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바람꽃

    학명 : Anemone narcissiflora 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조선바람꽃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둥근 심장형으로 3번 완전히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2-5cm로서 2-3개로 갈라진 다음 선형으로 세열(細裂)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은 1-4개이고 소화경은 5-6개가 산형으로 나와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5-7개이며 길이 12-15mm로서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총포엽은 길이 2-4cm로서 선형으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며 다소 두꺼운 날개가 있고 털이 없으며 날개와 더불어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6-7mm 폭 5mm정도로서 다소 안으로 굽은 짧은 암술대가 있다.
    줄기 : 높이 20-40cm정도이고 근생엽과 화경(花莖)이 총생하며 전체에 긴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마른 엽병의 섬유로 덮여 있다.
    분포 : 중·북부 설악산 이북 지역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Anemone속 식물은 꿩의바람꽃(A. raddeana)을 비롯하여 10여종이 자생하고 모두 봄에 개화(가래바람꽃은 여름에 개화한다.)한다.
    지하부에는 작은 괴경이 지니고 있는데 특히 바람꽃은 크고 땅속 깊이 들어가며 개화기가 여름으로 차이가 난다.

    특징 : 뿌리가 대단히 굵고 튼튼하다. 일반적으로 재배가 난해한 식물이다. 속명 Anemone 는 아네모네의 희랍명으로 `바람의 딸`이라는 뜻이고 종명 narcissiflora는 수선속의 꽃과 같다는 뜻이다. 북방계 식물로서 남한에서는 설악산에서만 자라는 식물이고 분포학상 중요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Kom.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만주바람꽃속(Isopyrum)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백색 막질로서 넓으며 2회 3출이고 소엽은 어린 `개구리발톱` 잎과 닮았다. 경생엽은 2-3개이고 짧은 엽병끝에서 3개로 갈라지며 엽병밑에 둥근 포가 2장 있고 소엽은 소엽병이 있으며 1-2회 3출엽이고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백색의 짧고 연한 털이 다소 있다. 탁엽은 막질이고 엽병보다 길며 난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긴 화경이 있고 줄기의 윗부분의 엽액에 지름 1.5cm가량의 꽃이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꽃잎모양이고 5장이며 긴 난형이고 길이 7mm이다. 수술은 30여개이고 길이 9mm이며 꽃밥은 길이 1.6mm이고 2개의 암술은 윗부분이 퉁퉁하며 약간 굽었고 밀선판은 반 쌈지모양이며 난형이고 길이 4.5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2개씩 달리고 거의 둥글며 길이와 나비가 각 3.5cm정도이고 끝에 길이 2mm정도의 부리가 있으며 과병은 길이 2mm정도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한다. 원줄기 밑부분에 백색 막질의 비늘같은 조각이 있고 백색의 연한 털이 다소 많이 있다.
    뿌리 : 원뿌리에서 많은 가지뿌리가 나오며 보리알같은 괴근이 달린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자라고 끝에서 잎과 줄기가 자란다.
    분포 : 경기도 천마산 축령산 화야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ter. Gerb. Glavn. Bot. Sada SSSR 6 : 8 (192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가래바람꽃

    학명 : Anemone dichotoma 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가지바람꽃 갈내바람꽃
    잎 : 근생엽이 없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대생하여 밑부분이 다소 합쳐지고 윗부분이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쐐기형같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4-8cm, 폭 1-2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윗부분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때로는 다시 갈라지기도 하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그 위의 잎은 같은 모양이지만 작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다. 화경(花梗)은 길이 3-7cm이고 끝에 꽃이 1개 달린다. 꽃받침열편은 5개(4-6개)이며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8-15mm로서 겉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으며 납작한 난형이고 길이 4-5mm로서 길이 1.5mm정도의 암술대가 있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며 전체적으로 잔털이 있고 줄기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에 근생엽이 없으며 몇개의 인엽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옆으로 자란다.
    분포 : 북부의 국경 지대에서 만주를 거쳐 시베리아에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쌍동바람꽃

    학명 : Anemone rossii S.Moor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쌍동이바람꽃 쌍둥바람꽃 쌍둥이바람꽃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지름 4-10cm로서 3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에 짧은 대가 있으며 양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측열편은 다시 2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병은 2개이고 털이 있으며 길이 3-4cm로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길이 10mm 폭 5mm로서 넓은 타원형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고 자방에 털이 있다. 총포엽은 3개로서 엽병이 없고 3개식 갈라진 열편은 다시 3개씩 갈라지며 최종열편의 가장자리에 2-3개의 톱니가 있다.
    열매 : 암술 수에 비해 적은 수의 수과의 열매가 달린다.
    줄기 : 높이가 25cm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옆으로 자란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한 줄기에 꽃이 2개씩 달리는 것에서 쌍둥이바람꽃이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17 : 376 (18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숲바람꽃

