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꽃장포

    학명 : Tofieldia nuda Maxi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석장포속(Tofieldia)
    이명 : 꽃바위장포 꽃장포풀 꽃창포 돌창포
    잎 : 잎은 좌우로 편평하고 굽은 선형이며 3-7맥이 있고 길이 5-20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안쪽의 잎을 마주안기 때문에 2줄로 배열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4-30cm로서 털이 없고 선상의 잎이 2개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길이 3.5-4mm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3-6cm이며 소화경은 길이 5-12mm이다.
    포는 피침형이고 소포는 바로 꽃 밑에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2-2.5mm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고 수술대에 털이 없으며 꽃밥은 갈색 또는 자주색이다.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3개이며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5mm로서 난형이고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 꼬리가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드물게 실 같은 지하경을 내며 뿌리는 튼튼하다.
    분포 : 강원(사창리, 팔봉산), 평북(강계, 영원)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꽃창포라고 불리어 왔으나 같은 이름이 붓꽃중에도 있기 때문에 혼돈을 피하기 위해 돌창포라고 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9:416 (187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물칭개나물

    학명 : Veronica undulata Wall.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물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심장저이며 원줄기를 다소 감싸고 길이 4~7cm 폭 8-15m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총상화서는 엽액과 끝에 달리며 길이 5-12cm로서 화경이 짧고 소화경은 퍼지며 길이 4-6mm이고 포는 넓은 선형이며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도 지름 4mm로서 4개로 갈라진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둥근 삭과이며 지름 약 3mm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다소 육질이며 어릴 때는 군생하고 곧게 선다.

    분포 : ▶아시아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퍼져 있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ind. ed. 1: 147 (Roxb., 18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길이 3~8cm 폭 0.5~3.0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쯤 되며 위쪽에 홈이 패여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이고 잎 뒷면에 가는 털이 난다.
    꽃 : 개화기는 3~4월로 전년에 형성되었던 꽃이 잎보다 먼저 피는데 백색 또는 도홍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쳐지고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저이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중간쪽에 2개가 들어 있으며 반달모양이다.
    줄기 : 높이 1.5m에 달하고 수형으로 우산모양을 이룬다.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뿌리 : 개나리의 뿌리와 비슷하다.
    분포 : 충청북도 진천과 괴산군 영동군의 전석지나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내변산 직소천 유역을 따라 많이 자라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타원형.
    유사종 : ▶기본종은 꽃이 백색이다. ▶상아미선(for. eburneum T. Lee): 꽃이 상아색 으로 핀다.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이 분홍색 으로 핀다.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 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 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천연기념물: 진천의 미선나무자생지는 천연기념물 14호로 지정되었다가 남채로 멸종되어 해제되고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부안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370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제220호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면적:7 798㎡ ⓒ지정사유:특산수종의 자생지 제221호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면적:14 400㎡ ⓒ지정사유:특산 수목의 자생지 제364호 ⓐ소재지: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19-4 상서면 청림리 산228·229 ⓑ면적: 2 330㎡ ⓒ 지정사유 : 학술연구자원 제370호로 지정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3: 153 (19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달래

    학명 : Allium monanthum Maxi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이명 : 들달래 쇠달래 애기달래
    잎 : 잎은 1-2개이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0-20cm 폭 3-8mm로서 단면이 초생달모양이며 9-13맥이 있고 윗면에 얕은 홈이 져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1-2개가 달리며 짧은 화경(花梗)이 있고 길이 4-5mm로서 백색이거나 붉은 빛이 돈다. 포는 얇은 막질이며 난형이고 길이 6-7mm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꽃잎은 6개로서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둥글다. 꽃이 지면 파처럼 까만 씨가 결실한다.
    줄기 : 높이 5-12cm이다.
    뿌리 : 인경(鱗梗)은 넓은 난형이며 백색이고 길이 6-10mm이며 외피가 두껍고 파상으로 꾸불꾸불해지는 횡세포로 되며 2-6개의 새끼(자구)를 형성한다.
    분포 : ▶일본 중국 몽골 등 동북아시아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구근식물이다.
    유사종 : ▶산달래(Allium grayi Regel) : 산지의 초임이나 들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 깊은 산의 볕이 드는 숲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잎은 손바닥처럼 넓고 2-3장씩 달린다.
    특징 : 달래는 독특한 맛과 특유의 향취를 지닌 향신채로 달래초나물에서 물씬한 봄내음을 즐기게 해주던 산나물이었으나 근래에는 재배되어 겨울내내 즐길 수 있어 계절감각을 느낄 수 없게 된 것이 못내 아쉽지만 예나 지금이나 식욕을 돋구어 주는데는 변함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1: 109 (188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나도바람꽃

