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털박하

    학명 : Mentha arvensis var. barbata (Nakai) W.T.Le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박하속(Mentha)

    잎 : 잎은 마주나고 좁은 달걀형 달걀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2~5cm 너비 1~2.5cm이며 양끝이 좁고 가상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유점이 있고 엽병은 길이 3~10mm이다.
    꽃 : 꽃은 연한 자색으로 피고 윗부분과 가지의 잎짬에 모여 달려 층을 이루며 작은 꽃자루는 짧다.
    열매 : 열매는 분과이다.
    줄기 : 줄기는 네모지며 잎 꽂받침과 더볼어 털이 약간있고 강한 향기가 있다.
    뿌리 : 땅속줄기는 길게 뻗는다.
    분포 : 한반도(함경남도 혜산 진천보)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Koreae : 955 (199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방패꽃

    학명 : Veronica tenella All.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개투구꽃 누운꼬리풀 눈꼬리풀지금아재비투구꽃 투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거나 짧으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길이 1~2cm 폭 6~13cm로서 희미한 낮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자주색 맥이 있고 총상화서는 길이 5~10c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산생하며 10~20개의 꽃이 드문드문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소화경보다 짧다.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삭과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화관은 지름 6~7mm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폭 4~5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원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가지가 갈라져서 곧추서며 잔털이 산생한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pedem. 1: 75 (178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3. No Image

    회리바람꽃

    학명 : Anemone reflexa Steph. & Willd.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잎 : 근생엽은 없다. 총포엽은 3개로서 윤생하며 포엽은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중앙부의 양면에 흰색의 긴 털이 있으며 양끝이 좁고 길이 3-7cm 폭 9-25mm로서 피침형이며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 : 근경끝에서 화경(花莖)이 나와 높이 20-30cm정도 자란다.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花梗)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있고 1-2개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밑부분에 소포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넓은 선형이며 길이 6mm 폭 2mm로서 겉에 백색털이 있고 자방은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뿌리 : 근경은 지름 2mm정도이고 육질이며 옆으로 자라고 끝에서 1개의 화경(花莖)이 나온다.
    분포 : 강원도(대관령 설악산)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1282 (Willd., 179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흰진범

    학명 :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초오속(Aconitum)
    이명 : 흰진교
    잎 : 근생엽과 경생엽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밑부분의 잎은 3-7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잎은 3-5개로 갈라지고 열편에 끝이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꽃 : 꽃은 연한 황백색이며 8월에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엽액에서 총상화서가 나오고 화서와 소화경에 털이 있으며 포는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뒤쪽의 꽃받침잎은 뒤로 길이 2.8cm정도의 원통상 거가 발달하고 털이 있으며 이마쪽이 수평으로 뾰족해지고 나머지 2개는 옆으로 2개는 밑으로 달린다. 2개의 꽃잎은 밀선으로 되어 뒤쪽의 꽃받침속에 들어 있으며 수술은 많고 뒤로 젖혀지며 수술대 밑부분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자방
    열매 : 종자는 삼각형으로서 날개가 있으며 겉에 주름이 진다.열매는 골돌과이다.
    줄기 : 비스듬히 자라거나 덩굴로 되어 길이 1m에 달하고 윗부분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맹독성 식물 ▶한국특산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1: 27 (19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5. 잔털제비꽃

    학명 : Viola keiskei Miq.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둥근잎제비꽃 둥근잔털제비꽃 잔털오랑캐 털둥근잎제비꽃
    잎 : 잎은 밑동에 밀생하며 난상 원형이고 끝이 둥글거나 둔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6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0cm정도이고 짧은 털이 밀생하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엽병 밑동에 붙는다.
    꽃 : 4월에 잎 사이에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옆으로 향한 지름 2cm가량의 백색꽃이 좌우상칭으로 달리고 화축에 털이 없다. 꽃받침은 5장이며 좁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6-8mm로서 털이 없으며 부속체는 네모가 지고 톱니가 약간 있다. 꽃잎은 길이 10-14mm로서 옆의 것은 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앞의 것은 자주색 줄이 있고 거는 길이 6-7mm이다.
    열매 : 열매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7-8mm로서 털이 없고 열매가 익을때는 과경이 자라지 않으며 원줄기 밑에 뭉쳐있다.
    줄기 : 원줄기가 없고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 : 뿌리에서 잎이 돋는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에 비해 꽃받침 밑 자방에 털이 없고 꽃줄기에 털이 많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Lugduno-Batavi 2 : 153 (186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장백제비꽃

