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조구나무

    학명 : Sapium sebiferum (L.) Roxb.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사람주나무속(Sapium)
    이명 : 가름나무오구나무 오구목
    잎 : 잎은 호생하고 약간 두꺼우며 길이 3-6cm의 삼각상 능형으로 예첨두 평저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고 상단에 2개의 선점이 있다. 잎뒷면은 담녹백색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윗부분에 10-15개의 수꽃이 달리고 향기가 있으며 밑부분에는 2-3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의 꽃받침은 술잔 모양이고 수술은 2-3개이며 암꽃은 한쪽에 선체가 있는 소포엽으로 싸여 있고 꽃받침의 일부가 퇴화되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구상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9-11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3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납질(蠟質)로 덮여 있으며(이것으로 초를 만든다) 백색이고 길이가 7㎜이며 독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한다. 수피가 처음에는 평활하지만 나중에는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사람주나무(S. japonicum): 잎은 타원형 난형 도란상 타원형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특징 : 우리나라에 1930년경에 도입되었으며 맹아력이 강한 수종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ind. 3: 693 (18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2. No Image

    조개풀

    학명 :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조개풀속(Arthraxon)

    잎 : 잎은 길이 2-6cm 폭 1-2.5cm로서 피침형 또는 난상피침형이며 심장저(心臟底)이고 줄기를 감싸며 잎표면에는 털이 없거나 있으며 뒷면과 가장자리에도 털이 있다. 엽초에는 짧은 털이 있으며 엽설(葉舌)은 막질이고 길이 1-2mm로서 잘게 갈라지며 절두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밑부분이 지상을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윗부분은 곧추서며 높이 20-5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 털이 있다. 꽃은 9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2-5cm로서 장상이며 가지는 3-20개로서 밑부분에서 다시 갈라지기도 하고 마디사이에 보통 털이 없다. 소수(小穗)는 길이 4mm정도로서 1개씩 달리며 0.2-0.5mm 길이의 소수병(小穗柄)이 있다. 소수병이 없는 이삭은 난상피침형으로 회록색 또는 자주빛을 띠고 길이는 4-5mm이다.
    열매 : 첫째 포영은 초질로서 7-9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얇고 3맥이 있으며 호영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내영의 뒷면 기부에 길이 1-2cm의 가락이 달린다.
    줄기 : 가늘며 마디에 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지며 기부는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214 (19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조개나물

    학명 : Ajuga multiflora Bung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조개나물속(Ajuga)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5-3cm 나비 7-20mm로서 양면에 긴 융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개화기는 5-6월이고 엽액에 자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7mm정도로서 반 이상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2cm정도로서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은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것이 가장 길다.
    열매 : 4분과는 도란형이며 능각이 없고 뒷면에 그물맥이 있으며 앞쪽 밑부분에 큰 부착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긴 털이 밀생한다.
    뿌리 : 짧은 근경 끝에 잔 뿌리가 사방으로 뻗어 나간다.
    분포 : 아무르 우수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남 경북(대구 팔공산) 경남 경기(서울 근교 광릉 인천)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조개나물 (for.leucantha T.LEE) : 백색 꽃이 핀다. ▶붉은조개나물 (for.rosea Y.LEE) : 적색 꽃이 핀다.
    특징 : 조개나물을 육종의 기본종으로 이용하여 서양에서 재배종으로 이용하고 있는 아쥬가와 교잡하여 형질이 우수한 잡종을 육종하였다. 새로이 육종한 잡종은 개체가 크며 지하로 뻗어가는 포복경에 의해 번식성이 좋고 꽃이 아름다우며 여름철의 더위에도 잘 견뎌 노지녹화용으로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Chin. Bor. 51 (Bunge, 18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조각자나무

    학명 : Gleditsia sinensis Lamarck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주엽나무속(Gleditsia)
    이명 : 개주염나무 중국주엽참조각자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3~6쌍이고 장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9cm 나비 5~35mm이며 양끝이 둔하거나 약간 뾰족하고 표면은 중륵과 맥 위에 갈색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맥 위에만 갈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이고 6월에 피며 수상화서로 달린다. 가시가 큰 것은 길이 10cm 지름 1cm 이상으로서 방추형 비슷하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길이 20cm 나비 3cm로 비틀리지 않고 두꺼우며 쪼개면 매운 냄새가 나고 10월에 성숙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Lamarck) 2 : 465 (Lamarck, 1788)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5. No Image

    학명 : Setaria italica (L.) P.Beau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강아지풀속(Setaria)
    이명 : 큰조
    잎 : 잎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꽃 : 화수(花穗)는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15-20㎝ 나비 2.5㎜로서 한쪽으로 굽으며 짧은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꽃이 밀착한다. 1개의 소지에는 1개의 양성화와 불완전한 꽃이 달리고 밑부분에 가시 같은 털이 있으며 소수(小穗)는 길이 3㎜정도로서 1개의 꽃으로 된다. 첫째 포영은 길이 0.8-1mm로서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mm정도로서 5맥이 있으며 까락이 없다. 퇴화된 꽃의 호영은 5맥이 있고 까락이 없으며 둘째 포영과 비슷하다.
    열매 : 영과는 황색이고 둥글며 떨어진 다음 포영이 남는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가지가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 작물.