    학명 : Enemion raddeanum Rege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나도바람꽃속(Enemion)
    이명 : 향수꽃
    잎 :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잎은 잎자루가 있고 길이가 2∼4cm, 폭이 1∼3cm로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다시 깊게 패어 들어간 모양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흰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길이 3cm의 작은 꽃자루들이 우산 모양으로 달리고 그 끝에 1송이씩 달린다.
    포는 줄기에 달린 작은잎과 비슷한 모양이다.
    꽃받침조각은 4∼5개로 타원 모양이고 길이가 6mm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길이가 4mm이며 그 수가 많고, 암술대는 위쪽이 굵다.

    열매 : 열매는 6~7월경에 3~5개의 방으로 달린다.
    골돌과이고 3∼5개가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길이가 4∼5mm이고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줄기 : 기부는 인편형 잎이 있다.
    줄기는 약하고 곧게 서며 높이가 20∼30cm이다.
    줄기 밑 부분에 비늘조각 같은 잎이 몇 개가 있고 줄기 중앙 윗부분에 잎이 달린다.

    뿌리 : 뿌리줄기는 짧고 밑 부분에 많은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중.북부) 일본 만주 우수리 아무르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Radd. 1 : 61 (186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6. 붓꽃

    학명 : Iris sanguinea Donn ex Horn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잎은 곧추 서고 선형으로 길이 30~50cm 나비 5~10mm이며 끝은 뾰족하고 중륵은 뚜렷하지 않으며 밑부분은 엽초같고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2~3개씩 달리며 지름 8cm 내외이고 소화경은 길이 2~4cm로 소포보다는 짧으나 자방보다 길며 포는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5~6cm이다. 외화피편은 넓은 도란형으로 퍼지고 조부는 황색 바탕에 자색 줄무늬가 있으며 내화피편은 타원상 도피침형으로 길이 약 4cm이고 곧추 선다. 암술대의 열편 끝은 2열하고 톱니가 있으며 꽃밥은 암자색이다. 화경은 곧추 서고 높이 30~60c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대가 있고 양 끝이 뾰족한 원주형이다. 종자는 갈색이고 삭과 끝이 터지면서 나온다.
    줄기 :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나와 뭉쳐나며 밑부분에 붉은빛을 띤 갈색 섬유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갈색의 섬유로 덮여있다.
    뿌리에는 소화·구어혈·소종의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는 소화불량·복창만·질타손상·치질·옹종·개선 등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몽고 다후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이름의 유래는 꽃봉오리가 먹을 머금은 붓과 같다고 해서 붓꽃이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 Bot. Hafn. 1 : 58 (181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비진도콩

    학명 : Dumasia truncata Siebold & Zucc.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비진도콩속(Dumasia)
    이명 : 산흑두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긴 난형이며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둔한 끝에 소돌기가 있으며 밑부분이 재저이거나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짧은 복모가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선형이고 3맥이 있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소탁엽은 길이 1mm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1-3개가 액생하며 길이 2-5cm로서 화경이 있고 꽃은 8-9월에 피며 길이 길이 15~20mm로서 황색이고 꽃받침은 통형으로서 끝이 비스듬히 잘리며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도피침형이고 길이 4~5cm 나비 7-8mm로서 연한 자주색으로 익으며 흑색의 둥근 종자가 3~5개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나약하며 자흑색이 돌고 밑을 향한 짧은 복모가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비진도에 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특징 : 1978년에 김삼식 교수가 비진도에서 처음으로 채집했기 때문에 비진도콩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am. Nat. 1: 119 (184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좁은잎배풍등

