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흑삼릉

    학명 : Sparganium erectum L.
    과명 : 흑삼릉과(Sparganiaceae)
    속명 : 흑삼릉속(Sparganium)
    이명 : 호흑삼능흑삼능
    잎 : 잎은 서로 감싸면서 자라 원줄기보다 길어지고 나비 7-12mm로서 뒷면에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여름철에 잎 사이에서 화경(花莖)이 자라 윗부분이 갈라지고 가지 밑에는 잎같은 포가 있다. 잎은 모여나며 선형이고 녹색으로 연질이며 끝이 뭉뚝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단성(單性)이며 백색이다. 화서는 길이 30-50cm이며 두상화수(頭狀花穗)가 穗狀(수상)으로 달리고 밑부분에는 암꽃 윗부분에는 수꽃만 달리며 엽상포(葉狀苞)에 액생한 화수(花穗)의 가지에 달린다. 수꽃은 3개의 화개편(花蓋片)이 있고 3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도 3개의 화개편이 있고 길이 3mm정도이다. 자방은 1개이고 상위로서 길이 3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6mm로서 1개이다.
    열매 : 구과(毬果)는 도란형이며 길이 6-10mm 지름 4-8mm로서 능각이 있고 대가 없다.
    줄기 : 옆으로 벋는 포복지가 있으며 전체가 해면질이고 원줄기는 곧고 굵으며 높이 70-100c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게 옆가지를 내며 줄기는 거칠고 강하며 곧게 선다. 근경을 흑삼릉(黑三稜)이라 한다.
    분포 : ▶일본 중국 아프가니스탄에 분포한다. ▶전남(진도) 전북(덕유산) 강원(금강산) 경기도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2. No Image

    벌레먹이말

    학명 : Aldrovanda vesiculosa L.
    과명 : 끈끈이귀개과(Droseraceae)
    속명 : 벌레먹이말속(Aldrovanda)
    이명 : 벌레먹이너구리말
    잎 : 마디에서 6-8개의 잎이 윤생하며 잎은 지름 4-5cm이다. 겨울에는 가지끝에서 잎이 모여서 둥글게 되어 월동하고 엽병은 길이 4-5mm로서 쐐기형이며 끝에 털같은 돌기가 있고 엽신은 바구니같으며 길이 4-5mm로서 조개처럼 열고 닫으면서 작은 벌레를 잡아 소화시킨다.
    꽃 : 꽃은 8월경에 엽액에서 물위로 올라와 피고 녹색으로서 당일 시들며 꽃받침잎 꽃잎 수술 및 암술대가 각 5개이다. 암술대는 끝이 다시 잘게 갈라지고 꽃이 진 다음 소화경이 굽어 물속으로 들어가 열매가 익는다.
    열매 : 열매는 꽃이 진 후 물 속에 들어가 삭과가 되고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흑색이며 밑부분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 : 길이 6-25cm이며 가지가 약간 갈라지기도 하고 마디에 잎이 윤생한다.
    뿌리 : 뿌리가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물속에 나는 다년초. 식충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3. 졸방제비꽃

    학명 : Viola acuminata Ledeb.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졸방나물
    잎 :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심장형이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2.5-4cm 폭 3-5mm로서 윗부분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긴 타원형으로서 빗살같은 톱니가 있다.
    꽃 :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리며 화경 윗부분에 선상의 포가 달리고 백색꽃의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길이 7-10mm이고 부속체는 짧고 반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오그라들며 톱니가 있다.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측판 안쪽에 수염털이 있으며 거는 길이 3-4㎜m이다.
    열매 : 거(距)는 길이3-4mm이고 삭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8-10mm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20-40cm이고 줄기는 몇 대가 뭉쳐나며 털은 없거나 윗부분에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황백색 또는 갈색의 뿌리가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민졸방제비꽃 (for.glaberrima HARA) : 꽃잎 안쪽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ross. 1 : 252 (184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털산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nipponica var. borealis Hiyama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5. No Image

    갯잔디

    학명 : Zoysia sinica Hanc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잔디속(Zoysia)
    이명 : 개잔디
    잎 : 잎은 비스듬히 또는 곧추서며 편평하거나 안으로 말리고 길이 3-9cm 나비 2-3㎜로서 끝이 뾰족하고 날카롭다. 엽초에 긴 털이 있고 엽설은 뻣뻣한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10-25cm이며 화경 끝의 화수(花穗)는 길이 3-5cm 지름 4-7mm로서 소수(小穗)가 밀착하고 소수는 피침형으로서 대에 들어붙으며 길이 5-7mm 지름 1.2-1.5mm이다. 포영은 1개이며 길이 3-4mm로서 피침형이고 꽃밥은 길이 1.5-2mm로서 선형이다.

