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제비꽃

    학명 : Viola seoulensis Naka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서울오랑캐
    잎 : 잎이 뿌리에서 총생하고 처음에는 안으로 말린다. 탁엽은 엽병에 붙어 있으며 끝이 떨어지고 선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cm이고 엽병 상부에 날개가 약간 있다. 엽신은 긴 타원형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1.3-2.7cm 폭 9-13mm로서 톱니가 있다.
    꽃 : 화경은 털이 있고 길이 5.5~8.5cm 이며 꽃받침잎은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부속체(附屬體)가 있다. 꽃잎은 보라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고 짙은 보라색 맥이 있으며 측열편에 털이 다소 있고 거(距)는 옆으로 편평하며 길이 6~7mm이다. 개화기는 4월로 다화성이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털은 없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굵고 끝이 여러 개로 갈라지며 잎이 뿌리에서 총생하고 갈색이며 잔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관악산 일대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남산제비꽃(Viola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Makino)은 흰 꽃이 피고 자주색 맥이 있으며 잎은 단풍잎같이 잘게 갈라져 있다.
    ▶화엄사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은 밝은 자홍색 꽃이 피고 화엄사 부근에서 자란다.
    ▶고깔제비꽃(Viola rossii Hemsl.)은 잎이 고깔모양처럼 생기고 꽃은 연분홍 자색이다.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ecker)은 짙은 보라색 꽃이 핀다.
    ▶호제비꽃(Viola yedoensis Makino)은 꽃과 잎이 크며 연분홍 보라색 꽃이 핀다.
    ▶알록제비꽃(Viola variegata Fisch.)은 잎에 흰 줄의 얼룩무늬가 있고 자주색 꽃이 핀다.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W. Becker)은 이른봄 자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노랑꽃이 핀다.

    특징 : 제비꽃에 비해 잎이 넓고 털이 많으며 난상 피침형으로 꽃잎은 안에 털이 없음. 털제비꽃과 비슷하나 털제비꽃보다 잎은 긴 타원형 넓은 피침형 자줏빛이 안돌고 꽃이 보라색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뫼제비꽃

    학명 :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f. selkirki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메오랑캐 메제비꽃 멧제비꽃 뫼오랑캐 묏오랑캐 산제비꽃 알록뫼제비꽃 알룩메제비꽃
    잎 :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잎과 길이가 다소 비슷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끝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길이 12-15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다화성이다. 거(距)는 짧은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세모지다.
    줄기 : 길이는 6cm정도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꽃이 진 후 땅속에 포복지가 생긴다.
    분포 : 전국의 높은 산에서 표고 800m이상되는 지역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메알록제비꽃은 잎에 흰 무늬가 있으며 메제비꽃과 섞여 자란다.
    특징 : 고산성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dinb. Philos. Journ. 6 : 324 (182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민둥뫼제비꽃

    학명 :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ino) F.Maek.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거친털제비꽃 민둥메제비꽃 성긴털제비꽃 양지오랑캐 양지제비꽃 조선씨름꽃
    잎 : 잎은 삼각상 난형이며 윗부분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이저에 가까운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대개 자줏빛이 돌며 처음에 나오는 잎은 털이 없으나 나중에 나오는 잎은 백색털이 있고 때로는 표면에 흰색 무늬가 있으며 길이 3~6cm 폭 2-4.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털이 있거나 없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중앙부에 2개의 포가 달리며 길이 5-7mm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6-7mm이며 부속체는 난형으로서 때로는 톱니가 있고 거(距)는 원주형이며 길이 6~7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6-8mm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뿌리가 백색이다.
    분포 : 경기도 광릉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3 : 218 (195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긴잎제비꽃