    학명 : Solanum japonense Nakai
    과명 : 가지과(Solanaceae)
    속명 : 가지속(Solanum)
    이명 : 곰의꼬아리 곰의꽈리 산꽈리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4~8cm 폭 1~3.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는 거의 밋밋하지만 밑부분에 1~2쌍의 둔한 열편이 있고 윗부분의 가장자리와 맥 위에 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지만 중앙부는 녹색이고 마디 사이의 중앙에서 가지가 나와 차상叉狀으로 갈라져서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cm이고 소화경은 열매가 익을 때는 윗부분이 다소 굵어진다. 꽃받침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6-7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꽃밥 윗부분의 구멍에서 꽃가루가 방출된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지름 6~9mm이고 붉게 익으며 유독하다.
    줄기 : 덩굴성이며 털이 거의 없고 많은 가지가 갈라져서 길게 벋는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와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의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거의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ea. 16: 58 (1923)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9. 박주가리

    학명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박주가리속(Metaplexis)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10cm 폭 3-6cm로서 털이 없으며 약간 두껍고 톱니가 없으며 지맥이 분명하고 뒷면이 분처럼 희다.
    꽃 : 꽃은 엷은 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총상화서로서 액출하고 길이 2-5cm이며 화경(花梗)이 있다. 녹색의 꽃받침은 길이 4-5mm로서 5조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송곳형으로 끝이 날카롭고 화관은 복형(輻形)으로 5열되며 안쪽에 털이 밀생하고 열편은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진다.
    열매 : 골돌과로서 짐승 뿔모양이며 길이 10cm로서 전면에 고르지 않은 작은 돌기가 있고 종자는 편평한 도란형이며 길이 6-8mm로서 백색 명주실같은 것이 달려 있어 바람에 잘 날린다. 열매를 나마자라 한다.
    줄기 : 길이가 3m 이상에 달하고 자르면 젖같은 액체가 나온다.
    뿌리 : 지하경이 길게 뻗어 번식한다.
    분포 : 일본 쿠릴열도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야생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특징 : 세계에 수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7 : 27 (190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노랑어리연꽃

    학명 : Nymphoides peltata (J.G.Gmelin) Kuntze
    과명 : 조름나물과(Menyanthaceae)
    속명 : 어리연속(Nymphoides)
    이명 : 노랑어리연
    잎 : 긴 엽병으로 물 위에 뜨는 잎은 마치 수련 잎과 비슷하고 윤기가 난다. 잎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지름 5-10cm로서 밑부분이 2개로 갈라지지만 붙어 있는 것도 일부 있고 뒷면은 갈색을 띤 보라색이 돈다.
    꽃 : 꽃은 7-9월에 오이꽃과 비슷하게 피고 밝은 황색이며 엽액에서 자라고 소화경은 길이 3-12cm이다. 꽃받침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은 지름 3-4c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파지고 수술과 꽃잎은 5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납작한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이 좁아져서 길이 3mm정도의 암술대로 되며 종자는 납작한 도란형의 흑갈색으로 길이 3mm가량이며 날개가 있고 가장자리에 주상(柱狀)의 돌기가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털이 없고 유연하며 지름 3-4mm로 물속에서 길게 비스듬히 자라 수면위에 잎이 뜬다.
    뿌리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유럽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수초

    특징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의 늪지식물은 천연기념물 제34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3 911㎡정도이고 이곳에 나는 늪지식물은 자라풀 줄풀 세모고랭이 방울고랭이 창포 개구리밥 물옥잠 골풀 나도미꾸리낚시 붕어마름 털개구리나리 애기마름등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is. Gen. Pl. 2 : 429 (Kuntze, 1891)