    특징 : ▶메마른 곳에 나는 것과 물기가 많은 곳에 나는 것이 다르게 나타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 Agrostogr. 51, 170, 178.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제충국

    학명 : Tanacetum cinerariifolium (Trev.) Sch.Bip.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국화속(Tanacetum)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중렬 또는 천열하고 최종열편은 선형으로 끝이 둔하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많다.
    꽃 : 꽃은 5~6월 경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두화의 지름은 3cm 정도이다. 총포편은 장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막질로 부드러운 털이 있다. 중심의 관상화는 황색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5개의 맥이 있고 끝에 관모는 관상으로 되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분백색이고 기부에 전년도의 잎이 흔적적으로 남아 비늘조각을 이루고 있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anacet. 58 (188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제주황기

    학명 :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황기속(Astragalus)
    이명 : 두메땅비수리멧땅비수리한라황기
    잎 : 잎은 우상복엽으로 소엽은 5-10쌍이고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길이 5-8mm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나비모양이고 엽액에서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축은 길다.
    열매 : 열매는 협과이다.
    줄기 : 전체에 가는 털이 밀생하고 줄기는 밑동에서 여러개가 한꺼번에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제주 한라산 정상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가 황기와 닮았으나 아주 작게 나타나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제주현삼

    학명 :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Yamaz.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현삼속(Scrophularia)


    꽃 : 꽃은 7~8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가는 원추화서로 달리며 포는 소형으로 선상 피침형이다. 꽃받침은 5열하고 열편은 난형이며 화관은 길이 6~7mm이고 통부는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지고 털이 없다.
    뿌리 : 뿌리의 1부는 방추형으로 비대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23 : 85 ()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제주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schoenoides (Retz.) Vahl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이명 : 각시하늘지기 해남하늘직이
    잎 : 잎은 화경보다 짧으며 폭 2/3-1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린다. 엽초는 털이 없으며 길이 3-7cm로서 끝이 수평하고 갈색이다.
    꽃 : 8-10월 개화. 소수는 1-2개 때로는 3개이고 대가 없거나 길이 0.5-2cm의 대가 있으며 넓은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5-10mm 폭 4mm로서 백록색 또는 갈색이다. 포는 없거나 1-2개의 선상 포가 있으며 길이 3cm이고 인편은 둥근 난형이며 길이 2.5-3mm로서 백색 바탕에 흑색줄이 있고 능선이 없으며 끝이 둥글고 털이 없다. 암술대는 길이 2-2.5mm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5mm정도로서 둥근 도란형이며 백색에서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10-40cm이다.
    뿌리 : 근경은 뚜렷하지 않다.
    분포 : 남쪽 바닷가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2: 286 (18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제주피막이

    학명 : Hydrocotyle yabei Makino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피막이속(Hydrocotyle)
    이명 : 산피막이풀 큰피막이피막이풀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으로 지름이 6~15mm이며 밑은 넓게 벌어지고 5~7개로 중렬하며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7~20mm이며 탁엽은 지름 1.2mm 정도로서 얇은 막질이다.
    꽃 : 꽃은 6~9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화경이 나와 그 끝에 달리며 소화경은 없고 화경은 엽병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고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과실은 분과로 편구형이며 2~4개씩 달린다.
    줄기 : 줄기는 전체가 지상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고 가을에 줄기 끝이 땅속으로 들어가 백색의 비대한 월동아를 만들며 다른 부분은 말라 죽는다.

