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섬쥐손이

    학명 : Geranium shikokianum var. quelpartense Nakai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이명 : 한라쥐손이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길고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에 결각상 또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탁엽은 합생하며 건막질로서 갈색이 돈다.
    꽃 : 화경끝에 소화경이 있는 꽃이 2개씩 달리고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로서 적자색이다. 꽃받침에 퍼진 털이 있으며 꽃잎은 밑부분 가장자리에만 백색털이 있고 각각 5장씩이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높이 30cm에 달하고 화경 및 엽병과 더불어 밑을 향한 퍼진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퉁퉁하고 여러 갈래이며 지하경은 굵고 가지를 친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꼭대기 근처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기본종에 비해 식물체가 작고 퍼진 털이 밀생하며 잎 뒷면에 견모가 없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260 (191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2. No Image

    좀도깨비사초

    학명 : Carex idzuroei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납작하고 연하며 폭 4-8㎜로서 3맥이 뚜렷하고 횡맥이 많으며 밑부분의 엽초는 연질이고 연한 색에 검은 흑자색의 작은 부분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총생하고 높이 40-60㎝로서 삼각형이며 약간 밋밋하다. 소수(小穗)는 4-5개로서 끝의 1-2개는 수꽃이며 길이 2-4cm 지름 2mm로서 선형이고 옆의 2-3개는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3cm 지름 7-10mm로서 곧추서며 서로 떨어져서 대가 없거나 밑부분의 것에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고 초가 있거나 없으며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흑황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은 녹색이며 3맥이 있다. 암술대는 중앙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2배정도 길고 세모진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1-1.2㎝ 폭 3.5mm로 검은 회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맥이 많다. 부리는 길고 백색 막질이며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세모진 난형이며 길이 3mm로서 떨어진다.
    줄기 : 연하며 삼각기둥 모양이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155, 583 (Franch. & Sav., 1877-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좀진고사리

    학명 : Deparia conilii (Franch. & Sav.) M.Kato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진고사리속(Deparia)
    이명 : 애기진고사리
    잎 : 나엽은 작으며 옆으로 넘어지지만 실엽은 크고 곧추 선다. 엽병은 엽신길이의 1/2정도이며 나엽의 것은 더욱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 및 털이 있으며 밑부분에 인편이 더욱 많다. 엽신은 피침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10-20㎝(실엽 20-40㎝)로서 1회우상복엽이다. 우편은 선상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대가 없고 10-15쌍으로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길이 1-3㎝ 폭 5-8mm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우편의 중륵과 가장자리 중앙에 달리고 포막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녹갈색이고 잎이 2-3개씩 인접하여 나옴.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외잎진고사리 (A.lobato-crenatum TAGAWA) : 잎 밑부분만이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제주도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90 : 37 (19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4. No Image

    진퍼리개고사리

    학명 : Deparia okuboana (Makino) M.Kato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진고사리속(Deparia)

    잎 : 엽병은 길이 30~50cm이고 떨어지기 쉬운 비늘조각이 드문드문 붙어있다. 비늘조각은 연한 갈색 막질이고 넓은 피침형이다. 가장자리가 밋미?며 어릴 때는 중축에 비늘조각이 있으나 성숙하면 거의 남지 않는다. 잎몸은 삼각상 난형이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0~80cm 너비 30~50cm이다. 부드러운 초질 2회 깃꼴로 갈라지고 소우편의 중륵 표면과 우축에 잔털이 남아있다. 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맨 아래 우편은 짧은 자루가 있고

    열매 : 포자낭군은 작고 둥글며 열편 중륵 가까이에 1줄로 배열된다. 포막은 둥근 신장형 말발굽 모양 또는 고리 모양이다.

