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칭개나물

    학명 : Veronica undulata Wall.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물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심장저이며 원줄기를 다소 감싸고 길이 4~7cm 폭 8-15m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총상화서는 엽액과 끝에 달리며 길이 5-12cm로서 화경이 짧고 소화경은 퍼지며 길이 4-6mm이고 포는 넓은 선형이며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도 지름 4mm로서 4개로 갈라진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둥근 삭과이며 지름 약 3mm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다소 육질이며 어릴 때는 군생하고 곧게 선다.

    분포 : ▶아시아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퍼져 있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ind. ed. 1: 147 (Roxb., 18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등심붓꽃속(Sisyrinchium)
    이명 : 골붓꽃
    잎 : 잎은 밑부분에 많이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4~10cm 폭 2~3mm이며 경생엽 밑부분은 엽초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양쪽 가장자리가 원줄기로 흐르며 윗부분은 뾰족하고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1.5cm정도이며 원줄기 끝에 달린 2-3cm길이의 포 사이에서 2-5개의 꽃이 나와 산형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3~4cm정도로서 밑에는 소포가 있다. 화피는 밑부분이 짧은 통같으며 겉에 백색 선모가 있고 열편은 5개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자주색 또는 백자색 바탕에 줄이 있고 밑부분이 황색이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선모가 있다. 꽃은 하루만에 시드는 1일화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편평하며 길이 3~4mm로서 털이 없고 자갈색으로 익으며 광택이 있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원줄기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좁은 날개가 있다.

    분포 : ▶지리적으로 일본과 대만에 분포 ▶제주도에서 귀화하여 야생 상태를 이룬다. 관상 식물로 뜰에 심어 기르기도 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Dict. ed. (176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3. 뚜껑별꽃

    학명 : Anagallis arvensis L.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뚜껑별꽃속(Anagallis)
    이명 : 개봄마지 개봄맞이 개봄맞이꽃 뚜겅별꽃 별봄맞이꽃 보라별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형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1~2.5cm 나비 5-1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이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엽액에 1송이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포가 없다.
    꽃받침잎은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6mm로서 1맥이 있고 화관은 지름 1~1.3cm로서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며 열편은 도란상 원형이고 가장자리는 잔털이 있다.
    수술은 5개로서 꽃잎과 대생하며 수술대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지름 4mm로서 밑부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익으면 중앙부에서 옆으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리고 종자는 흑갈색이며 지름 1mm정도로서 두드러기같은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줄기는 옆으로 뻗다가 비스듬히 서며 네모가 진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
    형태 : 일년 내지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4. 장백제비꽃

    학명 : Viola biflora 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장백노랑제비꽃 장백오랑캐
    잎 : 잎은 3-4개이며 엽병은 길이 2-10cm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짧고 날개가 없으며 털이 없다. 탁엽은 녹색이며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연모가 다소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신은 신심형이고 길이 1-2cm 폭 1.5-3.5cm로서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화경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2-5cm로서 중앙 또는 그 위에 포가 있고 꽃은 7월에 피며 길이 1cm정도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끝이 둔하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둥글며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7-10mm로서 털이 없으며 순판에 갈색 맥줄이 있고 거(距)는 반원형으로 길이 1.5-2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4-7mm이고 털이 없으며 8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가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짧으며 옆으로 뻗고 마디가 밀접해 있으며 수염뿌리가 내린다.
    분포 : 백두산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I-II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왕제비꽃

    학명 : Viola websteri Hems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왕오랑캐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비늘 모양으로 퇴화되고 윗부분의 것은 짧은 엽병이 있으며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cm이며 소포는 중앙 위쪽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6mm이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파지며 꽃잎은 길이 12-13mm로서 측판 내부에 털이 없고 순판은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거는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40-60cm이고 털이 있다.

