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담자리꽃나무

    학명 : Dryas octopetala var. asiatica (Nakai)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담자리꽃나무속(Dryas)
    이명 : 담자리꽃
    잎 : 잎은 호생이나 총생처럼 보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나비 6~15mm이며 엽맥이 들어가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20mm이며 백색 털이 있고 중앙부까지 탁엽이 붙어 있다.
    꽃 : 꽃은 6월에 백색으로 피고 길이 3~10cm의 화경 끝에 1개씩 달리며 꽃의 지름은 2cm 정도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8~9개이고 수술과 암술대가 많으며 암술대는 자방과 더불어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백모가 있고 화주는 과시에 3cm로 신장하며 흰색의 긴 털이 우상으로 난다.
    줄기 : 줄기는 가지를 치면서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풀 같은 상록성 낙엽활엽 소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7 : 47, t. 17 (191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 No Image

    두메개고사리

    학명 : Athyrium spinulosum (Maxim.) Milde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이명 : 메개고사리 묏개고사리
    잎 : 엽병은 중축과 더불어 볏짚색 길이 20-50㎝이며 인편은 밑부분일수록 많고 중축에 달린 것은 잘 떨어지며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연한 갈색이다. 엽신은 삼각형이며 길이 20-30㎝로서 폭이 길이보다 약간 넓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3회 우상으로 갈라짐. 우편은 첫째 1쌍을 제외하고는 호생하고 짧은 대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첫째 우편은 밑부분이 훨씬 좁아짐. 소우편에는 좁은 날개가 있으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 우상으로 깊게 갈라

    열매 : 포자낭군은 작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포막은 거의 둥글며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고 지름 1mm정도이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으며 인편과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분포 : 금강산 이북의 높은 산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Zeitung (Berlin) 6:376 (18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매듭풀

    학명 :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매듭풀속(Kummerowi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긴 도란형이고 길이 1~1.5cm 나비 5-8mm로서 끝이 둥글거나 다소 파진다. 엽병은 짧고 잎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엽액에 1~2송이씩 달리며 화경이 짧고 포와 소포는 각 5-7맥이 있다. 꽃받침은 짧은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길이 5mm정도로서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며 수술은 10개이고 폐쇄화에는 꽃잎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둥글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
    형태 : 1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10 : 403 (19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제주새풀

    학명 : Calamagrostis arundinacea var. inaequgta Hack.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잎 : 잎은 약간 말리거나 편평하며 길이 30-60cm 폭 6-12mm로서 표면에 때로 엽초와 더불어 털이 있고 엽설은 길이 2-9mm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50cm이고 가지는 반윤생한다. 화경이 가늘고 화서는 연한 녹색이다. 소수(小穗)는 넓은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4-6mm로서 잔점이 있다. 포영은 길이가 같으며 첫째 것은 1맥이 있고 끝이 꼬리처럼 길어진다. 둘째 것은 3맥이 있으며 맥위에 잔돌기가 있다. 호영은 길이 4-4.5mm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지고 까락은 거의 밑부분에서 돋으며 길이 5-10mm로서 꼬이고 중간에서 꺾인다. 밑부분의 자모(刺毛)는

    줄기 : 높이 60-150cm이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5. No Image

    네가래

    학명 : Marsilea quadrifolia L.
    과명 : 네가래과(Marsileaceae)
    속명 : 네가레속(Marsilea)