    학명 : Viola ovato-oblonga (Miq.)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제주오랑캐
    잎 : 근생엽은 심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길이 2-2.5cm 폭 2-3cm로서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잎보다 1.5-4배 길며 탁엽은 우상으로 잘게 갈라진다. 경생엽은 밑부분의 것은 난상 좁은 삼각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짧으며 피침형 또는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희미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5-7mm이고 부속체는 밋밋하며 끝이 둥글다. 꽃잎은 길이 12-15mm로서 털이 없고 거는 길이 7~8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줄기 윗부분에 달린 화경이 짧은 폐쇄화에서 생긴다.
    줄기 : 높이 15-20cm이고 비스듬히 서거나 곧게 자라며 근생엽과 더불어 총생하고 꽃이 진 다음 높이가 30cm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마디가 밀접한다.
    분포 : 경남 및 전남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털긴잎제비꽃 (for.pubescens MAEKAWA) : 원줄기 화경 엽병 및 엽면에 돌기같은 짧은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1 : 59 (190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털제비꽃

    학명 : Viola phalacrocarpa Maxim.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민둥제비꽃 이시도야오랑캐 이시도야제비꽃 털씨름꽃 털오랑캐
    잎 : 잎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1-3cm 폭 0.8-2.5cm로서 얕은 심장저이며 과시(果時)에는 길이가 8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3-10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20cm이고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 : 화경은 높이 5-10cm이며 꽃은 홍자색이고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7mm로서 끝이 둔하고 부속체는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사각형으로서 톱니와 털이 있다. 꽃잎은 길이 10-13mm이고 측열편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거(距)는 길이 6-8m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잔털이 밀생하며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없음
    뿌리 : 근경이 짧고 다소 총생하며 짧은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민둥제비꽃 (for.glaberrima F.MAEKAWA) : 전체에 털이 전혀 없으며 지리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id. Imp. Sci. Saint-Petersbourg 9 : 726 (187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선제비꽃

    학명 : Viola raddeana Rege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선씨름꽃 선오랑캐
    잎 : 잎은 호생하고 삼각상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은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4-10cm이고 밑부분의 폭이 1-3c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이며 탁엽은 녹색이고 길이 3-6cm로서 큰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1c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소화경은 액생하며 길이 5-10cm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5-6mm이고 부속체는 밋밋하며 짧고 꽃잎은 길이 8-10mm이며 측판에 자주색 줄이 있고 다른 꽃잎보다 짧으며 잔털이 약간 있고 거는 반구형이며 길이 1.5-2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난형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50cm이며 원줄기는 총생하고 털이 없으며 가늘고 곧게 서며 밑부분이 다소 흑색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수원시; 경상남도 양산시)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Radd. 1 : 218 & 256, t. 7, f. 1-5 (18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흰제비꽃

    학명 : Viola patrinii DC. ex Ging.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민흰제비꽃 털대흰제비꽃 털흰씨름꽃 털흰제비꽃 흰씨름꽃 흰오랑캐
    잎 : 잎은 다소 곧추서고 삼각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수평에 가까우며 길이 2.5-7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고 길이 4-10cm의 날개가 있다. 엽맥과 엽병 밑부분에 짧게 퍼진 털이 있다.
    꽃 : 화경은 길이 7-15cm이며 꽃은 흰빛 또는 자줏빛이 돌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4-7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부속체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잎은 길이 10-13mm이며 측열편에 털이 다소 있고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거는 타원형이고 길이 3-4mm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8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가 없다.
    뿌리 : 뿌리가 흑갈색이며 근경은 짧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간혹 흰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피는 제비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 DC., Prodr. 1 : 293 (182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애기금강제비꽃

    학명 : Viola yazawana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나올때에 금강제비꽃같이 양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리며 털이 약간 퍼져 나고 길이 3-5cm이며 긴 심장형이고 잎 가에 엉성하게 굵은 톱니가 있다. 엽병은 가늘고 1-1.5cm이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3-4mm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은 5-6cm이고 꽃받침은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6-7mm이다. 화판은 길이 12-13mm 폭 6mm이고 측판에 털이 없다.


