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순비기나무

    학명 : Vitex rotundifolia L.f.
    과명 : 마편초과(Verbenaceae)
    속명 : 순비기나무속(Vitex)
    이명 : 만형 만형자 만형자나무 풍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두꺼우며 난형 도란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미철두(微凸頭)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2~5cm 폭 1.5-3.0㎝로서 표면에 잔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이 돌며 뒷면은 은백색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혁질이다. 엽병은 길이 5-7m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수상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4-7cm로서 화경에 짧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술잔모양이고 백색털이 밀생하며 화관은 벽자색이고 긴 쪽의 지름이 13mm정도로서 겉에 백색털이 있으며 밑부분의 열편은 중앙부가 백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수술은 이강웅예(二强雄蘂)이고 꽃밥은 자주색이며 암술머리는 연한 자주색으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지름이 5-7㎜인 핵과로 원형 또는 도란상 원형이고 목질이며 지름 5-7mm로서 9~10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과실을 만형자라 한다.
    줄기 : 옆으로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고 소지는 약간 네모지며 백색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백분으로 덮여 있는 것 같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경북 및 황해도 이남의 해변 모래땅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목형(V. cannabifolia Sieb. et Zucc.):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고 중국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다.
    특징 :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모래밭을 기어가며 산다. 전체에 회색빛이 나는 흰색의 잔털이 퍼져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uppl. Pl. 294 (178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실사초

    학명 : Carex fernaldiana H.Lev. & Vanio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새사초
    잎 : 잎은 지름 0.3-1㎜로서 밑부분에서는 항상 안쪽으로 말리며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고 섬유질이다.
    꽃 : 소수(小穗)는 2-3개이고 웅화수(雄花穗)는 끝에 달리며 선형이고 측소수는 암꽃이며 짧은 원주형이고 길이 7-15mm 지름 1.5mm로서 몇 개의 꽃이 드물게 달린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소수보다 길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자화영(雌花穎)은 1맥이 있고 긴 타원상 도란형이며 둔두이지만 끝이 뾰족하고 연한 녹색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곧추서며 막질이고 황록색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2.5-3.5mm로 털이 없으나 윗부분의 가장자리가 약간 거칠며 맥이 있다. 부리 끝은 얕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길이 1.5-2mm로서 세모진 도란형이고 밀접하여 윗부분의 반이 압편되어 수과에 들어붙는다.
    줄기 : 근경에서 총생하며 높이 15-30cm이고 실같이 가늘며 둔한 삼각형이고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nt. Geogr. Bot. 10: 276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애기흰사초

    학명 : Carex mollicula Boot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자리사초
    잎 : 잎은 호생하고 편평하며 폭 4-8mm로서 3맥이 뚜렷하고 넓은 선형이며 줄기보다 길게 나오고 주름지며 밝은 녹색이고 털이 있다. 밑부분의 엽초는 연한 황갈색이고 흔히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3-6개로서 대가 없으나 밑부분에 떨어져 있는 것은 짧은 대가 있으며 정소수는 수꽃이지만 끝에 암꽃이 달리기도 하고 길이 1.5-3cm이며 측소수는 암꽃이고 길이 1.5-3cm 지름 4mm로서 짧은 원주형이며 1-3개가 줄기옆에 다닥다닥 붙는다. 첫째 포는 화경(花莖)보다 길며 초가 없고 암꽃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5mm로서 뒷면 녹색부에 1맥이 있다. 자화영(雌花穎)은 피침상 난형이며 끝이 날카롭다. 암술대는 곧고 암술머리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수평하거나 약간 뒤로 젖혀지고 좁은 난형이며 길이 3-4mm로 털이 없고 맥이 약간 있다. 긴 부리 끝은 백색 막질로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고 길이 1.5㎜로서 세모진 넓은 난형이고 끝이 꼬부라진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곧게 서며 총생하지만 옆으로 뻗는 줄기가 있으며 능선이 날카롭고 흔히 중앙에 1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은 길게 기는 가지를 낸다.
    분포 : 제주도 완도 백양산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Gen. Carex 4 : 192 (Boott,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4. No Image

    염주냉이

    학명 : Torularia humilis (C.A.Mey.) O.E.Schulz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염주냉이속(Torularia)

