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접시꽃

    학명 : Althaea rosea (L.) Cav.
    과명 : 아욱과(Malvaceae)
    속명 : 접시꽃속(Althaea)
    이명 : 접중화촉규화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원형이며 기부는 심장저이고 가장자리가 5~7개로 얕게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꽃 : 6월경에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화경이 있는 꽃이 피기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며 끝에서 긴 꽃차례로 되고 작은포는 7~8개가 밑부분에서 서로 붙어 있으며 녹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잎도 5개가 기왓장처럼 겹쳐지며 나선상으로 말리고 종형(鐘形)으로 윗면은 개출(開出)하고 홍색, 짙은 담홍색, 백자색 등 여러 가지 색을 갖는다. 한몸수술의 꽃밥이 밀집되어 있고 암술대는 1개이지만 끝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고 접시같은 열매가 달린다. 꽃을 촉규화(蜀葵花)라 한다.
    열매 : 열매는 접시 모양의 삭과이다.
    줄기 : 높이가 2.5m에 달하고 원줄기는 녹색이며 털이 있고 원주형이다.
    뿌리 : 촉규근(蜀葵根)이라 한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월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Diss. 2, Secunda Diss. Bot. 2 : 91 (Cav., 17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2. 두충

    학명 : Eucommia ulmoides Oliv.
    과명 : 두충과(Eucommiaceae)
    속명 : 두충속(Eucommia)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6cm 폭 2~7cm의 타원형이고 넓은 예저 둔저 또는 예저이며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5-6쌍의 뚜렷한 엽맥 위에는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정도로 잔털이 있다. 처음 미모가 있다가 나중에 없어진다.
    꽃 :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5월에 꽃이 핀다. 화피가 없으며 수꽃은 화경과 4-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짧은 화경이 있으며 새가지 밑부분에 달린다. 자방은 2개의 심피가 합쳐지고 1개의 방은 퇴화되어 1실로 되며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암술머리로 된다.
    열매 : 열매는 10-11월에 익고 편평한 장타원형으로 날개가 있는 시과(翅果)인데 느릅나무 종자와 비슷하다. 날개와 더불어 대를 제외한 길이가 3-3.5cm이고 중앙부의 나비가 1cm이며 대는 길이 6mm정도이다. 열매를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줄기 : 통직하며 많은 가지를 내고 수피는 갈색을 띠는 회백색이다.

    분포 :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지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두충의 대용품으로 속(屬)이 다른 화두충사철나무 대만두충나무가 있다.
    특징 : ▶1926년 당시 임업시험장 촉탁이며 동경대학 교수였던 나까이 박사가 최초로 도입하여 홍릉에 있는 임업연구원 수목원에 심었다. ▶세계적으로 1과1속1종밖에 없는 중국 특산이다. 현재 중국 중남부의 각성(省) 일대에서 다량 재배되고 있다. ▶초겨울까지 파란 잎이 무성하며 가지 잎 수피를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es plantarum plates 20: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3. 댕댕이덩굴

    학명 : Cocculus trilobus (Thunb.) DC.
    과명 : 방기과(Menispermaceae)
    속명 : 댕댕이덩굴속(Cocculus)
    이명 : 끗비돗초 댕강덩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아심장저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잔털이 많고 3-5출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거치가 없지만 얕은 결각이 있는 경우도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출(腋出)한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6개 수꽃의 수술이 6개이고 암꽃에는 6개의 헛수술 3개의 심피와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대는 원주형으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핵과는 거의 구형이고 지름은 5-8mm이며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지름 4㎜정도의 편평한 원형에 가까우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많은 환상선(環狀線)이 있다.
    줄기 :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줄기가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된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700m사이에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 만목

    특징 : ▶댕댕이덩굴은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나는 수종에는 생달나무 육박나무 후박나무 보리밥나무 자금우 모람 송악등의 상록수종과 큰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말채나무 산돌배나무 쉬나무 소사나무 이팝나무 쇠물푸레등이 있다. ▶목부(木部)를 목방기(木防己)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Nat. (Candolle). 1 : 522 (DC., 181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4. 자귀나무

