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금자란

    학명 : Saccolabium matsuran Makino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금자란속(Saccolabium)
    이명 : 금산자주난초 금산자주란초 금자난
    잎 : 잎은 호생하여 2줄로 달리고 두꺼우며 선상 긴 타원형이고 밑으로 다소 휘며 길이1-2cm 폭3-5cm로서 자주색 반점이 있고 중륵이 표면에서는 들어가며 뒷면에서는 튀어나온다.
    꽃 : 꽃은 황록색이고 자주빛이 도는 잔점이 있으며 화서는 길이 8-10mm로서 2-4개의 꽃이 밀생하고 포는 삼각형이며길이 0.5-1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수평으로 퍼지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로서 끝이 둔하다. 입술꽃잎은 밑부분에 큰 거가 있고 현부는 신장형이며 옆가장자리가 둥글고 끝이 둔하거나 수평이다. 암술대와 수술대는 매우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대가 짧으며 길이 10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마디가 많고 짧으며 옆에서 백록색의 실같은 뿌리가 자라 물체에 붙는다

    분포 : 남해도 금산에서 자라는 상록성기생란으로서 흔히 소나무의 수피에 붙어 있음. 제주도 한라산 남쪽의 상록수림의 수간에 붙어서 자라며 드물다.
    형태 : 기생식물

    특징 : 금자란'이란 '금산자주난초'를 말한다. 종소명 'matsuran'은 '松蘭(송란)'의 일본음으로 소나무 숲이 많은 곳에서 자생하는 데서 유래한다. 국명은 채집지 경남 금산의 지명과 잎 꽃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데 연유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6 : 48 (1892)

    Read More
  2. No Image

    파초일엽

    학명 : Asplenium antiquum Makino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이명 : 삼도일엽섭섬고사리 섭섬일엽
    잎 : 잎은 단엽으로 근경에서 윤생하며 엽병은 짧고 밑부분에서 인편이 밀생한다. 엽신은 길이 40-120cm 나비 7-12cm이며 선상 도피침형으로서 양면이 밝은 녹색이고 양끝이 좁으며 어릴 때는 뒷면에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주맥이 뒤로 튀어나오고 밑부분은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다. 측맥은 갈라지지 않거나 한번 갈라져서 비스듬히 달리며 끝에서 서로 연결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 앞쪽에 달리고 선상으로서 주맥과 가장자리 사이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길이가 일정하지 않다. 적갈색의 포자가 주맥을 따라 새깃 모양 잎 뒷면의 지맥에 평행으로 잎끝부터 기부까지 전면에 빗살모양으로 붙어 있다. 포막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갈색이다.

    뿌리 : 실뿌리가 사방으로 난다.
    분포 : ▶한국 대만에 분포한다. ▶제주도 섭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양치류 관엽식물이다.

    특징 :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화훼식물 중의 하나이다. ▶천연기념물 제18호(1962년 12월 3일 지정) - ⓐ소재지 : 제주도 서귀포시 보목동 삼도 ⓑ면적 : 99 670㎡ ⓒ소유자 : 국가 ⓓ지정사유 : 학술연구자원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6:32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파초

    학명 : Musa basjoo Siebold & Zucc.
    과명 : 파초과(Musaceae)
    속명 : 파초속(Musa)

    잎 : 근경 끝에서 돋은 잎은 서로 감싸면서 원줄기처럼 자라서 높이 5m 지름 20cm정도에 이른다. 잎은 장타원형으로서 처음에는 말려서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길이 2m로서 밝은 녹색이고 측면이 평행하다.
    꽃 : 꽃은 길이 6-7cm이며 여름철에 잎 속에서 화경(花莖)이 자라고 잎같은 포 안에 15개 정도의 꽃이 2줄로 달리며 꽃이 피면 포가 떨어진다. 대형의 화서는 점점 자라면서 밑부분에서 암꽃과 수꽃이 같이 피고 윗부분에는 수꽃만 달린다. 자방은 하위이며 녹색이고 화피는 황백색이며 상하 2쪽으로 되고 윗부분은 내화피 3개와 내화피 2개가 합쳐져서 5개의 돌기로 되며 밑부분의 것은 내화피 1개가 주머니처럼 되고 그 속에 꿀이 들어 있다.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이
    열매 : 성숙하면 바나나 모양으로 길이 약 6cm이고 사릉(四稜)이며 속에는 흑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뿌리 : 근경은 크고 옆에서 작은 괴경이 생겨 번식하며 근경 끝에서 잎이 돋는다.
    분포 : 온실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관엽식물.
    유사종 : 바나나
    특징 : 중국에서 도래한 식물로 국내에는 야생종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Verh. Batav. Genootsch. Kunsten 12:18 (183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4. No Image