    줄기 : 곧게 자란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소수의 길이가 4-5mm인 것이 본 기본종의 특색이다.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것은 일본의 것과 같이 소수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변종(var.nipponica Ohwi)이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Bot. 7(79): 168. (186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6. No Image

    흰노랑민들레

    학명 : Taraxacum coreanum var. flavescens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잎 : 잎은 밑동에서 총생하고 피침형 끝은 뭉뚝하고 밑은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고 양 면에 털이 있으며 갈래는 5~6쌍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민들레보다 개체수가 훨씬 적다. 연노란색이 피며 민들레와 흰 민들레가 합쳐진 것처럼 보인다. 두상화서는 꽃줄기 위에 1개씩 붙고 총포는 엷은 녹색 꽃이 필 때보다 꽃이 핀 후에는 더욱 자라고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5월에 익는다.


    분포 :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7. 물매화

    학명 : Parnassia palustris L.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물매화속(Parnassia)
    이명 : 물매화풀 풀매화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10-3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으며 원줄기를 감싼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7-45cm로서 털이 없고 능선이 다소 있으며 중앙부에는 1개의 잎 끝에는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2.5cm로서 백색이며 꽃은 하늘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7-10mm로서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며 밖을 향한 꽃밥이 달리고 수술대는 처음에는 자방에 기대었다가 교대로 밖으로 굽으며 헛수술은 5개로서 끝이 12-22개로 갈라
    열매 : 삭과는 길이 10-12mm로서 넓은 난형이고 8월부터 익어 4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쏟아낸다.
    줄기 :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고 꽃대 줄기를 싸고 붙어있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유럽 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산지의 산록에서 자라고 고산지대에서도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유사종 : 애기물매화(P. alpicola Makino)는 한라산 중턱 이상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특징 : 산챠도 애호가들에 의해 재배 관상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8. 뻐꾹나리

    학명 : Tricyrtis macropoda Miq.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뻐꾹나리속(Tricyrtis)

    잎 :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2~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줄기를 거의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하엽은 털이 없으나 중부 이상의 잎은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거친 털이 많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백색으로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하부에 황색 반점이 있는 것도 있고 줄기 끝과 상부 잎짬에 산방화서로 달린다. 화피편은 6개이고 내편은 좁은 피침형으로 평개하며 내편은 넓은 도피침형으로 외측에 선모가 있고 기부가 강하게 뒤로 말린다. 수술대에 털 같은 돌기가 있고 암술 3개로 기페 갈라지고 열편에 둥근 돌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약 3cm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비스듬히 하향하는 털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은 수직으로 들어가며 마디에 잔뿌리를 내고 때로 복지를 뻗는다.
    분포 : 경기(광릉)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Lugd.-bot. 3:155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아구장나무

    학명 : Spiraea pubescens Turcz.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이명 : 물참대 아구장조팝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3-4㎝로서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나 간혹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표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은 밀모가 있으며 회록색이고 엽병은 길이 2-3mm이다.
    꽃 : 꽃은 5월경에 피며 지름 5-8mm로서 백색의 양성화이고 새가지 끝에 15-20개의 꽃이 산형화서에 달리며 화서에 털이 없고 소화경은 길이 0.7-1.2cm이다. 꽃받침잎은 곧으며 꽃잎은 5개로 수술과 길이가 거의 같다.
    열매 : 열매는 4-5개의 자방으로 되어 있는 골돌로서 복봉선(腹縫線)을 따라 털이 있고 끝에 돌기가 있으며 8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는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소지에는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100-1 500m 사이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초평조팝(var. leiocarpa NAK.): 잎에 털이 적고 자방에 털이 없다
    ▶설악아구장(var.lasiocarpa NAK.): 열매의 뒷면에 오랫동안 긴 털이 남아 있고 果序(과서)에 털이 없다.

    특징 : 천연하종 발아가 되어 안정된 식생을 이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at. Mosc. 5 : 190 (18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지네발새

    학명 : Dactyloctenium aegyptium (L.) Will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지네발새속(Dactyloctenium)











    학명출전 : Enum. Pl. 2 : 1029 (Willd., 1809)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3 : 81 (2003)
    Read More
  11. No Image

    가는잎독미나리

    학명 : Cicuta virosa var. stricta K.F.Schultz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독미나리속(Cicuta)






    분포 : 한반도(평안북도 낭림산 함경남북도) 일본 사할린 아시아 유럽


    특징 : 기본종인 독미나리에 비해 잎이 좁은 극단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Fl. Starg. Suppl. 17 (1819)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가문비나무