    학명 : Viola biflora 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장백노랑제비꽃 장백오랑캐
    잎 : 잎은 3-4개이며 엽병은 길이 2-10cm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짧고 날개가 없으며 털이 없다. 탁엽은 녹색이며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연모가 다소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신은 신심형이고 길이 1-2cm 폭 1.5-3.5cm로서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화경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2-5cm로서 중앙 또는 그 위에 포가 있고 꽃은 7월에 피며 길이 1cm정도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끝이 둔하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둥글며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7-10mm로서 털이 없으며 순판에 갈색 맥줄이 있고 거(距)는 반원형으로 길이 1.5-2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4-7mm이고 털이 없으며 8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가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짧으며 옆으로 뻗고 마디가 밀접해 있으며 수염뿌리가 내린다.
    분포 : 백두산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I-II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개잎갈나무

    학명 : Cedrus deodara (Roxb. ex D.Don) G.Don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개잎갈나무속(Cedrus)
    이명 : 설송 히마라야시다
    잎 : 잎은 짧은 가지에 30개가 총생하고 길이 3-4cm로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단면은 삼각형이며 1개씩 달리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윤생한 것처럼 보인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10월에 피고 짧은 가지 끝에 위를 향해 달리며 웅화수는 원주형이고 길이 3-5cm이며 자화수는 난형으로 길이 3-4cm이다.
    열매 : 구과는 타원형이며 길이 7-10cm 지름 6cm정도로서 녹색이 도는 회갈색이다. 실편은 넓은 선상(扇狀) 삼각형이고 가장자리와 뒷면이 밋밋하지만 겉에 잔털이 있으며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종자는 삼각형으로 넓은 막질의 날개가 있고 자엽은 9-10개이며 날개는 길이 2.2-3.7cm이다. 다음해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고가 30m에 달하고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며 소지에 털이 있고 밑으로 처지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얇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분포 : 남쪽지방에서 조경수로 심어왔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

    특징 : ▶1930년경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히말라야 시다의 명소라고 하면 부산의 용두산 공원의 군식을 우선 손꼽을 수 있으며 광주의 가로수도 인상적이다. ▶침엽수이면서도 잎은 전혀 억세지 않고 연한 녹색의 부드러운 촉감이 인상적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 Brit. [Loudon] 388 (Loudon, 18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서울제비꽃

    학명 : Viola seoulensis Naka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서울오랑캐
    잎 : 잎이 뿌리에서 총생하고 처음에는 안으로 말린다. 탁엽은 엽병에 붙어 있으며 끝이 떨어지고 선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cm이고 엽병 상부에 날개가 약간 있다. 엽신은 긴 타원형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1.3-2.7cm 폭 9-13mm로서 톱니가 있다.
    꽃 : 화경은 털이 있고 길이 5.5~8.5cm 이며 꽃받침잎은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부속체(附屬體)가 있다. 꽃잎은 보라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고 짙은 보라색 맥이 있으며 측열편에 털이 다소 있고 거(距)는 옆으로 편평하며 길이 6~7mm이다. 개화기는 4월로 다화성이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털은 없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굵고 끝이 여러 개로 갈라지며 잎이 뿌리에서 총생하고 갈색이며 잔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관악산 일대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남산제비꽃(Viola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Makino)은 흰 꽃이 피고 자주색 맥이 있으며 잎은 단풍잎같이 잘게 갈라져 있다.
    ▶화엄사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은 밝은 자홍색 꽃이 피고 화엄사 부근에서 자란다.
    ▶고깔제비꽃(Viola rossii Hemsl.)은 잎이 고깔모양처럼 생기고 꽃은 연분홍 자색이다.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ecker)은 짙은 보라색 꽃이 핀다.
    ▶호제비꽃(Viola yedoensis Makino)은 꽃과 잎이 크며 연분홍 보라색 꽃이 핀다.
    ▶알록제비꽃(Viola variegata Fisch.)은 잎에 흰 줄의 얼룩무늬가 있고 자주색 꽃이 핀다.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W. Becker)은 이른봄 자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노랑꽃이 핀다.

