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흰좀설앵초

    학명 : Primula sachalinensis f. albida Y.N.Lee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앵초속(Primula)

    잎 : 잎은 모두 근생엽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mm 나비 7-10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 날개처럼 되며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며 밋밋하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고 뒷면은 황색 가루로 덮여 있으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10-17cm로서 끝에 2-15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선형이며 밑부분이 넓어지고 동시에 뒤쪽이 부풀며 짧은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고 소화경은 길이 4-10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7-8mm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둔하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뿌리 :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분포 : 낭림산에서부터 백두산지역(표고 2 300m 근처)까지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좀설앵초에 비해 꽃이 흰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2. 흰벌깨덩굴

    학명 : Meehania urticifolia f. leucantha Hara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벌깨덩굴속(Meehani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폭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백색으로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엽액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4-5cm이며 통부가 길고 갑자기 부풀며 아래쪽 꽃잎의 중앙열편은 특별히 크고 측열편과 더불어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긴 백색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드문드문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화경(花莖)으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벌깨덩굴 : 자주색꽃을 피움
    붉은벌깨덩굴 : 붉은 꽃을 피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1 : 671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자란

    학명 : Bletilla striata (Thunb.) Rchb.f.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자란속(Bletilla)
    이명 : 대암풀 대왕풀 백급
    잎 : 잎은 길이 20-30cm 나비 2-5cm로서 밑부분에서 5-6개가 서로 감싸면서 원줄기처럼 되고 긴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초로 되며 세로로 많은 주름이 있다.
    꽃 : 5-6월에 잎 사이에서 화경(花莖)이 나와 50㎝ 정도 자란 다음 6-7개의 홍자색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포엽은 길이 2-3㎝로서 꽃이 피기전에 1개씩 떨어진다. 꽃은 지름 3㎝이며 화피열편은 같은 형태로서 길이 2.5-3㎝ 나비6-8mm이고 끝이 뾰족하며 비스듬히 반 쯤 벌어지고 맥이 있다. 순판은 쐐기 비슷한 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악간 안쪽으로 말리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의 것은 거의 둥글고 가장자리가 파상으로서 안쪽에 5개의 도드라진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다.
    줄기 : 넓적한 둥근 위경이 줄지어 붙어있다.
    뿌리 : 난상의 구형 구경은 높이 4cm이고 육질로 속은 백색이다.
    분포 : 전남 해남 진도 및 유달산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 얼핏보기에 새우난과 비슷하며 홍자색의 꽃을 피우는데서 자란이라고 부르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Zeitung (Berlin). 75 (187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4. 큰제비란

    학명 : Platanthera sachalinensis F.Schmidt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제비난초속(Platanthera)
    이명 : 큰제비난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 광택이 나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초로 되어 줄기를 감싸며 길이 10~20cm 폭 4~7cm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윗부분의 2-4개는 포와 연결된다.
    꽃 : 줄기 상부의 길이 8~20cm의 화서에 다수의 녹백색 꽃이 느슨하게 총상으로 달리며 7~8월에 피고 포는 보통 꽃보다 길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길이 3-3.5mm로서 끝이 둔하고 측열편은 반절난형(半切卵形)이며 길이 4-5mm로서 끝이 둔하다. 꽃잎은 육질이고 길이 3mm정도이며 끝이 둔하고 순판은 넓은 선형으로서 순판은 길이 5~7mm에 달한다. 거(距)는 길이 15~20mm로서 가늘고 길며 밑으로 처지고 휘어 있다.

    줄기 : 높이 40-60cm이며 능선이 다소 있고 날개가 없으며 1~3의 잎이 호생으로 달린다.
    뿌리 : 뿌리가 굵은 편이다.
    분포 : 경북 주왕산을 남한계로 태백 산맥계를 따라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t.-Petersbourg, Ser. 7, 12 : 181 (186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5. 남산제비꽃

    학명 :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ara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남산오랑캐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측렬편이 다시 2개로 갈라져 새발모양을 하고 열편은 다시 2~3개로 갈라지거나 우상으로 깊은 결각을 이루며 최종열편은 어릴 때는 선형이고 가장자리와 맥 위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밑부분에 엽병이 있고 탁엽은 넓은 선형이다.
    꽃 : 꽃은 4~6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리며 중앙이하에 포가 있다. 꽃은 좌우 상칭이고 5수성이며 꽃잎에 자주색 맥이 있고 측판에 털이 다소 있으며 꽃받침의 부속체는 4각형 비슷하고 끝에 약간의 톱니가 있으며 거는 짧은 원통형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타원형이다.
    줄기 : 전체에 거의 털이 없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잎의 모양이 독특해서 다른 제비꽃과 쉽게 구별이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3 : 105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흰갈퀴현호색

