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돌좀고사리

    학명 : Asplenium rutamuraria L.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잎 : 엽병은 길이 1.5~8cm이고 담록색이며 선형의 인편과 샘털이 있다. 잎은 길이 2~7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맥이 뚜렷하지 않다.

    열매 : 포자낭군은 길이 1~3mm로 열편 중앙에 모여 있고 포막은 반투명하고 엽연는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흑갈색 피침형 인편이 붙는다.
    분포 : 한반도(충청북도 강원도 이북)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러시아 유럽
    형태 : 상록성

    특징 : 석회암지대의 지표식물이라 할 수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Read More
  2. No Image

    미국산사

    학명 : Crataegus scabrida Sarg.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산사나무속(Crataegus)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예두이며 재저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3-9㎝ 폭 2-8㎝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약간 흰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7-37mm이다.
    꽃 : 꽃은 지름 2㎝정도로서 백색이고 산방화서에 달리며 수술은 20개 암술은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1㎝정도로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큰 가시가 있다. 1년지는 갈색 또는 암갈색이지만 광선이 닿지 않는 곳은 다소 녹색을 띠며 피목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2년지는 점차 회색으로 된다. 가시는 가지의 기부에서는 잎과 같이 배열되며 길이 4-5cm로서 끝이 예리하고 밑부분의 지름이 3mm정도로 되며 가지와는 90˚또는 그 이상 벌어진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미국에서 들어온 낙엽관목으로서 산사나무와 비슷하지만 큰 가시가 있는 것이 특이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hodora 3 : 29 (1901)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방가지똥

    학명 : Sonchus oleraceus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방가지똥속(Sonchus)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밑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15-25cm 나비 5-8cm로서 우상으로 거의 완전히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중앙부의 잎은 이저로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5-9월에 피고 지름 2cm이며 화서는 거의 산형 비슷하고 화경은 길이 1.5-5.5cm로서 선모가 있다. 총포는 길이 11mm 나비 12-18mm로서 꽃이 핀 다음 밑부분이 커지며 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능선을 따라 선모가 있으며 외편은 길이 3.5-4.5mm 중편은 길이 6mm 내편은 길이 9mm이다. 화관은 황색 또는 백색이고 길이 11-12mm 지름 1mm정도이며 통부는 길이 6mm로서 백색 털이 있다. 꽃은 모두 설상화이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의 도란형이며 길이 3mm로서 양면에 각각 3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백색으로 길이 6mm이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100cm이며 줄기는 원주형으로서 속이 비고 세로로 능선이 있는 회록색 또는 녹자색인데 어려서는 분질로 덮이며 털이 없거나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 또는 이년초.

    특징 : 전체에 유백색 유즙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4. No Image

    산조팝나무

    학명 : Spiraea blumei G.Don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이명 : 개조팝나무 긴잎산조팝나무 넓은잎산조팝나무 찰조팝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원형에 가까우며 상반부는 얕은 결각이 있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3-4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엽맥이 돌출하며 3-5쌍의 측맥이 있고 톱니는 둥글지만 끝이 뾰족하며 엽병은 길이 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5월 중순에 피고 지름 8mm로서 백색이며 지름10-25cm의 산형화서에 15-20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1cm 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끝이 뾰족하며 길이 2mm로서 털이 없고 꽃잎은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2-3.5mm로서 길이보다 폭이 넓고 수술이 꽃잎보다 짧다. 꽃받침과 꽃잎이 각각 5개이며 수술은 20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10월에 성숙하고 복면(腹面)이 돌출하므로 암술대가 배면(背面) 선단(先端)에 달린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전년지는 적갈색이다.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Hist. 2 : 518 (18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resupinata L.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송이풀속(Pedicularis)
    이명 : 가지송이풀 그늘송이풀도시락나물마주송이풀 마주잎송이풀명천송이풀 수송이풀 이삭송이풀 잔털송이풀칠보송이풀털송이풀
    잎 : 잎은 호생하지만 밑부분의 잎은 대생하기도 하고 엽병은 짧으며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지고 길이 4-9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복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총생하는 포같은 잎사이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5-10mm로서 앞쪽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은 끝이 둥글며 2-3개의 둔한 톱니와 더불어 짧은 털이 있다. 화관은 홍자색이고 길이 2cm로서 끝이 새부리처럼 꼬부라지며 하순이 옆으로 퍼져서 지름이 10mm에 달하고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8-12mm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밑에서 여러대가 나와 함께 자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줄기는 굵게 네모지고 곧게서며 속이 비었다.
    뿌리 : 수염뿌리를 가지고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수송이풀 (var.gigantea Nak.): 전체가 크고 가지가 많다. ▶마주송이풀 (var.oppositifolia Miq.): 잎이 대생한다. ▶명천송이풀 (var.spicata Nak.): 꽃이 드문드문 달려 수상으로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6. No Image