    특징 : 제비꽃에 비해 잎이 넓고 털이 많으며 난상 피침형으로 꽃잎은 안에 털이 없음. 털제비꽃과 비슷하나 털제비꽃보다 잎은 긴 타원형 넓은 피침형 자줏빛이 안돌고 꽃이 보라색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푸른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viridicalycinum T.B.Le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재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푸른색으로 피며 총상화서는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 distichum Nakai): 꽃의 색은 백색 또는 분홍색.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의색은 분홍색. ▶상아미선(for. eburneum T.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Read More
  10. No Image

    털네잎갈퀴

    학명 : Galium trachyspermum f. hispidum (Matsuda) Ohwi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참털네잎갈퀴 털네잎갈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1093(1953); in Bull. Nat. Sci. Mus. Tokyo 33 : 86 (195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1. 백작약

    학명 :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과명 : 작약과(Paeoniaceae)
    속명 : 작약속(Paeonia)
    이명 : 산작약
    잎 : 잎은 3-4개가 호생하며 엽병이 길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거나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3-8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한 송이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3개이며 난형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꽃잎은 5-7개로서 도란형이고 길이 2.5-4cm이다. 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고 자방은 3-4개이며 암술대는 뒤로 젖혀진다.
    열매 : 골돌은 길이 2-3cm이며 2-4개가 긴 타원형이고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자라지 못한 적색종자와 익은 흑색종자가 달린다.
    줄기 : 높이 40-50cm이고 밑부분이 비늘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뿌리 : 괴근을 형성하는데 굵고 육질이며 외근이 분지하고 분지된 뿌리에서 잔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털백작약(P. japonica var. pilosa NAKAI)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산작약(P. obovata MAX.) : 잎 뒷면에 털이 있고 암술대가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리며 꽃이 적색이다. ▶민산작약(P. obovata var.glabra MAK.) : 잎 뒷면에 털이 없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Chron. 3 ser. 48(2) : 366, f. 153 (191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흰자주꽃방망이

    학명 : Campanula glomerata f. alba Nakai ex T.B.Lee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초롱꽃속(Campanula)
    이명 : 흰꽃방망이흰꽃방맹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3. No Image

    가시상추

    학명 : Lactuca scariola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왕고들빼기속(Lactuc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가 없고 잎새는 장타원형(長楕圓形)또는 장타원상 피침형(長楕圓狀 彼針形)이며 길이 10-20㎝ 폭 2-7㎝이다. 끝이 예두(銳頭)이고 기부는 이저(耳底)로 줄기를 일부 싸며 거치(鋸齒)가 있거나 우상 분열(羽狀 分裂)을 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줄지어 배열되며 뒷면 주맥 위에 가시가 열지어 배열된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지름 1.2㎝ 정도 6-12개의 설상화(舌狀花)로만 이루어지며 벌어진 원추화서(圓錐花序)를 만든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이며 높이 6-9㎜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내편의 1/3길이이다. 설상화는 황색이며 끝에 5치(齒)가 있다.
    열매 : 수과(瘦果)는 도란형(倒卵形)-장타원형이며 길이 3㎜ 담갈색 자상모(刺狀毛)가 있으며 길이 4-8㎜의 부리 모양의 돌기를 갖는다. 관모(冠毛)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단단하며 곧추 서고 높이 20-80㎝ 윗부분에서 원추상(圓錐狀)으로 가지를 치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가시 모양의 거친 털이 있다.

    분포 : 서울을 비롯한 중.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

    특징 : 유럽 원산이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1980년 任良宰 全義植 양씨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ed. 2) 2 : 1119 (1763)
    참고문헌 : 1)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임양재 & 전의식, 1980)
    Read More
  14. No Image

    호두나무

    학명 : Juglans regia Dode
    과명 : 가래나무과(Juglandaceae)
    속명 : 가래나무속(Juglans)
    이명 : 호도나무
    잎 : 잎은 기수우상복엽이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털이 거의 없거나 선모(腺毛)가 있다. 소엽은 5~7개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7~20cm 넓이 5~10cm로서 위로 갈수록 커지며 첨두이고 일그러진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일가화이며 웅화수는 길이 15cm이고 수술은 6-30개이며 자화수는 1-3개의 암꽃으로 구성되며 4~5월에 핀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핵은 도란형으로서 연한 갈색이고 봉선(縫線)을 따라 주름살과 쑥 들어간 곳이 있으며 껍질안의 공간은 연속되어 있고 핵 내부는 4실이다.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며 수관이 퍼지고 가지는 성글게 나오며 수피는 회백색이고 밋밋하지만 점차 깊게 갈라진다. 소지는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녹갈색으로 피목이 산재하며 동아는 검은 빛이 돌고 윤채가 있으며 잔털이 있다.