    학명 : Corydalis grandicalyx f. albifloris Y.N.Lee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현호색속(Corydalis)

    잎 : 엽병의 길이는 1-12㎝ 엽신은 길이 2-8㎝ 폭 2-10㎝의 2회3출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잎가는 밋밋하다.
    꽃 : 꽃은 주로 4월에 피며 5-13개가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포는 길이 7-12㎜ 폭 3-9㎜인 타원형이며 선단에 잔 거치가 있다. 소화경의 길이는 개화시에 6-14㎜이고 열매성숙시에는 10-20㎜이다. 꽃은 흰색으로서 길이 20-24㎜이며 거의 길이는 9-13㎜이다. 꽃받침은 특히 크게 발달하는데 길이 3-5㎜ 폭 3-5㎜의 도란형으로서 선단이 갈퀴형으로 갈라져 화통을 감싼다. 자방은 방추형이며 배주가 2열로 배열한다. 주두(柱頭)는 다각형으로
    열매 : 열매는 길이 4-13㎜ 폭 2-4㎜인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한다. 종자는 구형으로서 길이 2.2-2.4㎜ 폭 2.2-2.3㎜이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경상성(傾上性)이고 지름이 0.6-2㎜이며 횡단면은 원형이다. 경생엽(莖生葉)은 2장이다
    뿌리 : 지하경은 길이 2-13㎝이며 괴경은 지름이 1-1.8㎝로서 내부는 백색이다. 인편엽은 1개로서 길이 1-1.8㎝이며 기부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7-21㎝의 지상부을 형성한다
    분포 : 강원도 고지 낙엽 활엽수림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갈퀴현호색(C. grandicalyx B.Oh et Y.Kim): 꽃은 청색 또는 보라색으로 핀다.
    특징 : 갈퀴현호색에 비해 흰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7. 민졸방제비꽃

    학명 : Viola acuminata f. glaberrima (H. Hara) Kitam.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심장형이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2.5-4cm 폭 3-5cm로서 윗부분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긴 타원형으로서 빗살같은 톱니가 있다.
    꽃 :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리며 화경 윗부분에 선상의 포가 달리고 백색꽃의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길이 7-10mm이고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이 오그라든다.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측판 안쪽에 털이 있으며 거(距)는 길이 3-4mm이다.

    줄기 : 높이 20-40cm이며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보통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 나온다. 꽃잎 안쪽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졸방제비꽃
    특징 : 졸방제비꽃과 비슷하나 꽃잎 안쪽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0 :196 (196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호작약

    학명 : Paeonia lactiflora f. pilosella Nakai
    과명 : 작약과(Paeoniaceae)
    속명 : 작약속(Paeonia)
    이명 : 백작약 청진작약
    잎 : 잎은 호생하고 1~2회 우상으로 3출하며 소엽은 종종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좁은 도란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엽병은 붉은빛이 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 또는 적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 5개 꽃잎은 10개이나 종종 겹꽃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이고 내봉선으로 터진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자르면 붉은빛이 돈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잎뒤 맥 위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585 (Kitag., 19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단풍제비꽃

    학명 : Viola albida f. takahashii (Makino) W.T.Lee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단풍씨름꽃 단풍오랑캐
    잎 : 잎은 밑동에 밀생하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깊게 장상으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길이 16.5cm 폭 4.5cm로서 크게 3개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으로 흘러서 긴 대로 되고 2개로 갈라진 측열편 밖에서부터 길이 7cm 폭 3cm인 것 길이 11.5cm 폭 3.5cm인것 등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흰색이고 향기가 나며 잎 사이에서 길게 난 화경 끝에 달리며 중앙 밑부분에 실같은 포가 2개 있으며 포는 길이 1c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7m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털이 없으며 부속체는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깊게 갈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5장이며 측판에 털이 있고 거는 길이 6mm정도로서 기둥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길이 10-16mm이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남산제비꽃과 태백제비꽃의 잡종성을 지니고 있으며 잎은 태백제비꽃의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는 것에서부터 밑부분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 것 및 남산제비꽃의 열편이 훨씬 넓어진 것 등 변이가 심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719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줄민둥뫼제비꽃

    학명 :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f. variegata F.Maek.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삼각상 난형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다. 뒷면은 대개 자줏빛이 돌고 흰 털이 나며 길이 3~6cm이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꽃줄기의 길이 5~8cm 자주색 반점이 있다. 부수체는 난형 때로는 톱니가 있으며 거는 원주형이고 길이 6~7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다.

