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외잎쑥

    학명 : Artemisia viridissima (Kom.) Pamp.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속(Artemisia)
    이명 : 큰외잎쑥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8-10㎝ 나비 16-19㎜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두화는 화경이 거의 없으며 꽃이 필 때는 다소 밑을 향하고 길이 3-3.5mm 나비 2.5-3㎜로서 긴 타원형이며 원추화서 모양으로 달린다. 총포는 황록색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끝이 둥글며 중편은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암꽃의 화관은 길이 1mm정도이고 양성화의 화관은 길이 2.3mm정도이다.
    열매 : 수과이다.
    줄기 : 높이 90-120cm이고 짙은 녹색이며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고 가지가 짧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벋는다.
    분포 : 설악산 이북 고산지대에서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암꽃과 양성화의 모양이 다르고 암꽃 화관의 길이는 1㎜이고 양성화 화관의 길이는 2.3㎜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uovo Giorn. Bot. Ital. n. s. 36: 484 (1930)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은분취

    학명 : Saussurea gracilis Maxi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가야산은분취 남분취 은분취 참서덜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5~12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타원상 3각형 또는 3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화살형·심장형 또는 검모양이며 길이 5~12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선모가 밀생하며 백색이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톱니가 작아져서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되며 엽병이 없어진다.
    꽃 : 두화는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5~30cm이며 총포는 길이 13~16mm 지름 8~14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덮여 있고 자줏빛이 돌며 8~11줄로 배열되고 뒷면에 7맥이 있으며 외포편은 난상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예두이며 중포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내포편은 선형이다. 화관은 자줏빛이 돌며 길이 12mm 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5.5mm 지름 1.5mm 정도로서 자줏빛이 도는 줄이 있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날개가 없으며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Sci. Petersb. 19: 518-519 (1874)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3. No Image

    이삭여뀌

    학명 :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7-15cm 폭 4-9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5-30mm의 짧은 엽병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있고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다. 탁엽은 원통형이며 길이 5-10mm로서 가장자리에 수염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적색이며 짧은 화경이 있어 약간 휘고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에서 나오며 길이 20-40cm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길이 2-3mm로서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이고 자방은 난상 원형이며 화주(花柱)는 보다 길고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양끝이 좁고 납작한 난형이며 암갈색이고 길이 2.5mm 가량으로서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숙존악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거친 털이 산포되어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새이삭여뀌 (var. neofiliforme T. LEE) : 잎에 털이 적고 맥이 들어가지 않으며 끝이 뾰족하다.
    특징 :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aishu & Kwan Isl. 41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4. No Image

    장백패랭이꽃

    학명 : Dianthus repens Willd.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패랭이꽃속 (Dianthus)
    이명 : 갈미석죽
    잎 : 잎은 대생하고 좁은 선형으로 끝이 둔하다.
    꽃 : 꽃은 7~8월에 엷은 자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원통형으로 끝이 5열하며 꽃 밑의 소포는 늘 2개이며 좁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둔하고 꽃받침과 등장 또는 약간 길다. 꽃잎은 5개로 끝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수술은 10개 화주는 2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며 가지친다.

    분포 : 평북(묘향산) 함남(차일봉) 함북(관모봉)에 나며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ed. 4) 2(1) : 681-682 (179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5. No Image

    제주고사리삼

    학명 : Mankyua chejuense B.Y.Sun et al.
    과명 :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속명 : 제주고사리삼속(Mankyua)





    뿌리 : 땅속줄기는 흑갈색 지름 5mm정도이고 옆으로 기며 1~2개의 잎이 나온다. 뿌리는 갈색이고 지름 2mm정도이며 싹을 낸다. 엽병은 길이 8~12cm이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다. 잎몸은 줄기에 수직으로 달리고 연한 녹색 또는 녹색 3개로 갈라지며 다시 2개로 갈라져 5~6개의 우편 조각으로 보이며 약간 단단하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 우편 자루는 길이 0.3~0.5mm로 짧다. 우편조각은 길이 3~4cm 너비 6~10mm이다. 난상
    분포 : 한국(제주도) 특산
    형태 : 상록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6. No Image

    제주상사화

    학명 : Lycoris chejuensis K.H.Tae & S.C.Ko
    과명 : 수선화과(Amaryllidaceae)
    속명 : 상사화속(Lycoris)


    꽃 : 꽃이 8월에 피고 황미백색으로 화피의 중륵에 붉은선이 있다.