    잎 : 엽병은 길이 7~20cm로서 물속에 들어 있으나 물이 마르면 공중에 서기도 한다. 잎은 4개의 소엽이 엽병 끝에서 수평으로 퍼지며 소엽은 엽병이 없고 도삼각형으로서 윗가장자리는 둥글며 양쪽 가장자리가 좁아져서 밑으로 흘러 기부 쪽은 쐐기형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고 중륵도 없으며 엽맥은 밑에서 부채살처럼 퍼져 끝에서는 가장자리를 달리는 맥과 연결되고 뒷면은 연한 갈색이며 선상의 인편이 있다. 소엽의 길이와 폭은 1.2
    꽃 : 엷은 녹색으로 7~8월에 피며 가장자리에 난다.
    열매 : 종자는 포자로 5~6월경 엽병 밑 부분에서 1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다시 2~3개로 갈라져 끝에 각각 1개씩 작은 주머니가 생기며 그 안에서 크고 작은 포자낭이 생긴다. 자웅은 동주로 자낭군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4~5mm이다.
    줄기 : 잎줄기 끝에 4개의 잎이 수평으로 퍼져서 자라며 물 위에 떠 있다.
    뿌리 : 근경은 지름 1.5-2mm이며 흙탕 속을 길게뻗으면서 갈라지고 마디마다 싹이 나고 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세계의 온대와 열대 인도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중부 남부 및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 숙근성 관엽식물이다.

    특징 : 본속은 우리 나라에 1속 1종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6)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7)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6. No Image

    쌀보리

    학명 : Hordeum vulgare var. nudum Spen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보리속(Hordeum)
    이명 : 보리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뒤로 젖혀지지 않고 폭 10-15mm이며 녹색 바탕에 다소 흰빛이 돌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싸는 엽초로 된다. 엽설은 짧으며 엽초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길이 5-8cm이고 소수가 3개씩 화서축 좌우에 달리므로 6개의 줄로 나타나며 소수는 1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에는 2맥이 있고 호영 끝에 까락이 있거나 없으며 수술은 3개이다.
    열매 : 영과가 잘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줄기 : 높이 1m정도 곧게 자란다. 원줄기는 속이 비고 원주형이며 마디가 높고 마디사이가 길다.

    분포 : 전국
    형태 : 1년초 또는 월년초
    유사종 : ▶겉보리(H. vulgare var. hexastichon Aschers): 쌀보리에 비하여 호영에 대단히 긴 까락이 있고 보리알이 내영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friburg. 1: 168. (182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원산딱지꽃

    학명 : Potentilla nipponica Th.Wolf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넓은딱지 넓은잎딱지 넓은잎딱지꽃
    잎 : 소엽은 7-13개이고 우상으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도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엽병이 없고 열편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리듯이 도드라지며 뒷면은 백색 면모가 있어 은백색이 돌고 소엽 사이에 소열편이 없으며 탁엽은 타원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3mm로서 황색이며 화경(花莖)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6mm이며 부악편은 꽃받침과 비슷하고 꽃받침과 더불어 겉에 면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밋밋하다.


    분포 : 함경남도 원산 평안북도 강계 강원도 강릉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딱지꽃과 비슷하지만 소엽이 7-13개인 것이 다른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Potent. 182, t. (190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8. No Image

    화살곰취

    학명 : Ligularia jamesii (Hemsl.) Ko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곰취속(Ligulari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털이 없으며 길이 12-39cm로서 꽃무늬처럼 퍼지고 엽병은 길이 9.5-32mm로서 날개가 없다. 엽신은 화살같은 삼각형 또는 신장상 화살형이며 길이 5-15cm 나비 3.5-12cm로서 표면의 맥 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측열편에 불규칙한 결각이 있다. 경생엽은 2-3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황색이며 줄기 꼭대기에 1개의 두상화가 달린다. 두화는 1개이고 지름 6.5-8cm이며 포엽은 선형으로서 총포보다 짧고 총포는 통상 종형이며 길이 15mm 지름 19mm로서 적자색이고 밑부분에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1줄로 배열되고 13개로서 끝에 털이 다소 있다.
    열매 : 수과는 길이 7mm로 원추형이며 털이 없고 관모는 적갈색이며 꽃이 필 때는 길이 7-8mm로서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줄이 있고 밑부분에 털이 없으며 윗부분에 털과 능선이 있고 기부가 죽은 엽병으로 덮여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북부에서 자란다. 낭림산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697 (190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9. No Image