    학명 : Anemone umbrosa C.A.Mey.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그늘바람꽃
    잎 : 근출엽은 긴 엽병이 있고 장상으로 5전열(全裂)되었으며 마지막 열편은 결각상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담록색이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특히 맥위에 털이 많고 엽연에는 연모(緣毛)가 있다. 줄기에는 3개의 잎이 돌려 붙어 총포로 되는데, 총포엽은 3개이며 3개로 다시 갈라지고 총포의 엽병은 길이 1cm정도로서 표면이 수채처럼 오목하며 털이 있고 뒷면의 맥이 두드러진다. 중앙열편은 사각상 타원형이며 양면의 맥 위와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윗부분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깊은 톱니가 있다.
    꽃 : 화경(花梗)은 높이 13cm정도로서 긴 털이 약간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꼭대기에 1개 또는 2개씩 달린다. 꽃의 지름은 1.7-2.5cm이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뒷면 특히 밑부분에 털이 많다. 수술은 털이 없으며 수술대는 길이 3.5mm정도이고 꽃밥은 길이 1mm정도로서 타원형이며 암술은 10개 가량이고 자방은 백색의 긴 털로 덮였다.
    열매 : 수과는 견모가 밀생하고 7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에는 3개의 잎이 돌려 붙는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길며 갈색이다.
    분포 : ▶북한 중국 러시아(시베리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청진 및 두만강지역의 숲속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겉으로 보기에 회리바람꽃과 비슷하지만 꽃받침잎이 타원형이고 길이 10mm 폭 5mm인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Alt. 2 : 361 (Ledeb., 18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댕댕이나무

    학명 :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Turcz. ex Herder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인동속(Lonicera)
    이명 : 댕강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장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4cm 나비 1cm 정도이다. 앞면은 털이 있고 뒷면은 융모가 있으며 톱니는 없다. 엽병은 길이 1∼6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2개씩 달린다. 화경의 길이 2∼10mm이다. 포는 길이 5∼8mm이며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황백색이며 원통형의 종 모양이며 길이 1.2~1.5cm로서 털이 약간 있다. 수술은 암술대보다 짧고 씨방은 2개가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타원형이며 7~8월에 자흑색으로 익으며 백분로 덮여 있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골속은 충실하다. 작은 가지에는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일본, 러시아 / 한국(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평창군)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특징 : [취약종]
    평가내용:취약종 / 국가단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37-1 (186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7. No Image

    바이칼바람꽃

    학명 : Anemone glabrata (Maxim.) Juz.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돌바람꽃 은빛바람꽃
    잎 : 근생엽은 1-2개로서 길이 5cm의 엽병이 있으며 3개로 갈라지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복모가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1.5cm로서 백색이며 복모가 드문드문 있으나 꽃 밑에는 꽃받침의 밑부분과 더불어 더욱 많고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1cm 폭 6mm로서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다. 수술은 많으며 털이 없고 꽃밥은 길이 1mm로서 타원형이다. 총포엽은 3개이고 엽병이 없으며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작고 중앙부에서 1개의 화경이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있으나 적은 편이다.
    줄기 : 높이가 8cm에 달하고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만주 동부 시베리아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URSS 7 : 254 (19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솔잎란

    학명 : Psilotum nudum (L.) P.Beauv.
    과명 : 솔잎란과(Psilotaceae)
    속명 : 솔잎란속(Psilotum)
    이명 : 솔잎난 송엽란
    잎 : 잎은 작은 돌기같이 드문드문 달리고 호생한다. 윗부분에 달린 포자엽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각 1개씩의 포자낭이 엽액에 달린다. 포자낭은 지름 2mm정도로서 3실이고 편평한 구형이며 녹색이지만 황색으로 익고 3개로 갈라져서 포자가 나온다.
    줄기 : 줄기는 아래쪽에서부터 계속 둘로 갈라져 전체가 비짜루같이 되고 연한 녹색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균근이 발달하며 갈색 가근으로 덮인다. 진정한 뿌리는 없다.
    분포 : 제주도 및 남부의 남쪽 해안 근처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특징 : 이 종은 분포지의 북한계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녹색의 잔가지가 솔잎과 비슷한데서 생긴 이름이며 송엽란이라고도 한다. 가장 원시적인 식물의 하나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aetheogam. 106 (1805)
    참고문헌 : 1)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9. No Image