    뿌리 : 원줄기는 없다.
    분포 : 우리나라 일본 중국


    특징 : 민둥뫼제비꽃과 닮았으나 짙은녹색의 잎표면에 잎맥을 따라 흰 줄무늬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1. 뫼제비꽃

    학명 :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f. selkirki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메오랑캐 메제비꽃 멧제비꽃 뫼오랑캐 묏오랑캐 산제비꽃 알록뫼제비꽃 알룩메제비꽃
    잎 :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잎과 길이가 다소 비슷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끝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길이 12-15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다화성이다. 거(距)는 짧은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세모지다.
    줄기 : 길이는 6cm정도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꽃이 진 후 땅속에 포복지가 생긴다.
    분포 : 전국의 높은 산에서 표고 800m이상되는 지역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메알록제비꽃은 잎에 흰 무늬가 있으며 메제비꽃과 섞여 자란다.
    특징 : 고산성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dinb. Philos. Journ. 6 : 324 (182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흰붓꽃

    학명 : Iris sanguinea f. albiflora Y.N.Lee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잎은 중맥이 확실하지 않고 창 모양 줄기에 2줄로 붙는다.
    꽃 : 꽃은?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외화피의 안쪽은 노란색 내화피는 서며 암술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꽃잎 모양이며 노란 수술이 그 뒤에 숨겨져 있다.
    열매 : 과실은 7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은 길고 수염뿌리가 많이 밀생한다.
    분포 : 전라 남북도의 산록에 나며 관상초로 심는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특징 : 꽃봉오리가 붓의 끝모양과 같고 흰색이라 <흰붓꽃> 솔개의 꼬리 같다 하여 <백연미>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3. 흰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f. album J.K.Sim & Y.S.Kim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등심붓꽃속(Sisyrinchium)


    꽃 : 외화피는 흰색을 띠고 외화피편에는 5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고 내화피도 백색으로 내화피편에도 3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다.



    분포 : 제주도 제주시 아라동에서 채집되었다.

    유사종 : ▶등심붓꽃(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ax. Irid. Kor. 63 (198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만삼

    학명 :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더덕속(Codonopsis)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 1-5cm 나비 1-3.5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특히 맥 위에 많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보통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며 곁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그 밑의 엽액에서도 계속 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길이 15mm 나비 5mm로서 피침형이다. 화관은 종모양이며 이고 길이 2.5cm 지름 1.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길이 5mm이다.
    열매 : 삭과는 편원추형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9-10월에 익어 끝이 3쪽으로 터져 종자를 쏟아낸다. 종자는 작고 많은데 길고 둥글며 날개가 없는 갈색으로 광택은 없다.
    줄기 : 덩굴줄기는 길이 1~2m이고 줄기의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자르면 유액이 나오고 덩굴줄기는 다른 물체에 감긴다
    뿌리 : 뿌리줄기는 곤봉 모양이다. 뿌리는 원주형으로 길이 20-30cm 지름 0.5-2(10)cm이며 겉이 황갈색을 띤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주로 자라며 남쪽에서는 지리산 천황봉 정상에서도 자란다.
    중국,아무르,우수리

    형태 : 다년생 덩굴성 초본.
    유사종 : 더덕(C. lanceolata)은 주로 산 중턱의 숲속에서 자라므로 뿌리는 중앙부가 비대해져 굵고 약간 길다.
    종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잎이 4윤생처럼 보이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가 도라지 모양이다.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 뿌리가 공 모양이다.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 잎이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다.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특징 : 줄기와 잎에 털이 있고 더덕보다 연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Horti Gothob. 5(2) : 29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노루발

    학명 :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과명 : 노루발과(Pyrolaceae)
    속명 : 노루발속(Pyrola)
    이명 : 노루발풀
    잎 : 잎은 1-8개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4-7cm 넓이 2.5-4.5cm이고 둔두 둔저이며 흔히 엽병과 더불어 자줏빛이 돌고 표면은 엽맥부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는 낮은 톱니가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3-8cm이다.
    꽃 : 화경은 길이 10-25cm로서 능선이 있고 1-2개의 인엽이 있으며 7월에 화경(花莖)은 길이 15-30cm로서 능선이 있으며 1-2개의 인엽이 달리고 윗부분에 2-12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지름 12-15mm로서 백색이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8mm로서 소화경보다 길거나 같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가 나비보다 2.5-3배 길며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이 길게 나와 끝이 위로 굽는다.
    열매 : 삭과는 지름 7-8mm로서 편평한 구형 익으면 5개로 갈라지고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는 땅속줄기가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울릉도 전남(지리산 완도)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북 강원 경기(광릉) 등에 야생한다.