    분포 : 경기도 가평 함경북도 백두산 ▶충청북도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551m)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3)-분포지가 중부 이북에만 생육한다고 알려졌으나 충북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에서 발견되었다.(551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3 : 56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고깔제비꽃

    학명 : Viola rossii Hems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고깔오랑캐
    잎 : 뿌리에서 2~5개씩 모여나며 성숙한 잎은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급히 뾰족해지며 길이 4-7cm 폭 4-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0-25cm이며 탁엽은 서로 떨어지고 피침형이며 길이 7-10mm이다.
    꽃 : 화경은 높이 10-15cm이고 4-5월에 1개의 홍자색 꽃이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7-8mm이고 부속체는 둔한 사각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5개이며 길이 15-20mm로서 원두이거나 약간 파지고 측열편은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거는 짧고 굵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둥글고 낭상(囊狀)이다. 수술은 5개이고 1개의 자방과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갈래로 벌어지며 털이 없고 길이 1-1.5cm로서 뚜렷하지 않은 갈색반점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고 뿌리에서 2-5개의 잎이 나오며 꽃이 필 무렵에는 양쪽 밑부분이 안쪽으로 말려서 고깔처럼 되므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평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V. collina) ▶제비꽃(V. mandshurica) ▶삼색제비꽃(V. tricolor)
    특징 : 잎이 활짝 피기 전의 모습이 고깔같아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3 : 54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새완두

    학명 : Vicia hirsuta (L.) Gray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털새완두
    잎 : 잎은 호생하며 1회우상복엽으로서 6-8쌍의 소엽과 더불어 끝에 갈라진 덩굴손이 있고 소엽은 피침형이며 길이 10~17mm 나비 2-3mm로서 원두 또는 절두이고 탁엽은 대개 4개로 갈라지며 녹색이다.
    꽃 : 엽액에서 길이 2-3cm의 총상화서가 나와 그 끝에 3-4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3~4m로서 백자색이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익판과 용골판이 기판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8mm 나비 3mm로서 잔털이 있으며 2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편평한 원형이고 흑색이다.
    줄기 : 잔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길이 50cm정도 벋는다.

    분포 : 남부지방의 산록 이하.
    형태 : 덩굴성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arr. Brit. pl. 2: 614 (182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부채붓꽃

    학명 : Iris setosa Pall. ex Link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잎은 길이 20-40cm 폭 1-2cm로서 칼모양이며 어긋나고 2줄로 배열되어 부채살처럼 벌어지며 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엽초로 되며 중륵(中肋)은 뚜렷치 않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30-70cm로서 가지가 갈라지고 여러 개의 포가 있으며 포는 녹색으로서 창같고 소포는 넓은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2-3cm로서 때로는 안쪽에 있는 전엽(前葉)보다 짧으며 막질이다. 소화경은 길이 3-4cm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지름 8cm정도이고 통부가 짧으며 외화피는 넓은 도란형으로 밑부분이 뾰족하고 뾰족한 부분에 황색 맥이 있으며 내화피는 외화피보다 훨씬 작고 피침형 예첨두이다. 수술은 3개이며 암술대는 3개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3cm정도이며 종자는 연한 갈색이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비스듬히 자라며 갈색 섬유로 덮인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제비붓꽃(I. laevigata Fisch.) ▶꽃창포(I. ensata var. spontanes Nak.) ▶타래붓꽃(I. pallassii var. chinensis Fisch.) ▶솔붓꽃(I. ruthenica Ker-Gawl.) ▶난장이붓꽃(I. uniflora var. carinata Kita) ▶금붓꽃(I. ssavatieri Nakai) ▶노랑붓꽃(I. koreana Nakai) ▶각시붓꽃(I. rossii Bak.)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ahrb. Bot. Gart. Berlin 1-3 : 71 (Spreng. & Link, 182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왕별꽃