    뿌리 : 지하경은 약간 굵고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일본 중부와 관동 북부에 난다. 강원도 설악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9. 낚시제비꽃

    학명 : Viola grypoceras A.Gray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낙시오랑캐 낚시오랑캐
    잎 : 근생엽은 심장형 또는 편심형이며 길이 1.5-2.5cm 폭 2-3cm로서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7cm로서 털이 없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빗살처럼 깊게 갈라진다. 경생엽은 이와 비슷하지만 엽병이 짧다.
    꽃 : 화경은 높이 6-10cm로서 뿌리에서 돋거나 원줄기에서 액생하고 위쪽에 포가 있으며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향기가 없다.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밋밋한 반원형이고 꽃잎은 길이 12-15mm로서 털이 없으며 거는 길이 6-8mm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여러 개가 비스듬히 서거나 눕고 꽃이 필때는 길이 20cm 열매를 맺을 때는 길이 10-30cm이다.
    뿌리 : 근경은 마디가 밀접하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낚시제비꽃 (var.exilis NAK.): 전체가 작고 잎의 길이가 1-2cm이며 원줄 기가 다소 눕는다.
    ▶흰애기낚시제비꽃 (var.exilis for.albiflora NAK.): 위와 같고 백색꽃이 핀 다.
    ▶흰낚시제비꽃 (for.albiflora MAK.): 기본종 중에서 백색꽃이 피는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rr. Perry's Exped. 2, append. 308 (19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삼색제비꽃

    학명 : Viola tricolor 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팬지 호접제비꽃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탁엽(托葉)은 엽병보다 길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4~5월에 자색 황색 백색의 꽃이 같이 피며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한개의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꽃잎도 5개로서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고깔부가 짧으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개열(開裂)하면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2-25cm이고 곧추자라며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이 있으며 녹색이다.

    분포 : 국내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형태 : 1년초 또는 월년초이다.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Viola collina)
    고깔제비꽃(V. rossii)
    제비꽃(V. mandshurica)
    호제비꽃(V. yedoensis)

    특징 :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V.tricolor L. 과 근연종(近緣種)을 교잡시켜 만든 1년 내지 2년생 관상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흰젖제비꽃

    학명 : Viola lactiflora Naka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흰꽃오랑캐 흰애기제비꽃 흰젓오랑캐 흰젓제비꽃
    잎 : 잎은 긴 삼각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밑부분이 전저(箭底)에 가깝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엽병이 길며 날개가 없다.
    꽃 : 화경은 잎보다 길며 중앙부에 2개의 포가 있고 포는 선형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받침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이 뾰족하고 꽃잎은 백색이며 측열편 안쪽에 털이 있고 거(距)는 길이 5mm 폭 3mm이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으로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백색이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비꽃(V. mandshrica) 중에서 꽃이 흰색으로 피는 변이종도 있다.
    특징 : 꽃이 백색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왜제비꽃과 흰제비꽃의 중간형으로 왜제비꽃보다는 꽃이 희고 측판 안쪽에 털이 있으며 거(距)가 짧고 흰제비꽃보다는 잎이 넓으며 잎자루에 날개가 없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8 : 329 (Nakai,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흰털제비꽃

    학명 : Viola hirtipes S.Moore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광능오랑캐 광릉제비꽃 솜제비꽃 흰털오랑캐
    잎 : 잎은 밑동에 총생하며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2-4cm이며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파상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5-15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고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꽃 : 화경은 길이 7-12cm로서 중앙부에 2개의 포가 있으며 백색의 퍼진 털이 있고 꽃은 4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잎 사이에서 내는 여러 개의 화경 끝에 붙으며 좌우상칭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7-8mm이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잎은 길이 15-20mm로서 끝이 파지거나 둥글고 측열편 안쪽에 털이 있다. 꽃잎과 꽃받침잎 및 수술은 각 5개이고 거는 원통형이며 길이 7-8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세모지고 도란상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짧으며 뿌리는 흰색이고 2-3갈래 이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 Soc. Bot. 17 : 379, t. 16, f. (18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알록제비꽃

