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오이

    학명 : Cucumis sativus L.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오이속(Cucumis)
    이명 : 물외 외
    잎 : 잎은 호생이고 엽병이 길며 길이 8-15cm로서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질이 거칠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주름이 지고 지름 3cm정도로서 짧은 대가 있으며 수꽃은 3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밑부분에 자모(刺毛)가 달린 긴 자방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원주형이며 어릴때는 자모가 있고 길이 15-30cm로서 녹백색 또는 짙은 녹색에서 황갈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황백색이고 편평한 난상 피침형이다.
    줄기 : 엽액에서 난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길게 뻗고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굵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덩굴성 1년초
    유사종 : ▶참외: 인도 원산. 잎은 호생 잎자루는 길고 얕게 갈라져 손바닥 모양 밑은 얕은 심장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수박: 아프리카 원산.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잎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 깃모양으로 깊에 갈라지고 갈래는 3-4쌍 녹백색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왕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f. kwanso (Regel) Kita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원추리속(Hemerocallis)
    이명 : 가지원추리 겹원추리 수넘너물
    잎 : 잎은 대생하여 얼싸안으며 선형으로 길이 40~90cm 나비 2~4cm이고 끝은 활처럼 뒤로 굽는다.
    꽃 : 꽃은 7~8월에 등황색 또는 등적색으로 피고 화경 끝이 2개로 갈라져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수술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피로 되어 겹꽃이고 소화경은 길이 2cm 정도이며 포는 난상 3각형으로 길이 4~10mm이다. 화통은 길이 2cm이고 화피 열편은 길이 7cm로 옆으로 퍼진다. 화경은 높이 80~100cm이고 소수의 짧은 포가 드문드문 난다.
    열매 : 과실은 생기지 않는다.

    뿌리 : 뿌리에 방추형의 괴근이 있고 때로 지하경을 낸다.
    분포 : 각지에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2:69 (196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3. No Image

    좀쥐손이

    학명 : Geranium tripartitum Knuth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이명 : 섬쥐손이 세갈래이질풀작은손잎풀작은쥐손이
    잎 : 잎은 호생하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밑에서는 측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다소 있다. 소엽은 길이 2~4cm로서 사각상 난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밑을 향한 복모와 꼬부라진 털이 있고 탁엽은 길며 가늘고 서로 떨어져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12-15mm로서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며 소화경은 밑을 향한 털이 있고 꽃이 피기 전에는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은 긴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열편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3-5맥이 있고 꽃잎은 끝이 파지며 조부(爪部)에 털이 있다. 수술대는 털이 다소 있고 암술대 가지는 길이 1.5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18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밑을 향한 털이 있으며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거꾸로 누운 털이 밀생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flanzenreich IV-129, Ht. 53, 191 (Engl., 1912)
    참고문헌 : 1) 한국산 신식물자원 (박수현, 1976)
    Read More
  4. No Image

    중삿갓사초

    학명 : Carex tuminensis Kom.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독바늘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나비 5-10㎜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적자색으로서 잎과 중륵이 없고 그물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 : 마디의 화서는 3-5개로서 많은 소수(小穗)가 달리며 끝부분의 소수 3-5개는 수꽃 밑부분의 15-20개는 암꽃이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며 길이 3-7cm로서 원주형이고 대가 깔깔하다. 밑부분에 있는 2-3개의 포는 잎같으며 화경(花莖)보다 길고 자화영(雌花穎)은 피침형으로서 흔히 안쪽으로 말리며 자줏빛이 도는 肉桂色(육계색)이고 뒷면 녹색부에 1맥이 있다. 암술대는 곧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떨어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짧으며 황록색이고 길이 2.5-3㎜로서 편평한 타원형이며 맥이 있고 부리는 극히 짧으며 끝이 밋밋하다. 수과는 타원형이며 팽팽하게 들어 있고 길이 2mm정도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두만강 유역에서 백두산지역에 걸친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Glavn. Bot. Sada. 18: 444 (190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참사다리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glanduligera var. koreana (Nakai) H.Ito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이명 : 고려사다리고사리
    잎 : 엽병은 짧은 털과 더불어 인편이 약간 있고 인편은 연한 갈색이며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엽신은 좁은 삼각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5-45㎝ 폭 4-17㎝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는다. 우편이 꼬리처럼 길고 대가 없으며 우상으로 거의 완전히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뒷면에 황색 선점(腺點)이 있다. 열편은 피침형이며 폭 1-2㎜이고 밋밋하며 소맥이 갈라지지 않고 끝까지 닿는다.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2줄로 달리고 포맥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뿌리 : 가는 근경이 길게 뻗으며 끝부분 이외에는 인편이 드문드문 있다.
    분포 : 남쪽 해안지대와 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유사종 : ▶사다리고사리 (Lastrea glanduligera (KUNTZE) MOORE)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ol.-Dry. 130 (193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큰땅빈대

