밑은 얕은 심장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수박: 아프리카 원산.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잎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 깃모양으로 깊에 갈라지고 갈래는 3-4쌍 녹백색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엽멍석딸기
학명 : Rubus parvifolius f. subpinnatus (Nakai)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산딸기속(Rubus)
분포 : 한반도(남부) 일본
형태 : 5소엽이 섞여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l. Sci. Mus. Tokyo 31: 59 (1952)
참고문헌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엽딸기
학명 : Rubus ikenoensis H.Lev. & Vaniot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산딸기속(Rubus)
잎 : 잎은 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장상복엽으로 중앙의 소엽은 가장 크며 사각상 도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예저이고 길이 5~8cm로서 표면과 뒷면 맥 위에 누운 복모가 다소 있으며 결각상의 복거치가 있다. 탁엽은 길이 6-8mm로서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월에 짧은 가지 끝에 1~2송이씩 달려서 밑으로 처지며 꽃받침은 5개이고 길이 15-20mm로서 선모가 섞인 짧은 털과 가시가 있고 열편 끝이 대개 3개로 갈라지는 것이 많다. 꽃잎은 소형이며 뚜렷하지 않다.
열매 :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2.5㎜로서 종자표면에 무늬가 있다.
줄기 : 긴 가지가 처음에는 뿌리에서 곧게 자라다 옆으로 기며 털과 가시가 있고 꽃이 달리는 가지는 긴 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곧게 자라며 가시가 다소 있거나 털이 있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경북 금오산에 난다.
형태 : 낙엽 아관목(亞灌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Bot. France 53: 549 (19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수유
학명 : Euodia officinalis Dode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쉬나무속(Euodia)
이명 : 당수유 약수유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7-15개이며 소엽병이 짧고 난형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점첨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8cm로서 표면은 어릴때 털이 있지만 중륵 이외의 것은 점차 없어지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 : 산방화서는 정생 또는 측생하며 지름 6-11cm로서 털이 있고 꽃은 녹황색으로 5~6월에 피며 빽빽이 나며 거의 소형이다.
열매 : 삭과는 붉은 빛이 돌며 원두이고 4개의 심피(心皮)가 있으며 길이 5-6mm로서 거칠며 종자는 거의 둥글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 4mm정도로서 하늘색이 돈다. 과실을 오수유라고 한다.
줄기 :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50m 수평적으로 경북(경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이다.
유사종 : ▶쉬나무(E. daniellii Hensley): 잎은 7-11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길이 5-12㎝이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선점과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Bot. France 55 : 703 (190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성붕어마름
학명 : Ceratophyllum demersum var. quadrispinum Makino
과명 :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속명 : 붕어마름속(Ceratophyllum)
이명 : 가시붕어말 다섯가시붕어말
잎 : 잎은 엽병이 없으며 5-12개의 밑이 합쳐져서 1개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사며 차상(叉狀)으로 갈라지고 길이 1.5-2.5cm이며 열편은 실같이 가늘고 잔가시같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엽액에 단성화가 1개씩 달리고 8-10개로 갈라진 총포가 있으며 화피는 없다. 수꽃은 여러개의 수술이 있고 수술대는 없으며 꽃밥은 긴 타원형이고 끝에 가시같은 2개의 돌기가 있으며 암꽃은 1개의 암술로 되고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수과는 긴 난형이며 대가 없고 길이 4-5mm로서 밑부분 근처에 2개의 자침(刺針)이 있으며 자침같은 암술대는 흔히 열매보다 길고 남아 있다. 밑부분의 자침 이외에도 견부(肩部)에도 2개의 자침이 달려 있다.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길이 20-40cm로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가 없고 가지가 변한 가근(假根)으로 땅 속으로 들어가며 가지 끝에 생기는 생식아로 월동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6): 21 (1917)
-
No Image
오미자
학명 :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과명 : 오미자과(Schisandraceae)
속명 : 오미자속(Schisandra)
이명 : 개오미자
잎 : 잎은 호생하며 또는 단지에서는 속생하며 길이 7-10㎝ 폭 3-5㎝로서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예첨두 예저이며 뒷면 맥 위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5-3.0㎝이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 6-7월에 피고 3~5송이의 꽃이 새로 나온 단지의 엽액에 각기 한송이씩 핀다. 꽃은 지름15mm로서 약간 붉은 빛이 도는 황백색이며 화피열편은 6-9개이고 길이5~10mm로서 난상 긴 타원형이며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다수로 둥근 화탁상에 모여있다.
열매 : 꽃이 핀 다음 화탁은 길이 3-5cm로 자라서 열매가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서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구형 또는 도란상 구형이고 길이 6-12mm이며 여러개가 송이모양으로 달려 밑으로 처지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열매는 신맛이 강하다. 건조하면 검은색을 띤 진홍색으로 변하고 쭈그러진 주름이 생긴다.
