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명천쑥

    학명 : Artemisia leucophylla (Turcz.) Turcz. ex C.B.Clarke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속(Artemisia)

    잎 :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중부의 잎은 난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30~38mm 나비 25mm이고 우상으로 얕게 또는 중렬하며 뒷면에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두화는 길이 4~4.5mm 나비 3~4mm이다. 총포편은 3열로 배열하고 외편은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길이 1.8mm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상부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고 처음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4방으로 뻗어 증식한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잎뒤와 두화에 거미줄 같은 털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mp. Ind. 162 (187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2. No Image

    민물오리나무

    학명 : Alnus hirsuta f. glabra T.B.Lee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오리나무속(Alnus)

    잎 : 잎은 길이 8-14㎝의 넓은 계란형으로 예두(銳頭) 원저(圓底)이고 겹톱니가 있으며 5-8개로 얕게 갈라진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다. 잎 뒷면에는 털이 없거나 맥 위에만 털이 있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4월에 개화하는데 수꽃은 가지 끝에 암꽃은 수꽃 밑에 핀다.
    열매 : 과수는 길이 1.5-2.0㎝의 타원형으로 10월에 흑갈색으로 익고 종자에는 극히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가 곧아 원추형의 수형을 이루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평활하다. 어린가지의 털은 자라면서 생긴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지에 자라지만 거의 전 지역에 심어져 있고 일본과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산오리나무(A. hirsuta Rupr.): 잎은 난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절저 또는 넓은 설저이며 뒷면 맥상에 갈색털이 있다.
    특징 : 제1차 천이식생의 선구 역할을 하는 사방조림 수종으로 물갬나무와 함께 많이 식재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3. No Image

    반쪽고사리

    학명 : Pteris dispar Kunze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봉의꼬리속(Pteris)
    이명 : 나래반쪽고사리 날개반쪽고사리 비늘봉의고사리
    잎 : 잎은 근경에서 밀생하며 길이 30-70㎝이고 엽병은 엽신과 길이가 거의 같으며 적갈색이고 윤채가 있다. 엽신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4-5쌍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아래쪽이 위쪽보다 넓으며 첫째 열편이 가장 길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때로는 뒤쪽만이 갈라진다. 소우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영양엽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첫째 소우편은 다시 자라서 우상으로 갈라지기도 하며 측맥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뒤로 말린 열편안에 달린다.

    뿌리 : 근경은 비스듬히 서고 갈색 인편이 있다.
    분포 : 한라산의 임도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특징 : 한쪽만 갈라지기 때문에 반쪽고사리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Zeitung (Berlin) 6:539 (184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4. No Image

    섬곽향

    학명 : Teucrium viscidum Blum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곽향속(Teucrium)
    이명 : 덩굴개곽향 )좀덩굴개곽향
    잎 : 잎은 약간 두껍다.







    특징 : 화서가 줄기 끝에 모이는 경향이 있으며 선모와 잔털이 밀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ijdr. Fl. Ned. Ind. 14 Stuk, 827 (182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씨눈난초

    학명 : Herminium lanceum var. longicrure (C.Wright) Hara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씨눈난초속(Herminium)
    이명 : 구슬난초 씨눈란 혹뿌리난초
    잎 : 잎은 넓은 선형으로 길이 8-20cm 폭 5-10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수상화서는 길이 5-15cm로서 꽃이 많이 달리며 포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1맥이 있고 꽃보다 길거나 짧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2.5mm로서 퍼지지 않으며 1맥이 있다. 꽃잎은 산상 피침형이고 꽃받침잎보다 다소 짧으며 뾰족하고 측열편은 선형으로서 길며 중앙열편은 극히 짧다. 순판은 밑으로 처지고 길이 6-8mm로서 중앙까지 3개로 깊게 갈라지며 거(距)가 없다.

    줄기 : 높이 20-45cm이다.
    뿌리 : 땅속에 2개의 타원형 구근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유럽과 동아시아에 10여 종 우리 나라에는 1종 1변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44:60 (196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6. No Image

    자주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purpurella Tagawa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잎 : 엽병은 길이 30cm 내외이다. 흑색~흑갈색의 선형인 인편이 붙는다. 엽신은 길이 45cm 내외이며 삼각상 광란형으로 2회 우상 복엽이거나 3회 우상 심열이다. 중축과 우축은 홍자색을 띤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붙는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잎이 총생한다.
    분포 : 한반도(제주도) 일본 중국
    형태 : 상록성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7. No Image