    학명 : Euphorbia maculata L.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이명 : 애기땅빈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폭 6~12mm로서 끝이 둔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 8-9월에 소형으로 피며 가지 끝에 몇 개의 배상화서가 달리고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이 술잔 같은 총포속에 들어 있으며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털이 없고 지름 1.7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평활하고 종자는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1-1.2mm로서 흑갈색이고 옆으로 달린 2-3개의 주름살이 있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유럽과 아시아에 귀하.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에 분포.
    형태 : 1년초.
    유사종 : ▶땅빈대(E. humifusa Will.):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자르면 흰 즙액이 나온다. ▶애기땅빈대(E. supina): 잎과 줄기에 흰 털이 퍼져 나고 열매는 삭과 털이 있다.
    특징 : 땅빈대와 애기땅빈대에 비해 잎이 크고 삭과에 털이 없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7. No Image

    긴잎질경이

    학명 : Plantago sibirica Poir.
    과명 : 질경이과(Plantaginaceae)
    속명 : 질경이속(Plantago)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상 도피침형으로 길이 6~12cm 나비 28~40m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긴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거센 털이 드문드문 나며 깔끔거리고 대개 5개의 평행맥이 있으며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길이 25~30cm의 화경이 나와 위쪽에 수상화서로 잔꽃이 밀생한다. 포는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꽃받침은 난형으로 백색 막질이고 화관은 깔때기모양으로 끝이 4열하며 4개의 수술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상반부는 원추형이며 삭과당 종자는 4개이고 종자는 흑색을 띠며 장 타원형이다.


    분포 : 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몽고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Lamarck) Suppl. 4 : 433 (Poir., 1816)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Read More
  8. No Image

    나도그늘사초

    학명 : Carex tenuiformis H.Lev. & Vanio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고려사초 색시사초
    잎 : 잎은 화경(花莖)보다 짧고 폭 2.5-4mm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고 일부에 흑갈색이 돌며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 : 화경(花莖)끝이 처진다. 소수(小穗)는 2-4개가 서로 떨어져 성기게 배열되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대가 길고 때로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는 수도 있다. 측소수는 암꽃이며 끝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기도 하고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2.5cm 지름 3mm정도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리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진다. 포는 잎같으며 통상부가 길고 웅화영(雄花穎)은 난형이며 크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자화영(雌花穎)은 흑갈색이며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3mm정도이고 끝이 둥글며 1맥이 있으나 끝까지 닿지 못하고 가장자리는 흰색의 막질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거의 곧추서며 능선 이외에는 맥이 없고 길이 3-4.5mm로서 녹갈색으로 광택이 나며 털이 없고 난상 방추형이다. 부리는 길며 양쪽 가장자리가 거칠고 끝부분은 백색 막질로서 약간 파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세모진 타원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5-40cm이며 가늘고 삼각기둥 모양이며 털이 없다.