    Read More
  11. 어리연꽃

    학명 : Nymphoides indica (L.) Kuntze
    과명 : 조름나물과(Menyanthaceae)
    속명 : 어리연속(Nymphoides)
    이명 : 금은연 어리연
    잎 : 1~3개의 잎이 자라 물 위에 수평으로 뜬다. 잎은 원심형으로 직경이 7~20cm 정도로 비교적 작으며 기부 쪽이 깊이 갈라져 있다. 엽병은 길이가 1~2cm로 줄기의 연속으로 연장되어 밑부분이 2개의 귀처럼 확대되어 화서 밑부분을 감싼다.
    꽃 : 꽃은 8월경에 엽액 사이로 물 위에 나와서 피고 꽃색은 백색 바탕에 중심부는 황색이며 10개가 한군데에 모여 핀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열편은 길이 4-6mm로서 끝이 다소 둔하며 녹색이고 넓은 피침형이다. 화관은 백색으로 깊이 5갈래로 갈라지며 열편 안쪽에는 긴 털이 있고 직경 1.5cm로 광채가 난다.
    열매 : 삭과는 길이가 4~5mm이며 긴 타원형 내지는 난형으로 끝에 길이 2mm 정도의 암술대가 남아 있고 종자는 넓은 타원형으로 털이 없는데 길이 0.8mm 정도로서 갈색이 도는 회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가늘며 1m 정도 자라고 1-3개의 잎이 드문드문 자란다. 줄기의 생장은 물의 깊이에 따라 조절 생장된다.
    뿌리 : 잔뿌리와 수염뿌리가 많이 있다.
    분포 : 중국 대만 한국의 중부 이남 일본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남부 중부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생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 O. Kuntze)은 노랑꽃이 핀다. 작은좀어리연꽃(Nymphoides coreana Har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is. Gen. Pl. 2 : 429 (Kuntze, 1891)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12. 남개연

    학명 : Nuphar pumilum var. ozeense (Miki) Hara
    과명 : 수련과(Nymphaeaceae)
    속명 : 개연속(Nuphar)

    잎 : 성숙된 잎은 길이 8~12cm 폭 7~8cm 정도의 장 타원형이고 미요두이며 기부는 화살모양이며 둘로 갈라진 열편의 기부는 좁아진다. 표면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에 털이 있다. 엽병은 속이 차 있다.
    꽃 : 꽃은 7~9월에 정생하고 직경 2~3cm정도의 컵 모양이며 5개의 꽃받침은 광택이 있는 황색이고 끝은 둥글고 기부는 좁아진다. 꽃잎은 여러장으로 꽃받침보다 작고 길이 5~6mm 정도의 직사각형이며 연한 황색이다. 수술은 많고 화사는 7~9mm 약은 3mm 정도이다. 주두는 8개이고 붉은 색이며 주두반 직경은 8mm 정도이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64 : 79 (1951)
    참고문헌 : 1) 무학산의 식물상 (최홍근, 1985)
    Read More
  13. 흰꽃여뀌

    학명 : Persicaria japonica (Meisn.) H.Gross ex Nakai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이명 : 횐꽃여뀌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다소 두껍고 길이 7-12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 근처와 뒷면 맥 위에 거센 털이 있으며 엽병은 짧다. 초상의 탁엽은 맥이 있으며 막질이고 끝이 거의 수평하며 연모는 길이 8-15mm로서 딱딱하다.
    꽃 :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몇 개가 나오고 길이 7-12cm로서 처지며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피는 백색이지만 열매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녹백색이며 수술은 8개이고 포기에 따라 암술이 길고 수술이 짧은 것과 암술이 짧고 수술이 긴 것이 있다. 화피는 길이 3-4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선점(腺點)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4mm이며 수술은 8개 암술대는 2-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타원상 난형이고 세모가 지거나 렌즈형이며 길이 2-2.5mm이고 광택이 난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단단하고 마디가 길며 적갈색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개여뀌(P. longiset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특징 : 잎 엽초 상부에 수염털이 나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aishu & Kwan Isl. 41 (1914)
    참고문헌 :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4. 보현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davidii x palibiniana K.Choi & J.H.Pak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이명 : Pseudostellaria davidii x palibiniana K.Choi & J.H.Pak

