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산진달래

    학명 : Rhododendron dauricum L.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산진달내 산진달래나무
    잎 : 일부의 잎은 상록성이다. 잎은 호생하며 혁질이고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며 예저 또는 원저에 둔두 또는 첨두이고 길이 1-5cm 폭 1-1.5c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인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연한 갈색으로서 인편이 밀포하고 맥에 잔털이 있으며 향기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짧은 가지끝의 측아에서 1개 또는 2-3개가 달려서 나오고 밑부분에 아린이 남아 있으며 화관은 벌어진 깔때기모양이고 지름 3-4cm로서 자적색이며 열편은 통부보다 길며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며 선상의 인모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1-2m이고 가지가 많으며 소지에 인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북에 분포한다. 제주도 금강산 및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관목(때로는 잎만 남고 낙엽하기도 한다.)
    유사종 : 진달래
    특징 : 꽃이 진달래와 닮았으나 상록수인 점이 크게 다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2. No Image

    쐐기풀

    학명 : Urtica thunbergiana Siebold & Zucc.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쐐기풀속(Urtica)

    잎 : 잎에 자모(刺毛)가 있다.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녹색이며 끝은 긴 예첨두이고 밑부분은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복거치가 있고 길이 5-12cm 나비 4-10cm로서 표면에 황색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은 특히 맥 위에 짧은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3-10cm로서 위를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고 탁엽은 반이상 합쳐지며 연녹색으로서 넓은 난형이고 마디와 엽병 사이에서 대생한다. 경엽을 담마(蕁麻)라고 한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8월에 피며 엷은 녹색의 수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웅화서는 하부에 자화서는 상부에 많은 꽃이 밀생하여 달리는 것이 보통이지만 웅화서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는 것도 있다. 꽃부분은 4수이며 암꽃 화피의 2개가 꽃이 핀 다음 커져서 열매를 둘러싼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고 편평하며 녹색이고 숙존악에 둘러싸여 있다.
    줄기 :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게 자라며 높이 40-80cm이고 자모(刺毛)가 있으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세로로 능선이 있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가는잎쐐기풀(U. angustifolia Fischer): 줄기는 둔한 사각형 잎은 긴 타원형 피침형 길이 6-12㎝ 양면에 털이 약간 있다. ▶쐐기풀(U. thunbergiana S. et Z.):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난형 난상 원형 길이 5-12㎝ 표면에 황색의 드문 털 뒷면 맥위에 짧은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am. Nat. 2 : 214 (184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왕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f. kwanso (Regel) Kita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원추리속(Hemerocallis)
    이명 : 가지원추리 겹원추리 수넘너물
    잎 : 잎은 대생하여 얼싸안으며 선형으로 길이 40~90cm 나비 2~4cm이고 끝은 활처럼 뒤로 굽는다.
    꽃 : 꽃은 7~8월에 등황색 또는 등적색으로 피고 화경 끝이 2개로 갈라져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수술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피로 되어 겹꽃이고 소화경은 길이 2cm 정도이며 포는 난상 3각형으로 길이 4~10mm이다. 화통은 길이 2cm이고 화피 열편은 길이 7cm로 옆으로 퍼진다. 화경은 높이 80~100cm이고 소수의 짧은 포가 드문드문 난다.
    열매 : 과실은 생기지 않는다.

    뿌리 : 뿌리에 방추형의 괴근이 있고 때로 지하경을 낸다.
    분포 : 각지에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2:69 (196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4. No Image

    자작나무

    학명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 H. Hara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자작나무속(Betula)
    이명 : 봇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삼각상 난형이며 길이 5~7cm 나비 4~6cm이고 끝이 매우 뾰족하며 겹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없으며 지점이 있고 맥짬에 갈색 털이 있으며 엽병은 1.5~2cm이다.
    꽃 : 꽃은 자웅일가로 암 수꽃이삭은 장 타원형으로 모두 드리우며 4~5월에 핀다.
    열매 : 과수는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소견과는 좁은 타원형으로 날개가 있고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백색이고 종이같이 옆으로 벗겨지며 소지는 자갈색으로 털이 없고 지점이 있다.