    뿌리 : 땅속줄기는 짧으며 잎이 다보록이 난다.
    분포 : 한국(제주도 남부)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
    형태 : 하록성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90 : 37 (1977)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2)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5. No Image

    천일담배풀

    학명 : Carpesium glossophyllum Maxi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담배풀속(Carpesium)
    이명 : 주걱담배풀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꽃무늬처럼 지면으로 퍼지는 로제트형이고 도피침상 설형이며 길이 9~15cm 폭 2.5~3.5cm로서 둥근 끝이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좁으며 잔돌기가 산생하고 양면에 털이 많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적으며 드물게 달리고 뿌리잎보다는 작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선상 피침형이다.
    꽃 : 8~10월에 개화하고 줄기나 가지 끝에 황록색 두상화가 1개 밑을 향해 달리며 피침형의 포영이 있고 총포는 각두형(殼斗形)이며 길이 6-8mm 나비 8-15mm이고 포편은 외편이 짧으며 밖으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있으며 중편과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4mm로서 다소 편평한 원추형이고 끝에 선점이 있으므로 끈끈하다.
    줄기 : 높이 25-50cm이며 털이 밀생하고 다소 화경상(花莖狀)이며 윗부분이 다소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옆으로 자란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sbourg 19: 475 (187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폭이사초

    학명 : Carex teinogyna Boot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천일사초 폭이줄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폭 2-3.5mm로서 밝은 녹색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흑갈색이고 약간 그물같은 것이 생기지만 실처럼 갈라지며 2-4개의 가지가 갈라져서 많은 소수가 달린다.
    꽃 : 소수는 윗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고 밑부분은 대부분 암꽃이며 길이 0.8-3㎝로 선형이고 선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엽초가 길지만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자화영은 좁으며 긴 타원형으로 구릿빛이 도는 갈색이고 뒷면 녹색부에 1맥과 잔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길이 6-8mm로서 적갈색이며 끝까지 남는다.
    열매 : 과포는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곧추서며 맥이 많고 연녹색에서 갈색으로 되며 길이 3.5-4mm로서 가시같은 털이 밀생하고 타원상 렌즈형이며 긴 부리는 끝이 깊게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고 길이 2mm정도로 좁은 난상 렌즈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40-60cm이며 끝부분이 처진다.

    분포 : 한라산 남쪽 숲속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Carex 1: 60 (18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햇사초

    학명 : Carex pseudochinensis H.Lev. & Vanio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해변사초
    잎 : 잎이 편평하고 폭 2.5-4㎜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고 자주색이며 그물처럼 갈라진다.
    꽃 : 소수는 3-5개가 서로 접근하거나 첫째 소수는 짧은 대가 있어 떨어지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이고 길이 1.5-4cm로서 자주색이며 측소수는 암꽃이고 길이 1.5-4cm로서 짧은 원주형이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밑부분이 터지고 자화영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적자색이지만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다. 암술대는 곧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비스듬히 달리고 털이 없으며 맥이 적고 길이 3.5-4mm로 둔하게 세모진 긴 타원형이며 윗부분이 점점 좁아져 부리로 되고 끝은 백색 막질로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으며 삼각상 넓은 난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60cm이며 뻗는 줄기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어있다.
    분포 : 전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nt. Geogr. Bot. 11: 306 (190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황종용

    학명 : Orobanche pycnostachya Hance var. pycnostachya
    과명 : 열당과(Orobanchaceae)
    속명 : 초종용속(Orobanche)
    이명 : 노랑개더부사리 노랑갯더부살이 노랑쑥더부사리 노랑쑥더부살이

    꽃 : 꽃은 황색으로 핀다.






    특징 : 열편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13: 84 (187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9. No Image

    구주물푸레

    학명 : Fraxinus excelsior L.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물푸레나무속(Fraxinus)
    이명 : 구주물푸레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3개이다. 소엽은 난상 장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5~11cm 나비 1.5~3cm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중륵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잡성이며 4~5월에 잎보다 앞서 피고 잎짬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꽃밥은 난형으로 끝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과실은 시과로 피침형 또는 좁은 장 타원형이고 길이 2.5~4cm이다.
    줄기 : 수피는 회흑색이며 어린가지는 회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동아는 암갈색이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1057 (L., 1753)