    학명 :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var. variegata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알록오랑캐 얼룩오랑캐 청알록제비꽃 청자오랑캐
    잎 :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길이와 폭이 각 2.5-5cm로서 난형 넓은 타원형 또는 심원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심장저이며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엽맥을 따라 백색무늬가 있고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병은 길이 2-5cm이지만 긴 것은 길이 15cm이상인 것도 있다.
    꽃 : 5월에 높이 1-10cm인 몇 개의 화경이 잎다발속에서 나와 끝에 자주색꽃이 1개씩 달린다. 포는 선형이며 길이 4-10mm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7mm로서 끝이 뾰족하다. 부속체는 반원형 또는 사각형 비슷하고 원두 또는 요두이며 꽃잎은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3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가 없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청알록제비꽃(V. variegata var. ircutiana Regel)은 잎 뒷면에 자주빛이 돌지 않는다.
    특징 : 종명 varoegata는 반문(斑紋)이 있다는 뜻으로 잎에 무늬가 있음에서 유래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DC., Prodr. 1 : 293 (182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둥근털제비꽃

    학명 : Viola collina Besser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둥근털오랑캐 둥글제비꽃
    잎 : 잎은 총생하며 난상 심장형 또는 심장형이고 깊은 심장저이며 끝은 뭉뚝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길이 2-3.5cm 폭 2-3c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가 6cm에 달한다. 엽병은 길이 3-10cm이지만 열매를 맺을 때쯤되면 길이가 2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다.
    꽃 : 화경(花梗)은 길이 4-6cm로서 퍼진 털이 있고 꽃은 연한 자주색이며 4-5월에 피고 여러 줄기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작은 꽃이 달려서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5-6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짧고 꽃잎은 길이 10-12mm이며 5개이고 측열편에 다소 털이 있고 거는 길이 3-4mm이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다소 구형이며 3갈래로 벌어지고 길이 6-8m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포복지가 없다. 길이 2-7cm이며 희거나 황갈색이고 뿌리는 희다.
    분포 : ▶일본 사할린 만주 시베리아 유럽 코카서스에 분포한다.
    ▶전북 충남 충북 경북(울릉도 가야산) 강원(치악산 설악산 삼악산) 경기(광릉 천마산) 황해 평남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비꽃(Viola mandshurica Becker) 고깔제비꽃(V. rossii) 삼색제비꽃(V. tricolor)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at. Hort. Grem. 151 (181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고깔제비꽃

    학명 : Viola rossii Hems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고깔오랑캐
    잎 : 뿌리에서 2~5개씩 모여나며 성숙한 잎은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급히 뾰족해지며 길이 4-7cm 폭 4-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0-25cm이며 탁엽은 서로 떨어지고 피침형이며 길이 7-10mm이다.
    꽃 : 화경은 높이 10-15cm이고 4-5월에 1개의 홍자색 꽃이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7-8mm이고 부속체는 둔한 사각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5개이며 길이 15-20mm로서 원두이거나 약간 파지고 측열편은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거는 짧고 굵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둥글고 낭상(囊狀)이다. 수술은 5개이고 1개의 자방과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갈래로 벌어지며 털이 없고 길이 1-1.5cm로서 뚜렷하지 않은 갈색반점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고 뿌리에서 2-5개의 잎이 나오며 꽃이 필 무렵에는 양쪽 밑부분이 안쪽으로 말려서 고깔처럼 되므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평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V. collina) ▶제비꽃(V. mandshurica) ▶삼색제비꽃(V. tricolor)
    특징 : 잎이 활짝 피기 전의 모습이 고깔같아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3 : 54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반달콩제비꽃