    잎 : 잎에는 근생엽과 경생엽이 있다. 근생엽은 우상으로 갈라졌는데 길죽하고 뭉툭하며 가장자리는 넓은 거치가 있다. 경생엽은 긴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거치가 있거나 전연이다.
    꽃 : 꽃은 5월~7월경 줄기끝에 총상화서를 이루고 백색 붉은자색으로 피는데 양성화이다. 꽃받침잎은 길죽하고 뭉축하다(길이 2mm). 꽃잎은 도란형 혹은 주걱형(길이 4~5mm 너비 1.8~2.5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과며 선형 또는 약간 원주형(길이 15~35mm 너비 1~1.2mm)이며 곧거나 약간 휘였다. 그 위에는 짧고 육질의 암술대와 뭉축하게 두갈래로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열편은 단단하며 주맥이 뚜렷하다. 과병은 가늘고(길이 4~6mm) 털이 좀 있거나 매끈하다. 종자는 길죽하며(길이 1mm) 붉은색을 띤 갈색이고 윤기난다. 종자는 열매안에 한줄로 놓여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곧추 자라며 보통 밑부분은 회색의 성상모로 덮여있다.

    분포 : 한반도(북부) 중국 러시아 중앙아시아 몽골 북미
    형태 : 일년생 혹은 이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gl., Pflanzenr. 86 : 223 (1924)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영아자

    학명 : Asyneuma japonicum (Miq.) Briq.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영아자속(Asyneuma)
    이명 : 여마자 염마자염아자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5~12cm 나비 2.5~4cm이며 양끝이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하부의 잎은 엽병이 있고 중부의 것은 기부에 날개가 있는 짧은 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소형으로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7∼9월에 자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화서 밑부분에서는 갈라지고 포는 선형이며 소화경은 1~3mm이다. 꽃받침조각은 선형으로 밋밋하고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뒤로 말리고 수술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끝이 3열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지름 5~6mm이다. 납작한 공 모양이고 세로 맥이 뚜렷하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능선이 있고 전체에 털이 약간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andollea 4: 335 (193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잔고사리

    학명 : Dennstaedtia hirsuta (Sw.) Mett. ex Miq.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잔고사리속(Dennstaedtia)
    이명 : 양지고사리
    잎 : 잎은 약간 드문드문 나오고 길이 15~35cm 정도로서 엽병과 더불어 백색 또는 연한 갈색의 가는 털이 있다. 엽신은 길이 10~25cm 나비 3~8cm 정도이며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우편은 긴 삼각상 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밑부분에서는 더욱 깊이 갈라진다.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결각상 또는 톱니 모양이다. 포자낭이 달리지 않는 잎은 짧고 결각도 얕게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각 열편의 소엽맥 끝에 달리고 둥글며 포막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짧게 옆으로 뻗으며 긴 털이 있다. 중간중간에서 어린 식물체가 나온다.
    분포 :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양치류.

    특징 : 온대성이며 속명은 독일의 식물학자 A. W. Dennstadt에서 유래하였다. 종명은 `hirsutus(거친 털이 있는)`에서 유래하였으며 잎 전체에 갈색의 털이 있는 것을 두고 붙인 이름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3:181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7. No Image

    참장대나물

    학명 : Arabis columnalis Nakai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장대나물속(Arabis)
    이명 : 조선장대 참장대 참장때나물
    잎 : 근생엽은 밀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3~4.5cm로서 3~4개로 갈라진 털이 있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의 것은 도피침형이고 털이 없으며 중앙부 이상의 것은 피침형이고 전저(箭底)이며 길이 1.5~3.8cm 폭 3-10mm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흰색이고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서며 갈라지지 않고 꽃받침잎은 길이 2.5-3mm로서 좁으며 꽃잎은 길이 4-4.5mm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암술대는 굵으며 암술머리는 반형(盤形)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서 길이 2cm정도이고 원줄기와 평행하게 달리며 곧게 선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며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뿌리는 비대하다.
    분포 : 지리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 271 (191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터리풀속(Filipendula)
    이명 : 민터리풀
    잎 :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은 길이 16cm 폭25cm로서 단풍잎처럼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측소엽은 6-9쌍이며 길이와 폭이 각 1-20mm로서 작은 것과 큰 것이 교대로 달린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측소엽은 1-7쌍이며 탁엽은 피침상 큰 타원형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취산상 산방화서에 밀생하여 달리고 털이 없다. 꽃받침열편은 4-5개이며 나중에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4-5개로서 둥글며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고 길이 3mm 정도이다. 수술이 꽃잎보다 훨씬 길며 많고 심피는 5개로서 앞뒤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난상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는 1m이고 곧게서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뿌리 : 목질화된 굵은 근경에서 짧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단풍터리풀(F. multijuga Max.) : 주로 북부지방에 자생한다.
    특징 : ▶속명 Filipendula는 라틴어 filum(絲(사))과 folium의 합성어로 잎이 실처럼 가늘다는 뜻이며 종명의 glaberrima는 털이 없음을 나타낸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 274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9. No Image