    학명 : Albizia julibrissin Durazz.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자귀나무속(Albizia)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6~15cm의 우수2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낫같고 원줄기를 향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6-15㎜ 넓이 2.5-4㎜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인편은 7-12쌍이며 우편축의 양측에 약 15-30쌍의 소엽이 대생하고 있다. 우편측 양쪽의 소엽은 낮에는 나래처럼 펴져 있고 밤에는 서로 합쳐진다.
    꽃 : 소지 끝에서 길이 5㎝정도의 화경(花梗)이 자라서 15-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양성으로서 해질무렵 활짝 핀다. 6~7월경에 피고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으며 길이 3mm정도로서 연녹색이고 끝이 그리 뚜렷하지 않게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종형이고 길이 6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이고 길이 3cm로서 상반부는 홍색 하반부는 백색이며 암술이 보다 약간 길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연분홍색의 꽃이 우산형으
    열매 : 9~10월에 콩깍지 같은 긴 열매가 익으며 길이 15cm 정도의 편편한 꼬투리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줄기 : 줄기가 굽거나 사선으로 자라며 약간 드러눕는다. 큰 가지가 드문드문 나와 퍼지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능선이 있다.
    뿌리 : 직근과 잔근이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에 자생하는 난대성 수종으로 중부 이남 황해도 이남 등의 표고 50~700m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역삼각형
    유사종 : ▶왕자귀나무(A. coreana Nakai): 제주도나 목포 유달산에서 자라는 특산 식물이다. 자귀나무에 비해서 내한성이 약하고 소엽은 길이 20-45㎜ 너비 5-20㎜이다. 난대지역에서 자란다.
    특징 : ▶경상남도 울산군 온산면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자귀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 다정큼나무 송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 면적은 15 074㎡정도이다. ▶질감이 섬세하며 분홍색의 여름꽃이 드문 시기에 핀다. 콩깍지 모양의 열매는 겨울 내내 달려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ag. Tosc. 3, 4: 11 (177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물레나물

    학명 : Hypericum ascyron L.
    과명 : 물레나물과(Guttiferae)
    속명 : 물레나물속(Hypericum)
    이명 : 긴물레나물 매대체 애기물레나물 좀물레나물 큰물레나물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이 원줄기를 마주 싸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길이 5-10cm 폭 1-2cm로 투명한 점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4-6cm로서 황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큰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이고 길이 1cm가량이며 맥이 많고 꽃잎은 길이 2.5-3cm 폭 1.5cm가량으로 낫같이 굽은 넓은 난형이다. 수술은 다체이고 암술대는 길이 6-8mm이며 윗부분에서 주두와 더불어 5가닥이 난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12-18mm이며 종자에는 작은 그물맥이 있고 한쪽에 능선이 있으며 길이 1mm이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원줄기는 네모지며 윗부분이 녹색이고 밑부분은 목질화 된 연한 갈색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이 있고 근경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일본 동부아시아 오대 알타이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큰물레나물 (var.longistylum MAX) : 암술대의 길이가 1cm이고 윗부분에서 1/3정도 갈라진다.
    특징 : 꽃모양이 마치 물레를 연상하게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6. 왕대