    분포 : 한라산 및 고산정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그늘실사초 (var.neofilipes Ohwi) : 과포의 길이가 5.5mm정도이고 과포와 부리의 길이가 거의 같다.
    특징 : ▶그늘사초에 비해 전초가 소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nt. Geogr. Bot. 11: 104 (190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낚시사초

    학명 : Carex filipes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드문사초 보리알사초 작은구슬사초 큰초롱사초
    잎 : 잎은 폭 6-13mm로서 연한 녹색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검은 적자색이고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핀다. 소수(小穗)는 3~4개로서 위쪽 2개 이외에는 서로 떨어지며 첫째 소수는 긴 대가 있어 낚싯줄처럼 처진다. 웅소수(雄小穗)는 끝에 달리고 색이 연하며 길이 1-1.5cm로서 일부에 흔히 짙은 적자색이 돌고 선형이며 측소수는 암꽃이고 짧은 원주형이며 길이 1-2.5cm로서 약간의 꽃이 성글게 달려서 전체가 밑으로 처진다. 포는 짧은 잎같고 밑부분의 것은 엽초가 길며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1맥이 있다. 암술대는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2배정도 길며 길이 6mm로서 연한 회록색이고 맥이 많으며 부리는 길고 끝이 백색 막질로서 비스듬히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밀접하며 길이 2.7mm로서 세모진 도란형이다.
    줄기 : 원줄기는 세모지며 높이 30~50cm이고 털이 없이 매끄럽다.

    분포 : 전국에 심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가는 자루에 의해 암꽃 잔이삭이 밑으로 처진 모양이 낚시줄을 드리운 것 같기에 낚시사초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576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냄새명아주

    학명 : Chenopodium pumilio R.Br.
    과명 : 명아주과(Chenopodiaceae)
    속명 : 명아주속(Chenopodium)
    이명 : 호주명아주
    잎 : 잎은 호생 긴 타원형 양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 윗면 맥 부분은 들어가며 잎 뒷면에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잎겨드랑이에 이삭 모양으로 모여붙고 화피는 5갈래 대형의 꽃에는 5개의 수술이 꽃 밖으로 솟고 소형의 꽃에는 수술이 퇴화되며 암술만 있고 암술대는 2-3개이다.
    열매 : 씨는 흑갈색 광택이 난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좀명아주(C. ficifolium Smith): 전체에 털이 없고 윗부분이 흰 가루에 덮인다. 잎은 삼각상 긴 타원형 삼각상 좁은 난형 길이 2-5㎝이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
    특징 : 8·15광복 후 들어온 귀화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407 (R.Br., 1810)

    Read More
  11. No Image

    누린내풀

    학명 : Caryopteris divaricata (Siebold & Zucc.) Maxim.
    과명 : 마편초과(Verbenaceae)
    속명 : 누린내풀속(Caryopteris)
    이명 : 구렁내풀 노린재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8-13cm 폭 4-8cm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벽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형으로 성기게 달리고 각 엽액의 화서는 긴 화경이 있으며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화관은 통상(筒狀) 순형(脣刑)이며 통부가 장형이고 길게 나오며 상순은 도란형이고 4개의 열편이 있으며 하순은 대단히 크고 가운데 조각은 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처음에는 길이 2-3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5-6mm이며 각 열편은 작은 종형(鐘刑)이고 2강수술이 화후(花喉) 하부에 달리며
    열매 : 열매는 꽃받침보다 짧으며 익으며 4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길이 4-4.5mm로서 도란형이며 능선이 없고 표면에 그물눈 무늬와 선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불쾌한 냄새가 강하게 나며 방형(方刑)으로 모여난다.

    분포 : 제주 전남(지리산) 충남 강원 경기도(천마산 광릉 남한산성)에 야생한다.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층꽃풀(C. incana): 전체에 잔털이 있고 잎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다. 꽃은 자색 때로 흰색이다. ▶흰층꽃풀(C. incana Miquel for. candida): 흰색 꽃이 피는 층꽃풀이다.
    특징 : 고약한 냄새를 풍기며 꽃이 필 때는 냄새가 더욱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3 : 390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눈산버들