줄기 : 가늘며 드문 드문 분지하고 회갈색이 난다.
뿌리 : 천근성이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200-1 600m에 걸쳐 자생하며 특히 전북 지리산 충북 속리산 강원도 태백산에서 많이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만경목.
유사종 : ▶개오미자(var. glabra NAK.): 잎 뒷면에 처음부터 털이 없다. 처음에 털이 있다가 점차 없어지는 것과 구별하는 사람도 있다.
특징 : 열매의 맛이 5가지라 하여 오미자(五味子)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ist. pl. 1 : 148 (186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오리새
학명 : Dactylis glomerata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오리새속(Dactylis)
이명 : 부리새 오오차드그라스
잎 : 잎은 호생하며 편평하고 분록색이며 길이 30-60cm 폭 0.5-1cm이고 엽설은 길이 7-12mm로서 세모지다.
꽃 : 6~7월에 개화하고 원추화서는 곧추서고 길이 8-20cm로서 가지가 갈라지며 화서축과 가지에 잔돌기가 있다. 소수는 편평하고 가지에 조밀하게 모여 달리며 길이 7-8mm로서 분녹색이고 2-4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피침형 예두로서 첫째 것은 길이 1-3mm이고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5-6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6-7mm로서 내영과 더불어 5맥이 있고 뒷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해져서 까락처럼 된다.
줄기 : 높이 1m정도이며 곧게 서고 연한 녹색이다.
분포 :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미국을 통해 들어 왔으나 울릉도에서는 야생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에 수 종 우리 나라에는 귀화 1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리방풀
학명 : Isodon excisus (Maxim.) Kudo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산박하속(Isodon)
이명 : 둥근오리방풀 지리오리방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끝이 거북꼬리같고 길이 2-5cm로서 꼬리를 제외한 길이와 나비가 각 5-8cm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날개가 있는 엽병으로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잎이 거북꼬리처럼 되지 않는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5-20c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다. 화관은 통부가 짧으며 길이 8-12mm이고 자주색이며 상순은 젖혀지고 얕게 갈라지며 하순은 주형으로서 앞으로 돌출하였다. 4개의 수술 가운데서 2개는 길다.
열매 : 길이 약 2mm의 분과는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네모지고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밑으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오리방풀 (for.albiflorus HARA ): 백색 꽃이 핀다. ▶지리오리방풀(var.coreanus T.LEE) : 잎의 나비가 길이보다 길다. ▶둥근오리방풀 (var.chiisanensis T.LEE) : 톱니가 넓은 치아상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Fac. Sci. Taihoku Imp. Univ. 2(2) : 133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오리나무
학명 : Alnus japonica (Thunb.) Steud.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오리나무속(Alnus)
이명 : 너른닢잔털오리나무물오리나무섬오리나무오리목잔털오리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양면에 광택이 있는 긴 타원형 피침상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예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6-12cm로서 잔톱니가 있고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액에 적갈색 털이 모여나고 엽병은 길이 2-4cm이다.
꽃 : 꽃은 3월에 피며 자웅동주이고 수상화서로 달린다. 웅화수는 길이 4-9cm로서 각 포에 3-4개씩 늘어져 달리고 화피와 수술은 각 4개이며 자화수는 긴 난형이고 각 포에 암꽃이 2개씩 달린다.
열매 : 과수는 2~6개씩 달리며 길이 2~2.5cm로서 긴 난형이고 종자는 편평한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3~4mm로서 양쪽에 날개가 있으나 뚜렷치 않다. 열매는 견과로서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70cm로서 통직하다. 소지는 매끄럽고 갈색 또는 자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털이 있거나 없고 약간 능선이 지며 피목이 뚜렷하고 동아에 대가 있다.
분포 : ▶일본과 만주 대만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1 2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뾰족잎오리나무(var. arguta Call.): 잎 끝이 매우 뾰족하다. ▶털오리나무(var. rufa Nak.): 어린가지와 잎 뒷면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웅기오리나무(var. resinosa Nak.): 어린가지와 잎에 점성이 많다. ▶섬오리나무(var. serrata Nak.): 잎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특징 : ▶경북 청송군 현동면 월매리 하천에 높이 15m 직경 1m나 되는 거목군이 있다. ▶변재는 담황갈색 심재는 회갈색으로 심·변재의 구분이 불분명하고 벌채시 단면이 백색에서 차츰 홍색으로 변화하며 연륜계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방사상의 산공재로 나무갗은 치밀하고 고우며 가볍고 연하며 향기가 있고 내후 보존 절삭가공성은 보통이며 잘 갈라져 건조가 곤란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mencl. bot. ed. 2:55 (184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