    묏장대

    학명 : Arabis lyrata L.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장대나물속(Arabis)
    이명 : 멧장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도피침형이고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cm 폭 1-5c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양면에 2~3개로 갈라진 털이 있다. 경생엽은 넓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1~4cm 폭 1-10mm로서 밑부분의 것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4-8월에 피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길이 2-3.5mm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백색 또는 연홍색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4-6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 길이 3-4cm 폭 1mm로서 위를 향하며 소과경은 길이 6-10mm로서 퍼지고 암술대는 길이 0.5mm정도이다. 종자는 편평한 타원형이며 길이 1-1.2mm로서 끝 부근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15-35cm이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큰산장대와 비슷하지만 각과가 길고 꽃이 핀 다음에서 곧추서서 새싹이 생기지 않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2: 231 (1821)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애기병꽃

    학명 : Diervilla sessilifolia Buckley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애기병꽃속(Diervilla)

    잎 : 잎은 대생하고 2줄로 배열되어 얼핏보기에 붉은병꽃나무와 비슷하며 엽병이 없고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6~15cm 폭 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황색이며 3~7개가 취산화서에 달리지만 가지 끝에 모여 원추형으로 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이 뾰족하고 화관은 양순형이며 열편이 통부보다 짧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9~12mm로서 남아 있는 꽃받침 때문에 엉키며 잘 터지지 않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내외에 달하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네모가 진다. 원줄기 끝이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위가 퍼지는 포기로 된다.


    형태 : 낙엽 교목이다.

    특징 : 원줄기 끝이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위가 퍼지는 포기로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1. No Image

    월계화

    학명 : Rosa chinensis Jacq.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장미속(Rosa)

    잎 : 잎은 호생하며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며 예두 둔저이고 길이 3-9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어느 정도 윤채가 있고 뒷면은 흰빛이 돌지만 어린 잎은 홍자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탁엽은 가늘며 길고 하반부가 엽병에 붙어 있으며 윗부분이 바늘같고 가장자리에 선이 있다.
    꽃 : 꽃은 수시로 피지만 흔히 5월경에 피며 홍자색 또는 연녹색이고 새가지 끝에 1개 또는 몇개가 산방상으로 달린다. 꽃받침통은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연녹색이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도란상 원형으로서 밑부분이 백색이다. 수술은 황색이고 많으며 암술대는 떨어지고 꽃받침통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9월에 둥글고 붉게 익는다.
    줄기 : 가지는 녹색이고 삼각추 비슷한 가시가 산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Obs. bot. 3 : 7, t. 55 (176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2. No Image

    금강산뚝사초

    학명 : Carex forficula var. scabrida Kuk.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산뚝사초
    잎 : 잎은 나비 2-4㎜로서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에 흰빛이 돈다.
    꽃 : 화경(花莖)은 윗부분이 거칠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짙은 갈색으로서 그물같은 섬유(纖維)로 덮인다. 소수는 3-6개로서 윗부분의 것은 접근하고 밑부분의 것은 떨어지며 정소수(頂小穗)는 수꽃이고 선형(線形)이 다. 측소수(側小穗)는 암꽃이며 곧추서고 길이 2-5㎝ 지름 2-4㎜로서 원주형(圓柱形)이며 대가 없으나 첫째 것은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으며 엽초가 없다. 자화영(雌花潁)은 길이 2-3㎜로서 둔두이지만 끝이 뾰족하고 검
    열매 : 과포(果苞)는 포영보다 길고 곧추서며 길이 3.5-4㎜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녹색에서 갈색으로 되며 거칠고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瘦果)는 밀접하며 길이 2㎜정도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과포의 표면이 거칠다.