    학명 :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ere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가문비나무속(Picea)
    이명 : 가문비 감비
    잎 : 잎은 길이 1∼2㎝로서 편평하고 선형 예두이며 곧거나 구부러지고 표면 가까운 양쪽에 수지구가 있다. 잎의 뒷면에 백색 기공조선이 발달한다. 잎횡단면 양측 가장자리에 송진 구멍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황갈색으로 핀다. 수꽃은 원통형이며 길이 1.5cm로 황갈색이고 암꽃은 타원형으로서 길이 1.5cm이며 연한 자주색이다. 자웅동주이다.
    열매 : 구과는 9-10월에 익으며 황록색이고 원통형 또는 원통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40-75mm이며 주로 가지끝에 매달리며 처음에는 상향하고 있다가 나중에는 하향하게 된다. 실편은 도란형 또는 마름모 비슷한 긴 타원형으로 윗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포는 작고 침형으로서 뾰족하며 종자는 난형 원두이고 길이 24-30mm로서 흑갈색이 돌며 날개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7mm정도이다. 종자에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40m이상이고 지름이 1m에 달하며 수관이 원추형이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비늘처럼 벗겨진다. 소지는 털이 없고 누른빛이 돌며 잎이 떨어진 자리가 돌출하여 있다. 동아는 원추형으로서 수지로 덮여 있다.

    분포 : ▶중국과 만주 일본에도 분포한다. ▶지리산(반야봉 천왕봉 중봉) 덕유산 설악산 금강산 백두산 등의 표고 500-2 300m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
    유사종 : ▶붉은가문비(for.rubrilepis Uyeki) : 열매가 자주갈색(마르면 암갈색)이며 북부지방에서 볼 수 있다.
    특징 : 심·변재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변재에서 심재쪽으로 짙어지는 담황갈색이다. 목리는 통직하고 가볍고 연하며 향기는 없으며 건조 가공 할열 표면마무리 등이 양호하고 도장성은 보통이나 내후 보존성은 낮고 특히 소리의 전달성이 양호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aite gen conif. 255 (185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3. 구름제비꽃

    학명 : Viola crassa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구름노랑제비꽃 구름털제비꽃 큰장백오랑캐
    잎 : 잎은 원줄기에 3-4개씩 달리고 신심형 또는 편심형이며 두껍고 맥이 뚜렷하며 털이 없고 길이 1-2cm 폭 2-4.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잎보다 3-4배 길고 탁엽은 난형이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둔하다.
    꽃 : 화경은 길이 3-4cm로서 원줄기 끝에 달리고 위쪽에 소포가 있으며 꽃은 7월에 피고 밝은 황색이며 좌우상칭이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mm이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10-12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갈색줄이 있으며 거(距)는 반원형이고 길이 1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5-12cm이고 3-4개의 잎이 원줄기에 달리며 붉은 빛이 돈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짧으며 마디가 짧다.
    분포 : 낭림산 이북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장백제비꽃과 비슷하지만 줄기에 붉은 빛이 돌며 잎이 두껍고 맥이 뚜렷하며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9 : 87 (190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산조아재비

    학명 : Phleum alpinum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풀속(Phleum)
    이명 : 두메산조아재비 산돌조
    잎 : 잎은 길이 10㎝ 폭 5-6㎜로서 편평하며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반원형이고 길이 3.5mm이며 막질로 되어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화서는 원주형이며 길이 1.5-3㎝ 지름 8-10mm로서 자줏빛이 도는 연한 녹색이고 소수(小穗)가 밀착하며 소수는 길이 3mm 지름 1.5mm이고 편평하다. 포영은 3맥이 있으며 둥근 절두이고 능각끝에 길이 1mm정도의 퍼진 털이 있으며 끝이 길이 2mm정도의 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길이 2㎜정도로서 밋밋하고 용골에 강모가 있으며 표면에 연모가 있고 절두이며 3맥이 있고 끝에서 까락이 나온다. 외영은 길이 2.5㎜로서 투명하고 5

    줄기 : 높이 30-40cm이고 포기를 형성하며 밑이 땅을 기다 윗부분이 곧게 서며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북반구 남미의 고산 또는 극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북부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실말

    학명 : Potamogeton pusillus L.
    과명 : 가래과(Potamogetonaceae)
    속명 : 가래속(Potamogeton)
    이명 : 실가래
    잎 : 잎은 거의 침수성이며 좁은 선형으로 길이 2~5cm 나비 0.7~1.5mm이고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1~3맥이 있으나 없는 것같이 보이기도 하며 잎 안쪽에 줄기를 싸는 길이 6~7mm의 탁엽이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 6~8월에 피고 수상화서로 달리며 화서의 길이 4~5cm이고 꽃이 달리지 않는 절간이 신장한다. 화피가 없으며 심피 수술과 암술이 각 4개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난상 원형이며 길이 1.8mm이고 등쪽에 3개의 줄이 있다.
    줄기 : 줄기와 잎이 몹시 가늘고 수중경은 잘 갈라지며 가지 끝이 불완전한 월동아로 된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세계의 온대와 열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수생관속식물 (최홍근, 200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산 수생관속식물지 (최홍근, 1985)
    4)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나도제비란