    쇠서나물

    학명 : Picris hieracioides var. koreana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쇠서나물속(Picris)
    이명 : 모련채조선모련채참모련채털쇠서나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뭉쳐나며 로제트형으로 벌어지고 엽병이 없거나 짧으며 엽신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둔두 또는 둔첨두에 유저이고 길이 5-9cm 폭 1-3cm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낮은 치아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도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길이 8-22cm 나비 1-4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길이 6-12cm 나비 9-40mm이고 윗부분의 것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얼싸안는다.
    꽃 : 꽃은 6-9월에 피며 화경은 길이 1.2-5cm이고 두화는 지름 2-2.5cm로서 황색이며 줄기와 가지끝에서 산방상으로 달린다. 총포는 통상 종형이며 길이 10-11mm 지름 8-9mm로서 녹색이고 검은빛이 돌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내편은 길이 8-12m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며 외편은 짧다. 소화는 황색이고 화관은 길이 12-15mm이며 통부는 가늘고 길이 4.8-5.1mm정도이며 설상화관 기부에 흰 털이 있고 화관끝은 5개로 갈라졌다.
    열매 : 수과는 홍갈색의 방추형이고 흑색 털이 있으며 길이 3.5-4.5mm 지름 1mm정도로서 6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깃꼴로 어두운 백색 또는 담갈색으로 길이 6-7.5mm이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서며 기부는 자홍색을 띠고 윗부분에서 다소 가지를 내며 전체에 갈고리 끝으로 가닥난 갈색의 거센털이 있어 잎은 옷에 잘 붙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털쇠서나물 (var.koreana Kitam.): 꽃이 연한 황색이고 총포가 연한 녹색이며 뒷면에 있는 털이 길이 0.7-1.3mm로서 깔끔하다.
    특징 :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면이 거칠기 때문에 쇠서나물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7. No Image

    이삼사초

    학명 : Carex leucochlora Bunge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편평하고 나비 1~5mm이다. 기부의 엽초는 짙은 갈색으로 섬유같이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2~6개의 소수가 떨어져 달린다. 소수는 곧추 서고 정소수는 곤봉모양으로 길이 4~20mm이며 짧은 자루가 있고 연한 녹색이며 수꽃이 나고 측소수는 구형 또는 짧은 원주형으로 길이 5~30mm이며 밑의 것은 약간 자루가 있고 암꽃이 달리며 최하의 포는 짧은 엽상으로 기부에 짧은 엽초가 있다. 암꽃의 인편은 도란형으로 길이 2~3mm이고 뒷면은 1~3맥이 있으며 끝에 작은 까락이 있고 연한 녹색이다.
    열매 : 과포는 둥근도란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얕게 2열한다. 수과는 둥근 도란형이고 암술머리는 3열한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둔한 삼각형이며 상부는 깔깔하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중국 인도 뉴기니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Chin. Bor. 68 (1831)

    Read More
  8. No Image

    좀참새귀리

    학명 : Bromus inermis Leys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귀리속(Bromus)

    잎 : 엽초는 통형(筒形)이며 털이 없고 엽설(葉舌)은 높이 1-2㎜이며 잎새는 길이 10-20㎝ 폭 3-10㎜로 암녹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핀다. 원추화서는 길이 10-20㎝로 직립(直立)하며 각 마디마다 2-5개의 가지가 생기고 각 가지에 1-4개의 소수(小穗)가 있고 소수는 길이 1.5-2.5㎝ 폭 2-3㎜이지만 건조하면 꽃이 펼쳐져서 폭이 3-4㎜가 된다. 제1포영은 길이 4-6㎜ 1맥 제2포영은 길이 6-8㎜ 3맥이다. 호영은 길이 10-13㎜ 5맥 까락(芒)이 없거나 또는 길이 1-2㎜정도의 작은 것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고 용골(龍骨)위에 미모

    줄기 : 줄기는 높이 40-70㎝ 긴 근경(根莖)과 기는 줄기가 있다.

