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산딸나무
학명 : Cornus kousa F.Buerger ex Miquel
과명 : 층층나무과(Cornaceae)
속명 : 층층나무속(Cornus)
이명 : 굳은산딸나무들메나무미영꽃나무박달나무소리딸나무쇠박달나무애기산딸나무준딸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원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5~12cm 나비 3.5-7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잔복모가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복모가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의 톱니가 약간 있으며 맥액에 갈색 밀모가 있고 측맥은 4~5쌍으로 활처럼 굽어지며 엽병은 길이 3-7mm로서 털이 없다.
꽃 : 화서는 소지 끝에 20-30개가 두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5-10cm로서 처음에는 복모가 약간 있으며 총포편은 4개가 사방으로 퍼지고 좁은 난형이며 예첨두 예저이고 길이 3-9cm 나비 2-3cm로서 보통 백색이며 꽃잎처럼 보인다. 꽃은 6-7월에 피며 20~30개가 두상으로 모여 달리고 소화경은 없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취과(聚果)로 둥글며 지름 1.5~2.5cm이고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4~6mm이다. 종자를 싸고 있는 화탁은 육질로 달며 먹을 수 있다.
줄기 : 높이가 7m에 달하며 통직하고 가지는 층을 지어 수평으로 퍼지며 소지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갈색이며 둥근 피목이 있고 재부가 연한 녹색이며 골속은 연한 녹갈색이고 충실하며 수피는 껍질이 벗겨졌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산야에서 자생하고 제주도 한라산에서 표고 1 800m까지 자라나 주로 표고 300-500m에 많이 분포한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미국산딸나무(Corunus florida L.): 꽃잎처럼 생긴 총포편의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풀산딸나무(C. candensis L.): 반관목으로서 상록 초본성이며 높이 5-15㎝이다.
특징 : 백색의 꽃은 十자 모양을 이루고 예수님이 이 나무에서 운명하였다하여 성스러운 나무로 취급되고 기독교인들의 사랑을 받는다. 총포가 넓은 난형인 것을 준딸나무 총포가 꽃이 필때 녹색이고 피침형인 것을 소리딸나무라고 한다. 목재는 재질이 단단하고 굳으며 무늬가 좋고 나이테가 치밀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2:159 (186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산딸기
학명 : Rubus crataegifolius Bung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산딸기속(Rubus)
이명 : 곰딸 긴나무딸기 긴잎나무딸기 긴잎산딸기 나무딸기 산딸기나무 참딸 함박딸 흰딸
잎 : 잎은 난형 또는 광타원형이고 흔히 장상으로 3~5회 갈라지지만 과지(果枝)의 잎은 3개로 갈라지거나 또는 갈라지지 않는다. 잎의 길이 4-10㎝ 폭 3-8㎝이다.열편은 난상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예두 또는 점첨두이며 복거치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갈고리모양의 가시가 있다.
꽃 : 지름 2㎝의 흰색 양성화로서 가지 끝에서 백색으로 5-6월에 피고 산방상이거나 단립으로 정생(頂生) 또는 액생(腋生)한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안쪽에 털이 있고 꽃잎은 5개이고 타원형으로서 7-8mm이고 백색이며 수술은 적갈색으로 다수이다.
열매 : 과실군은 거의 구형(球形)이며 꽃받침에서 분리되고 6-7월에 검붉게 익으며 먹을수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뿌리에서 싹이 나와 군집을 형성하며 줄기는 적갈색으로서 어릴 때는 털이 있고 윗부분에서 긴 가지가 나오며 갈퀴같은 가시가 산생한다.
뿌리 : 뿌리에서 싹이 나오므로 군락을 형성한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수직적으로 표고 50~1 600m 수평적으로 전국 각지의 산야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 아관목
유사종 : ▶긴잎산딸기(var. subcuneatus NAK.) : 잎이 결각이 얕고 긴 타원형이며 거제도 및 제주도에 자란다. ▶섬산딸기(R. takesimensis NAK.) : 원줄기는 길이 4m이고 가시가 없으며 꽃의 지름이 2-3cm이고 엽병과 잎 뒷면 중륵에 갈퀴같은 가시가 없다.
특징 : 산과 들 특히 화전(火田)을 일구었던 곳이나 황폐한 곳에 1차로 침입하였다가 토양이 안정되면 쇠퇴해버린다. 맹아력이 크고 지표면 가까이 있는 가근성 땅속줄기에서 근맹아가 발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t. Petersbourg 2: 98 (1835)
참고문헌 : 1) Manual of Korean Grasses (이영노,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산들쭉나무
학명 : Vaccinium uliginosum var. alpinum Bigelow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산앵도나무속(Vaccinium)
이명 : 들쭉나무멧들쭉나무 묏들쭉나무 산들쭉애기들쭉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미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5-25mm 폭 10-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녹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4mm로서 홍백색이고 전년지 끝에 1-4개씩 달리며 호형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원형이고 지름 6-7mm로서 8-9월에 자흑색으로 익으며 백분으로 덮여 있고 달며 신맛이 있다.