    흰두메자운

    학명 : Oxytropis anertii f. alba Y.N.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두메자운속(Oxytropis)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원줄기와 높이가 비슷하며 10-2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피침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8-15mm 나비 2-4mm로서 양면에 긴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긴 화경끝에 1-5개가 밀집되어 총상화서로 달린다. 소포는 피침형이며 막질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겉에 긴 털이 있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기판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파지고 익판은 기판보다 다소 짧으며 끝이 비스듬히 파지고 용골판이 가장 짧다.
    열매 : 협과는 부풀며 긴 타원형이고 겉에 긴 털이 있으며 길이 2cm 정도로서 긴 부리가 있고 5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뿌리 선단에서 여러 줄기가 총생하며 전체에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매우 굵고 선단에서 여러 줄기와 잎이 총생한다.
    분포 : 낭림산 이북의 고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흰 꽃이 피는 두메자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0. No Image

    개곽향

    학명 : Teucrium japonicum Houtt.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곽향속(Teucrium)
    이명 : 가지개곽향 좀곽향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10cm 폭 2~3.5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8mm로서 연한 홍색이고 총상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며 길이 3-10cm로서 때로는 밑부분에서 갈라진다. 열매가 달렸을 때의 꽃받침은 길이가 약 4~5mm로서 털이 거의 없으나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고 간혹 선모도 섞여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순형이며 윗부분의 것이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5mm로서 주름이 진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털이 적으며 옆으로 뻗는 포복경이 있고 흔히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으며 네모지고 곧게 선다.

    분포 :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꽃받침 속에 벌레가 들어 있어 커지는 것이 하나의 특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Hist. Pl. 9 : 282 (17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개맨드라미

    학명 : Celosia argentea L.
    과명 : 비름과(Amaranthaceae)
    속명 : 맨드라미속(Celosia)
    이명 : 개맨도램이 들맨드라미 들맨드래미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8cm 나비 1-2.5cm로서 밑부분이 밑으로 흘러 엽병이 없거나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연한 홍색이며 수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8cm 지름 1-2.5cm로서 피침형 또는 원주형이다. 화경이 길고 다수의 잔꽃이 모여난다. 포와 소포는 넓은 피침형이며 백색이고 건막질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꽃이 진 다음 백색으로 되고 길이 8-10mm로서 끝이 뾰족하며 1맥이 있고 밑부분에 가는 맥이 있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합생하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열매 : 과실은 개과(蓋果)로서 난형이며 숙존악보다 짧고 가로로 벌어져 여러개의 종자를 산출하고 끝에 3mm정도의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종자는 여러개씩 들어 있고 지름 1.5mm정도이며 흑색이고 광택이 있다. 종자를 청상자(靑箱子)라 한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40-80cm로서 곧게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원주형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열대 지방에 널리 퍼져있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등 남부지방에 야생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맨드라미(C. cristata L.): 잎은 난형 난상 피침형 길이 5-10㎝ 잎자루는 길다. 꽃은 홍색 황색 또는 흰색 꽃줄기 상부는 닭의 볏 모양이고 중부 이하는 다수의 꽃이 밀착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갯는쟁이