    분포 : 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중국 사할린 소련동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3:384 (193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5. No Image

    정영엉겅퀴

    학명 : Cirsium chanroenicum (L.)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흔히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절저이거나 다소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며 길이 11~16.5cm로서 털이 다소 있고 밋밋한 가장자리에 침상의 톱니가 있거나 밑부분이 1~2쌍 정도로 갈라지며 엽병은 길이 4~5.5cm이다.
    꽃 : 두상화는 3~4개가 모여 달리거나 수상(穗狀)으로 배열되고 지름 2.5~3cm로서 화경이 짧으며 총포는 종형이고 길이 18mm 폭 1.5~2c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6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선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뒷면에 다소 점질이 있다. 화관은 길이 18mm로서 백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자주색 줄이 있고 관모는 길이 14mm이며 오갈색(汚褐色)이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원줄기는 골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굵으며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지리산 가야산 조령 및 구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368 (1912)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6. No Image

    좀참꽃

    학명 : Rhododendron redowskianum Maxim.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두메참꽃나무멧참꽃나무묏참꽃나무 좀참꽃나무
    잎 : 잎은 총생하고 도란형 도피침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5-8cm로서 가장자리에 선상의 털이 밀생하며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지름 2cm정도로 홍색이고 새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화축에 선모가 있고 포엽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둔두로서 선모가 있으며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미요두이고 6-7월에 개화한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털이 있고 수술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가 옆으로 누우며 원줄기에서 뿌리가 돋는다.

    분포 : 백두산의 해발 2 000m 이상에 자생한다. 함경남북도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중국 동북 시베리아 동부 캄차카 북미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소관목.
    유사종 : 분홍좀참꽃 : 연한 분홍색 꽃이 피는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89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7. No Image

    채고추나물

    학명 : Hypericum attenuatum Choisy
    과명 : 물레나물과(Guttiferae)
    속명 : 물레나물속(Hypericum)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3.5cm 폭 5-10mm로서 투명한 점과 흑색 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다소 뒤로 말린다. 흑색 점이 가장자리에서는 규칙적으로 산포하지만 중앙부에는 없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3cm로서 황색이고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윗부분에 흑색 점이 있으며 꽃잎은 가장자리가 다소 파상이고 길이 9-15mm로서 5장이며 다소 비뚤어진 모양이다. 수술은 3체이고 암술대는 길이 4-5mm로서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길이 6-9mm이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원줄기는 둥글지만 잎 사이에 희미한 종선과 더불어 흑색 점이 있다. 원기둥 모양이고 곧게 선다.

    분포 : ▶중국 몽골 시베리아 동부지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monogr. Hyperic 47 (182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8. No Image

    큰개불알풀

    학명 : Veronica persica Poir.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큰개불알꽃큰지금
    잎 : 잎은 밑부분에서는 대생하고 윗부분에서는 호생하며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짧은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거의 없어지며 밑부분이 둥글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1~2cm이며 잎몸에는 느슨하게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4~7개의 굵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하늘색으로서 짙은 색의 줄이 있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길이 6-10mm로서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은 지름 8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앞쪽의 것이 다소 작고 암술대는 길이 3mm이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다.
    열매 : 삭과는 편평한 도심장형이며 끝이 파지고 길이 5mm 나비 1cm로서 그물같은 무늬가 있으며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1.5mm로서 잔주름이 있다.
    줄기 : 길이 10-30cm이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거나 비스듬히 서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유럽 아시아대륙 및 아프리카에서 자란다. ▶제주도 울릉도와 충청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Lamarck) 8 : 542 (180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큰절굿대

    학명 : Echinops latifolius Tausch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절굿대속(Echinops)
    이명 : 절구대큰분취아재비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거의 없어지며 타원상 도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25-3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지만 엽맥에는 털이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 끝에 길이 2-3mm의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5-6쌍의 열편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가시로 된다. 밑잎에는 긴 엽병이 있고 윗잎은 엽병없이 줄기를 감싼다.
    꽃 : 두화는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둥글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편은 길이 17-18mm 나비 5mm로서 외포편이 내포편보다 점차 짧아지며 주걱형이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뒷면에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내포편은 긴 능형(菱形)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고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갈색이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갈색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1mm정도의 인편으로서 밑이 합생하였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60-8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고 밑부분에는 거미줄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에서는 백색의 솜털이 있다.
    뿌리 : 길이 10-25cm의 육질인 원주형 뿌리가 있으며 겉은 황갈색이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11: 486 (182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곽향