줄기 : 가지는 갈색이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거나 없다.
분포 : 한라산과 강원도 이북
형태 : 낙엽소관목
유사종 : ▶들쭉나무(V. uliginosum L.):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지름은 6-7㎜. ▶굵은들쭉(for. depressum Nakai): 열매가 지름 1.4㎝로서 편구형인 것. ▶긴들쭉(for. ellipticum Nakai): 열매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3㎝인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ost. ed. 2 : 153 (1824)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산들깨
학명 : Mosla japonica (Benth.) Maxim.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쥐깨풀속(Mosla)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1-3cm 나비 7-17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햇볕이 쬐는 부분은 자주색으로 변하며 엽병은 길이 3-10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총상화서로 달리고 포는 난형이며 길이 3-6mm로서 열매가 익을 때의 꽃받침보다 짧지만 밑부분의 몇 개는 보다 긴 것도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7-8mm로 되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길이 3mm로서 통부가 짧고 하순이 약간 크다. 4개의 수술중 2개는 길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1.3mm로서 겉에 불규칙한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10-40cm이며 홍자색이 돌고 둔한 사각이 지며 백색 털이 있고 특히 마디부분에 많으며 향기가 있다.
분포 : 전라도 경상도 및 경기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푸른산들깨 (var.robusta OHWI) : 줄기가 크고 녹색이며 퍼진 털이 다소 밀생하고 성숙한 꽃받침의 길이가 6mm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0 : 461 (187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산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thunbergii Morr. & Decne.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둥굴레속(Polygonatum)
이명 : 산퉁둥굴레
잎 : 잎이 대나무와 유사하다. 호생엽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지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로서 엽병이 없다. 잎 뒷면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의 중간부분부터 1-2개씩 엽액에 달리고 길이 20-25mm로서 밑부분은 백색 윗부분은 녹색이며 소화경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화경(花莖)으로 된다. 6개의 수술이 통부 윗부분에 붙고 수술대에 잔돌기가 있으며 꽃밥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같다.
열매 : 꽃이 지면 둥근 장과를 맺으며 9-10월경에 흑숙(黑熟)한다.
줄기 : 높이 30-60cm정도이며 6줄의 능각이 있고 끝이 처지며 육질의 근경은 점질이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가 곧게 서는데 윗부분으로 가면서 약간 구부러지고 가지는 없다.
뿌리 : 뿌리는 대나무처럼 옆으로 뻗으며 굵은 육질로 황백색을 띠고 단맛이 있다. 근경에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잎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글레 (var.maximowiczii KOIDZ.) ▶잎은 길이 16㎝ 폭 5㎝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글레 (P.koreanum NAK.)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글레 (P.robustum NAK.)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Sc. Nat. Bot. ser. 2, 2; 312 (183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
No Image
산두
학명 : Oryza sativa var. terrestis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벼속(Oryza)
이명 : 밭벼
잎 : 잎은 길이 30㎝ 나비 3-5㎜로서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고 엽설은 2개로 갈라진다.
꽃 : 원추화서는 꽃이 필 때는 곧추서지만 익을때는 밑으로 처지며 많은 소수가 달리고 소수는 가지에 호생하며 짧은 대가 있고 1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은 퇴화되며 호영과 내영이 발달하고 호영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6㎜정도이고 좌우에서 편평해지며 짧은 털이 있고 까락이 없는 것과 있는 것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비슷하고 수술은 6개이다.
분포 : 밭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초본이다.
유사종 : 벼 찰벼
특징 : 밭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산동쥐똥나무
학명 : Ligustrum acutissimum Koehn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쥐똥나무속(Ligustrum)
이명 : 산쥐똥나무
잎 : 잎은 대생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형 첨두 또는 점첨두로서 끝이 매우 뾰족하고 예저 또는 넓은 예저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거나 맥위에 잔털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중륵 이외에도 털이 다소 있고 엽병은 길이 1-2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흰색이며 원추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좁으며 길이 2~5cm로서 털이 있고 화관은 길이 7-8mm이며 꽃밥은 화관열편의 중앙에 달한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고 길이 8-9mm로서 9-10월에 벽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가지가 퍼지며 소지에 털이 있다.
분포 : 충청 북도 속리산 전라 남도 거문도 경상 남도
형태 : 낙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stsch. Siebold Geburtst. Paul Ascher. 192 (190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산돌배
학명 : Pyrus ussuriensis Maxim. var. ussuriensis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이명 : 돌배 산돌배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4-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 털이 없다.
