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금난초

    학명 : Cephalanthera falcata (Thunb.) Blume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은대난초속(Cephalanthera)
    이명 : 금란 금란초
    잎 : 잎은 털이 없으며 길이 8~15cm 폭 2~4.5c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주름이 진다.
    꽃 : 꽃은 4~6월에 피고 황색이며 수상화서에 3~12개의 꽃이 달리고 포는 막질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삼각형이다. 꽃받침잎은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14-17mm로서 끝이 둔하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다소 짧지만 거의 비슷하고 3개이며 난형상이다. 순판은 화피열편으로 싸여 있고 밑부분이 부풀며 3개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삼각형으로서 예주(蘂柱)와 합착하고 중앙열편은 원심형으로서 밑부분이 좁아지며 안쪽에 종선이 있고 꽃잎보다 낮아지며 윗부분이 젖혀진다. 예주(꽃

    줄기 : 곧게 서고 높이 40~70cm이며 매끄럽고 털이 없으며 6-8개의 잎이 호생한다.

    분포 : 울릉도 및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ll. Orchid. 187 (Blume, 185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피뿌리풀

    학명 : Stellera chamaejasme L.
    과명 :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속명 : 피뿌리풀속(Stellera)
    이명 : 서흥닥나무 처녀풀 피뿌리꽃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 10-25mm 나비 3-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잔맥이 뚜렷하고 드문드문 달리며 엽병은 길이 0.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황색이며 원줄기 끝에 두상으로 모여 달리고 길이 8-121mm로서 10맥이 있으며 끝이 4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열편은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2mm정도이며 꽃밥 끝이 후부(吼部)까지 나와 있다.

    줄기 : 높이 7-8cm이다.

    분포 : 황해도 이북(瑞興)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피뿌리풀에 비해 잎이 보다 크고 끝이 뾰족하며 잔맥이 뚜렷하고 드문드문 달리며 꽃이 황색으로서 보다 길고 꽃밥이 거의 밖으로 나온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3. No Image

    진퍼리새

    학명 : Molinia japonica Hack.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진퍼리새속(Molinia)

    잎 : 잎은 길이 20-50cm, 나비 2-10mm로서 분록색이며 표면과 뒷면의 위치가 바뀌고 거의 곧추서며 엽초와의 사이에 희미한 관절이 있고 엽초는 끝이 짧은 털로 싸이며 엽설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10-40㎝이며 가지는 1-3개씩 달리고 어릴 때는 겨드랑이에 털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8-12mm로서 2-5개의 낱꽃으로 된다. 포영은 난상 삼각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3-5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4-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고 뒷면이 둥글며 길이 4-5.5mm로서 3맥이 있고 기반의 털은 길이 1mm정도이며 내영은 길이 4-5mm로서 2맥이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2mm정도이다.

    줄기 : 대개 큰 군락을 형성하고 높이 30-110cm이며 곧게 자란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굳센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7(9): 704. (1899)

    Read More
  4. No Image

    좀미역고사리

    학명 : Polypodium virginianum L.
    과명 : 고란초과(Polypodiaceae)
    속명 : 십자고사리속(Polypodium)
    이명 : 좀나도우드풀 털미역고사리
    잎 : 근경에 다소 드물게 달리며 인편으로 덮인다. 인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중앙에 흑갈색부가 있다. 엽병은 볏짚색이고 가늘며 길이 5-12cm이고 엽신은 양면에 털이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7-20cm 나비 2.5-5cm로서 1회 우상으로 중축까지 갈라진다. 우편은 10~25쌍이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1~2mm 넓이 2~6m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끄트머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앞뒤면에 털이 없다.