    학명 : Salix divaricata var. metaformosa (Nakai) Kitag.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누운멧버들 누운산버들 누은산버들 새버들
    잎 : 잎은 도피침형 또는 타원상 장란형이며 길이 2~4cm 나비 6~21mm로서 양끝이 약간 뾰족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잔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엽병은 2~7mm이다.
    꽃 : 꽃은 자웅이가로 미상화서이고 단지 끝에 나며 봄에 핀다. 포는 도란형 또는 난형으로 검은빛이 돌고 견모가 있다. 암술머리는 2개이고 밀선은 1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겸모가 있고 여름에 성숙한다.
    줄기 : 옆으로 자라며 가지가 많고 황색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강원(추애산) 함남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소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205 (Kitag., 19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도깨비사초

    학명 : Carex dickinsii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독개비사초 뿔사초
    잎 : 잎은 호생하고 편평하며 넓은 선형이고 폭 4~8mm로서 회맥이 있으며 상부의 잎은 꽃이삭보다 위로 뻗는다. 엽초는 잎이 없으며 황갈색이고 약간 갈라진다.
    꽃 : 화경(花莖)은 딱딱하고 높이 20~50cm로서 밋밋하지만 윗부분이 약간 거칠다. 꽃은 5~6월에 피며 소수는 2-4개이지만 흔히 3개이며 웅소수는 줄기끝에 달리고 대가 길며 선형으로서 곧추선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고 타원형 또는 약간 원형이며 길이 1.5-2cm 지름 1.5cm로서 대가 없고 옆으로 향한다. 포는 잎같으며 초가 없고 화경보다 길며 자화영은 좁은 난형이고 뒷면에 3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굽으며 밑부분이 넓고 암술머리는 3개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훨씬 옆으로 퍼지고 넓은 난상 원추형이며 매우 부풀고 길이 1㎝로서 윤채가 나는 황색이며 털이 없고 맥이 많으며 밑부분은 둥글고 대가 짧으며 윗부분은 점점 좁아져서 긴 부리로 되고 끝이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세모진 수과는 길이 약 4mm이며 느슨하게 과포에 싸여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153, 581 (Franch. & Sav., 1877-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두메오이풀

    학명 : Sanguisorba obtusa Maxim.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오이풀속(Sanguisorba)

    잎 : 잎은 어긋나고 기수우상복엽이다. 엽병은 길다. 소엽은 엽병이 짧고 5∼15개이며 둥글거나 때때로 장 타원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홍색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는데 원주형의 원추화서로 가지 끝에 이루고 길이는 10cm 정도로 위부터 핀다. 꽃대에 짧은 털이 있고 포는 바소꼴이며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넓은 타원형이고 네모지며 꽃잎은 없다. 수술은 3∼4개가 꽃 밖으로 나오고 꽃받침의 2배 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분포 : 평안남도(낭림산) 함경북도(백두산)


    특징 : 산오이풀에 비해 키가 다소 작고 소엽은 짧으며 화수가 위부터 피고 수술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Acad. Sci. St. Petersbourg 9: 152 (187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15. No Image

    물뱀고사리

    학명 : Athyrium fallaciosum Milde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이명 : 북도뱀고사리 산뱀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7~15cm로 표면에 홈이 파지고 녹색이며 밑부분은 흑색이고 기부에 선형의 인편이 밀생한다. 엽신은 길이 12~17cm로 장타원형이며 1회 우상으로 째지고 중앙부가 가장 넓다. 우편은 가장 긴 것이 2.5~3cm이고 대가 없으며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다.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맥이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 뒤에 나며 포막은 길거나 갈고리형 등 변이가 있다.


    분포 : 함북(주을 관모봉)에 나며 만주 중국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il. Eur. 54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바늘사초

    학명 : Carex onoei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음알바눌사초 좀바늘사초
    잎 : 잎은 실같이 가늘고 편평하며 폭 1.5-3mm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다.
    꽃 : 6~7월에 개화한다. 소수(小穗)는 줄기끝에 1개씩 달리며 거의 둥글고 길이와 폭이 각각 4-6mm로서 연한 녹색이며 윗부분에 수꽃이 그 밑에 암꽃이 달린다. 자화영(雌花穎)은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적갈색이 돌며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고 떨어진다. 암술대는 곧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옆으로 퍼지고 둔하게 세모진 난형이며 잔맥이 있고 길이 2.5~3mm로서 연한 녹색이며 밑부분은 둥글고 짧은 대가 있으며 윗부분은 점점 좁아져서 짧은 부리로 되고 끝이 얕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길이 1.5-2mm로서 세모진 난형이다.
    줄기 : 짧은 근경에서 총생하며 가늘고 세모지며 높이 15-30cm로서 부드러우나 윗부분은 껄끄럽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애기바늘사초에 비하여 잎이 넓고 과포가 보다 길며 가는 맥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1 : 151 (Franch. & Sav., 187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붉은대극