    분포 : 중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귀화되었고 국내에는 중부지방에서 찾을 수 있다. `참새귀리`에 비하여 전체 무모 6-9소화(小花)로 이루어진 소수의 폭이 좁고 4-5㎜정도의 꽃밥 등의 특징으로 구분된다. 식물체 전체가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halens. 16 (1761)

    Read More
  9. No Image

    큰껍질새

    학명 : Melica turczaninowian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쌀새속(Melica)
    이명 : 큰껍질쌀새 큰쌀새
    잎 : 엽신은 편평하고 길이 15-20cm 넓이 8-12m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껄껄하다. 엽초는 털이 없고 밀폐되었다. 엽설(葉舌)은 막질로서 투명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3mm로 끝이 찢어진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옆으로 퍼지며 길이 10-20cm이고 가지는 길이 8cm까지 자란다. 소수는 자주빛을 띠고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으며 길이 12-15cm이다. 포영은 크기가 같으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넓으며 막질이고 길이 8mm에 5-7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끝이 얕게 갈라진다. 내영은 녹색이고 신짝 같으며 호영 길이의 2/3정도로서 2개의 능선이 있고 능선 위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25-100cm이고 곧게 자란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부 몽골 러시아극동부와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2): 142-143. (19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피마자

    학명 : Ricinus communis L.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피마자속(Ricinus)
    이명 : 아주까리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방패같고 지름 30-100cm로서 장상으로 5-11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은 녹색 또는 갈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8-9월에 원줄기 끝에 길이 20cm정도의 총상화서가 달리고 꽃은 일가화로 연한 황색 연한 홍색이며 수꽃은 밑부분에 달리며 수술대가 잘게 갈라지고 막질이며 꽃밥이 있고 화피열편은 5개이다. 암꽃은 윗부분에 모여 달리고 5개의 화피열편과 1개의 자방이 있으며 털이 있고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끝에서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3실이고 대개 겉에 가시가 나며 각 실에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밋밋하며 암갈색 반점이 있고 ricinin 이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나무처럼 갈라지고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원산지에서는 나무처럼 자라는 다년초.)

    특징 : 열대 지방인 베트남과 브라질 등지에서 다년생의 목본형임이 확인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11. No Image

    헐떡이풀

    학명 : Tiarella polyphylla D.Don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헐떡이풀속(Tiarella)
    이명 : 산바위귀천식약풀헐떡이약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심원형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5개로 갈라지며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이 각 2-7cm로서 표면에 긴 털이 있으며 뒷면 특히 맥위에 긴 털과 짧은 털이 퍼져 난다. 엽병은 길이 2-10cm로서 긴 털과 퍼진 선모가 있고 탁엽은 막질이며 갈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0-40cm로서 선모가 있고 짧은 대가 있는 2-3개의 잎이 달리며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밑으로 처지고 총상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1개의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소화경은 길이 3-7mm로서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길이 2-3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침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수술은 10개로서 꽃 밖으로 나와 있다.
    열매 : 삭과는 상하 2개의 심피로 되어 1개는 길고 1개는 짧으며 긴 것은 7-12mm이며 종자는 흑색이고 길이 1.2-1.4mm로서 윤채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울릉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전체에 털이 밀생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fl. nepal. p. 210 (1825)
    참고문헌 :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2. No Image

    홍월귤

    학명 : Arctous ruber (Rehder & E.H.Wilson) Nakai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홍월귤속(Arctous)

    잎 : 잎은 호생하고 줄기 윗부분에서는 총생하며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cm 폭 6-13m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엽병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6mm로서 푸른빛이 도는 연한 황색이고 엽액에 2-3개씩 짧은 홍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작고 4-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단지모양으로 길이 4-5mm이고 끝이 4-5개 치아로 얕게 갈라졌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지름 9-13mm로 8-9월에 적색을 익으며 과육은 달고 새콤한 맛이 난다.
    줄기 : 원줄기가 땅속으로 기면서 뻗고 지상으로 나온 것은 지의류 사이에서 갈라지며 가지끝이 잎 밑부분으로 싸여 있다. 가지는 암갈색이고 수피는 얇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분포 : 함경북도의 고산지역과 설악산에 자란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특징 : 홍월귤은 설악산에서도 개체군의 수가 적으며 개체수도 적다. 자생지인 설악산은 분포의 남한계지로서 중요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ees Shrubs Japan 156 (Nakai, 1922)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13. No Image