    열매 : 포자낭군은 우편의 가장자리에 달리며 암갈색으로서 둥글다

    뿌리 : 땅밑에 지름 1~3mm의 근경이 가로 길게 뻗으며 흑갈색의 인편으로 덮이고 수염뿌리를 낸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북 몽골 일본 시베리아동부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금강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5. No Image

    산부채

    학명 : Calla palustris L.
    과명 : 천남성과(Araceae)
    속명 : 산부채속(Calla)
    이명 : 진펄앉은부채
    잎 : 엽병은 길이 10-25㎝로서 원주형이지만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줄기를 감싸며 그 위에 길이 3-5cm의 엽설이 있다. 엽신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5-7cm 나비 1-3c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화경은 높이 10-30㎝로서 밑부분의 마디에 잔뿌리가 많고 여러 잎이 한군데에서 나온다. 화서 밑의 포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5cm 나비 3cm정도로서 백색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뾰족하다. 꽃은 7월에 피며 양성으로서 화피가 없고 화서는 긴 타원체이며 길이 1.5-3cm이지만 과시에는 5cm정도로 자란다. 수술은 6개 혹은 그 이상이고 길이 2.5mm정도이며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머리에 대가 없다
    열매 : 열매는 장과이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배유가 있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름 1-2㎝이다.
    분포 : 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6. No Image

    꿩고비

    학명 :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Copel.
    과명 : 고비과(Osmundaceae)
    속명 : 고비속(Osmunda)

    잎 : 잎은 곧추서고 끝 부분이 약간 뒤로 젖혀지며 어릴 때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솜털로 덮이지만 나중에 없어지며 포자낭이 붙는 잎조각의 솜털은 검은 색이 많다. 영양엽은 길이가 30∼80cm 폭이 10∼25cm이고 황록색이며 1회우상복엽니다. 잎조각은 자루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 잎조각은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다. 포자엽은 영양엽보다 작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포자낭군이 입체적으로 달린다. 포자낭은 적갈색이고 측맥이 2개로 갈라진


    줄기 : 뿌리줄기는 굵고 지름이 5∼8cm이며 끝에서 잎이 뭉쳐난다.

    분포 : 한국·사할린·일본·타이완·중국·아무르·우수리·쿠릴열도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hilipp. J. Sci. 4:16 (1909)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참고문헌 : 1)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7. No Image

    쌍잎난초

    학명 : Listera pinetorum Lindl.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쌍잎난초속(Listera)
    이명 : 두잎난초 두잎란
    잎 : 잎은 신장상 심장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15-30mm 나비20-30mm로서 3맥이 있다.
    꽃 : 8-9월 개화. 연한 녹갈색이며 원줄기 끝에 5-10개가 달리고 포는 길이 1-2mm로서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둔하고 꽃잎은 선형이며 순판은 길이 7-8mm로서 깊게 2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에 유두상의 털이 있으며 밑부분에 돌기가 없다.
    자방은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6mm로서 이보다 다소 긴대가 있다.
    줄기 : 중앙부에 2개의 잎이 대생하며 그 윗부분에 털이 있다.

    분포 :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털쌍잎난초: 높이 10-12cm 줄기 윗부분에 선모가 있고 심장형의 잎이 2장 마주 붙는다.
    입술꽃잎의 밑동 부분에 귓불 모양으로 생긴 것이 있다.

    특징 : 세계에 약 28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1:175 (1857)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8. No Image

    나도수영

    학명 : Oxyria digyna (L.) Hill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나도수영속(Oxyria)
    이명 : 큰산수영 큰산승애
    잎 : 잎은 근두(根頭)에서 총생하며 신원형(腎圓形)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1.5-3cm 폭 2-4cm이고 끝이 둥글거나 오목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은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월에 원추화서로 피고 녹색이거나 붉은빛이 다소 돌며 화경(花莖)은 높이 10-35cm로서 잎이 없거나 화서 밑에 1개 있다.
    화경은 가늘고 길며 중하부에 마디가 있다.
    화서는 길이 4-10cm로서 원추형이고 꽃이 많이 달리며 화피열편은 4개이고 안쪽의 2개는 길이 1.5mm의 도란형으로 보다 크다.
    수술은 6개이며 암술대는 2개로서 짧고 암술머리가 잘게 갈라지며 자방은 상위이다. 열매에 달려 있는 안쪽의 화피열편은 난형이며 끝이 둥글고