    갯메꽃

    학명 :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b.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속명 : 메꽃속(Calystegia)
    이명 : 개메꽃 해안메꽃
    잎 : 잎은 호생하며 신원형이고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며 길이 2~3cm 폭 3~5cm로서 기부는 깊게 파여 있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요철이 생긴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잎보다 길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지름 4~5cm인 깔때기 모양이며 엽액의 화경에서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화경은 대개 잎보다 길며 능선이 없고 포는 2개이고 길이 1~1.3cm로서 넓은 난상 삼각형이며 보통 꽃받침보다 짧고 총포처럼 꽃받침을 둘러싼다. 화관은 지름 4-5cm로서 희미하게 5각이 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둥근 삭과는 지름 1.5cm 정도이며 포와 꽃받침에 싸여 있고 속에 검고 단단한 종자가 있다.
    줄기 : 뿌리줄기에서 줄기가 갈라져 지상으로 뻗거나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뿌리 : 희고 굵은 지하경이 모래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분포 : 독도를 포함한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아시아 유럽 온대에서 열대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과 모든 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4: 184 (18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갯까치수염

    학명 : Lysimachia mauritiana Lam.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까치수염속(Lysimachia)
    이명 : 갯까치수영 갯꽃꼬리풀 갯좁쌀풀
    잎 : 잎은 호생하고 두터운 육질로 윤기가 돌며 주걱같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2~5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흑색 내선점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아름답게 피며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4-12cm이며 소화경은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2cm로서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잎은 지름 1-1.2c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뒷면에 흑색 점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열편은 쐐기같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지름 4-6mm로서 끝에서 작은 구명이 뚫려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흔히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 빛이 돈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육질의 2년생 초본류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3:592 (178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1. No Image

    홀아비바람꽃

    학명 : Anemone koraiensis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좀바람꽃 호래비바람꽃 홀바람꽃 홀애비바람꽃
    잎 : 근생엽은 1-2개이고 높이 3-7cm이며 엽병은 털이 없고 엽신은 장상으로 5개로 갈라지며 길이 2cm 폭 4c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털이 없다.
    꽃 : 꽃은 지름 12mm로서 백색이며 화경(花莖)은 1개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총포는 잎같으며 3개로 갈라지고 화경(花梗)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긴 도란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황색이다. 자방은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난형이며 대가 없다.
    열매 : 납작한 타원형의 수과가 달리는데 두꺼운 날개가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육질이다. 뿌리는 굵고 지름 2mm정도이며 선단에 몇 개의 인편이 있다.
    분포 : 강원도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Anemone속 식물중 대표적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약관심종]
    평가내용:약관심종 / 국제단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3 : 7 (19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멀꿀

    학명 :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과명 :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속명 : 멀꿀속(Stauntonia)
    이명 : 멀굴멀꿀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두꺼우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폭 2.5~4cm로서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엽병은 길이 6~8cm이며 소엽병의 길이는 3cm 정도 된다.
    꽃 : 꽃은 자웅동주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액생하며 2~4개의 꽃이 길이 3-5cm의 화경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cm 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가을철에 적갈색으로 되고 많은 피목이 있어 거칠다. 꽃받침 잎은 6개이며 바깥 줄 3개는 2c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안쪽 줄 3개는 짧은 선형이다. 꽃받침 잎은 유백색이며 담황색을 띠고 안쪽에 적자색의 선이 있다. 수술은 6개 암술은 3개이다.
    열매 : 장과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10cm로서 10월에 적자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황색이고 으름보다 맛이 좋다. 종자는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약간 편평하고 길이 6-10mm로서 검은색이 나며 열매 하나에 100개 이상 들어 있다. 으름덩굴과 다르게 열매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줄기 : 줄기는 길이가 15m 정도 뻗고 줄기 직경은 6cm 정도 자란다. 일년생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 난다.
    뿌리 : 잔근성이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남부의 난대지역에도 분포한다.
    ▶전남 경남 충남 등 남쪽지방의 표고 700m 이하 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 만경목

    특징 : 맹아력이 왕성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Sci. Nat., Bot. ser. 2, 12: 105 (183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3. No Image