    학명 : Atriplex subcordata Kitag.
    과명 : 명아주과(Chenopodiaceae)
    속명 : 갯능쟁이속(Atriplex)
    이명 : 갯능쟁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삼각형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창검과 비슷하고 가장자리에 크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한군데에 모여 달리지만 가지 전체로서는 수상화서같이 보인다. 꽃잎은 없고 단성화이며 수꽃에 포가 없고 꽃받침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이 각 열편과 대생한다. 암꽃은 2개의 포가 있고 꽃받침은 없으며 자방은 둥글고 2개의 암술대가 있다. 암꽃의 포는 자라서 난상 삼각형으로 되며 길이 6-10mm 폭 5-9mm로서 1개의 포과가 들어있다.
    열매 : 열매는 포과이며 종자는 갈색이고 지름 3-4mm로서 원반형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며 털이 없고 곧추서며 가지가 비스듬히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처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갯능장이(A. gmelini C. A. Meyer): 잎은 피침형 선형 처음에는 흰 가루에 덮이며 길이 5-10㎝ 잎자루는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갯잠자리피

    학명 : Tripogon chinensis (Franch.) Hack.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갯잠자리피속(Tripogon)
    이명 : 좀쥐잔디
    잎 : 잎은 실같으며 안쪽으로 말리고 끝이 차츰 뾰족해지며 줄기와 길이가 비슷하고 납작하거나 접히며 나비 1-1.5㎜이고 밋밋하지만 안쪽은 엽신과의 경계와 더불어 때로는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으며 엽설은 막질로서 길이 0.5㎜정도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수상화서는 길이 7-10cm 지름 2mm정도이며 곧게 서고 가냘프며 성기게 달린다. 소축은 털이 없다. 소수는 대가 없고 편평하지 않으며 3-4개의 꽃으로 되고 길이 4-6mm 지름 1.2mm정도로서 연한 녹색이다. 포영은 선상 피침형이며 예첨두로서 건막질이고 호영은 긴 타원형이며 밋밋하거나 잔점이 있고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반원형이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중륵은 길이 1-2mm의 까락으로 되며 밑부분

    줄기 : 높이 20-30cm이고 총생하며 곧게 선다.

    분포 : 제주도와 평양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ser 2, 3(6): 503. (190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갯질경이

    학명 : Plantago major f. yezomaritima (Koidz.) Ohwi
    과명 : 질경이과(Plantaginaceae)
    속명 : 질경이속(Plantago)
    이명 : 반짝잎개질경이벌질경이
    잎 : 엽병이 긴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난상 타원형이며 평행맥이 있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8-15cm 폭 1.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밑부분에 얕은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엽병으로 흐른다. 잎이 보다 두껍고 윤채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길이 50cm정도의 화경이 나와 윗부분에 많은 꽃이 달리며 화수(花穗)는 화경의 1/3-1/2을 차지하고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포로 싸이고 화관은 막질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고 흑갈색 종자가 10개 정도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가 없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곧게 자란다.
    분포 : 남쪽 섬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왕질경이 (var. japonica (FR. et SAV.) MIYABE)
    특징 : 잎이 보다 두껍고 윤채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1077 (195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squarrosa Ledeb. var. squarros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구실봉이 구실붕이 민구슬붕이
    잎 : 밑부분에 윤상으로 달린 몇 개의 잎은 사각상 난형이고 길이 1-4cm 나비 5-12mm로서 가장자리가 두꺼워져 투명질로 되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mm 나비 2-5mm로서 밑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엽초로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짧은 화경이 있고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길이 4-6mm이고 열편은 난형으로서 끝이 가시 같으며 통부 길이의 1/2정도이다. 화관통은 길이 12-15mm로서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열편 사이에 있는 부편은 열편보다 다소 작으며 때로는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대가 있고 화관 밖으로 나오며 2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방추형으로서 다소 평활하다.
    줄기 : 높이 2-10cm이고 밑에서 갈라져 총생하며 잔돌기가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
    유사종 : ▶좀구슬붕이 (var.microphlla NAK.): 잎이 선형이고 작다.
    특징 : 잎이 선형이고 키가 작은 좀구슬붕이 및 큰구슬붕이 한라산에서 자라면서 꽃이 5-7월에 피는 흰그늘용담 등이 있는데 분화용으로 특히 인기가 높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m. Acad. Imp. Sci. St. Petersbourg Hist. Acad. 5 : 527 (181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6. No Image