    학명 :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왕대속(Phyllostachys)
    이명 : 강죽참대
    잎 : 잎은 3-7(흔히 5-6)개씩 달리고 길이 10-20㎝ 폭 1.2-2.0㎝로서 피침형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털이 없으며 잔톱니가 있다. 견모(肩毛)는 5-10개가 개출(開出)되어 오랫동안 남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지만 매우 드물게 피며 화서의 길이는 5-10㎝이고 포는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에 달린 엽편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길이 10-30mm이고 각 포에 1-5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3c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연모가 있다. 꽃밥은 길이 10mm정도이고 자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길고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밀알모양으로 여름에 결실하는데 죽실 죽미등으로 부른다. 영과(穎果)로서 내외영이 있고 가을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지만 추운 곳에서는 높이 3m 지름 1cm정도밖에 자라지 못한다. 경면(莖面)은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되고 포엽은 일찍 떨어지며 털이 있고 엽편이 있다. 속껍질을 죽여(竹茹)라 한다. 가지는 두세개씩 나온다.
    뿌리 :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어나가며 6월에 죽순이 나오는데 죽순 껍질에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600m 이하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백양산)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도에서 난다.
    형태 : 상록 목본.
    유사종 : ▶포대죽(P. aurea) : 중국 원산으로 여러 곳에서 식재한다. 줄기는 연한 황색이며 마디가 기부에서는 밀집되어 있다. ▶대명죽(Pleioblastus Granineus) ▶한산죽(P. hindsii)
    특징 : 대나무는 1년 동안 20m까지도 자라는데 생장은 그것으로 완료되며 이후 2-3년에 걸쳐 더 견고해진다. 한 번 꽃을 피우고 난 후에는 고사하므로 그 지역이 모두 폐죽림이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3(2) : 745, pl. 5, f. 3 (1843)
    Nakai, Fl. kor. 2 : 378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예덕나무

    학명 :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예덕나무속(Mallotus)
    이명 : 꽤잎나무비닥나무시닥나무예닥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10~20cm 폭 6~15cm로서 표면은 적색 선모가 있고 뒷면은 황갈색으로서 선점이 있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3-4개로 약간 갈라지고 엽병은 매우 길다.
    꽃 : 원추화서는 정생하며 화서의 길이 8~20cm로서 선모가 밀생하고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핀다. 수꽃은 털이 있고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꽃받침은 3~4개로 갈라지고 담황색이며 수술은 50~80개이다. 꽃밥은 약 1cm 정도로 털이 있다. 암꽃은 적으며 각 포에 1개씩 달리고 꽃받침은 3-5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3실이다. 자방에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구형이고 지름 7mm로서 황갈색 선점과 성상모가 밀생하며 강모도 있고 10월에 익으면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암갈색이며 약간 둥글고 길이 약 4mm로서 뚜렷하지 않은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10m에 달하며 어릴 때는 성상의 인모로 덮여 있고 붉은빛이 돌지만 점차 회백색으로 되며 가지는 굵고 수피는 회백색이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남쪽 바닷가 따뜻한 지역에 자생하고 제주도에서는 표고 1 100m에서도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특징 : ▶예덕나무는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주도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 제28호에 지정되어 있다. 그곳에 상록수림의 면적은 17 190㎡이며 자라고 있는 수종으로서는 개머루 사위질빵 새머루 인동덩굴 멍석딸기 자귀나무 검노린재 덜꿩나무 새비나무 쇠물푸레나무 장구밥나무 황칠나무등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34: 189 (186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8. 능소화

    학명 : Campsis grandifolia (Thunb.) K.Schum.
    과명 : 능소화과(Bignoniaceae)
    속명 : 능소화속(Campsis)
    이명 : 금등화 능소화나무 릉소화
    잎 : 잎은 대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7-9개이며 길이 3-6㎝로서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緣毛(연모)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8㎝로서 황홍색이지만 겉은 적황색이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5-15개가 정생한다. 꽃받침은 길이 3cm이고 열편은 피침형 첨두로서 털이 없으며 화관은 깔때기 비슷한 종형이고 통부가 꽃받침 밖으로 나오지 않으며 대형이고 대체로 고르지 않은 5갈래로 갈라진다. 二强雄蘂(이강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꽃을 능소화라 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네모지며 끝이 둔하고 혁질이며 2개로 갈라지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10m까지 자라고 가지는 흡착근이 발달하여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수피는 회갈색이고 세로로 벗겨진다.

    분포 : 중부 이남의 사찰에서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 활엽 만경.