    열매 : 열매는 소견과로 막질의 넓은 날개가 있고 전체가 둥글며 끝이 오목하고 길이 4-5mm이다.
    줄기 : 털이 없으며 가는 홈줄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 북미주 등에 분포한다.
    ▶백두산 고산대 또는 아고산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북반구의 북극과 고산 지역에 2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 Kew. (Hill) ed. 2, 158 (Hill, 176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9. No Image

    큰개관중

    학명 : Polystichum mayebarae Tagawa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3:91 (193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10. No Image

    산고사리삼

    학명 : Sceptridium multifidium var. robustum (Rupr.) Nishida
    과명 :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속명 : 고사리삼속(Sceptridi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 Pterod. Jap. 254 (1959)
    1) Flora of Korean Pteridophyta (M.K.Park, 1961)


    Read More
  11. No Image

    가지꽃고비

    학명 : Polemonium racemosum var. laxiflorum (Regel) Nakai
    과명 : 꽃고비과(Polemoniaceae)
    속명 : 꽃고비속(Polemonium)

    잎 : 잎은 어긋나고 기주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 : 7∼8월에 자줏빛 꽃이 원추화서로 피는데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1개 암술대는 3가닥으로 나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가 곧고 윗부분에 액을 분비하는 선모가 있다.

    분포 : 함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l. Sci. Mus. Tokyo 31 : 96 (195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숙은꽃장포

    학명 : Tofieldia coccinea Ric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석장포속(Tofieldia)
    이명 : 숙은꽃장포풀 숙은돌창포 애기바위장포
    잎 : 잎은 좌우로 편평하고 근생이며 2줄로 늘어서고 선형이며 길이 2-5cm 폭 2-4mm이고 짙은 녹색이며 윤기가 나고 혁질이며 가장자리가 까실까실하고 끝이 뾰족하다. 화경(花莖) 윗부분에 1-2개의 작은 잎이 있다.
    꽃 : 수상화서는 길이 1-2cm로서 많은 꽃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며 포액에서 밑을 향하며 길이 2-3mm로서 백색 또는 검은 갈자색이 돌고 소화경은 길이 2-3mm로서 위 끝에 3개로 갈라진 소포가 달린다. 화피열편은 6개이며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6개로서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황색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암술머리는
    열매 : 삭과는 둥글며 지름 3mm정도이고 밑으로 처지며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0.8mm 정도이고 꼬리가 없다.
    줄기 : 높이 5-15cm이다.
    뿌리 : 근경이 짧으며 뿌리가 튼튼하다.
    분포 : ▶러시아 극동부 캄차카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의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App. 736 (182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꼬인용담

    학명 : Gentianopsis contorta (Royle) Ma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수염용담속(Gentianopsis)











    학명출전 : Acta Phytotax. Sin. 1(1) : 14 (1951)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8 : 526 (2008)
    Read More
  14. No Image

    흰알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f. albiflorum (Nakai) T.B.Lee ex T.B.Lee & T.Yamaz.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이명 : 흰밥풀





    분포 :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Kwanak Arbor. 4 : 43 (198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털개관중

    학명 : Polystichum fibriloso-paleaceum (Kodama) Tagawa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잎 : 엽병은 길이 20-30㎝로서 밑부분이 마른 잎으로 덮이며 인편이 밀생한다. 잎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긴 타원형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점점 좁아지고 짙은 녹색으로서 두꺼우며 윤채(潤彩)가 강하고 길이 30-80㎝ 폭 15-25㎝이다. 중축과 엽병의 인편은 털같이 가늘고 엽병 기부의 것은 피침형이지만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우편은 넓은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폭 15-25㎜로서 짧은 대가 있으며 소우편은 긴 타원상 난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로서 끝이 까락처럼 뾰쪽하며 전연(前緣)은 밋밋하지만 후연(後緣)은 까락같은 톱니가 있고 뒷면에 털같은 인편이 있다.