    학명 : Teucrium veronicoides Maxim.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곽향속(Teucrium)
    이명 : 좀개곽향 털개곽향
    잎 :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끝이 약간 둔하고 길이 2.5-4cm 나비 1.5-2.5cm로서 예저 또는 다소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연한 하늘색으로 피며 길이 8mm정도로서 성긴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4-8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 꽃이 성기게 달리며 포는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넓은 피침형이며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윗부분에 긴 선모가 드문드문 있고 열매가 익을 때는 밑을 향하며 흔히 갈색 윤채가 있고 길이 3-3.5mm이며 열편 끝이 둔하고 화관은 털이 없으며 열편이 다소 좁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길이 1.5mm로서 그물같은 무늬가 보이지 않는다.
    줄기 : 높이 20-30cm이고 전체에 길이 1-2mm의 퍼진 털이 있으며 포복지가 옆으로 벋으면서 곧게 자라고 때로는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함경 북도 명천군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Sco. Saint.-Petersbourg 23 : 388 (18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기장대풀

    학명 : Isachne globosa (Thunb.) Kuntz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기장대풀속(Isachne)
    이명 : 애기울미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4~7cm 폭 3~7mm로서 껄끄럽고 엽초는 짧고 밋밋하며 엽설은 털이 줄로 배열된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줄기 끝에 길이 3~7cm의 원추화서를 이루며 가지는 가늘고 느슨하게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상반부에 소수(小穗)가 드문드문 달린다. 소화경은 연한 황색 선점이 있고 위끝이 굵으며 소수는 도란상 구형이고 길이 2-2.2mm로서 연한 녹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까락이 없으며 2개의 잔꽃이 포영에 싸여 있다. 포영은 서로 비슷하고 넓은 타원형이며 둔두로서 5맥이 있고 호영과 내영은 소수보다 약간 길거나 같으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밑부분이 비스듬히 서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으나 마디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호주에 분포한다. ▶울릉도를 제외하고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is. Gen. Pl. 2 : 778. (Kuntze, 18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꽃생강

    학명 : Hedychium coronarium J.Konig
    과명 : 생강과(Zingiberaceae)
    속명 : 꽃생강속(Hedychium)

    잎 : 잎은 생강 잎과 닮았고 길이 20-60㎝ 폭은 5-10㎝이다.
    꽃 : 꽃은 향기가 나고 줄기 끝에 수상화서를 이룬다. 꽃색은 희고 나비모양이다. 화관통은 길이 5-8㎝로 입술꽃잎은 반달 모양이고 길이 5㎝ 폭 4㎝가량이다.



    분포 :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과 히말라야의 더운 지방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3. No Image

    둥근잎나팔꽃

    학명 : Ipomoea purpurea Roth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속명 : 미국나팔꽃속(Ipomoe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잎자루는 가늘고 길이 8-12㎝이다. 잎새는 광란형(廣卵形)이고 길이 7-8㎝ 폭 6-7㎝ 기부는 깊게 심장저(心臟底)이고 끝이 뾰족하며 톱니가 없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꽃자루는 길이 10-13㎝ 잎자루보다 길며 1-5개의 꽃이 달린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2-3㎝ 기부에 2개의 포엽(苞葉)이 있다. 꽃받침은 피침형(披針形) 또는 장타원형(長楕圓形)이며 길이 10-12㎜ 끝이 뾰족하고 거친 털이 기부 근처에 난다. 꽃잎은 깔때기 모양이며 청색 자주색 담홍색이며 지름 5-8㎝이다. 암술머리는 3 구형(球形)이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扁球形)이며 3개의 삭편이 있고 지름은 1㎝이다.
    줄기 : 줄기는 길이 120-300㎝ 덩굴성이며 감아 오르거나 길게 뻗으며 하향모(下向毛)가 있다.

    분포 : 우리 나라의 중·남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북아메리카 유럽 일본 등지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도 원예용으로 재배하던 것이 일출(逸出)되어 야생화된 것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Abh. Beobacht 27 (1787)
    참고문헌 : 1)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임양재 & 전의식, 1980)
    Read More
  14. No Image

    마주잎꾸지나무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f. oppositifolia Nakai
    과명 : 뽕나무과(Moraceae)
    속명 : 닥나무속(Broussonetia)
    이명 : 대생꾸지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러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있다. 표면에 털이 있고 거칠며 뒷면도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700m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성 활엽 교목(보통 관목상태).
    유사종 : ▶꾸지나무(B. papyrifera Vent.):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인데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3-4개로 갈라진 결각상이 있다. ▶민꾸지나무(for.lucida):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채가 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19: 113 (1932)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5. No Image

    멧용담

    학명 : Gentiana nipponica Maxim.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잎 :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5-12cm 폭 3-5mm이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보라색이며 꽃받침의 갈래는 난형이다. 화관의 길이는 꽃받침 길이의 2배 가량이다.