    Read More
  10. No Image

    난사초

    학명 : Carex lasiolepis Franc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거신털사초 털부쇵이사초
    잎 : 잎은 황록색이며 나비 3-5㎜로서 잔털이 있고 특히 가장자리와 뒷면에 많으며 엽초에 엽신이 달리고 갈색이지만 일부분에 붉은빛이 돌며 솜털이 있고 위는 연한 녹색 밑은 황갈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가늘며 길이 5-15cm로서 짧은 털이 있고 밑으로 처진다. 소수(小穗)는 3-4개이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상으로 길게 자라며 측소수는 암꽃이고 길이 5-7mm 나비 2-3.5mm로서 도란형이며 긴 대가 있고 첫째 소수는 뿌리에서 나온 것같이 보인다. 자화영(雌花穎)은 긴 타원형이며 적갈색이 돌고 털이 드물게 있다. 암술대는 곧추서며 밑부분이 약간 굵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4-4.5mm로서 맥이 약간 있고 짧은 털이 있으며 대가 있고 윗부분이 짧은 부리로 되며 끝부분은 자줏빛이 돌고 얕게 2개로 갈라짐.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으며 세모진 넓은난형이고 대와 더불어 길이 3.4mm정도로 끝이 뚜렷하지 않은 반상(盤狀)으로 된다.
    줄기 : 총생한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Philom. Paris. 8 ser. 7: 46 (189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대극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Rupr.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이명 : 능수버들버들옻우독초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2.8cm 폭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중륵에 흰빛이 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윗부분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하고 5개의 가지가 산형으로 갈라진다. 총포엽은 넓은 난형 삼각상 원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서 길이 5-12mm이며 배상화서의 선체는 긴 타원형이고 지름 1.5mm정도로서 검은 갈자색이다. 1개의 암술로 구성된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구성된 몇개의 수꽃이 소총포안에 들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납작한 구형이고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유면이 3각편으로 개열하고 종자는 광타원형이며 길이 1.8mm로서 겉이 밋밋하다.
    줄기 : 높이가 80cm에 달하고 곧추 자라지만 밑부분에서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자르면 유액이 나오며 꼬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남(무안) 경남 경북(비파산) 충남 경기 황해 평북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
    특징 : 유독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er. Sci. St. Petersbourg 9: 239 (Maxim., 185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2. No Image

    민야광나무

    학명 : Malus baccata f. jackii Rehder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사과나무속(Malus)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에 털이 없고 엽병은 길며 털이 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작은 가지끝에 모여 피고 지름 3.0-3.5㎝로서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소화경은 털이 거의 없고 길이 2-4cm이며 꽃받침잎은 털이 없고 점첨두이며 꽃받침통에 털이 있고 꽃잎은 타원형이며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8-12㎜로서 10월에 황색 또는 홍색으로 익으며 소과경은 길이 3-5cm이다.
    줄기 : 가지에 털이 없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100~1 700m의 산지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사할린 우수리강 일본의 북해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털야광나무(var. mandshurica Schneider): 엽병과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개야광나무(for. mincr T.Lee): 가지가 많은 관목인데 잎은 길이 2-5㎝로서 털이 없고 넓은 타원형 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잔톱니가 있고 과경은 길이2-2.7㎝로서 털이 없으며 열매는 지름 7-8㎜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Wilson. 2 : 291 (Sarg., 1915)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3. No Image

    바람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miliacea (L.) Vahl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이명 : 바람하늘직이
    잎 : 잎은 실같이 가늘고 좌우 2줄로 배열하며 폭 0.3mm정도이다. 엽초는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에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끝이나 포액에 소수가 달린다. 포은 2-4개로서 침형이고 짧다. 소수는 난상 원형이며 길이 2.5-4mm 지름 1.5-2mm로서 원두 또는 둔두이고 적갈색이다. 인편은 난형이며 나선상으로 배열하고 길이 1mm이며 끝이 둔하고 뒷면이 튀어나온다. 암술대는 길이 1.5mm로서 가늘고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흰빛이 돌고 길이 0.6mm로서 둔한 삼각형이며 표면에 돌기가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0-40cm이며 밑부분에 잎이 달린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2: 287 (1806)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백두실골풀