    학명 :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이명 : 민대극
    잎 : 잎은 어릴 때 붉은빛을 띤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뭉뚝하고 길이 9-10cm 폭 1.5cm이다.
    꽃 : 줄기 끝의 엽액에서 측지가 나와 배상화서(杯狀花序)가 달린다. 수꽃에는 소포편이 없고 자방의 표면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표면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없다.
    줄기 : 높이는 40-50cm이고 가지가 줄기 끝에서 산형으로 퍼져 난다.
    뿌리 : 지하경은 퉁퉁하다.
    분포 : 울릉도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Coll. Sci. Imp. Univ. Tokyo 20: 71 (1904)

    Read More
  18. No Image

    산골취

    학명 : Saussurea neoserrat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산골분취 실버들분취 털분취
    잎 :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에 유저로서 줄기까지 흐르고 길이 12-15cm 폭 2-4cm이다. 잎 표면은 분백색을 띤 녹색으로 거의 털이 없고 뒷면은 회청색이며 유두상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고르지못한 치아와 더불어 거센털이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점차 작아진다.
    꽃 : 8-9월에 개화. 두상화가 줄기와 가지끝에서 여럿이 산방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8-9mm 지름 4-5mm이고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둔두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자주빛이 돌며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있다. 외편은 둔한 난형이고 내편은 둔한 선상타원형이다. 꽃은 모두 통꽃으로서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8.5-9mm이고 가는 통부는 길이 5mm가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mm정도의 원주형으로서 세로로 흑갈색의 줄이 있으며 관모는 2줄이고 갈색이며 내층의 것은 길이 6-7mm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50-11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세로로 줄이 있고 잎 밑부분이 흘러서 원줄기의 날개로 되며 단일하거나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며 고수털이 드문드문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5 : 519 (193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9. No Image

    산마늘

    학명 : Allium microdictyon Prok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잎 : 잎은 넓고 크며 2~3개씩 달린다. 길이는 20~30cm 너비는 3~10cm이다.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약간 흰빛을 띤 녹색이며 윤채가 없다. 잎자루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서로 둘러싸고 윗부분에 흑자색 점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높이 40~70cm의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달걀모양으로 2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은 길이 1.5~3cm이다. 화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5~6mm이며 6장이다. 수술 및 암술대는 화피보다 길며 꽃밥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거꾸로 된 심장모양이고 8~9월에 익는다. 3개의 심피로 되어 있으며 끝이 오그라들며 종자는 검다.
    줄기 : 비늘줄기는 피침형이고 길이 4~7cm이며 그물같은 섬유로 덮여 있으며 갈색이 돈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pplied Bot., Leningrad, 1929-30, xxiv. No. 2, 174 (Prokh.,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20. No Image

    설악대극

    학명 : Euphorbia ebracteolata f. magna Y.N.Lee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잎 : 잎은 가지 끝에서 산형으로 배열되고 엷은 청록색 타원형 길이는 10-12㎝ 폭 3.5-3.6㎝이다.
    꽃 : 총포는 삼각형 길이 3-3.5㎝ 폭 3-3.5㎝이고 자방은 녹색이며 표면이 매끄럽다.
    열매 : 삭과의 표면에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없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줄기의 지름은 10-12㎜이다.

    분포 : 강원도 설악산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민대극(E. ebracteolata Hayata): 땅속줄기는 뚱뚱하고 잎은 어릴 때 붉은빛을 띤다.
    특징 : 민대극과 매우 비슷하나 줄기와 잎이 훨씬 더 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