    분포 : 제주도

    유사종 : ▶(L.incarnata) ▶진노랑상사화(L.chejuensis var. sinuolata)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3(4)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 J. Pl. Tax. 23: 233 (1993)

    Read More
  7. No Image

    좀찔레

    학명 : Rosa multiflora var. quelpaertensis (H.Lev.)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장미속(Rosa)
    이명 : 좀가시나무 좀잎새비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 1-2cm 폭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에는 빗살같은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엽병과 합쳐진다.
    꽃 : 꽃은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이루며 꽃은 5월에 백색 또는 연홍색의 작은 꽃이 핀다.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선모가 약간 있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지며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미요두이며 향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정도로 9월경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3㎜정도로서 백색이며 털이 나 있다.
    줄기 : 가지끝이 밑으로 처지고 흔히 덩굴성으로 되며 소지에 가시가 있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50-1 900m 사이의 산기슭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찔레(=털가시나무 var. adenochaeta): 잎과 화서에 선모가 많다. ▶제주찔레(R. luciae FR. et ROCKHEB.) : 탁엽의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암술대에 털이 있다. ▶국경찔레꽃(R. jaluana): 제주찔레와 비슷하지만 꽃이 적색이고 탁엽에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Quelpaert Isl. 53 (Nakai,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8. No Image

    줄사초

    학명 : Carex lenta D.Don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제주줄사초 홍노줄사초
    잎 : 잎은 폭 2-3㎜로서 단단하고 엽초는 짙은 흑갈색이며 한마디에서 1-3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일부가 다시 갈라져 많은 소수(小穗)가 달린다.
    꽃 : 소수는 타원형이며 길이 5-20㎜ 폭 3-4㎜로서 윗부분에 수꽃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지만 중앙부의 것은 모두 암꽃이며 대가 있다. 포는 잎같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으로서 적갈색이고 막질이며 길이 2㎜ 폭 1.3㎜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 : 과포는 넓은 난상 타원형이며 양쪽이 볼록하고 길이 3-3.5mm 폭 1.5-2mm로서 맥이 많으며 가시같은 털이 밀생하고 부리는 짧으며 끝은 막질로서 얕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1.5mm정도로 양쪽으로 편평해진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40-70cm이고 큰 포기로 되며 윗부분이 처진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다년초
    유사종 : ▶홍노줄사초 (var.sendaica T.Koyama) : 줄사초보다 작고 옆으로 뻗는 줄기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ans. Linn. Soc. London 14 : 327 (182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진퍼리용담

    학명 : Gentiana scabra f. stenophylla (H. Hara) W.K.Paik & W.T.Lee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잎 : 잎은 대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1맥이 있으며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린다. 가장 큰 잎은 길이 7cm 나비 5m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가장 넓고 원줄기에 붙어 있다.
    꽃 : 꽃은 10월에 피며 정생 또는 액생하고 소화경이 없으나 액생하는 것은 가지 끝에 달려서 화경처럼 보이며 포는 잎같고 꽃보다 짧거나 비슷하다. 꽃받침통은 길이 1cm정도이며 열편은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거나 2배 정도 길고 화관은 길이 3.5cm이며 열편은 하늘색이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잎 사이에서 밑을 향해 달리는 좁은 능선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털이 없다.

    분포 : 수원 근처
    형태 : 다년초

    특징 : 용담과 비슷하지만 잎이 선상 피침형이고 습지에서 자라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25: 161 (1995)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0. No Image

    취앙네

    학명 : 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Nakai) T.B.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4-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길이 2-3㎜인 침상의 톱니가 있고 길이가 2-3mm이다. 엽병은 길이 2-5cm로 털이 없다.
    꽃 : 꽃은 5-7개씩 산방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고 화관은 지름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4-5cm로 8-10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햇볕이 닿는 곳은 붉은빛이 돈다.
    줄기 :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어린 가지는 자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의 인가 및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문배나무(var. seoulensis) : 꽃이 큰 것.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Uyeki)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청실리(var. ovoidea Rehder) : 열매가 난상 원형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275 (1966)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1. No Image

    층층고랭이

    학명 : Cladium chinense Nees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층층고랭이속(Cladium)
    이명 : 멧돼지새
    잎 : 잎은 넓은 선형이며 나비 8~10mm이다. 끝이 점점 가늘어지고 가장자리와 뒷면은 가시같은 잔돌기가 잇어 거칠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취방화서는 도원유형으로 많은 소수가 밀착하고 지름은 4~10cm이며 가각 대가 있다. 포는 잎 같으며 화경보다 길고 소수는 타원형으로 갈색이고 몇개가 모여서 둥근 소수군을 형성한다. 소수는 10개 정도의 인편과 2개의 꽃이 달리고 윗부분의 꽃이 열매를 맺는다. 수술은 2개이고 암술대는 가늘고 3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도란상 구형이며 길이 2.5mm이다.