    뿌리 : 옆으로 뻗는 근경이 없으며 총생(叢生)하여 곧추선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산뚝사초 (Carex forficula FR. et SAV)
    특징 : 과포(果苞)의 표면이 거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yper. Caric. 342 ()
    Fl. kor. 2 : 311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눈비름

    학명 : Amaranthus deflexus L.
    과명 : 비름과(Amaranthaceae)
    속명 : 비름속(Amaranthus)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좁은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4cm 나비 5-20mm로서 털이 거의 없고 둔두 미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꽃 : 꽃은 원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수상화서로 모여 달리고 길이 2-4cm로서 밑부분에서 약간 갈라지며 녹색 꽃이 많이 달린다. 포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1mm정도로서 끝이 까락처럼 뾰족해지며 꽃받침잎은 2-3개이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 중륵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서 꽃받침보다 길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맥이 있고 벌어지지 않는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자라거나 옆으로 퍼지며 연한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비름(A. mangostanus L.):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12㎝ 잎자루가 길다. ▶털비름(A. retroflexus L): 전체에 짧은 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거칠고 굵으며 가을철에 붉어지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 뒷면 맥에 연한 털이 있다. ▶청비름(A. viridis L.): 털이 거의 없다. 잎은 삼각상 넓은 난형 길이 4-8㎝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ant. 2 : 295 (177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문배

    학명 :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Nakai) T.B.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4-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 털이 없다.
    꽃 : 꽃은 5-7개씩 산방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다. 화관이 크고(산돌배의 경우 지름 3-3.5cm)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3-4cm로 8-10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소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부락 근처 또는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교목
    유사종 :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Uyeki)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청실리(var. ovoidea Rehder) : 열매가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남해배(var. nankaiensis
    특징 : 꽃이 크다.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276 (1966)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5. No Image

    시베리아포아풀

    학명 : Poa sibirica Roshe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잎 : 잎몸은 선형이고 폭 3.5-6㎜이고 끝이 뾰족하고 납작하며 엽초가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길이 1㎜로 끝이 둔하다.
    꽃 : 원추화서의 길이 6-18㎝ 긴 타원형 피라미드형 성기게 달리고 가지는 약간 길다. 작은이삭은 길이 4-5㎜ 낱꽃은 3-4송이이다. 호영은 좁은 피침형이고 서로 다르고 용골 위가 꺼칠꺼칠하다. 제1호영은 길이 1-2㎜ 1맥이고 제2호영은 길이 3㎜ 3맥이다. 외영은 5맥으로 털이 없고 밑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없다. 내영은 외영과 같은 길이이다. 용골 2개 위에 섬고가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1.3-1.5㎜이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긴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풀밭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6. No Image

    암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squarrosa var. esquarrosa Makino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이명 : 암하늘직이
    잎 : 잎은 다소 안쪽으로 말리고 폭 1/4-2/3mm로서 털이 있으며 엽초는 연한 구리색이고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이 총생하며 높이 10-20cm이다. 8~9월에 개화하고 화서는 1~3회 가지가 갈라지며 길이 3-5cm이고 포는 3-5개로서 밑부분에 달려 있는 1-2개는 화서와 길이가 비슷하다. 소수는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4~10mm 폭 1.5mm로서 구릿빛이 도는 갈색이다. 인편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2mm로서 능선이 있으며 끝이 둔하고 곧게서는 까락이 있다. 암술머리는 2개이고 암술대는 편평하며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단면은 렌즈형이고 길이 2/3mm정도로서 암술대 밑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없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7 : 47 (1903)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Read More
  17. No Image

    일본사초

    학명 : Carex hondoensis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편평하며 폭 3-4㎜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며 섬유상으로 갈라져서 둘러싼다.
    꽃 : 소수(小穗)는 4-6개이고 정소수 2-3개는 서로 접근하며 수꽃뿐이고 길이 1-2cm 폭 2㎜정도로서 좁은 피침형이며 황갈색이다. 그 밖의 소수에는 암꽃이 달리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며 원주형이고 길이 2-6cm 지름 5mm정도로서 밑부분의 것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밑부분일수록 꽃이 성글게 달린다. 포는 잎같고 짧은 엽초가 있으며 자화영(雌花穎)은 연한 황갈색이고 뒷면은 연한 황록색 또는 연한 황갈색으로서 1-3맥이 있으며 좁은 난형이고 끝이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비스듬히 퍼지며 세모진 타원형이고 연한 황록색으로서 윤채가 있으며 막질이고 털이 없으며 양쪽 이외에는 맥이 거의 없다. 부리는 길고 양쪽이 거칠며 끝은 백색 막질로서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밀접해 있고 길이 2.5mm정도로 세모진 도란형이다.
    줄기 : 높이 50-70c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게 옆으로 뻗으며 삼각형이고 평활하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Biol. 5: 252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8. No Image