    줄기 : 줄기의 길이는 10-15cm이며 모가 지고 밑동 부분은 길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에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2 : 507 (Maxim., 1888)
    1)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6. No Image

    민눈양지꽃

    학명 : Potentilla yokusaina Makino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섬양지꽃 큰세잎양지꽃
    잎 : 근생엽은 총생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출복엽이고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사각상 난형이고 길이 1.5-4cm 폭1.2-3cm로서 가장자리에 깊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과 더불어 백색 복모가 있고 탁엽은 막질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0-20cm로서 2-3개로 갈라져 짧은 소화경 끝에 꽃이 1개씩 달리며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15-20mm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부악편도 5개로서 이와 비슷하지만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꽃잎은 5개이며 넓은 도심장형이고 끝이 파지며 꽃받침보다 1.5배정도 길고 수평으로 퍼지며 화탁 주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암술대는 길이 2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줄기는 가늘며 포복지가 길게 뻗고 전체에 긴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4 : 142 (191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부전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adunca M.Bieb. ex Steven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송이풀속(Pedicularis)
    이명 : 싸할송이풀
    잎 : 잎은 대생하고 1∼2회 우상복엽이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털이 없거나 엽병 기부 양쪽에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포는 털이 있고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소화경은 길이 약 1mm이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맥이 뚜렷하다. 화관은 길이 약 11mm이며 긴 통부 끝이 양순형으로 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다. 엽병이 밑으로 흘러서 능선이 생긴다.

    분포 : 한국(부전고원 및 북부지방)에 나며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8. No Image

    설령골풀

    학명 : Juncus triceps Rostk.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검정비녀골 검정비녀골풀 신흥골풀
    잎 : 잎은 편평하고 다소 안쪽으로 말리며 길이 10-12cm 나비 1mm정도로서 다관질이고 반듯하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두상화는 1-2개씩 달리며 반구형이고 지름 1-1.5cm로서 3-6개의 꽃이 들어 있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보통 화서보다 길고 꽃은 화경이 있으며 짙은 갈색이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5-7mm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꽃밥은 수술대 길이의 1/2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화피 길이의 2배 정도이고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양끝의 미상체(尾狀體)와 더불어 길이 3mm정도이다. 종자 자체의 길이는 1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둥글고 높이 25-40cm로서 밑부분에 비늘같은 잎이 다소 달리지만 그 윗부분에 3-4개의 정상엽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함경 북도 설령과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Junc. 48 (18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소귀나무

    학명 : Myrica rubra (Lour.) Siebold & Zucc.
    과명 : 소귀나무과(Myricaceae)
    속명 : 소귀나무속(Myrica)
    이명 : 속나무
    잎 : 잎은 호생 또는 윤생하고 엽병이 없다. 잎은 혁질이고 광택이 있으며 긴 타원상 도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좁은 예저이고 길이 5-1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상반부에 톱이가 있으며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녹색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화피가 없으며 자색이고 4~5월에 피는 암수딴그루이다. 웅화수는 길이 3-4cm로서 각 3-4개의 수술이 있는 많은 소포로 구성되어 포엽에 들어 있다. 자화수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1-1.2cm로서 각 포에 1개의 암술이 들어 있다. 자방은 1실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고 지름 1-2cm이며 익으면 암적색으로 되고 사마귀같은 돌기로 덮여 있으며 6~7월에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며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청갈색 반점이 있으며 소지에 털이 약간 있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발달되어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남부 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지아 대만 등의 동남아시아 지방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한라산 산록(표고 3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활엽 교목 수형:타원형.

    특징 : 잎을 비비면 독특한 냄새가 나는 특징을 지닌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3) : 230 (184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0. No Image

    속리싸리

    학명 : Lespedeza tetralob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으로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밑은 뭉뚝하고 끝은 둥글거나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며 톱니는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단생 또는 복생하고 짙은 자색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서 거의 털이 있다.


    분포 : 충북 속리산의 산기슭에 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풀싸리에 비해 줄기는 겨울철에 말라죽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