꽃 : 꽃은 5-7개씩 산방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고 화관은 지름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3-4cm로 8-10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소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중국과 일본 우수리강 주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 또는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문배나무(var. seoulensis) : 꽃이 큰 것.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Uyeki)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청실리(var. ovoidea Rehder) : 열매가 난상 원형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C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5: 132 (185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산당화
학명 :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명자나무속(Chaenomeles)
이명 : 가시덱이 당명자나무명자꽃 자주해당잔털명자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銳頭) 예저(銳底)이며 (풀명자나무는 둔거치가 있고 잎끝이 둔두 또는 예두이다)길이 4-8cm 폭 1.5-5cm 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나 있고 엽병이 짧으며 탁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 : 꽃은 단성화로 지름 2.5-3.5㎝이며 짧은 가지에 1개 또는 여러개가 달리며 웅성화의 자방은 여위고 자성화의 자방은 살이 찌며 크게 자라고 소화경이 짭다. 꽃은 4월에서 5월까지 계속 피고 꽃받침은 짧으며 종형 또는 통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원두이고 꽃잎은 5개로서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밑부분이 뾰족하고 백색 분홍색 빨강색의 3가지 색이 조화를 이룬다. 수술은 30-50개이고 수술대는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5개이고 밑부분에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으로 모과를 닮았으며 크기 10cm정도로서 가을에 누렇게 익으면 속은 딱딱하나 신맛이 나는 향기가 있다.
줄기 : 가지는 비스듬히 서며(풀명자는 줄기가 지면 가까이 눕는다) 수피는 암자색이며 소지에 가시가 있다. 어린 가지에는 큰 탁엽이 있으나 일찍 떨어진다.
분포 : 경상도와 황해도 이남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이른봄에 진분홍색으로 피는 꽃은 화려하지는 않으나 은은하고 청초한 느낌을 주어 `아가씨나무`라고도 한다. 생장이 빠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4: 331 (1929)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산당근
학명 : Daucus carota L. subsp. carota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당근속(Daucus)
이명 : 갯당근 당근
잎 : 잎은 장타원형으로서 2~3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우상이거나 우상전열이며 절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15mm 너비 0.5?4mm이다. 털이 없는 것에서부터 엽맥과 잎 가장자리에 강모가 있는것 까지 다양하며 예두 혹은 급첨두이다.
꽃 : 꽃자루(화경)는 10?55 cm이며 아래를 향한 강모로 덮여 있고 포는 엽상이며 우상이고 드물게 전연이다. 잎의 열편은 선형으로서 길이 3?30 mm 가장자리는 막질이고 소포엽은 5~7 mm로서 선형이고 전연이거나 2~3개의 우상으로 갈라져 있다. 꽃잎(화판)은 백색 황색 자주색이다.
열매 : 열매는 3~4개이며 길이 약 2 mm이다.
뿌리 : 주근은 가늘고 분지하며 목질이고 대개 갈색이다.
분포 : 중국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유럽.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산달래
학명 : Allium macrostemon Bunge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이명 : 달래 달룽게 돌달래 들달래 원산부추 큰달래
잎 : 잎은 2~9개이고 선형으로 길이 20~30cm 나비 2~3mm이며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화경을 둘러싸고 밀랍분이 있으며 단면은 반원형으로 중공이고 표면에 홈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산형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15~20mm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4~6mm이며 수술과 암술대는 화피보다 몹시 길고 화서중의 1부 또는 전부가 살눈으로 변한다. 화경은 곧추서며 높이 40~80c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인경은 구형으로 지름 1.2~1.5cm이고 포지 끝에 새로운 인경이 생기며 백색 막질로 덮여 있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몽고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고온기에 휴면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Sav. Etr. Acad. Petersb. 2: 139 (183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산단풍나무
학명 : Acer pseudosieboldianum var. ishidoyanum Uyeki
과명 : 단풍나무과(Aceraceae)
속명 : 단풍나무속(Acer)
이명 : 산넓은잎단풍산단풍
잎 : 잎은 대생하고 원형이며 장상으로 9~10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은 심장형이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결각상 겹톱니가 있고 기부의 열편은 서로 포개지며 엽병은 홍색을 띠고 흰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 : 꽃은 5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산방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 수술은 8개이다.
열매 : 과실은 시과로 홍색을 띠고 날개는 타원형이며 예각으로 벌어지고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며 어린가지는 홍색을 띠나 뒤에 분백으로 덮인다.