    참양지꽃

    학명 : Potentilla dickinsii var. breviset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짜른양지꽃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소엽은 3개(간혹 5개)이고 사각상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5-5cm 폭 1.5-3c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0mm로서 황색이며 화탁에 길이 2mm의 백색털이 밀생하고 취산화서에 10개 내외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끝이 뾰족하며 좁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난형이며 갈색으로서 밋밋하고 밑부분에 수과보다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전체에 복모가 있고 높이 10-20cm이며 줄기는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목질이다.
    분포 : 전국 각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돌양지꽃(P. dickinsii Fr. et Sav.): 수과는 난형이며 갈색으로서 밋밋하고 밑부분에 수과보다 길고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특징 : 싹눈에 털이 밀생. 돌양지꽃에 비해 잎이 얇고 톱니가 예리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ddes, Repert. 13 : 275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큰산버들

    학명 : Salix sericeocinerea Nakai f. sericeocinerea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잎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2-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새가지 끝에서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수는 길이 15-25mm이며 포는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흑색이고 견모가 있으며 밀선은 2-3개 수술은 2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다. 자화수는 길이 2cm 폭 7-8mm로서 화경과 화축에 털이 있으며 포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2-3mm이다. 자방은 대가 거의 없으며 털이 있고 난형이며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지며 밀선은 1개이다.

    줄기 : 높이 0.2-2m이며 가지가 많고 어린 가지는 털이 있으며 붉은 빛이 돈다.

    분포 : 평안도 및 함경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큰산버들(var. lanata): 잎의 견모가 끝까지 남아있는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세잎쥐오줌풀

    학명 : Valeriana dageletiana var. verticillata S.H.Park
    과명 : 마타리과(Valerianaceae)
    속명 : 쥐오줌풀속(Valerian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0. No Image

    개형개

    학명 : Schizonepeta multifida (L.) Briq.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형개속(Schizonepeta)
    이명 : 말들깨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다. 줄기 밑부분잎은 둥근 난형 또는 긴 난형(길이 1.5~6cm 너비 1~4cm)이며 가장자리는 둔한 거치형이거나 장상으로 갈라졌다. 잎 앞면에는 가는 털이 성글게 있으며 뒷면의 엽맥위에만 길고 거친 털이 있다. 줄기 가운데 잎은 밑부분잎과 모양이 같은데 가장자리는 부채모양처럼 3~5(7)개의 소엽으로 깊게 갈라졌으며 소엽의 엽연는 매끈하다. 줄기 윗부분잎의 엽연는 매끈하다. 줄기 윗부분잎의 엽연는 줄기 가운데잎보다 더 깊게
    꽃 : 꽃은 6~8월경 줄기끝이나 가지끝에 수상화서(길이 3~13cm 너비 0.7~1.5cm)를 이루고 푸른자색의 순형꽃이 15~20개씩 윤생하며 피는데 양성화이다. 작은 화경(길이 0.5~1mm)이 있다. 포(길이 1.5~2.5mm)는 난형 또는 피침상 난형이며 겉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길이 4.5~5mm)은 녹색이며 짧은 털이 있고 통부의 윗부분은 5갈래로 갈라졌으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끝은 뾰족하다. 화관(길이 약 8~1
    열매 : 종자낭은 4개로 깊이 갈라져있다. 견과는 긴타원형으로 작고 4개로 갈라지는 취과(길이1.5~1.7mm 너비 0.6~0.8mm)를 이루며 7월~9월경에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자라거나 조금 엇비스듬히 자라며 가지를 치거나 가지를 치지 않으며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단단하다.
    분포 : 한반도(북부) 중국 러시아 몽골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4(3a) : 235 (Engl. & Prantl, 1897)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1. No Image

    갯개미취

    학명 : Aster tripolium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참취속(Aster)
    이명 : 개개미취갯자원
    잎 :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밑부분과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5-10cm 나비 6-12mm로서 밑부분이 반 정도 원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며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포상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두화는 지름 16-22mm로서 여러송이가 느슨한 산방화서를 이루며 밑부분에 포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와 지름이 각 7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2.5~3mm로서 끝이 둔하고 연모(緣毛)가 다소 있으며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mm 지름 1mm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꽃이 필 때는 길이 약 5mm이나 열매가 맺힐 때에는 길게 자라 14~16mm에 이르며 다갈색이다.
    줄기 : 높이 25-10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빛이 돈다.