    학명 : Juncus potaninii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산골풀 왜실골풀
    잎 : 밑부분에서 돋은 잎은 길이 3㎝ 나비 1㎜로서 털이 없고 뒤로 다소 젖혀지며 밑부분의 귀같은 돌기는 높이 1㎜정도로서 백색 막질이다.
    꽃 : 화경(花莖)에는 2-3개의 잎이 달리고 잎은 화경보다 짧으며 끝에 1개의 두상화서가 달리고 1-2개 간혹 3개의 꽃이 들어 있다. 화서는 길이 4mm 지름 1.5mm로서 볏짚색이며 포는 난형이고 막질이며 화피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모두 길이가 같다. 꽃밥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수술대보다 훨씬 짧고 수술대는 길이 2mm이다.
    열매 : 열매는 화피보다 약간 길거나 거의 비슷하며 연한 갈색이고 종자는 길이 1㎜로 양끝에 흰색 꼬리 모양의 부속체가 붙는다.
    줄기 : 높이 4-7cm이다.

    분포 : 백두산 고지부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 12: 394 (Engl.,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벼룩나물

    학명 :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Thunb.) Ohwi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별꽃속(Stellaria)
    이명 : 들별꽃 벼룩별꽃보리뱅이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길이 8-13mm 폭 2.5-4mm로서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회록색이고 질이 연약하며 1맥이 있고 측맥이 뚜렷하지 않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엽액 또는 원줄기 끝의 취산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가늘고 길이 5-19mm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피침형 예두이며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잎은 5개로서 처음에 피는 꽃에서는 꽃받침과 길이가 같으며 2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나중에 피는 꽃에는 없는 것도 있다. 수술은 6개정도이고 난형이며 암술은 1개이고 타원상 난형의 자방 끝에 2-3개의 암술대가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며 꽃받침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7월에 익어 끝이 6조각으로 갈라진다. 종자는 신장형이며 짙은 갈색이고 길이 0.5mm정도로서 표면에 돌기가 약간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5-25cm로서 가늘며 털이 없고 기부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원줄기와 가지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라기 때문에 마치 총생한 것처럼 보인다.

    분포 : ▶한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서에서 자란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쇠별꽃(S. aquatica Scop.): 줄기 위쪽에 약간의 선모가 있다. 잎은 넓은 난형 길이 1-6㎝ 털이 없다.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줄기는 밀생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선형 길이 2-3㎝이다. ▶별꽃(S. media Villars):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줄기에 한 줄의 털이 있다. 잎은 난형 길이 1-2㎝ 대부분 양 면에 털이 없다. ▶왕별꽃(S. radicans L.): 전체에 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136 (19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여뀌