    꽃 : 한줄의 연모로 덮인 소화경은 대개 1.9~4.0 cm이다. 꽃받침 열편(악편)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하단부에 섬모가 있으며 길이 3.5~4.5 mm이다. 꽃잎(화판)은 길이 4.0~5.7 mm 흰색으로서 5장이며 도란형으로서 끝에서 약간 움푹 패여있다. 수술은 붉은색의 암술(약)과 함께 10개이며 암술대(화주)는 3~4 mm이다.
    열매 : 종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줄기 : 줄기는 분지하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분지하고 어릴때는 직립하지만 성숙하면 포복지를 형성한다.
    뿌리 : 길이 2 cm 너비 약 3 mm로서 1~3개(드물게 5개)의 뿌리가 방추상으로 펼쳐져 있다
    분포 : 보현산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가는잎개별꽃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ex Pax & Hoffm.)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긴개별꽃 (Pseudostellaria japonica Pax)
    덩굴개별꽃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ex Pax & Hoffm.)
    덩이뿌리개별꽃 (Pseudostellaria bulbosa (Nakai) Nakai)
    보현개별꽃 (Pseudostellaria davidii x palibiniana K.Choi & J.H.Pak)
    비슬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x palibiniana K.Choi & J.H.Pak)
    산개별꽃 (Pseudostellaria monantha Ohwi)
    숲개별꽃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
    지리산개별꽃 (Pseudostellaria okamotoi Ohwi)
    참개별꽃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큰개별꽃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ant Species Biology 16: 46 (2001)

    Read More
  15. 구상나무

    학명 : Abies koreana Wilson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전나무속(Abies)

    잎 : 가지나 줄기에 윤생으로 돋아나며 잎끝이 2갈래로 갈라져 있다. 가지의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고 길이 9-14mm 폭 2.1-2.4mm이며 표면은 암록색이고 뒷면은 은백색으로 잎 끝이 오목하다. 어린가지의 잎은 길이 18-20mm 폭 1.8mm로서 요두이고 수지구가 약간 밑에 있으며 잎뒷면에 2개의 흰색의 기공선이 있다.
    꽃 : 5-6월에 솔방울같이 빨강 노랑 분홍 자주등 다양한 색의 꽃이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웅화서는 타원형으로 길이 1cm정도이며 자화서는 보통 자주색으로 길이 1.8cm가량의 꽃이 잎끝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구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4-6cm 지름 2-3cm이며 녹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실편은 길이 9mm 폭 18mm이고 포편의 침상 돌기가 뒤로 젖혀지며 종자는 난형으로 6mm정도이고 날개는 폭 4.5mm정도이다.
    줄기 : 높이가 18m에 달하고 소지는 황색이지만 털이 없어지면서 갈색이 돌고 동아는 난상 원형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 있고 수지가 약간 있다. 노목의 수피는 거칠고 회갈색이다.
    뿌리 : 직근과 잔근이 있다.
    분포 : 한라산 무등산 백운산 가야산 덕유산 지리산 등지의 표고 500-2 000m에 자생한다.
    형태 : 성상:상록침엽교목 수형:초기에는 원추형이나 고목이 되면 원정형으로 변화함.
    유사종 : ▶푸른구상((A.k.Wils. for. chlorocarpa T. Lee): 구과의 색이 푸른 것.
    ▶검은구상(A.k.Wils. for. nigrocarpa Hatus.): 구과의 색이 검은 것.
    ▶붉은구상(A.k.Wils. for. rubrocarpa T. Lee): 구과의 색이 붉은 것.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im.): 구상나무에 비해 잎이 좁고 연약하며 배열이 빗처럼 되고 구과의 실편포가 뒤로 젖혀지지 않고 위로

    특징 : ▶변재는 백색이며 심재는 담황갈색의 줄무늬가 있는 백색이다. 재질은 가볍고 연하며 거친 편이고 광택이 있으나 향기는 적다. 가공성이 좋으며 탄성도 풍부하여 가열하면 잘 구부러진다.
    ▶분비나무는 포편의 끝이 뒤로 젖혀지지 않으나 구상나무는 포편의 길이가 6㎜로서 뒤로 젖혀지는 것이 다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Arnold Arbor. 1: 188 (192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분홍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lilacinum Nakai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피며 총상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분홍색이고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 군자산록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distichum Nakai):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 ▶상아미선(for. eburneum T. Lee): 꽃이 상아색 으로 핀다.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 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 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6 : 26 (192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울릉제비꽃