    학명 : Stellaria radians L.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별꽃속(Stellaria)
    이명 : 큰산별꽃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6-12cm 폭 1-2.5cm로서 측맥이 약간 뚜렷하고 뒷면에 누은 견모(絹毛)가 많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7월경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꽃이 핀 다음 밑을 향하고 포는 잎 모양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7mm정도로서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도란형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길이 8-10mm로서 끝이 5-12조각으로 갈라지며 10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다. 8-9월에 익어 끝이 3조각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줄기는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지만 윗부분은 곧추선다. 전체에 누운 견모가 있으며 가지가 많다.
    뿌리 : 근경은 가늘며 포복하고 가닥이 난다.
    분포 : ▶북한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백두산 지역 등 북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쇠별꽃(S. aquatica Scop.): 줄기 위쪽에 약간의 선모가 있다. 잎은 넓은 난형, 길이 1-6㎝, 털이 없다.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줄기는 밀생,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선형, 길이 2-3㎝이다.
    ▶별꽃(S. media Villars):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줄기에 한 줄의 털이 있다. 잎은 난형, 길이 1-2㎝, 대부분 양 면에 털이 없다.
    ▶왕별꽃(S. radicans L.): 전체에 누운 털이 퍼져난다. 잎은 피침형, 길이 6-12㎝, 양 면에 가는 털이 나고, 잎자루는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갈매기난초

    학명 : Platanthera japonica (Thunb.) Lindl.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제비난초속(Platanthera)
    이명 : 제비란
    잎 : 밑부분에 달린 3-5개의 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초로 되며 길이 12-20㎝ 나비 4-7㎝이지만 그 윗부분의 2-4개는 작아져서 포와 연결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서는 길이 10-20㎝로서 많은 꽃이 달리고 포는 꽃보다 약간 길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길이7-8mm이며 측열편은 길이 8mm정도로서 끝이 둔하고 꽃잎은 다소 육질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끝이 둔하다. 순판은 넓은 선형이며 길이 13-15mm로서 끝이 둔하고 거(距)는 밑으로 처지며 길이 3-4㎝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며 5-8개의 큰 잎이 호생한다.
    뿌리 : 뿌리가 다소 굵고 옆으로 퍼지며 가장 큰 뿌리에서 새싹이 돋는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제비란: 높이 50-80cm 좁은 피침형의 잎은 12-16장 길이 10-20cm 나비 1-2cm 잎의 밑동은 엽초로 되어있다.
    특징 : 북반구 온대 지방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6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Sp. Prchid. Pl. 290 (1835)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1. 처녀치마

    학명 :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처녀치마속(Heloniopsis)
    이명 : 차맛자락풀 치마풀
    잎 : 잎은 방석처럼 퍼지며 도피침형이고 길이 6-20cm이며 혁질이고 윤이 나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3-10개가 총상으로 달리며 적자색이지만 핀 후에는 자록색이 돌고 화경(花莖)은 높이가 10-30cm로서 포같은 잎이 달리며 새로운 잎이 방석처럼 밑부분의 옆에서 돋는다. 소화경은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1.5-2㎝이고 화피열편은 6개로 도피침형이며 길이 1-1.5㎝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화피보다 길다.
    열매 : 삭과는 마른 화피로 싸이고 위를 향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포간으로 터진다. 종자는 선형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양끝이 좁다.
    줄기 :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음.
    뿌리 : 근경은 짧고 곧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흰처녀치마(H. orientalis (Thunb.) C. Tanaka var. flavida) : 북한산 소백산 태백산 등지에 생육하며 화색이 희다. ▶칠보처녀치마 : 수원의 칠보산에 생육하고 개화시기가 6월경이며 한 포기에서 화경이 2개씩 나온다.
    특징 : 잎이 넓게 퍼지므로 처녀들의 치마폭을 연상하게 한다. 4월초부터 계속적으로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초기에 피는 꽃은 아직까지 기온이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변 환경의 낮은 기온에 적응하기 위하여 꽃대가 낮게 개화하나 점차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꽃대가 점점 높이 자라 약 50cm에 이르는데 이것은 종자가 결실한 후 바람에 의해 가능한한 종자를 멀리에까지 전파시키기 위함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삼색제비꽃

    학명 : Viola tricolor 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팬지 호접제비꽃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탁엽(托葉)은 엽병보다 길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4~5월에 자색 황색 백색의 꽃이 같이 피며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한개의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꽃잎도 5개로서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고깔부가 짧으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개열(開裂)하면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2-25cm이고 곧추자라며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이 있으며 녹색이다.