    학명 :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이명 : 버들여뀌
    잎 : 잎은 엽병이 없고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3-12cm 폭 1-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잔선점이 밀생하고 녹색이며 씹으면 맵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1-5mm의 털이 있으며 속에서 짧은 화서가 나오기도 한다.
    꽃 : 꽃은 6-9월에 피고 수상화서는 길이 5-10cm로서 길며 가늘고 줄기나 가지 끝에 정생하며 밑으로 처지고 소포는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작고 성기게 나며 꽃잎은 없다. 화피는 연한 녹색이고 끝이 약간 적색이며 선점이 있고 길이 2.5-4mm로서 4-5개로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 6개 암술대는 2개이고 자방은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흑색이며 편난형(扁卵形)이고 잔점이 있으며 길이 2-3mm이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전체에 거의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북반구의 온대 및 난대지방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여뀌 (var.fastigiatum NAK.)0: 잎이 가늘고 수과의 길이가 1.5mm에 달한다.
    특징 : 전초(全草)를 수료(水蓼)라 한다. 전체에 털이 없으며 잎은 씹으면 매운 맛이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ist. Veget. 10: 536 (18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서울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seoulensis Y.H.Chung & H.C.Shin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잎 : 꽃이 달리는 가지의 잎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4-6㎝ 폭 2-4㎝정도이며 잎 상면은 초록색 하면은 연한 초록색이다. 엽연에는 거치가 거의 없거나 유두모양의 거치가 약간 있으며 잎 상·하면에 단모가 많다. 잎이 달리는 가지의 잎은 꽃이 달리는 가지의 잎보다 약간 크며 엽연에 예거치가 있기도 한다. 엽병은 길이 0.5㎝정도로 단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약간 갈색이 도는 화경에 5-7개씩 달리며 화경은 성숙하면서 진한 적갈색으로 되며 단모가 많다. 소화경은 길이 5㎜정도이며 가늘고 연한 하얀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통에는 단모가 많거나 적으며 꽃받침잎의 외면과 내면의 가장자리와 정단부에는 면모가 밀생한다. 꽃잎은 아원형으로 길이 1.2-1.5㎝ 폭 0.9-1.2㎝정도이다. 수술은 25-30개 정도이며 길이는 모두 다르나 꽃잎보다는 짧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의 중간 이상이 4갈래로 나누어
    열매 : 삭과는 원통형으로 길이 0.7㎝정도이다.
    줄기 : 1년생 가지는 진한 갈색으로 가늘고 연한 하얀색 털이 많거나 적으며 2년생 가지는 1년생 가지의 표피가 띠처럼 얇게 벗겨져 매끈하며 회색으로 된다.

    분포 : 서울
    형태 : 관목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 vol.21(3) 1991.9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8. No Image

    서울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duriuscula (L.) W.D.J. Koc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애기김의털 이삭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7-1㎜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며 가냘프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서울과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ino): 높이 35-70㎝ 줄기는 가냘프고 밀생한다. 엽설은 막질로 길이 0.8㎜이다. ▶개묵새(F. takedana Ohwi): 높이 30-60㎝ 줄기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Fl. Germ. Helv. 812 (W.D.J. Koch, 18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9. No Image

    수염가래꽃

    학명 : Lobelia chinensis Lour.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숫잔대속(Lobelia)
    이명 : 수염가래
    잎 : 잎은 호생하여 2줄로 배열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2-4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8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이 돌며 소화경은 길이 1.5-3cm로서 한 가지에서 1-2개씩 액생하고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꽃이 진 다음에는 처진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길이 1cm정도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좌우 비대칭이 된다. 수술은 합쳐져서 암술을 둘러싸며 자방은 하위이고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길이 5-7mm이며 종자는 적갈색이고 길이 1/3mm정도로서 미끄럽다.
    줄기 : 높이 3-15cm이고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뿌리가 내리고 옆으로 선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도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cochinch. 2: 514 (17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아마풀

    학명 : Diarthron linifolium Turcz.
    과명 :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속명 : 아마풀속(Diarthron)
    이명 : 개아마
    잎 : 잎은 호생하며 밀접하고 엽병은 길이 1mm정도이다. 엽신은 선형이며 길이 5~15mm 나비 1-2mm로서 펴면에 극히 짧은 털이 밀생하고 뒷면에 긴 백색 털이 약간 있으나 긴 털은 곧 떨어지며 잔털은 작기 때문에 없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고 끝이 날카로우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약간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자줏빛이 돌고 자방과 더불어 긴 백색 털이 약간 있으며 길이 4mm로서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mm로서 끝이 자방 밑부분보다 굵다. 꽃받침은 길이 1mm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길이 3mm이다.
    열매 : 열매는 난형이고 길이 4.5mm 지름 1.5mm로서 회백색이며 끝에 부리 모양으로 꽃받침이 달려 있고 긴 백색 털이 몇개 붙어 있다. 종자는 난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검은색이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단양 및 월악산록 등 우리 나라 중부 이북.
    형태 : 일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 Moscou 5: 204 (183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