    분포 : 제주에 나여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4 : 243 (191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1. No Image

    제주큰옥매듭풀

    학명 : Polygonum aviculare var. fuscoochreatum (Kom.) A.J.Li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olygonum)






    분포 : 한반도(제주) 만주


    특징 : 큰옥매듭에 유사하나 모든잎짬의 꽃이 무엽의 총상화서를 이루는 것이 다르며 중국매듭풀에 비해서는 줄기가 곧추서고 화피편의 가장자리가 연한 장미색을 띤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Reipub. Popul. Sin. 25 (1) (Li., 199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제주큰물통이

    학명 : Pilea taquetii Nakai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물통이속(Pilea)
    이명 : 섬물퉁이 타꿰물풍뎅이 한라물퉁이
    잎 : 잎은 대생하며 털이 없고 엽신은 넓은 난형 또는 사각상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녹색이다. 뒷면은 색이 연하고 3맥이 있으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거나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17mm이며 탁엽은 둥글고 길이 1mm정도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엽액에 뭉쳐서 달린다. 수꽃은 각 화서에 1송이씩 달리고 화피열편은 2장이며 길이 0.2mm정도이고 수술이 2개이다. 암꽃은 화피열편이 3개이며 그 중 2장은 크고 길이 0.7mm정도이지만 나중에는 2mm정도로 된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난형이고 녹색과 갈색의 반점이 있으며 성숙한 열매는 녹색이고 길이 1.2mm정도로서 난형이다.
    줄기 : 높이 10cm정도로서 줄기는 녹색이며 가지는 다소 갈라졌다.

    분포 : 제주도와 지리산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모시물통이(P. monglic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난형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특징 : 큰물통이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와 잎이 더 연약하고 화피가 더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제주찔레

    학명 : Rosa luciae Franch. & Rchb.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장미속(Rosa)

    잎 :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2-3cm 폭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의 가장자리는 거의 밋밋하고 밑부분이 엽병과 합쳐진다.
    꽃 : 꽃은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이루며 꽃은 5월에 피고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 또는 연홍색이며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선모가 약간 있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지며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미요두이며 향기가 있다.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정도로 9월경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3㎜정도로서 백색이며 털이 나 있다.
    줄기 : 가지끝이 밑으로 처지고 흔히 덩굴성으로 되며 소지에 가시가 있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50-1 900m 사이의 산기슭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찔레(=털가시나무 var. adenochaeta): 잎과 화서에 선모가 많다. ▶좀찔레(=좀가시나무 var. quelpaetinsis): 소엽의 길이가 1-2cm이고 꽃이 작다. ▶국경찔레꽃(R. jaluana): 제주찔레와 비슷하지만 꽃이 적색이고 탁엽에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4. No Image

    제주진득찰

    학명 : Sigesbeckia orientalis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진득찰속(Sigesbeckia)
    이명 : 동방진득찰진득찰 찐득찰
    잎 :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예두 절저이고 엽병으로흐르며 길이 5-14㎝ 나비는 3-12㎝로서 양면에 복모가 밀생하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기부에 3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타원상 둔두로 된다.
    꽃 : 두화는 많으며 지름 16-21mm로서 긴 화경이 있고 화경에 대가 있는 선모(腺毛)가 섞여 있는 것도 있으며 총포는 5개로서 대가 있는 선(腺)이 있다. 설상화관은 길이 2.2-2.5mm로서 황색이고 3개의 톱니가 있다.
    열매 : 수과는 길이3mm 지름 1mm정도로서 4개의 능선과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20-55cm이고 가지가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 지역에 자란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900 (175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제주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championi (Benth.) C.Chr. ex Ching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이명 : 족제비고사리
    잎 : 잎이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20-30㎝로서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적갈색 또는 갈색이며 막질이고 밋밋하여 밑부분에는 가시같은 돌기가 있고 선상 삼각형 또는 피침상 삼각형이지만 작은것은 난상 삼각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엽신은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30-60㎝ 폭 20-30㎝로서 2회우상복엽이고 밑부분이 가장 넓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대가 짧고 끝이 뾰족하다. 소우편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에 가깝게 달리지만 중간형의 것도 있으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비스듬히 뻗으며 짙은 갈색 또는 진한 밤색의 피침형 인편이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엷은 지네고사리 (D. kinkiensis KOIDZ.): 엽병과 중축의 인편이 흑갈색이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 엷은지네고사리는 엽병과 중축의 인편이 흑갈색이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inensia 3:327 (193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6. No Image

    제주조릿대

    학명 : Sasa palmata (Bean) Naka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조릿대속(Sasa)
    이명 : 산죽탐나산죽
    잎 : 잎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연한 녹색을 띈다. 길이는 7~20cm 나비 15~20mm이고 긴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다.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으로 잔털이 약간 있고 엽초의 견모는 없거나 몇 개의 곧은 것이 있다. 초상엽은 길이 50~87mm로서 끝에 엽편이 있고 기부가 둥글고 지름 6mm정도이다.
    꽃 : 꽃은 5~6월에 원추화서로 달린다.(6~7년만에 핀다.)
    열매 : 열매는 영과로 밀알같고 껍질이 두껍다.
    줄기 :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다. 마디는 구형으로 도드라지고 주위가 약간 자주색이다.