    긴까락보리풀

    학명 : Hordeum jubatum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보리속(Horde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5. No Image

    긴개관중

    학명 : Polystichum tagawanum Kurata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6. No Image

    기수초

    학명 : Suaeda malacosperma H. Hara
    과명 : 명아주과(Chenopodiaceae)
    속명 : 나문재속(Suaed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8 : 27 (1942)

    Read More
  7. No Image

    파리풀

    학명 :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 Hara
    과명 : 파리풀과(Phrymaceae)
    속명 : 파리풀속(Phryma)
    이명 : 꼬리창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길고 박질(薄質)이며난 난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이고 예두 넓은 예저이며 길이 7-9cm 나비 4-7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많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10-20cm로서 소형의 순형화(脣形花)가 밑에서부터 위를 향해 달리지만 점차 옆을 향하고 열매가 달리면 완전히 밑을 향한다. 꽃받침은 통상 순형이며 5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3mm이지만 성숙하면 5-6mm로 되며 뒤쪽 3개의 열편은 가시처럼 되어 다른 물체에 잘 붙고 까락은 길이 1.5mm이다. 화관은 길이 5mm로서 순형이며 하순이 대형이고 2강수술이 있고 1개의 암
    열매 : 건질이고 숙존악 속에 있으며 종자가 하나이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마디 바로 윗부분이 두드러지게 굵다. 전체에 잔털이 산생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마디 사이의 하부가 팽대해 있다.
    뿌리 : 승독초(蠅毒草)라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히말라야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뿌리를 찧어 종이에 먹인 다음 파리를 잡기 때문에 파리풀이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1 : 297 (194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파드득나물

    학명 : Cryptotaenia japonica Hassk.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파드득나물속(Cryptotaenia)
    이명 : 반듸나물 반디나물참나물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경생엽은 점차 짧아져서 윗부분에서는 엽초로 되며 3출엽이고 소엽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8cm 폭 2-6cm로서 양끝이 좁고 뒷면에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이 표면보다 윤이 난다.
    꽃 : 6~7월에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엽액에서 복산형화서가 발달하고 소화경은 1-4개이며 길이 3-15mm로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형적인 산형화서같지 않고 백색꽃이 피며 소총포는 짧고 선형이다.
    열매 : 열매는 털이 없으며 길이 3-4mm로서 타원형이고 분과의 단편이 둥근 오각형이며 검게 익는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독특한 향기가 있으며 곧게 자란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약간 굵은 뿌리가 있으며 육질이고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분포 : 일본 중국 등 아시아 동부와 북미의 온대에도 분포한다. 재배하기도 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NAKAI)과 흡사하다.
    특징 : `반디나물` 또는 `참나물`이라고도 하여 아주 향기롭고 상쾌한 맛이 있는 산나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tzia 1: 113 (185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9. No Image

    학명 : Allium fistulosum L.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이명 : 굵은파
    잎 : 잎은 관상(管狀)이고 끝이 뾰족하고 속이 비었다.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서로 겹쳐서 하나가 되며 녹색 바탕에 약간 흰빛이 돌며 점정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주형의 화경(花莖) 끝에 백록색의 둥근 산형화서가 달리며 총포는 1개로서 어린 화서를 완전히 둘러싸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피침형으로서 바깥쪽의 것이 약간 짧다. 수술은 6개이고 길게 밖으로 나오며 수술대 사이에 부속체가 없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삭과는 3개의 능선이 있다. 종자는 모가 나고 삼각형에 오목한 파상의 주름이 있으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한다.
    뿌리 : 인경(鱗梗)은 그리 굵어지지 않고 많은 수염뿌리가 밑에서 사방으로 퍼지며 지상 15cm정도 되는 곳에서 5-6개의 잎이 2줄로 자란다.
    분포 :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마늘(A. sativum for. pekinense) ▶산마늘(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0. No Image