    분포 : 국내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형태 : 1년초 또는 월년초이다.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Viola collina)
    고깔제비꽃(V. rossii)
    제비꽃(V. mandshurica)
    호제비꽃(V. yedoensis)

    특징 :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V.tricolor L. 과 근연종(近緣種)을 교잡시켜 만든 1년 내지 2년생 관상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날개하늘나리

    학명 : Lilium dauricum KerGawl.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5-12cm 폭 5-10cm로서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3-5개의 엽맥은 가장자리와 더불어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1-6개가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산형(傘形)으로 위를 향해 달리며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이고 비스듬히 퍼져 끝이 약간 뒤로 젖혀지며 넓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7-8cm로서 밑부분이 좁기 때문에 공간이 생기며 황적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꽃잎보다 짧고 꽃밥은 붉은 빛이 돌며 밀구(蜜溝)는 가장자리에 털이 많고 암술대는 곧추선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4-5cm이고 좁은 도란형이며 곧게 선다.
    줄기 : 높이가 20-90cm이다. 원줄기에 종선이 있고 능선 위에는 보통 잔돌기가 있으며 어릴 때는 보통 화피의 표면 및 소화경에 백색 면모가 있다.
    뿌리 : 인경은 지름 3-5cm이고 여기에서 가지가 옆으로 뻗기도 하며 인편의 중앙 윗부분에 환절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고산성 나리이며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나리류 가운데 관상가치가 가장 높은 종이다. 특히 신종의 육종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가치가 대단히 높다.

    멸종위기종]
    평가내용:멸종위기종 / 국가단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urtis, Bot. Mag. 30 : t. 1210 (18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석곡

    학명 : Dendrobium moniliforme (L.) Sw.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석곡속(Dendrobium)
    이명 : 석곡란
    잎 : 잎은 2-3년생이며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4~7cm 폭 7~15mm로서 진록색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초와 연결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적색이며 향기가 있고 2년전의 원줄기 끝에 1-2개가 달리며 밑부분에 비늘같은 것이 약간 달린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길이 22-25mm 나비 5-7mm로서 피침형 예두이고 측열편은 옆으로 퍼지며 꽃잎은 중앙부의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다. 순판은 약간 짧고 뒤쪽에 짧은 거(距)가 있으며 밑부분으로 암술을 양쪽에서 감싼다. 꽃색은 많은 변이가 있다.

    줄기 : 근경으로부터 여러 대의 대가 나와 높이 20cm 정도 곧게 자라고 오래된 것은 잎이 없으며 줄기에는 마디마다 잎이 나지만 오래되면 마디만 남고 끝 부분에 몇 개의 잎만 붙어 있으며 녹갈색이 난다.
    뿌리 : 근경에서 흰색의 굵은 뿌리가 많이 난다.
    분포 : ▶한국의 남부 일본 남부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지방 및 다도해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 세계에 약 100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착생란으로 줄기에는 마디가 많으며 잎은 가죽질이다.
    생육환경에 따라 형태와 꽃색이 조금씩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va Acta Regiae Soc. Sci. Upsal. 4:85 (179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5. 끈끈이주걱

    학명 : Drosera rotundifolia L.
    과명 : 끈끈이귀개과(Droseraceae)
    속명 : 끈끈이주걱속(Drosera)

    잎 : 잎은 총생하여 옆으로 퍼지고 도란상 편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0mm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고 표면에 적색의 긴 선모(腺毛)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13cm이다.
    꽃 : 화경(花莖)은 잎 중앙에서 높이 6-30cm정도 자라며 털이 없고 꽃은 7월에 피며 백색이고 윗부분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고 꽃잎은 5개로서 도란형 비슷하며 길이 4-6mm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3개로서 다시 2개씩 갈라지며 자방은 상위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5mm로서 익으면 3개로 갈라지고 양끝에 꼬리모양의 돌기가 있는 미세한 종자가 들어 있다.

    뿌리 : 약간 땅 속으로 자생하는 숙근성 다년초로 식충식물이며 교육적인 관엽식물이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식충식물
    유사종 : ▶긴잎끈끈이주걱(D. anglica Huds.)
    ▶끈끈이귀개(D. peltata Smith var. nipponica Ohwi)

    특징 : 작은 벌레가 선모에 닿으면 붙어서 움직이지 못하고 선모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에 의해 소화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