    분포 : 한국(제주)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9 : 301 (1835)

    Read More
  12. No Image

    털긴잎모시풀

    학명 : Boehmeria hirtella Satake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 털모시 털모시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20cm 나비 4-10cm로서 끝이 꼬리처럼 뽀족하고 밑부분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한다. 엽병은 붉은빛이 돌며 엽신보다 짧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8-10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밑부분에 웅화서 윗부분에 자화서가 달린다. 수꽃은 둥글게 모여 달린다. 수꽃은 화피 4장 수술 4개로 되어 있다. 암술머리는 1.5mm이다.
    열매 : 열매는 화피에 싸이고 열매는 수과로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다.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고 양끝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총생하며 줄기는 둔한 사각형으로 짧은 복모가 있고 붉은빛이 돈다.

    분포 : 경기도 이남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Fac. Sci. Univ. Tokyo, sect. 3, Bot. 4: 493 (193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흰땃딸기

    학명 : Fragaria nipponica Makino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딸기속(Fragaria)
    이명 : 산땃딸기 흰따딸기 흰땅딸기 흰뱀딸기
    잎 :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3출엽이고 정생엽은 난상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cm 폭 1-3cm로서 표면과 뒷면 맥위에 복모가 있고 뒷면은 연두색이다. 측소엽은 약간 작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지름 2cm로서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5월에 자라며 1-5개의 꽃이 달리고 퍼진 털이 있으며 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길고 소화경에 위를 향한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피침형 예첨두이며 녹색이고 끝까지 남아 있으며 부악편은 선상 타원형으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꽃잎도 5개로서 옆으로 퍼진다. 수술은 길이 3-4mm로서 암술과 더불어 많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화탁에 붙으며 화탁은 지름 10mm로서 난상 원형 또는 구형이며 겉에 털이 약간 있고 붉은색이며 육질이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전체에 털이 많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자홍색의 포복지가 자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백두산의 숲속 등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전체에 털이 밀생 양딸기에 비해 아주 소형이고 꽃자루에 비스듬히 털이 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4 : 282 (19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깨풀

    학명 : Acalypha australis L.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깨풀속(Acalypha)
    이명 : 들깨풀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이며 길이 3-8cm 폭 1.5-3.5cm로서 밑부분에서 3-5맥이 갈라지고 표면에 복모가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이다.
    꽃 : 7-8월에 엽액에서 짧은 화경이 있는 화서가 나오고 수꽃은 윗부분에 수상화서로 달리며 포엽은 갈색이고 삼각상 난형으로서 톱니가 있으며 화서 기부에 달리는 암꽃을 둘러싼다. 수꽃의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막질이며 수술은 8개로서 밑부분이 붙어 있다. 보통 2개의 암꽃이 달린다. 암꽃은 꽃받침이 3개로 깊게 갈라지며 자방은 둥글고 털이 있으며 화주는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지름 3mm가량으로 털이 있고 대가 없으며 둥글다. 종자는 길이 2mm가량으로 넓은 난형이고 흑갈색이며 윤이 나고 밋밋하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짧은 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중부 이남지역에 분포하면 중국 일본 러시아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열대와 온대에 널리 약 3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5. No Image

    꼴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tristachya var. subbispicata (Nees & Meyen) T.Koyama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이명 : 골하늘직이 꼴하눌직이 꼴하늘직이
    잎 : 잎은 밑부분에 달리며 폭 1mm로서 화경(花莖)과 같거나 짧고 기부의 엽초는 갈색이다.
    꽃 : 7~10월에 개화하며 끝에 1개의 소수가 달리지만 2-3개인 것도 있다. 포는 1개이고 길이 5cm이지만 없을 때도 있다. 소수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25mm 지름 4-6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인편은 넓은 난형이고 맥이 많으며 중앙부가 회록색이고 끝이 둔하며 소돌기가 있다. 잔꽃은 바늘모양의 꽃덮이가 없고 암술대가 편평하며 상부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열매 길이의 4배 정도인 4~7mm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 또는 렌즈형이고 길이 1-1.25mm로서 짧은 대가 있으며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0-60cm이며 작은 군총을 형성하고 곧게 서며 세모지고 매끄럽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Fac. Sci. Univ. Tokyo, Sect. 3, Bot. 8: 114 (1961)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나래미역취