    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분홍노루발: 꽃은 분홍색 지름 12-15mm 꽃줄기의 길이 20cm 꽃줄기 끝에 7-15송이씩 밑을 향해 총상화서로 달린다.
    특징 : 세계에 약 25종 우리 나라에는 7종이 분포한다.
    초본 식물로 가는 땅속줄기가 있고 근생엽은 땅에 로제트형으로 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28: 57 (1856)
    참고문헌 :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6. 백도라지

    학명 : Platycodon grandiflorum f. albiflorum (Honda) H. Hara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도라지속(Platycodon)
    이명 : 백길경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긴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0.5-5mm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은 끝이 퍼진 종형이고 지름 4-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5실이며 암술대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포간(胞間)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원줄기를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도라지 : 기본종 ▶겹도라지 (for. duplex MAK.): 꽃이 겹으로 되어 있다. ▶흰겹도라지 (for. leucanthum HARA) : 백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2: 101 (19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민둥뫼제비꽃

    학명 :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ino) F.Maek.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거친털제비꽃 민둥메제비꽃 성긴털제비꽃 양지오랑캐 양지제비꽃 조선씨름꽃
    잎 : 잎은 삼각상 난형이며 윗부분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이저에 가까운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대개 자줏빛이 돌며 처음에 나오는 잎은 털이 없으나 나중에 나오는 잎은 백색털이 있고 때로는 표면에 흰색 무늬가 있으며 길이 3~6cm 폭 2-4.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털이 있거나 없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중앙부에 2개의 포가 달리며 길이 5-7mm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6-7mm이며 부속체는 난형으로서 때로는 톱니가 있고 거(距)는 원주형이며 길이 6~7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6-8mm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뿌리가 백색이다.
    분포 : 경기도 광릉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3 : 218 (195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옥잠난초

    학명 : Liparis kumokiri F.Maek.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나리난초속(Liparis)
    이명 : 구름나리란
    잎 : 잎은 2개가 전년도의 줄기 옆에서 나오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2㎝ 나비 2.5-5㎝로서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처럼 되어 서로 마주 안는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지만 자줏빛이 돌며 화경(花莖)은 높이 15-30cm로서 능선에 좁은 날개가 있고 5-15송이의 꽃이 드물게 붙는다.
    포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1.5mm이다.
    꽃받침은 길이 5.5~6.5mm로서 끝이 둔하고 좁은 타원형이며 꽃잎은 선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아래로 드리워지고 중앙부에 얕은 홈이 있다.
    순판은 중앙 윗부분에서 뒤로 젖혀지고 현부(舷部)는 나비 5mm로서 끝이 약간 뾰족하며 예주는 길이 3mm로서 낮은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 좁은 날개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대가 있으며 곧추서고 길이 10-15mm이다.
    줄기 : 높이 20-31cm이다.
    뿌리 : ▶구경은 지름 1~1.5cm이다.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흔히 지상에 나와있고 마른 엽병으로 싸여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나나벌이난초: 옥잠난초와 닮은 난으로 소형이고 입술꽃잎의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여 옥잠난초와 구별된다.
    특징 : 세계에 약 300종 특히 열대에 많고 우리 나라에 약 6종이 분포한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2 : 95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흰뫼제비꽃

    학명 : Viola selkirkii f. albiflora (Nakai) F.Maek. ex H. Hara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흰메제비꽃
    잎 :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잎과 길이가 다소 비슷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끝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길이 12-15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거(距)는 짧은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세모지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꽃이 진 후 땅속에 포복지가 생긴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고산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3 : 217 (1954)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호자나무

    학명 : Damnacanthus indicus C.F.Gaertn.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호자나무속(Damnacanthus)
    이명 : 호자나무 화자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넓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1-2.5cm 나비 0.7-2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엽병도 짧거나 없다. 나무 전체에 잎이 나는 곳에는 곧은 가시가 마주나는데 가시는 길이 5-20㎜로 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길이 15mm로서 백색이며 엽액에 1-2개씩 달리고 화경이 짧으며 꽃받침은 길이 1.5mm이고 열편이 뾰족하다.
    화관은 통형으로 지름 15mm이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통부 안쪽에 털이 있고 열편은 통부 길이의 1/6-1/5이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5mm이며 9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겨울까지 남아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에 길이 0.5-2cm의 긴 가시가 있고 소지에 털이 있다.

    분포 : 홍도 및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 까지 자라며 일본과 중국 동인도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 관목.
    유사종 : 수정목(壽庭木, Damnacanthus major) : 잎이 크고 넓으며 가시가 짧고 뿌리가 굵어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uppl Carpol. 18. t. 1812, f. 7 (18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