    금혼초

    학명 : Hypochaeris ciliata (Thunb.) Makino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금혼초속(Hypochaeris)
    이명 : 금은초
    잎 : 근생엽은 총생나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이 있거나 없고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0-27cm 나비 1.5-5.5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많으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2-19cm 나비 3.5-5c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1개씩 달리고 꽃이 필 때는 지름 4-6cm이다. 총포는 종형이고 길이 17-22mm 나비 25-40mm로서 밑부분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9-15mm로서 끝이 둔하고 장미색이며 가장자리와 뒷면에 밀모가 있다. 화관은 길이 20-40mm 나비 2.5-4mm이고 통부는 길이 11-20mm로서 털이 없다.
    열매 : 수과는 원주형이고 길이 6mm이며 연한 황갈색이고 능선이 많으며 털이 없고 관모는 깃꼴의 볏짚색으로 길이 16mm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5-73cm이며 밑부분이 분해된 잎으로 덮여 있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고 홈줄이 있으며 길이 1.5-2.5mm의 벌어진 거센 갈색 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2 : 37 (190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7. No Image

    반들깃고사리

    학명 : Asplenium boreale (Ohwi ex Kurata) Nakaike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8. No Image

    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mmunis L.
    과명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속명 : 닭의장풀속(Commelina)
    이명 : 닭개비 닭기씻개비 닭의꼬꼬 닭의밑씻개 닭의발씻개
    잎 : 잎은 호생하며 마디가 굵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막질의 엽초로 되며 길이 5-7cm 폭 1-2.5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 있다. 엽초는 입구에 긴 털이 있고 약간 두꺼우며 질이 연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엽액에서 나온 화경(花莖) 끝의 포로 싸여 하늘색 꽃이 핀다. 포는 넓은 심장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없거나 있다. 외화피 3개는 무색이고 막질이며 안쪽 3개 중 위쪽의 2개는 둥글고 하늘색이며 지름 6mm이지만 다른 1개는 작고 무색이다. 2개의 수술과 꽃밥이 없는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육질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지며 2-4개의 종자를 산출한다.
    줄기 : 높이 15-5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고 상부는 비스듬히 올라가며 마디는 크다.
    뿌리 :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일본 사할린 우수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큰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 꽃은 한 장의 커다란 포에 싸여 있고 위쪽의 보라색 꽃잎은 2장이며 둥글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흰닭의장풀(Commeline communis for. albiflora Makino) : 옛 선비들은 대나무를 닮은 이 풀을 수반의 맑은 물에 재배하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9. No Image

    비로용담

    학명 : Gentiana jamesii Hemsl. f. jamesii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비로과남풀비로봉용담
    잎 : 경생엽은 5~10쌍으로 대생하며 중앙엽은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엽병이 없으며 길이 7~15mm 나비 3~6mm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백색이다.
    꽃 : 7~9월에 짙은 벽자색의 꽃이 피는데 화경이 없다. 꽃의 길이는 25-30mm이고 꽃받침통은 길이 6-8mm이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통부 길이의 1/3-1/4이고 화관통부는 좁으며 열편은 통부 길이의 1/3-1/4이고 열편 사이에 있는 부편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삼각형으로서 안쪽을 향해 후부를 덮고 있다.
    열매 : 삭과의 과병은 밖으로 나오며 종자는 방추형이다.
    줄기 : 높이 5-12cm이고 줄기는 네모가 지며 흔히 적자색이 돌고 밑부분에서 실같은 포복지가 옆으로 벋으면서 소엽이 달린다.

    분포 : 한국(강원도 이북) 중국 일본(북해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비로용담 (for.albiflora T.LEE) : 백색 꽃이 핀다.
    특징 : 적당한 관리에 의해 반상록 상태로 월동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6 : 128 (189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0. No Image

    산외

    학명 : Schizopepon bryoniaefolius Maxim.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산외속(Schizopepon)
    이명 : 노랑하늘타리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심원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2cm로서 표면은 흔히 털이 산생하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 5-7개로 희미하게 얕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넓고 낮은 톱니의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약간 누른 빛이 도는 백색이고 양성화주(兩性花株)와 웅화주(雄花株)가 있으며 수꽃은 총상화서에 달리고 양성화는 각 엽액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화관은 지름 5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수술은 3개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장과는 찌그러진 난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익으면 3개로 갈라지고 과경은 길이 1-10cm이며 종자는 1-3개가 들어 있고 길이 1cm정도로서 갈색이다.
    줄기 : 잎과 대생하는 덩굴손이 2개로 갈라져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게 뻗으며 줄기는 가늘다.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1년초

    특징 : 아시아에 수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111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