    분취

    학명 : Saussurea seoulensis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서울분취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로제트형으로 퍼지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6-11cm로서 표면에 꼬불꼬불한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고 뒷면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측맥은 8-12쌍이며 엽병은 길이 4-9cm로서 날개가 없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적고 엽병이 있거나 없으며 길이 1-5.5cm로서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원상 절저이고 원줄기로 흐르지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지름 28-30mm로서 원줄기나 가지 끝에 자색의 통꽃만으로 이루어진 두상화가 1~3개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14~15mm 폭 15~17mm로서 약간 자줏빛이 돌고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내편 길이의 1/5정도이다. 화관은 길이 12mm이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이고 길이 4.5mm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 20-80cm이며 곧게 서고 잎과 더불어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약간 갈라지기도 한다.

    분포 : 경기도 강원도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9. No Image

    조개풀

    학명 :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조개풀속(Arthraxon)

    잎 : 잎은 길이 2-6cm 폭 1-2.5cm로서 피침형 또는 난상피침형이며 심장저(心臟底)이고 줄기를 감싸며 잎표면에는 털이 없거나 있으며 뒷면과 가장자리에도 털이 있다. 엽초에는 짧은 털이 있으며 엽설(葉舌)은 막질이고 길이 1-2mm로서 잘게 갈라지며 절두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밑부분이 지상을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윗부분은 곧추서며 높이 20-5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 털이 있다. 꽃은 9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2-5cm로서 장상이며 가지는 3-20개로서 밑부분에서 다시 갈라지기도 하고 마디사이에 보통 털이 없다. 소수(小穗)는 길이 4mm정도로서 1개씩 달리며 0.2-0.5mm 길이의 소수병(小穗柄)이 있다. 소수병이 없는 이삭은 난상피침형으로 회록색 또는 자주빛을 띠고 길이는 4-5mm이다.
    열매 : 첫째 포영은 초질로서 7-9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얇고 3맥이 있으며 호영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내영의 뒷면 기부에 길이 1-2cm의 가락이 달린다.
    줄기 : 가늘며 마디에 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지며 기부는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214 (19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좀개구리밥

    학명 : Lemna perpusilla Torr.
    과명 : 개구리밥과(Lemnaceae)
    속명 : 좀개구리밥속(Lemna)
    이명 : 개구리밥 푸른개구리밥
    잎 :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띤다.
    꽃 : 꽃은 백색이며 8월에 엽상체 옆에서 피고 꽃에는 1개의 포가 있으며 그 속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있다. 수꽃은 1개의 수술로 되고 꽃밥은 4실이며 암꽃은 1개의 암술뿐이고 수꽃과 더불어 화피가 없다.
    열매 : 엽상체의 뒷면 좌우에서는 각각 1개씩의 낭체(囊體)가 자라 모체와 더불어 물 위에 떠있다.
    줄기 : 식물체는 잎처럼 생긴 도란상 넓은 타원형이고 줄기는 길이 3-5mm 나비 2-4mm로서 양끝이 둥글며 끝 가까이에 1개의 돌기가 있고 3맥이 있으며 대가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없다.
    뿌리 : 뒷면 중앙에는 유관속이 없는 1개의 뿌리가 있어 길이 3-4cm이며 백색이고 가늘며 뿌리 끝에 있는 근관은 끝이 둔하다.
    분포 : ▶극지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자란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수생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