    분포 : 제주(한라산)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관엽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7. No Image

    제주장딸기

    학명 : Rubus hirsutus f. argyi (H.Lev.) W.T.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산딸기속(Rubus)
    이명 : 알귈장딸기 )제주딸기
    잎 : 잎은 호생하고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상 피침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이고 예첨두이며 둔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3-6cm 폭 1.5-3cm로서 경생엽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며 기부에 침상탁엽이 있다.
    꽃 : 꽃은 지름 4㎝의 백색 양성화로서 5-6월에 지난해의 가지 옆에 나오는 짧은 가지 끝에 1개씩 개화한다. 꽃받침잎은 긴 피침형으로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해지고 양면에 우단같은 짧은 털이 밀생하며 꽃잎은 도란상 타원형으로 5개인데 수평으로 퍼지며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다. 자방은 겉에 털이 없다.
    열매 : 7~8월에 둥근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가늘며 곧추서거나 길게 옆으로 비스듬히 서고 군데군데에 가시가 있으며 새가지에는 긴 털과 선모가 있다.
    뿌리 :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새싹이 나온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반관목
    유사종 : ▶장딸기(R. hirsutus Thunb.): 따뜻한 곳에서는 반록성이며 잎은 길이 3-6㎝ 폭 1.5-3.0㎝이다. ▶노랑장딸기(var. xanthocarpa Nakai): 열매가 황색으로 익으며 완도에서 자란다. 봄에 근삽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Koreae : 529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제주올챙이골

    학명 : Scirpus lineolatus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잎 : 엽초는 1-2개로 투명하고 잎몸은 없으며 비스듬히 잘린다.
    꽃 : 작은 이삭은 1개 줄기옆에 달리고 길이 7-10㎜ 두께 3㎜로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이삭자루는 없으며 황갈색 또는 적갈색에 광택이 난다. 포는 1개 다소 원통형이고 길이 1-4㎝로 곧으며 꽃줄기에 연장된다. 비늘조각은 끝이 둔하고 투명하며 길이 4-5㎜이고 긴 타원형이다. 암술머리는 2갈래 화피는 4-5장으로 강모 모양이며 열매의 2배 길이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넓고 긴 난형이고 2㎜이고 흑갈색이다. 광택이 나고 납작하고 털이 없다.
    줄기 : 줄기는 연하고 털이나 까락이 없다.
    뿌리 : 근경은 매우 가늘고 끝에 괴경이 있다.
    분포 : 제주도 해변가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545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Read More
  19. No Image

    제주양지꽃

    학명 : 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제주소시랑개비
    잎 : 근생엽은 복엽으로 4-7개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꽃이 피기 전에는 길이 1-5cm이지만 꽃이 핀 다음 길게 자라며 엽병과 엽액에 털이 있고 소엽은 도란형 넓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상반부에 1-4개의 톱니가 있다.
    꽃 : 개화기는 4-6월로 화경끝에 1-3개의 황색꽃이 달린다. 꽃은 지름 1.4-1.8cm 이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서 거의 같은 길이이고 부악편은 녹색이며 꽃받침은 녹색 또는 황록색이고 길이 4-5mm로서 흔히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황색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5-7mm로서 끝이 파진다.
    열매 : 수과는 이그러진 난형으로서 앞쪽으로 다소 굽고 길이 1.2mm정도이다.
    줄기 : 높이가 20cm이고 포복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자줏빛이 돈다. 양지꽃과 비슷하지만 포복지가 돋는 것이 다르다.
    뿌리 : 짧은 근경의 끝에서 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분포 : 제주 한라산 해발 700m 이상지역 또는 한라산 주변의 각 오름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양지꽃(P. matsumurae)과 매우 흡사하며 함께 생육하기도 하지만 좀양지꽃은 포복지가 없다.
    특징 : ▶종명 stolonifera 는 포복지가 있다는 뜻이며 변종명은 제주도 원산임을 뜻한다. ▶제주 특산식물이다. ▶중부지방에서 재배시에는 다른 양지꽃들에 비해 개화시기(5월)가 약간 늦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ddes, Repert. 13 : 276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제주싸리냉이

    학명 : Cardamine impatiens var. fumariae Lev.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냉이속(Cardamine)






    분포 : 한반도(제주)
    형태 : 잎이 현호색에 유사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ddes Repert. Spec. Nov. Regni Veg. 12: 100 (191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