    까락향기풀

    학명 : Anthoxanthum odoratum var. aristata (Y.N.Lee) T.B.Le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향기풀속(Anthoxanth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1. No Image

    깃돌잔고사리

    학명 : Microlepia × bipinnata (Makino) Shimura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돌잔고사리속(Microlepi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2. No Image

    긴콩짜개덩굴

    학명 : Lemmaphyllum microphyllum var. nobukoanum (Makino) Tagawa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콩짜개덩굴속(Lemmaphyll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3. No Image

    긴잎동백나무

    학명 : Camellia japonica f. longifolia Uyeki
    과명 : 차나무과(Theaceae)
    속명 : 동백나무속(Camelli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Woody-Pl. 76 (1940)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4. No Image

    긴잎도깨비쇠고비

    학명 : Cyrtomium devexiscapulae (Koidz.) Ching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쇠고비속(Cyrtomium)
    이명 : 긴잎도깨비고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5. No Image

    긴산취

    학명 : Saussurea umbrosa var. herbicol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돌분취들분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9 : 201 (1915)

    Read More
  16. No Image

    긴당잔대

    학명 : Adenophora stricta var. lancifolia Honda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Read More
  17. No Image

    긴꽃뽀리뱅이

    학명 : Youngia japonica subsp. longiflora Babc. & Stebbins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뽀리뱅이속(Youngi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he genus Youngia.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Publication 484:96-98 ()
    1) Kor. J. Pl. Tax. 30: 55-73 (J.H.Pak & al., 2000)


    Read More
  18. No Image

    긴꼬리쐐기풀

    학명 : Urtica angustifolia var. sikokiana (Makino) Ohwi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쐐기풀속(Urtica)
    이명 : 긴쐐기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435 (195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9. No Image

    퉁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inflatum Ko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둥굴레속(Polygonatum)
    이명 : 통둥굴레 퉁퉁굴레
    잎 : 잎은 호생하며 2줄로 배열되고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록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통형이며 연한 녹색이고 길이 22-25mm로서 안쪽 일부분에 수술대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끝이 좁고 엽액에 달린다. 화경은 길이 2.5-4cm로서 3-7개의 꽃과 더불어 같은 수의 포가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안쪽으로 약간 접히며 길이 4-8mm로서 1맥이 있다. 소화경은 곧고 포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꽃밥은 길이 4mm정도로서 수술대 길이의 1/2정도이다. 수술은 6개이며 끝이 편평하다.
    열매 : 열매는 지름 1cm정도인 타원형의 장과이며 검게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상반부가 옆으로 처지면서 전체가 비스듬히 서고 높이 30-80cm로서 윗부분에 능각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8: 442 & 20: 480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20. No Image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subsp. jaluens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초오속(Aconitum)
    이명 : 개싹눈바꽃 그늘돌쩌귀 선투구꽃 세잎돌쩌귀 싹눈바꽃 진돌쩌귀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화서 또는 복총상화서가 원줄기 끝과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소화경에 털이 많다. 꽃 전체 모양은 고깔이나 투구모양이다. 꽃받침잎은 꽃잎같이 생겼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뒤쪽의 것은 고깔같고 이마쪽이 뾰족하게 나와 있으며 중앙부의 것은 약간 둥글고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2개이며 긴 대가 있고 가장 윗부분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있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우상으로 넓어진다. 자방은 3-4개로 털
    열매 : 열매는 골돌(骨突)로서 타원형이고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뿌리 : 마늘쪽같은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한다.
    분포 : ▶한국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 Koidz.): 뿌리는 둥글고 뾰족하며 어긋 달리는 잎은 삼각형이다. 한국 특산식물로서 환경부에서 특정 야생식물(식-64호) 산림청의 멸종 위기식물(보존순위33)로 지정한 법정 보호식물이다. ▶노랑투구꽃(Aconitum sibiricum Poir.): 연한 황색으로 피는 꽃은 꼿꼿이 선다.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tum Nakai): 자주색 꽃에는 털이 많
    특징 : 환경내성은 보통이나 저지대에서는 곤란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8: 439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