    열매 : 포자낭군(胞子囊群)은 소우편 상반부에 달리며 포막(包膜)은 둥글고 지름 1㎜정도이다.


    분포 : 남쪽 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나도히초미 (P. polyblepharum (ROEM.) PRESL)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4 : 16 (1949)

    Read More
  16. No Image

    협죽도

    학명 : Nerium oleander L.
    과명 : 협죽도과(Apocynaceae)
    속명 : 협죽도속(Nerium)
    이명 : 듀오화류선화유도화
    잎 : 잎은 윤생하고 선형이며 두껍고 길이 7~15cm 나비 8-20㎜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고 길쭉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흔히 적색이지만 백색도 있으며 가지 끝에 취산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꽃잎은 윗부분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후부에 실같은 부속체가 있다. 수술은 5개로서 화통(花筒)에 달리며 꽃밥 끝에 털이 달린 실같은 부속체가 있다.
    열매 : 골돌과로서 선형이고 길이 10cm 정도이며 그 안에는 연한 갈색털이 밀생한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다.

    분포 :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및 남부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서양협죽도(N. oleander) ▶만첩협죽도(for. plenum Makino): 꽃잎이 겹으로 된 것. ▶노랑협죽도(for. lutescens Makino): 노랑 꽃이 피는 것. ▶흰협죽도(for. leucanthum Makino): 흰꽃이 피는 것.
    특징 : 1920년경에 우리 나라에 도입되어 제주도에서는 야외에 식재하고 내륙지방에서는 분에 식재하여 관상한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울타리 같은 수형을 이룬다. 잎을 말린 것을 협죽도엽(夾竹桃葉)이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1 : 209 (L., 1753)
    1) Flora of China 16 : 173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7. No Image

    가는가래

    학명 : Potamogeton cristatus Regel & Maack
    과명 : 가래과(Potamogetonaceae)
    속명 : 가래속(Potamogeton)
    이명 : 좀가래
    잎 : 밑부분에 달린 잎은 길이 4-6㎝,나비 0.7㎜정도로서 끝이 뾰족하지만 물 위에 뜨는 잎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2-2.7㎝,나비 0.5-1㎝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예저이다. 엽병은 길이 6-14㎜이고 탁엽은 길이 6-16mm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9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화경은 길이 8-16mm이며 화수는 길이 6-9mm이고 수술과 암술은 각 4개이다.
    열매 : 수과는 둥글고 대가 있으며 단단한 과피에 싸여 있고 뒷면에 닭볏 모양의 돌기가 있다.
    줄기 : 물 속에 있는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에서 뿌리와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수중경이 나온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수초
    유사종 : ▶가래(P. distinctus A. Benn.): 물에 잠기는 잎은 잎자루가 3-4㎝이고 얇다. 물 위에 뜨는 잎은 잎자루가 6-10㎝,긴 타원형,표면은 녹색,매끄럽고 뒷면은 엷은 황색이다.
    ▶선가래(P. fryeri A. Benn.): 가래보다 대형이고,턱잎은 가늘고 길다. 큰가래와 비슷하나,물에 잠기는 잎에 잎몸이 있고,밑에 피침형의 잎이 호생한다.
    ▶애기가래(P. octandrus Poiret): 가는가래와 비슷하나,열매의 등 쪽에 닭의 볏 같은 돌기가 없다.
    ▶말(P. oxyphyllus Miquel): 줄기는 길이 30㎝이상,잎은 호생,잎자루가 없고,끝이 뾰족한 선형,길이 5-12㎝,폭 2-3㎜,턱잎은 얇은 막질이며,줄기를 감싸고 길이는 2㎝이다.
    ▶실말(P. pusillus L.): 줄기는 길이 약 60㎝이다. 잎은 호생,잎자루는 없고,물에 뜨는 잎은 없으며,선형,길이 3-5㎝,폭 1-1.5㎜,잎 밑의 양쪽은 겹쳐진다.