    꾸지뽕나무

    학명 : 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
    과명 : 뽕나무과(Moraceae)
    속명 : 꾸지뽕나무속(Cudrania)
    이명 :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2-3개로 갈라지는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난형인 것이 있다. 갈라지는 잎은 둔두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은 예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6-10cm, 너비 3-6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는 융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25mm로서 털이 있다.
    ▶잎은 모양은 생육장소가 비옥하면 감나무 잎보다 크고 결각도 적으나 바위틈이나 산비탈의 척박지에서 자라는 것은 잎이 작고 결각이 심하며 잎끝이 꼬리처럼 길게 뻗어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핀다. 웅화서는 소화가 많이 모여 달리고 둥글며 황색이고 지름 1cm정도로서 짧고 연한 털이 밀포한 길이 10-12mm의 대가 있다. 자화서는 지름 1.5cm 정도로서 타원형이다. 수꽃은 3-5개의 화피 열편과 4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4개의 화피 열편과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 2.5cm로서 육질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수과는 길이 5mm정도로서 흑색이다. 과육은 달고 식용가능하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으로 벗겨지고 가지에 길이 0.5-3.5cm의 가지가 변형된 가시가 있으며 소지에 털이 있다. 가지에 피목이 발달되어 있고 오래된 수피는 황회색을 띠며 세로로 찢어져 떨어진다.
    뿌리 : 뿌리는 황색이다.
    분포 : ▶중국 일본에도 있다. ▶황해도 이남 해발 100-7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또는 관목.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꾸지뽕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rbret. Segrez. 243 (187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4. No Image

    방망이일엽초

    학명 : Lepisorus uchiyamae (Makino) H.Ito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일엽초속(Lepisorus)

    잎 : 인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긴 돌기가 있다.
    엽병은 대개는 없으나 가끔 5Cm에 달하는것이 있다
    엽신은 길이 5~15Cm 단엽으로 선상피침형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형형으로 포막이 없으며 어릴 때에는 난상 삼각형에서 피침형에 이르는 인편에 덮인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일본 울릉도 제주도 전남화순
    형태 : 상록성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5. No Image

    넉줄고사리

    학명 : Davallia mariesii T.Moore ex Baker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넉줄고사리속(Davallia)

    잎 : 잎은 드문드문 달리고 엽병은 길이 5~15cm로 떨어지기 쉬운 인편이 드문드문 붙는다.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10~20cm 폭은 8~15cm로써 4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첫째 우편이 가장 크며 난상 삼각형이고 각 우편에 대가 있으며 최종열편은 긴 타원형 도는 피침형으로서 나비는 1-2mm이다. 전체적인 느낌이 우아하고 여성적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최종열편의 엽맥 끝에 1개씩 달리고 양쪽 가장자리와 밑부분으로 잎이 달리며 컵 모양이다.
    줄기 : 근경은 직경이 3~5mm이고 갈색 또는 회갈색 인편으로 덮이며 길게 뻗는다.
    뿌리 : 실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남부 및 중부지역에서 자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줄고사리: 상록다년초로 짧은 근경에서 잎이 대생하고 쇠줄같은 포복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털로 덮인 괴경이 달린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Bot. (Oxford) 5 : 201 (18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6)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7)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6. No Image

    나래회나무

    학명 : Euonymus macropterus Rupr.
    과명 : 노박덩굴과(Celastraceae)
    속명 : 화살나무속(Euonymus)
    이명 : 회나무회뚝이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5-12cm 너비 3-7cm이다. 잎의 밑부분은 쐐기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둔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엽병은 길이 5-12mm로서 윗면에 홈이 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다수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3-10cm로 다시 갈라지며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6mm로서 연한 녹색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4수성이고 꽃자루는 길이 3-10㎝이고 소화경은 길이 1.2㎝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9월에 붉게 익으며 넓이 1.0-1.8㎝인 4개의 날개가 있다. 날개의 넓이를 합한 열매의 길이는 1cm 지름은 2.0-2.5cm이다. 종자는 적갈색으로 적황색 종의에 싸여 있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가지는 감자줏빛으로 둥글고 약간 굵다.