    특징 : 나팔모양의 꽃은 색상이 화려하며 점잖고 기품이 있으며 줄기는 고목이나 벽을 감고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꽃가루에는 갈고리 같은 것이 있으므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4(3b) : 230 (Engl. & Prantl, 189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9. 약모밀

    학명 : Houttuynia cordata Thunb.
    과명 : 삼백초과(Saururaceae)
    속명 : 약모밀속(Houttuynia)
    이명 : 삼백초 십자풀어성초즙채집약초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8cm 폭 3-6cm로서 뚜렷한 5출맥이 있고 연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탁엽이 엽병 밑에 붙어 있다.
    꽃 : 6월경에 원줄기 끝에서 짧은 화경(花莖)이 나와 그끝에 길이 1-3cm의 수상화서가 발달하며 백색의 꽃이 달린다. 포는 4개이고 화서 밑에 십자형(十字形)으로 달려 꽃같이 보이며 길이 1.5-2cm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떨어지지 않는다. 꽃은 화피가 없고 3개의 수술이 있어 황색으로 보이며 자방은 1개이고 상위로서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았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3개로 화주 사이에서 갈라져 연한 갈색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원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으며 길이 20-50cm로서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있고 몇 개의 세로줄이 있다.
    뿌리 : 뿌리는 백색이고 연하며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히말라야 쟈바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지역의 습지에 자생하며 중부지방에서도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특징 :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있으며 외국에서 개발된 원예종으로 무늬변종이 있다. 잎과 줄기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주둔하던 병영지 주변에는 항시 약모밀을 재배하여 항생제 대용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전초에서 독특한 악취가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234 (196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0. 백도라지

    학명 : Platycodon grandiflorum f. albiflorum (Honda) H. Hara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도라지속(Platycodon)
    이명 : 백길경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긴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0.5-5mm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은 끝이 퍼진 종형이고 지름 4-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5실이며 암술대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포간(胞間)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원줄기를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도라지 : 기본종 ▶겹도라지 (for. duplex MAK.): 꽃이 겹으로 되어 있다. ▶흰겹도라지 (for. leucanthum HARA) : 백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2: 101 (19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도라지

    학명 :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DC.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도라지속(Platycodon)
    이명 : 길경 약도라지
    잎 : 엽병이 없고 아랫잎은 대생하나 윗잎은 호생하거나 3엽이 윤생한다. 잎은 긴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하늘색 또는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0.5-5mm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은 끝이 퍼진 종형이고 지름 4-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끝은 삼각형이다. 자방하위에 웅애 선숙화로 끝에서 종자를 맺는다. 자방은 5실이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대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포간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줄기를 자르면 백색의 유액이 나온다. 직립하며 전체는 회록색을 띠고 털이 없다.
    뿌리 : 다육질의 괴근으로 되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괴근상의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백도라지(P. grandiflorum A. DC. for. albiflorum Hara) : 백색 꽃이 핀다. ▶겹도라지(P. grandiflorum A. DC. for. duplex. Makino) : 겹꽃이 핀다. ▶흰겹도라지(P. grandiflorum A. DC. for. leucanthum Hara) : 백색 겹꽃이 핀다.
    특징 : 품질이 우수하여 일본 홍콩 등지에 수출되며 자유중국(대만)에서는 한국에서만 수입하도록 지정하고 있는 유일한 수출약재의 하나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Campan. 125 (18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하늘타리

    학명 :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하늘타리속(Trichosanthes)
    이명 : 자주꽃하눌수박 쥐참외 하눌수박 하늘수박
    잎 : 잎은 호생하며 단풍잎처럼 5-7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에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화경은 수꽃이 15cm 암꽃이 3cm 정도로 각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잘게 갈라지고 황색이며 수술은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7cm정도로서 오렌지색으로 익으며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연한 다갈색이다.
    줄기 : 잎과 대생하는 덩굴손이 다른 물체에 잘 붙어 뻗어가고 고구마같은 큰 괴경이 있다.
    뿌리 : 지하에 고구마같은 큰 괴근이 있다.
    분포 : 중국 몽고 대만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삼정리)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남한산성) 황해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덩굴 식물
    유사종 : ▶노랑하늘타리(var. japonica Kit.): 잎과 줄기에 흰털이 있고 열매는 넓은 난상 원형 노란색으로 익는다.
    특징 : 중부지방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하는 경우 결실이 잘 안되는 특성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482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3. 백산차