    특징 : ▶가을철에 2개의 가시가 달린 액아가 떨어져서 물 밑에 잠겼다가 싹이 터서 자라는 특색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Ussur. (1861)
    참고문헌 : 1) 수생관속식물 (최홍근, 200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산 수생관속식물지 (최홍근, 198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둥근잎꿩의비름

    학명 :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Ohba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꿩의비름속(Hylotelephium)

    잎 :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2.5-4.5cm로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엽병은 없으며 대생한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홍자색으로서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녹색이다. 꽃잎은 5개로서 자홍색이 돌며 배모양이고 수술은 10개로서 그 중 5개는 꽃잎과 대생하며 수술대는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꽃밥은 적색이며 꽃가루는 황색이다. 암술은 5개가 서로 떨어지고 꽃잎과 대생하며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다.
    줄기 : 높이 15-25cm이며 밑으로 처지고 붉은빛이 돈다.
    뿌리 : 몇 개의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중국 / 한국(경상북도 청송군, 포항시)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자주꿩의비름(S. telephium var. purpurem L.)
    큰꿩의비름(S. spectabile Boreau)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Miq.)
    세잎꿩의비름(S. verticillatum L.)

    특징 : ▶잎과 화서가 둥글고 꽃이 자홍색인 것이 큰꿩의비름과 다르다.
    ▶속명 Sedum은 라틴어 sedere(앉는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바위겉에 붙어서 자라는 형태에서 기인한 것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자주괴불주머니

    학명 : Corydalis incisa (Thunb.) Pers.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현호색속(Corydalis)
    이명 : 자주현호색 자지괴불주머니
    잎 : 엽병은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근생엽은 길이 3-8cm로서 전체가 삼각상 난원형이고 3개씩 2회 갈라지며 소엽은 3출엽과 비슷하지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쐐기형이며 길이 1-2cm로서 결각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4-12cm로서 홍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포는 쐐기형 비슷한 긴 타원형으로서 결각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10-15mm이다. 화관은 길이 12-18mm로서 한쪽이 순형(脣形)으로 넓게 퍼지고 다른 한쪽은 거(距)로 되며 수술은 6개가 양체(兩體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길이 15mm 나비 3-3.5mm이고 녹색이며 흑색 윤채가 있는 종자가 튀어 나온다.
    줄기 : 원줄기는 여러대가 한 군데에서 나오며 높이 20-5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뿌리와 원줄기에 잎이 달린다.
    뿌리 : 뿌리가 긴 타원형이다.
    분포 : 제주도 전라도 및 함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산괴불주머니(Corydalis speciosa Max.) : 이른 봄 줄기 끝에서 노란색 꽃이 피었다가 여름이면 시든다. 어린 싹은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지면에 바짝 붙어 지내는 강인한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Persoon) 2 : 269 (1806)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20. No Image

    세바람꽃

    학명 : Anemone stolonifera Maxim.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세송이바람꽃
    잎 : 근생엽은 여러 개이며 엽병이 길고 3출엽이며 측소엽은 2개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고 정소엽은 사각상 도란형이며 길이 1-2.5cm 폭 1-2cm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있고 양면에 잔털이 있다. 엽병 기부에 섬유가 남아있다. 총포엽은 3개이며 엽병이 짧고 3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쐐기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고 근생엽과 비슷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이고 2-3개의 화병이 나와 끝에 꽃이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9cm로서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8개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8mm정도로서 겉에 털이 있다. 햇빛이 닿아야만 활짝 피고 흐린 날이나 저녁에는 다물어 버리는 버릇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0-20cm정도 자란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잔뿌리가 많으며 때로는 지하경이 옆으로 자란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바람꽃의 하나로 꽃이 줄기마다 대개 세 송이씩 피기 때문에 세바람꽃이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9 : 605 (187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