    분포 :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금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gymophylla (Baker) C.Chr.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잎 : 엽병은 길이 15-30㎝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있으며 인편은 갈색이고 피침형으로서 길이 5-10mm이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이며 길이 20-40㎝ 폭 15-30㎝이고 갑자기 좁아져서 길게 뾰족해지며 3회 우상으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짐. 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삼각상 넓은 피침형이고 대가 길며 첫째 우편은 뒤쪽 첫째 소우편이 훨씬 크기 때문에 일그러진 삼각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이다. 소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으로서

    열매 : 포자낭군은 톱니의 파진 밑에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 투명한 막질이다.

    뿌리 : 옆으로 자라는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
    분포 : 중부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특징 : 가는잎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인편이 곧 떨어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ex filic.269 (190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3. No Image

    넓은잎그늘사초

    학명 : Carex pediformis C.A.Mey.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납작하고 나비 1.5-2.5㎜로서 회청색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흑갈색 바탕에 부분적으로 자줏빛이 돌고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3-4개이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길이 10cm정도로서 피침상 타원형이며 측소수는 암꽃으로 구성되고 원주형이며 길이 10-15mm로서 대가 있다. 포는 통같고 유두상의 돌기가 있으며 회청색이지만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고 자화영(雌花穎)은 도란형으로서 밑부분에서 과포를 감싸며 흑갈색이 돌고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진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비스듬하게 붙어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세모진 도란형이고 길이 3mm로서 2개의 능선이 있으며 밑부분에 맥이 약간 있고 털이 있으며 부리는 짧으며 굽고 끝이 밋밋. 수과는 세모진 넓은 난형이며 길이 2mm이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30-40cm이고 세모졌다.

    분포 : 중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왕그늘사초 (var.rhizina Kuekenth.): 기본종과 비슷하지만 전체가 크고 근경이 좀 길게 자라면서 갈라지며 지리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Imp. Sci. Saint Petersbourg 1: 219 (183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넓은잎까치밥나무

    학명 : Ribes latifolium Jancz.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까치밥나무속(Ribes)
    이명 : 넓은잎까치밥
    잎 : 잎은 오각상 원형이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예두 또는 둔두이며 심장저이고 길이와 폭은 각각 5-10cm로서 표면에 짧은 털이 있거나 없음. 뒷면에 짧은 백색털이 어느 정도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5-10cm이다.
    꽃 : 총상화서는 길이 5-8cm로서 10-20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자홍색이며 짧은 종형이고 포는 난형으로서 작으며 소화경에 짧은 털과 때로는 선모가 약간 있다. 자방은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꽃받침잎은 중앙부까지 합쳐지며 길이 5mm로서 도란형 원두이고 뒷면에 흔히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적색으로 익고 지름 7mm이다.
    줄기 : 소지는 약간 굵고 잔털 또는 흔히 선모가 있다.

    분포 : 함북 장지(醬池)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Intern. Acad. Sci. Cracovie Cl. Sci. Math. Nat. (19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넓은잎피사초

    학명 : Carex xiphium Meins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민곱슬사초
    잎 : 잎은 납작하고 나비 4-8㎜이며 밝은 녹색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며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2-3개이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길이 15-20mm로서 긴 타원상 선형 또는 곤봉형이고 측소수는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cm로서 대가 있다. 자화영(雌花穎)은 긴 타원상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황갈색익 끝은 둔하지만 까락 끝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비스듬히 달리고 도란형이며 길이 6-7mm로서 황록색이고 뚜렷한 맥이 있으며 부리는 길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둔하게 세모진 도란형으로서 끝에 비스듬한 돌기가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0-40cm이다.

    분포 : 강원도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Glavn. Bot. Sada. 18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두메분취

    학명 : Saussurea tomentosa Ko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두메은분취 멧분취 묏분취묏솜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5~7.5cm로서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때로는 붉은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7c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경생엽은 2~6개가 호생하고 점차 작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두화는 끝에 1개가 달리고 1~5개의 선상엽으로 둘러싸이며 마른 것은 지름 23~30cm이고 화서에 침상의 털이 있다.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난형 예두이고 내포편은 긴 타원상 선형으로서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3~15mm이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11~12mm로서 갈색이고 털이 있다.
    열매 : 수과이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면모로 덮여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란다.
    분포 : 낭림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ter. Gerb. Glavn. Bot. Sada RSFSR 2 : 135 (1921)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17. No Image