    학명 :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Nakai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백산차속(Ledum)
    이명 : 북백산차 털백산차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둔저이며 길이 2-7cm 폭 4-12m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주름이 많지만 뒷면은 갈색 및 백색 밀모가 있고 향기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젖혀지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산방화서는 전년지 끝에 달리며 화축에 거친 털이 있고 지점(脂點)이 밀생하며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7-10mm로서 백색이며 반 정도 벌어지고 소화경은 가늘며 길이 1-3cm로서 갈색융모가 밀생하고 포는 난형 예두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거나 길다.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길며 숙존한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4mm로서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5-70cm이고 늙은 가지는 잿빛을 띤 갈색이나 수피조각이 벗겨지면 연한 자갈색이다. 어린 가지에는 갈색의 융모와 황색의 선체가 밀생하고 짙은 향내를 뿜는다.
    뿌리 : 뿌리에서 맹아가 많이 나온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북부 러시아에 분포한다.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함경도 고산지대의 수림 아래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소관목
    유사종 : ▶좁은잎백산차 (var.decumbens HULTEN): 잎이 길이 1-2cm 폭 2-3mm이고 뒷면에 백색털이 없다. ▶왕백산차 (var.maximum NAK.): 잎이 길이 7cm 폭 14mm이다. 백산차에 비해 잎이 크며 고산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1 : 102 (191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4. 좁은백산차

    학명 : Ledum palustre var. decumbens Aiton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백산차속(Ledum)
    이명 : 가는잎백산차 애기백산차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둔저이며 길이 1-2cm 폭 2-3m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주름이 많지만 뒷면은 향기가 있으며 백산차와 달리 백색털이 없다. 가장자리가 뒤로 젖혀지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산방화서는 전년지 끝에 달리며 화축에 거친 털이 있고 지점이 밀생하며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7-10mm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거나 길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4mm로서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어린 가지에 다갈색 밀모가 있다.
    뿌리 : 뿌리에서 맹아가 많이 나온다.
    분포 : 백두산지역
    형태 : 상록소교목
    유사종 : 백산차
    특징 : 백산차와 비슷하나 잎의 길이 1-2cm 폭 2-3mm 뒷면에 흰색털이 있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us Kew. (W. Aiton) 2 : 65 (Aiton, 1789)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5. 가는잎한련초

    학명 : Eclipta alba (L.) Hass.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한련초속(Eclipta)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잎자루)이 없거나 극히 짧고 뾰족하며 길이 3~10cm, 폭 5~25mm로서 양 면에 굳센 털이 있으며 기부 가까이에 굵은 세개의 맥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흰색의 두상화가 한 개씩 달리며 지름 1cm 내외이고 화경은 길이 2~4cm 정도이다. 설상화관은 끝이 밋밋하거나 두 개로 갈라진다. 통상화는 연한 녹색이며 꽃부리가 네 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며 흑색으로 익고 길이 2.8mm정도로서 혀꽃의 것은 세모가 지지만 다른 것은 네 개의 능각이 있으며 흰색의 돌기가 있고 관모가 없다.
    줄기 : 키는 10~60cm 정도이다.