    분포 : 평택 원주 강릉을 연결하는 선의 이남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가래나무(J. mandshurica Maxim.): 작은잎은 7-17장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밑부분은 일그러진 심장형 가장자리에 잔 톱니 뒷면 맥 위에 선모가 있다.
    특징 : ▶호두나무는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등 난대중부에서 온대중부에 걸쳐 약 15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호도나무가 중부이남의 따뜻한 곳에 많이 심어지고 있다. 호도는 곡과류중 영양가가 매우 높고 맛이 뛰어나 고급식품으로 쓰이고 있다. ▶목재의 변재는 회백색 심재는 갈색으로 심 변재 구분은 분명하나 연륜계는 분명치 않다. 산공재로 연하고 가벼우며 조직은 거칠고 광택은 강하며 내구성과 약제주입성이 불량하고 절삭가공과 도장성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5. No Image

    덩굴해란초

    학명 : Cymbalaria muralis P.Gaertn. & B.Mey. & Scherb.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덩굴해란초속(Cymbalaria)











    학명출전 : Oekon. Fl. Wetterau 2 : 397 (1800)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9 : 121 (2009)
    Read More
  16. 섬노루귀

    학명 : Hepatica maxima (Nakai)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노루귀속(Hepatica)
    이명 : 왕노루귀큰노루귀
    잎 :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 사방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큰 것은 길이 8cm 폭 15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열편은 난상 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지고 뒷면과 더불어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4-28cm 지름 4-5mm로서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지름 1.5cm정도로서 백색이고 잎이 나오기 전에 긴 화경이 나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총포는 3개이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큰 것은 길이와 폭이 각 3cm정도로서 가장자리와 뒷면에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6-8개이며 긴 타원형으로서 꽃잎같고 꽃잎은 없으며 많은 수술과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방추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mm정도이고 밑부분이 총포에 싸인다.

    뿌리 : 근경은 비스듬히 서고 마디가 많으며 흑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 Veg. Ooryongto (Nakai, 1919) 페이지 : 35 볼륨 : 문헌년도 : 19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7. No Image

    상아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eburneum T.B.Le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재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피며 상아색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 군자산록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 distichum Nakai):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Lee)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이 분홍색.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Read More
  18. No Image

    흰황산참꽃

    학명 : Rhododendron lapponicum subsp. parvifolium f. albiflorum (Herder ex Maxim.) T.Yamaz.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흰황산차 흰황산철쭉
    잎 : 잎은 호생하며 혁질이고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 둔두 또는 미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20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인모가 있고 뒷면은 갈색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mm이다.
    꽃 : 백색의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끝에 2-5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밑부분에 아린이 남아 있고 꽃받침열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1-2mm로서 인편이 있다. 화관은 넓은 깔때기모양이며 지름 1.5-2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수술은 10개로서 화관보다 약간 짧으며 기부 가까이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수술보다 길다.
    열매 : 열매는 난형이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어린 가지에 인모가 있다.

    분포 :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관목
    유사종 : 황산차
    특징 : 흰꽃이 피는 황산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 Revision of the Genus Rhododendron in Japan, Taiwan, Korea and Sakhalin 17 (T.Yamaz., 1996)

    Read More
  19. No Image

    긴잎큰개미자리

    학명 : Sagina maxima f. longifolia (T.H.Chung) W.T.Lee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개미자리속(Sagina)

    잎 : 잎은 마주나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엽병이 없다. 밑부분의 잎은 빽빽이 난다.
    꽃 : 흰색의 꽃이 피는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자루는 선모가 퍼져 있고 꽃이 진 후에 곧게 선다.
    열매 : 9월에 열매가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빽빽이 나고 상부에 짧은 선모가 있다.

    분포 : 한반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nmenta Florae Korea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홍노도라지

    학명 : Peracarpa carnosa var. circaeoides (F.Schmidt ex Miq.) Makino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홍노도라지속(Peracarpa)
    이명 : 골도라지골좀도라지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거의 둥글며 밑부분이 원저이고 길이 8-25mm 나비 6-20mm로서 표면에 짧은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이다.
    꽃 : 꽃은 4-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처음에는 위를 향하지만 열매가 자람에 따라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고 길이 4-8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8mm로서 타원형이며 종자는 윤채가 있고 길이 1.5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5-15cm이고 지하경 끝에서 줄기가 나와 자라며 윗부분에 잎이 약간 달리고 털이 없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그 끝에서 줄기가 난다.
    분포 : 제주도 홍노리 근처에 서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Nippon 82: 245 (19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