    학명 : Viola verecunda var. semilunaris Maxim.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초승달모양으로 길이 1.5~2.5cm 나비 2~3.5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밑은 심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잎의 2~4배 길다. 경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밋밋하거나 얕은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의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리며 위쪽에 포가 있다. 꽃은 좌우상칭이고 5수성이며 부속체는 끝이 둥글고 밋밋하며 측판에 털이 있고 순판에 자색 줄이 있으며 거는 길이 2~3mm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장란형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비스듬히 누워 올라간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St.-Pet. 23 : 335 (1877)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왕제비꽃

    학명 : Viola websteri Hems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왕오랑캐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비늘 모양으로 퇴화되고 윗부분의 것은 짧은 엽병이 있으며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cm이며 소포는 중앙 위쪽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6mm이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파지며 꽃잎은 길이 12-13mm로서 측판 내부에 털이 없고 순판은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거는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40-60cm이고 털이 있다.

    분포 : 경기도 가평 함경북도 백두산 ▶충청북도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551m)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3)-분포지가 중부 이북에만 생육한다고 알려졌으나 충북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에서 발견되었다.(551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3 : 56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금강제비꽃

    학명 : Viola diamantiaca Naka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금강산제비꽃 금강오랑캐
    잎 : 잎은 심장형이고 길이 6.5-10cm 폭 6-11cm로서 점첨두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색이 연하고 전체적으로 털이 있으나 특히 맥 위에 많다. 엽병은 털이 있으며 길이 8-21cm로서 윗부분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꽃 : 꽃은 폐쇄화이고 화경은 잎 길이의 1/5-1/3이며 중앙 윗부분에 2개의 포가 뚜렷하고 꽃받침은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로 길이 약 13mm이며 자주색 무늬가 있고 종자는 폭 2~2.5mm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지하경은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꾸불꾸불하고 모든 잎은 뿌리에서 나온다.
    분포 : 해발 800~1 600m 설악산 중복 이상 오대산 상원사 주위 명지산·덕유산 정상 내장산 등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호제비꽃 제비꽃 콩제비꽃 삼색제비꽃 졸방제비꽃 낚시제비꽃 왜제비꽃 등이 있다. 고깔제비꽃과 비슷하지만 꽃이 폐쇄화이고 지하경이 있는 것이 다르다.
    특징 : 비교적 고산성인 것이 이종의 특징이고 한명(漢名)은 촌늑칠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노랑제비꽃

    학명 : 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노랑오랑캐 노랑오랑캐꽃
    잎 : 근생엽은 심장형이고 폭과 길이가 각각 2.5-4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엽신보다 3-5배 길고 적갈색이 돌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고 대생상이며 그 밑의 1개는 엽병이 있고 떨어져 있으며 탁엽은 넓은 난형이고 길이 2-3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 : 화경은 길이 2-4cm이며 꽃은 4-6월에 피고 황색이며 중앙부에 포가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6-8mm이며 부속체는 난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잎은 길이 12-15mm로서 측판에 털이 있고 거(距)는 길이 1mm가량이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줄기는 가늘며 잎은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다.
    뿌리 : 지하경이 거의 곧추서며 근경은 밑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dtschenko, Fl. Asiat. Ross. 8 : 95 (191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털노랑제비꽃

    학명 : Viola brevistipulata var. minor Naka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누름꽃오랑캐 큰노랑제비꽃 큰산오랑캐 털누른오랑캐 털대제비꽃
    잎 : 근생엽은 2-3개이며 윗부분에 3개의 잎이 달린다. 잎은 삼장형이고 길이 16-52mm 폭 14-5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맥이 들어가고 엽병이 잎보다 2-3배 길지만 경생엽의 것은 짧으며 탁엽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화경은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1.2-1.5cm이며 꽃은 5월에 피고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mm이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며 황색이고 맥은 적색이며 거는 길이 2~3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5-22cm이고 윗부분에 흔히 퍼진 털이 있으며 밑부분에 있는 비늘같은 잎은 적자색이 돈다.

    분포 : 함경남도 갑산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7 : 260 (19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