    긴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japonica Pax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잎 : 잎은 대생하고 윗부분에 달려있는 4-5쌍의 잎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길이 1.5-3cm 폭 1-2cm로서 엽병이 없다. 밑부분의 잎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1.5-2.5cm 폭 2-7mm로서 윗부분의 잎과 더불어 양면에 털이 있고 특히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긴 털이 있다.
    꽃 : 화병은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서 1-2개씩 나오며 길이 15mm정도로서 털이 있고 끝에 꽃이 1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4-5장으로 털이 있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4-6mm로서 백색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줄기에 털이 2줄로 돋는다.
    뿌리 : 밑부분에 괴근과 잔뿌리가 있다.
    분포 : 대관령 근처 광덕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개별꽃(P. heterophylla Pax.):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 털이 나 있다. 위쪽 잎은 크며 피침형 길이 10-40㎜ 아래쪽 잎은 좁아져서 잎자루 모양이다. ▶큰개별꽃(P. palibiniana Ohwi): 방추형의 흰 괴근이 있고 흰 털이 있다. 밑동에 나는 잎은 주걱모양 줄기 위에
    특징 : 우리나라에서는 1966년에 대관령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개별꽃에 비해 높이 자라기 때문에 긴개별꽃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4. No Image

    깃덤불취

    학명 : Saussurea manshurica var. pinnatifid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잎 : 잎은 두메취와 비슷하다. 잎이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긴 타원형이며 서로 접근해 있고 만부(灣部)가 둥글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두화는 많고 원추상 산방화서로 배열되며 마른 것은 지름 10mm이다. 총포는 좁고 길이 14mm 지름 5-6mm이며 총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포편은 내포편의 길이 1/8 또는 1/6정도이며 모두 뒷면에 점질(粘質)이 있다.

    줄기 : 높이 70-90cm이고 두메취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털이 없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함북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덤불취 (subsp. manshurica (KOM.) KITAMURA)
    특징 : ▶덤불취와 달리 잎이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긴타원형이며 서로 접근해 있고 만부(灣部)가 둥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585 (Kitag., 19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넌출월귤

    학명 : Vaccinium oxycoccus L.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산앵도나무속(Vaccinium)
    이명 : 덤불월귤 덩굴월귤
    잎 :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으로 길이 7~14mm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은 둥글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채가 나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1mm 정도이다.
    꽃 : 꽃은 7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가지 끝의 포 짬에서 꽃대가 나와 그 끝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4cm이고 중앙부에 2개의 소포가 있다. 꽃받침은 4열하고 꽃잎은 4개로 뒤로 말리며 수술은 8개이다.
    열매 : 과실은 장과로 붉게 익는다.
    줄기 : 줄기는 철사처럼 가늘고 물이끼 속으로 뻗으면서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20cm에 달하고 어릴 때는 짧은 털이 있으나 껍질이 벗겨지면서 없어지며 짙은 적갈색으로 된다.

    분포 : 함경남도 함경북도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소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6. No Image

    넓은잎피사초

    학명 : Carex xiphium Meins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민곱슬사초
    잎 : 잎은 납작하고 나비 4-8㎜이며 밝은 녹색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며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2-3개이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길이 15-20mm로서 긴 타원상 선형 또는 곤봉형이고 측소수는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cm로서 대가 있다. 자화영(雌花穎)은 긴 타원상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황갈색익 끝은 둔하지만 까락 끝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비스듬히 달리고 도란형이며 길이 6-7mm로서 황록색이고 뚜렷한 맥이 있으며 부리는 길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둔하게 세모진 도란형으로서 끝에 비스듬한 돌기가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0-40cm이다.