    학명 : Solidago virgaurea var. corean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미역취속(Solidago)
    이명 : 미역취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4-10cm 폭 1.5-4cm로서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밑부분이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잔털이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줄기 위로 갈수록 잎은 점차 작아져 피침형으로 되며 엽병도 점차 없어진다.
    꽃 : 꽃은 8-9월에 등황색으로 피며 두화로서 원추상으로 달리고 포는 없거나 작다. 총포는 통상종형으로서 길이 4-6mm이다. 총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막질이며 녹색의 주맥부분이 있고 원두이다. 외포편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3mm이며 내포편은 침형이고 길이 6-6.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길이 8.5mm 나비 2mm정도이다. 화관이 길이 5mm 나비 1.5mm정도이고 두화가 밀착한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세로로 줄이 있으며 털이 없다. 관모는 길이 4-4.5mm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7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단일하거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잔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북 하북)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울릉미역취 var. gigantea MIQ.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31: 110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남방개

    학명 : Eleocharis dulcis (Burm.f.) Trin. ex Hensc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바늘골속(Eleocharis)
    이명 : 남올방개
    잎 : 엽초는 길이 5-20㎝로서 부분적으로 붉은 빛이 돈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40-80㎝ 지름 2-5mm로서 둥글며 회록색이고 밋밋하지만 격막이 있기 때문에 마르면 마디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화수는 길이 2-4㎝ 지름 3-4mm로서 원주형이다. 인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5-6mm로서 백록색이며 끝이 절두이다. 암술대는 짧은 삼각형이고 반상체가 뚜렷하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고 화피열편은 바늘같이 가늘며 6-8개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상 원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황갈색이며 밋밋하다.
    줄기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Vita Rumphii 186 (18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8. No Image

    동아

    학명 : Benincasa cerifera Savi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동아속(Benincasa)
    이명 : 동과 동박 )
    잎 : 잎은 어긋나고 심장상 원형이며 5∼7개로 얕게 갈라지고 잔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1가화로 여름에 피고 황색이며 화관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원형에서 타원형이고 품종에 따라 다른데 큰 것은 지름 30cm 길이 60∼90cm 무게 7.5∼10kg에 달한다.
    줄기 : 줄기에 갈색 털이 있다.

    분포 : 아시아 열대와 중국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ibl. Ital. 9 : 158, t. col. (181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떡신갈참나무

    학명 : Quercus × mccormickomongolica T.B.Lee
    과명 : 참나무과(Fagaceae)
    속명 : 참나무속(Quercus)

    잎 : 잎은 도란형이고 길이가 2-20cm 나비2.5-12cm로서 둔두 이저(鈍頭 耳底)이며 예리한 톱니 또는 둔한 톱니가 5-10쌍 있다. 잎 표면은 주맥 기부에만 털이 있고 뒷면의 털은 갈참나무와 떡갈나무의 중간형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단모가 나타나며 맥 위에 단모 또는 갈참나무의 성모와 비슷한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mm정도로서 주맥처럼 털이 있으나 떨어진다.

    열매 : 각두는 깊은 또는 얕은 반구형이고 포린은 신갈나무와 갈참나무 또는 신갈나무와 떡갈나무의 중간형이며 깊이 5-10mm 나비 10-17mm이다. 열매는 떡갈나무 갈참나무 및 신갈나무의 중간형으로서 끝부분에 털이 있고 길이 20mm 지름 10-15mm이다.
    줄기 : 소지에 짧은 성모가 밀생하지만 점차 떨어지고 동아는 난형이며 떡갈나무와 같은 털이 있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 또는 소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의 잡종으로 본다. ▶전체적으로 볼 때 잎과 가지는 떡갈나무 각두와 포린은 신갈나무에 가까우나 잎 뒷면의 털이 갈참나무와 떡갈나무의 중간형이다. ▶교목 또는 소교목이지만 대개 관목상태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Bot. 4:19 (19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20. No Image

    뚝사초

    학명 : Carex thunbergii var. appendiculata Traut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논두렁사초 논드렁사초 둑사초 복지사초 좁별사초
    잎 : 잎은 나비 1.5~4mm로 줄기보다 짧고 마르면 흔히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린다. 기부의 엽초는 엽상 또는 엽신이 없고 황갈색 또는 적자갈색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3~5개의 소수가 달린다. 위쪽의 소수는 길이 2~6cm로 갈색 선형이며 수꽃이 달린다. 아래쪽의 소수는 길이 1.5~5cm로 장타원형 또는 원주형의 암꽃이 달린다. 최하의 포는 짧은 엽상이다. 암꽃의 인편은 장타원상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과포는 난형으로 부리는 몹시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둥근 렌즈 모양이며 길이가 2mm이고 양면에 가는 맥이 있다. 암술머리는 2개이다.
    줄기 : 줄기는 뭉쳐나고 세모지며 높이가 20∼80cm이다.
    뿌리 : 근경은 아주 드물게 포지를 낸다.
    분포 : 한국·일본을 포함하여 동아시아 북부의 한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산비늘사초와 비슷하나 잎이 가늘고 인편이 과포보다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