    학명 : Viola ulleungdoensis M. Kim & J. Lee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연보라색으로 털이 없고 꽃줄기는 3-6cm로 길이는 잎과 비슷하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세모지다.
    줄기 :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부정아가 없다
    분포 : 울릉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뫼제비꽃

    국명출전 : 식물분류학회지
    학명출전 : 한국식물분류학회 , 식물분류학회지 | 42권 3호

    Read More
  18. No Image

    무주나무

    학명 : Lisianthus japonicus Miq.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무주나무속(Lisianthus)

    잎 : 잎은 마주나고 두꺼운 가죽질로 표면은 광택이 나고, 긴타원형, 끝과 밑이 뽀족하며 잎자루는 길이 10mm 가량, 잎몸은 길이 7~15cm, 너비 2-4cm
    꽃 : 꽃은 잎겨드랑이에 수 송이씩 달리고 5갈래, 포는 작고 좁은 삼각형이며 조락성이고 꽃받침은 종모양, 길이2cm 가량, 화관은 흰색, 길이 1cm 가량, 통부는 길이6mm 가량이고 가늘며, 표면은 털이 없고 안에는 연모가 있음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지름 6mm 가량 꽃박침이 붙어 있고 하늘색이다.
    줄기 : 가지는 가늘고 길며 1m 정도,
    줄기는 초록색이며 털이 없고 잎이 달린 흔적이 남아 있어 마디처럼 보임.
    가시의 길이가 1cm정도로 잎보다 짧음

    뿌리 : 뿌리는 군데군데 굵어짐
    분포 :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중국
    형태 : 상록활엽 관목

    특징 : 호자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크며 가시의 길이가 1cm정도로 잎보다 짧고 뿌리가 군데군데 굵어지는것이 다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Miq., Vol. 1, p. 1-160, 1863; 161-331, 1864; vol. 2, p. 1-148, 1865; p. 149-313, 1866; vol. 3, p. 1-315, 1867; vol. 4, p. 1-96, 1868; p. 97-319, 1869)
    참고문헌 : Ann. Mus. Bot. Lugduno-Batavi 3:110 (1867)
    Read More
  19. No Image

    가는갈퀴나물

    학명 : Vicia anguste-pinnat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가는말굴레 가는잎갈퀴 덤불갈퀴나물
    잎 : 잎은 호생하고 6~14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이며 선단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 소엽은 하부의 것은 선형으로 길이 7.3cm 나비 2.5mm이고 상부의 것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 길이 7.5cm 나비 6m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소엽병은 거의 없으며 탁엽은 반 화살모양이다.
    꽃 : 꽃은 5월에 적색으로 피고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1~4cm이고 2~7개의 꽃이 나며 소화경은 1.5mm이다. 꽃받침은 끝이 비스듬히 잘린 것 같으며 열편은 침형이다. 화관은 나비모양으로 길이 18mm이고 수술은 2체이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편평하며 길이 4cm로 짧은 대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능선이 있으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올라가고 털이 없다.

    분포 : 전남(백운산 조계산 무등산) 전북(백양산) 경남(남해도) 경북(가야산)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8 : 329 (Nakai, 191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20. No Image

    줄댕강나무

    학명 : Abelia tyaihyoni Nakai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댕강나무속(Abelia)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좁은 예저이며 길이 2-6㎝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와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4㎜이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새가지 끝에 산방화서로 달리고 주홍색의 꽃봉우리가 맺으며 꽃은 연한 우유빛으로 피는데 꽃에는 은은하고 달콤한 향기가 있다. 포엽은 난형 첨두 심장저이며 꽃받침에 털이 있고 열편은 5개(간혹3-4개)이며 도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와 맥 위에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3-5mm로서 겉에 털이 있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으며 자방은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있다.
    열매 : 4개의 날개가 달린 종자는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와 늙은 가지에 여섯 줄의 홈이 있으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분포 : 충북 단양의 매포읍 제천 강원도 영월의 표고 300m 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석회암 지대의 지표 식생식물이다. 댕강나무처럼 줄기에 6개의 줄이 있고 우산모양으로 옆으로 누워서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Coll. Sci. Imp.Univ. Tokyo 45-5 : 58 (192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