    분포 : 전국의 논이나 습지에 주로 분포
    형태 : 한해살이 풀

    특징 : 염료의 재료로 이용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Jav. Rar. 27 (1848)

    Read More
  16. 꽃다지

    학명 : Draba nemorosa L. f. nemorosa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꽃다지속(Draba)
    이명 : 코딱지나물
    잎 : 근생엽은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4cm 폭 8-15mm로서 톱니가 약간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1-3cm 폭 8-15mm로서 둔두 예저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황색으로 4~6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5mm정도이다. 꽃잎은 4개이고 넓은 주걱형이며 길이 3mm정도이다. 6개의 수술중 4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짧은 각과(角果)로서 편평하며 장타원형이고 길이 5-8mm 폭 2mm로서 전체에 털이 있다. 종자를 정력자라고 한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하부에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성상모(星狀毛)가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민꽃다지(var. leiocarpa LINDBL.) : 열매에 털이 없는 것이며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7. 호광대수염

    학명 : Lamium cuspidatum Nakai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광대나물속(Lamium)
    이명 : 긴잎광대수염
    잎 : 잎은 대생하고 장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6cm 나비 2.8cm정도이며 끝은 길게 꼬리처럼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다소 안으로 굽은 뾰족한 거치가 있고 표면에 엽병과 더불어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7~8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짬에 모여 층층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5열하고 열편은 3각상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털이 있다. 화관은 통상 순형이고 상순은 활갈이 굽고 하순은 3렬하여 밑을 향하며 겉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4면형이고 3개의 예리한 능선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진다.

    분포 : 함남(백두산 부전고원 관모봉 차일봉) 함북(무산령)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8. 흰벌깨덩굴

    학명 : Meehania urticifolia f. leucantha Hara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벌깨덩굴속(Meehani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폭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백색으로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엽액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4-5cm이며 통부가 길고 갑자기 부풀며 아래쪽 꽃잎의 중앙열편은 특별히 크고 측열편과 더불어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긴 백색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드문드문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화경(花莖)으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벌깨덩굴 : 자주색꽃을 피움
    붉은벌깨덩굴 : 붉은 꽃을 피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1 : 671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산수국

    학명 :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수국속(Hydrangea)
    이명 : 털산수육 털수국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예첨두이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5-15cm 폭 2-10cm로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측맥과 뒷면 맥위에 털이 나 있다.
    꽃 : 7-8월에 당해에 자란 가지끝에 큰 산방화서가 달리며 털이 있고 그 둘레에 있는 무성화는 지름 2-3cm이며 꽃받침잎은 꽃잎같고 3-5개이며 백홍벽색이거나 벽색이다. 양성의 꽃은 꽃받침잎이 작고 꽃잎과 함께 각각 5개이다.(수국은 전부 무성화)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3-4mm이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 :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소형의 도란형 삭과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번성하고 소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 잔뿌리와 보통 뿌리가 있다.
    분포 :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표고 200-1 4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반구형
    유사종 : ▶탐라산수국(for. fertilis NAK.): 둘레에 있는 꽃이 중성화가 아닌 양성화를 갖는다. ▶꽃산수국(for. buergeri NAK.): 무성화의 꽃받침에 거치가 있다. ▶떡잎산수국(for. coreana (NAK)T. Lee) : 잎이 특히 두껍다.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 중생식물로 여름에 백자색으로 피는 꽃은 야성적이면서도 청초한 느낌을 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콩배나무

    학명 :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C.K.Schneid.) Rehder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이명 : 돌배나무 문배 산돌배 좀돌배나무 황이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으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엽병도 길이 3-4㎝로서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 : 꽃은 흰꽃이며 4-5월경에 피고 짧은 가지끝에 5-9개가 모여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5cm이고 잔털이 있으며 화관은 지름 1.7-2.2cm로 연한 홍색이고 꽃받침잎은 난형으로 톱니가 없고 둔두로서 양면에 백색털이 밀생하며 꽃잎은 원형 도란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1cm정도이고 꽃밥은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며 암술대는 2-3개로서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1-1.5cm로서 10월에 녹갈색에서 흑색으로 익으며 소과경은 길이 3cm이다.
    줄기 : 줄기는 다각형인데 단지는 갈색으로 가시처럼 생겼으며 피목은 희고 뚜렷하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표고 600m이하 야산의 양지바른 산록과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돌배나무(P.pyrifolia Nakai): 잎의 길이는 7-12㎝이고 화경의 길이가 3-5㎝이며 잎의 가장자리에 침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Arnold Arbor. 2 : 61 (1920)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