    학명 : Orchis cyclochila (Franch. & Sav.) Maxim.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난초속(Orchis)
    이명 : 방울난초 차일봉무엽란 큰홀잎난초
    잎 : 잎은 1개이며 뿌리에서 나고 자루가 있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4~7cm 폭 2.5~5cm이다.
    꽃 : 꽃은 5~9월에 피고 보통 2개씩 달리며 연한 홍색이고 보통 줄기 끝에 2개씩 달리며 포는 좁고 긴 난형으로 길이 1~2.5cm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8~10m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3맥이 있고 끝이 약간 둔하며 윗부분의 것은 곧추서며 옆의 것은 퍼지고 꽃잎은 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순판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약 1cm로서 중앙 윗부분의 양쪽이 들어가고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으나 톱니가 있다. 거(距)는 선형으로 길이 7~10mm이며 끝이 가늘고 뒤로 젖혀진다. 꽃술대는 타원형이며 편평하다. 꽃가루덩이는 흰색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7-17cm이며 털이 없고 밑부분에 1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뿌리가 다소 굵다.
    분포 : ▶일본 북부 사할린 등지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지리산 설악산 이북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나도제비란(for. leucantha Hort.): 꽃이 흰색이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 Biol. 12:548 (188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7. 물칭개나물

    학명 : Veronica undulata Wall.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물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심장저이며 원줄기를 다소 감싸고 길이 4~7cm 폭 8-15m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총상화서는 엽액과 끝에 달리며 길이 5-12cm로서 화경이 짧고 소화경은 퍼지며 길이 4-6mm이고 포는 넓은 선형이며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도 지름 4mm로서 4개로 갈라진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둥근 삭과이며 지름 약 3mm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다소 육질이며 어릴 때는 군생하고 곧게 선다.

    분포 : ▶아시아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퍼져 있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ind. ed. 1: 147 (Roxb., 18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좁은잎산사

    학명 : Crataegus pinnatifida f. psilosa (C.K.Schneid.) Kitag.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산사나무속(Crataegus)
    이명 : 좀아가위나무좁은잎산사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삼각상 난형 또는 능상 난형이다.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는 5~10㎝이다. 5~9개의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밑부분의 열편은 중륵까지 갈라지고 매우 좁다. 양면의 중륵과 측맥에는 털이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6cm이며 탁엽은 크고 거치가 있다.
    꽃 : 흰색
    열매 : 꽃은 잎이 핀 다음 4~5월에 흰색으로 피고 산방화서를 이룬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5개씩이고 수술은 20개이다.
    줄기 : 열매는 이과로 둥글며 흰 반점이 있으며 9~10월에 빨갛게 익는다. 보통 3~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뿌리 : 줄기는 회색을 띤다. 어린줄기는 길이 1~2cm 의 가시가 있으며 없는 경우도 있다.
    분포 : 전국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9. No Image

    가는갯는쟁이

    학명 : Atriplex gmelinii C.A.Mey.
    과명 : 명아주과(Chenopodiaceae)
    속명 : 갯능쟁이속(Atriplex)
    이명 : 가는갯는장이 가는갯능쟁이 좁은잎갯는쟁이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녹색이고 처음에는 백분으로 덮여 있으며 길이 5-10cm 폭 3-1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개의 톱니가 있으며 길이 5-15mm의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단성화이고 줄기 끝이나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며 전체가 수상화서와 비슷하고 암꽃과 수꽃이 섞여서 달리며 연녹색이고 수꽃은 포가 없으며 4-6개의 꽃받침잎이 있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4-8개이고 암꽃은 2개의 포가 있으며 꽃받침잎이 없고 자방에 2개의 암술대가 있다. 포는 자라서 난상 삼각형이 되고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길이와 폭이 각각 3-4mm로서 1개의 포과가 들어 있다.
    열매 : 열매는 포과이고 종자는 흑색이며 지름 1.5mm정도로서 원반형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곧게 서며 줄기는 단단하고 가지는 다소 위를 향하며 다육질이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해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갯는장이(A. subcordata Kitagawa): 잎은 삼각상 피침형 끝이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이 창검과 비슷하며 가장자리에 크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t.-Petersbourg 6-2 : 160 (18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호작약

    학명 : Paeonia lactiflora f. pilosella Nakai
    과명 : 작약과(Paeoniaceae)
    속명 : 작약속(Paeonia)
    이명 : 백작약 청진작약
    잎 : 잎은 호생하고 1~2회 우상으로 3출하며 소엽은 종종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좁은 도란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엽병은 붉은빛이 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 또는 적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 5개 꽃잎은 10개이나 종종 겹꽃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이고 내봉선으로 터진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자르면 붉은빛이 돈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잎뒤 맥 위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585 (Kitag., 19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