    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japonicum Thunb.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등골나물속(Eupatorium)
    이명 : 벌등골나물 새등골나물
    잎 :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엽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분지하지 않는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고 다시 지하경에서 뿌리가 성글게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골등골나물(E. lindleyanum DC.) ▶향등골나물(E. chinensis L. for. tripatitum Hara) : 잎이 3개로 갈라지고 정열편은 크며 긴 타원형이지만 측열편이 작고 피침형이다. ▶벌등골나물(E. fortunei Turez.)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ed. 14 [J. A. Murray] 737 (Murray, 178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8. No Image

    매자잎버들

    학명 : Salix berberifolia Pall.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매자잎버드나무
    잎 : 마른 잎은 오랫동안 가지에 붙어 있으며 소지에 털이 없다. 잎은 원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4-15mm 폭 4-12mm로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고 맥이 튀어나오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유이화서로 달린다. 자화수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5mm로서 화축에 털이 있으며 포는 난상 원형으로서 흑색이고 털이 있으며 밀선은 1개이다. 자방은 난형으로서 털이 없고 밀선과 거의 같은 길이의 대가 있으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는 4개이다.
    열매 : 과수(果穗)는 길이 1-1.2cm이고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며 길이 3mm이고 6-7월에 결실한다.
    줄기 : 가지에서 뿌리가 내리기 때문에 지상을 기면서 자란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관목
    유사종 : ▶긴잎매자버들(var. brayi Trauty.) : 매자잎버드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도피침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20mm 폭 2-8mm이며 전자와 함께 자란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Ross. (Pallas) 1(2) : 84 (Pall., 178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물수세미

    학명 :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과명 : 개미탑과(Haloragaceae)
    속명 : 물수세미속(Myriophyllum)
    이명 : 금붕어풀붕어풀
    잎 : 잎은 4개씩 윤생하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엽병이 없고 수중엽은 열편이 털처럼 가늘며 갈녹색이고 공기 중의 잎은 우편이 넓고 짧으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며 물 위로 나온 엽액에 1송이씩 달려서 전체가 잎이 달린 총상화서처럼 되고 줄기 위에는 수꽃 밑에는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꽃잎이 4장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수술은 8개이며 꽃잎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길이 1.5-2mm이고 암꽃의 꽃받침은 단지같으며 4개의 능선이 있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열매는 난상 구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꽃받침잎과 4개의 홈이 있다.
    줄기 : 긴 것은 길이가 50cm에 달하고 밑부분이 땅속으로 들어가서 지하경으로 되며 위끝이 물 위로 뜨며 줄기는 길고 녹갈색이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
    형태 : 다년생 수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20. No Image

    박쥐나무

    학명 :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과명 : 박쥐나무과(Alangiaceae)
    속명 : 박쥐나무속(Alangium)
    이명 : 누른대나무 털박쥐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사각상 심원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7-20cm로서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점첨두이고 톱니가 없으며 표면은 황록색으로서 약간 짧은 털이 있으나 뒷면은 잔털이 드문드문 있고 기부는 약간 심장형이며 장상 맥이 있고 엽병은 길이 2-10cm로서 짧은 털이 있다.
    꽃 : 취산화서는 액생 또는 액상생하며 털이 있거나 없고 1-4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양성으로서 5-7월에 피고 소화경에 환절이 있다. 꽃받침은 환상으로서 4-10개의 얕은 톱니가 있으며 꽃잎은 선형이고 8개이며 길이 25mm로서 누른 빛이 돌고 꽃이 피면 뒤로 말리며 기부가 서로 붙어있다. 수술은 12개이고 수술대는 길이 10mm로서 견모가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털이 없으며 꽃잎과 길이가 같다.
    열매 :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9월에 짙은 벽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밑에서 여러개가 올라와 수형을 만들고 수피는 흑자색으로 외피가 흔히 벗겨지고 소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분포 : ▶중국과 일본 북해도에도 분포한다. ▶전역의 표고 1 200m이하의 산야 주로 중부 이북지역의 야산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성 관목 수형:불규칙형
    유사종 : ▶단풍박쥐나무(A. platanifolium (Sieb. et Zucc.) Harms.): 잎이 단풍나무의 잎과 비슷하다. ▶누른대나무(for. velutinum T. Lee): 어린가지 잎 뒷면 및 엽병에 갈색 밀모가 있다.
    특징 : 박쥐같은 잎과 가을 하늘색처럼 아름다운 벽색의 열매는 매우 매력적이고 나무의 이름은 잎이 박쥐의 날개 같다하여 붙여진 것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ed. 2:943, 1437 (196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