    분포 : 전국 깊은 산지의 표고 200-1 900m에 이르는 산록과 계곡에 자생한다. ▶중국과 만주 일본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버들회나무(E. trapococus): 전국의 해발 100-1100m 사이의 산록과 계곡에 자생 나래회나무에 비해 겨울눈이 짧고 둥근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C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5:359 (1857)

    Read More
  17. No Image

    홍노도라지

    학명 : Peracarpa carnosa var. circaeoides (F.Schmidt ex Miq.) Makino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홍노도라지속(Peracarpa)
    이명 : 골도라지골좀도라지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거의 둥글며 밑부분이 원저이고 길이 8-25mm 나비 6-20mm로서 표면에 짧은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이다.
    꽃 : 꽃은 4-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처음에는 위를 향하지만 열매가 자람에 따라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고 길이 4-8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8mm로서 타원형이며 종자는 윤채가 있고 길이 1.5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5-15cm이고 지하경 끝에서 줄기가 나와 자라며 윗부분에 잎이 약간 달리고 털이 없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그 끝에서 줄기가 난다.
    분포 : 제주도 홍노리 근처에 서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Nippon 82: 245 (19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흰그늘용담

    학명 : Gentiana chosenica Okuyam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산구슬붕이 심산구슬봉이좀구실봉이 흰구슬봉이 흰구실봉이
    잎 : 잎은 뿌리 끝에서 총생하여 꽃무늬처럼 비스듬히 퍼지며 난형이고 큰 것은 길이 1.5cm 나비 1.3cm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막질로 되고 잔돌기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경생으로 된다. 경생엽은 대생하고 밑부분이 합생하여 엽초로 되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뒷면 주맥과 더불어 규칙적인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짧으며 윗부분에 점같은 잔돌기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8mm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화관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끝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으며 열편 사이의 부편은 열편보다 다소 짧고 톱니가 다소 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가 화관통속에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5-7cm이고 밑에서 갈라져 총생하며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직근이 있어 길이 6cm 곧추 들어간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형태 : 이년초
    유사종 : 구슬붕이
    특징 : 구슬붕이와 닮았으나 꽃이 희고 습한 고지에 주로 나는 것이 다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9: 131 (194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9. No Image

    좀개불알풀

    학명 : Veronica serpyllifolia L.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잎 : 잎은 대생하지만 상부에서는 드물게 호생한다.
    엽신은 난상 원형, 혹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0.8~2cm,폭 0.7~1cm이며, 엽연은 대부분 얕은 거치가 있으나 드물게 전연이다.
    엽병은 줄기의 하부의 잎에서는 길이 2-3mm이고 상부에서는 없다.

    꽃 : 화서는 줄기 긑에 총상화서로 붙거나 액생하며, 결실기에는 길이 10cm에 달하며 선모가 있고 10-30개의 꽃이 붙는다.
    꽃은 꽃받침 조각은 4개로 깊게 갈라지며,
    화관은 백색으로 청색선이 있거나 청색선이 없는 백색에서 청색까지 다양하고
    드물게 자줏빛을 띄는 붉은 색도 있으며, 길이 2mm, 직경 3mm, 암술대는 길이 2.5mm이다.

    열매 : 삭과는 납작한 아신장형으로 길이 약 2mm 나비 약 3mm이며, 정단은 얕은 홈이 있고 가장자리에 섬모가 있다.
    종자는 편평하지만 양면이 다소 볼록하다. 염색체수는 2n=14이다.

    줄기 : 원줄기는 지상에서 가늘고 길게 뻗으며, 지면에 닿는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줄기의 중부 이상에서 직립하며, 엽액에서 가지가 분지한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상부에는 선모가 있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1 : 12 (1753)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6 : 147 (2006)
    Read More
  20. No Image

    검은구상

    학명 : Abies koreana f. nigrocarpa Hatus.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전나무속(Abies)
    이명 : 검구상나무
    잎 : 잎은 젓나무처럼 생겼으나 끝이 둘로 갈라져 있으며 뒷면은 순백색의 기공조선(氣孔條線)이 발달하여 하얀색을 띤다.
    꽃 : 5-6월에 솔방울처럼 빨강 노랑 분홍 자주 등의 다양한 색깔의 꽃이 생장점에 크기 1-2㎝로 핀다.
    열매 : 8-9월에 검은 색의 구과가 열린다.
    줄기 : 소지는 처음에는 약간 털이 있으며 황색을 띠지만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자색을 띤다. 가지에는 잎이 떨어진 자국이 뚜렷하다. 동아는 난원형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 있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무등산의 표고 500-2 000m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유사종 : ▶푸른구상(for. chlorocarpa T. Lee): 구과의 색이 푸른 것.
    ▶붉은구상(for. rubrocarpa T. Lee): 구과의 색이 붉은 것.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im.): 구상나무에 비해 잎이 좁고 연약하며 배열이 빗처럼 되고 구과의 실편포(實片苞)가 뒤로 젖혀지지 않고 위로 서 있는데 구상나무와 혼생하기도 하며 전국 고산에 자생한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