    분포 : 강원도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Glavn. Bot. Sada. 18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돌배나무

    학명 : Pyrus pyrifolia (Burm.f.)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이명 : 꼭지돌배나무 돌배 산배나무
    잎 : 잎은 난상 긴 타원형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7-12cm 폭 3.5-5cm로서 뒷면은 회록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침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7cm로서 털이 없다. 가을에 황색으로 단풍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양성화이며 총상화서를 이룬다. 화서는 털이 없거나 면모가 있고 꽃은 지름 3cm정도이며 꽃받침잎은 긴 점첨두이고 꽃잎은 난상 원형이며 암술대는 4-5개로서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2-3cm 정도로서 9월경 다갈색으로 익으며 꽃받침이 떨어지고 과경은 길이 3-5cm이다.
    줄기 : 어린 가지는 갈색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콩배나무(P. calleryana var. fauriei) : 낙엽관목 잎과 열매가 작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위봉배나무(P. uipongensis) : 위봉산 낙엽소교목 작은 가지는 회갈색 꽃받침잎은 결실후 탈락. ▶일본배나무(var.culta NAK.) : 열매의 지름이 5-10cm이고 잎이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0 : 564 (1926)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18. No Image

    둥근잎구실잣밤나무

    학명 :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f. latifolia Nakai
    과명 : 참나무과(Fagaceae)
    속명 : 구실잣밤나무속(Castanopsis)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고 타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우며 둔두 원저이고 상반부에 톱니가 있다. 길이 7-12㎝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광채가 있으며 털이 없고 뒷면은 인모로 덮여 있어 대개 연한 갈색이지만 흔히 흰빛이 도는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1㎝이다.
    꽃 : 꽃은 1가화로서 6월에 피며 웅화수는 새가지 윗부분의 엽액에서 자화수는 밑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수꽃은 5-6개로 갈라진 화피열편과 15개 정도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각각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견과는 난형이고 길이 15-20㎜로서 대가 없으며 열매는 다음해 1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고 가지가 많다.

    분포 : 남해안 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유사종 : ▶구실잣밤나무(C.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모밀잣밤나무(var. thunbergii Naka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9. No Image

    떡속소리나무

    학명 : Quercus fabri Hance
    과명 : 참나무과(Fagaceae)
    속명 : 참나무속(Quercus)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22cm 나비 2.5-16cm로서 표면은 주맥 기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떡갈나무와 졸참나무의 털로 덮여 있고 빨리 떨어지기 때문에 없는 것처럼 보인다.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뾰족하지만 둔두 또는 원두인 것도 있으며 이저 예저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다. 엽병은 길이 1-15mm 지름 1-3mm로서 털이 있으나 떨어지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4-5월에 피며 수꽃 이삭은 길게 늘어져 처지고 암꽃 이삭은 꽃이 1송이이며 암술대는 2-6개이다.
    열매 : 각두는 얕거나 깊은 반구형이고 깊이 3-11mm 지름7-21mm로서 중간형의 포린으로 덮여있다. 열매는 중간형의 견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1-28mm 지름6-17mm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지름 1-7mm이고 대부분 떡갈나무와 졸참나무의 털로 덮여 있으나 빨리 떨어지기 때문에 없는 것 처럼 보인다.

    분포 : 전라 남도 황해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떡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잡종으로 졸참나무보다 잎이 뭉뚝하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가지는 모가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10:202 (186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0. No Image

    물고랭이

    학명 : Scirpus nipponicus Makino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이명 : 물돗자리골
    잎 : 잎은 녹색이며 삼각형이고 폭 2-4mm로서 화경(花莖)보다 긴 것도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화서는 옆에 달리고 2개로 갈라져서 산방상으로 되며 5-9개의 소수가 달리고 가지는 2-3개이며 길이 4cm로서 2개씩 갈라진다. 포는 1-2개로서 잎같고 밑부분의 것은 화경과 연속된다. 소수는 긴 타원형이며 황갈색으로 익고 길이 1-1.7cm 지름 5-7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인편은 긴 타원상 난형이고 볏짚색이며 중륵은 끝이 까락처럼 된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4개로서 딱딱하며 수과보다 2배 정도 길다.
    열매 : 수과는 좁은 도란형이고 양쪽이 볼록한 렌즈형이며 길이 2-2.5mm로서 끝이 부리처럼 길다.
    줄기 : 줄기는 높이 40-90cm 지름 2-4mm로서 세모지고 밑부분에 3-5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가는 지하경 끝에 과경이 달린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