분포 : 경남(지리산) 강원(금강산) 평북(백벽산) 함남(신흥) 함북(명천 경성 나남)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산닥나무
학명 :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과명 :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속명 : 산닥나무속(Wikstroemia)
이명 : 강화산닥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1.5~6.0m 나비 1~3cm로서 막질이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톱니가 없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황록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2mm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길이 2-15mm로서 황색 꽃이 7~15개 어린 가지 끝에서 핀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꽃받침통은 길이 7-8mm이며 꽃받침잎은 4개로 털이 없다.8개의 수술이 2줄로 배열되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도란형으로서 대가 있다.
열매 : 장과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5-6mm로서 털이 없으며 짧은 대가 있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몇 개로 갈라져 자라고 잔가지가 많은데 수피는 황갈색이며 소지는 털이 없고 가늘며 적갈색이다.
뿌리 : 굵은 편으로 황색이고 섬유질이 많다.
분포 : 강화도나 진도 진해 남해도에서 자란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강화산닥나무(W. insularis Chung): 화수가 길다.
특징 : 고급 제지원료로 사용하던 식물이다. ▶남해의 산닥나무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152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면적:9 917㎡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산냉이
학명 : Cardamine prorepens Fisch. ex DC.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냉이속(Cardamine)
이명 : 누은산냉이 산황새냉이 큰싸리냉이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도란형으로 우상으로 굵게 갈라진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는 이저로서 원줄기를 반정도 감싸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며 표면은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자줏빛이 돈다.
꽃 : 5-6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황색 십자화가 많이 달리고 4개씩의 꽃받침잎과 꽃잎이 있으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수술 6개 중 4개는 길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서 길이 3cm정도이고 능선이 발달하며 목질이고 곧게서서 잘 터지지 않으나 2조각으로 갈라진다. 종자의 길이가 약 2mm이며 둘레는 푸른색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2: 258 (1821)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
No Image
산꿩의밥
학명 : Luzula multiflora Lej.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꿩의밥속(Luzula)
이명 : 산꿩의밥풀
잎 : 근생엽은 길이 6-15㎝ 나비 2-5mm로서 가장자리에 긴 백색 털이 있고 끝이 굳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로서 화서 밑에 긴 포가 있고 작은 두상화서는 5-10개이며 지름 6mm로서 15개 정도의 꽃이 들어있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넓은 피침형으로 적갈색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수술대보다 길거나 같다
열매 : 열매는 짙은 갈색이고 길이 2.5-3mm로서 화피보다 길며 종자는 길이1.3mm로서 넓은 타원형이고 종침은 짧으며 뚜렷하지 안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총생하고 전체에 털이 많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꿩의밥과 비슷하지만 1개의 큰 두상화서 대신 여러개의 작은 두상화서가 달린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pa. 1: 169 (181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4)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5)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6)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산꽃다지
학명 : Draba glabella Pursh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꽃다지속(Draba)
이명 : 구름꽃다지 들꽃다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이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황색이고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꽃잎은 넓은 주걱형이며 길이 2mm정도이고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각과는 긴 타원형이고 다소 수평으로 달린다.
줄기 : 높이가 7cm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관모봉(표고 2 400m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가지산꽃다지(구름꽃다지)-(var.ramosa POHL et BUSCH) : 원줄기가 밑부분에서부터 여러개로 갈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ib & Orient. Extr. 25: 356 (19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산꽃고사리삼
학명 : Sceptridium japonicum (Prantl) Lyon
과명 :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속명 : 고사리삼속(Sceptridium)
이명 : 산고사리삼 산꽃고사리큰고사리삼 큰산고사리삼
잎 : 1개의 잎이 나와 2개로 갈라져서 1개는 포자낭이 달리는 실엽으로 되고 1개는 나엽으로 되며 높이 30-50cm로서 엽병과 우축(羽軸)에 잿빛이 도는 긴 털이 있다. 나엽은 삼각상 오각형이고 3개의 우편으로 갈라지며 길이 10-20㎝ 너비 15-25㎝로서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최하우편이 가장크고 긴 대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세장하고 대가 없어지며 주맥으로 흘러서 좁은 날개처럼 된다. 頂裂片은 끝이 뾰족하고 넓은 타원형이며 너비가
열매 : 포자엽은 영양엽보다 길며 9-10월에 익고 포자낭 겉에 옴같은 돌기가 있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여름 동안에는 말랐다가 9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자라는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Gaz. 40:457 (1905)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참고문헌 : 1)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No Image
산꼬리풀
학명 :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긴잎자주꼬리풀 꼬리풀 북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5~10cm 폭 1.5~2.5cm로서 뒷면 맥 위에만 굽은 털이 다소 있으며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벽자색이고 총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10~20cm로서 연한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통부가 짧으며 지름 8mm로서 윗부분이 4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수술은 2개이며 꽃밥은 흑자색이다.
열매 : 열매는 편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가지가 거의 없으며 굽은 털이 산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Fac. Sci. Univ. Tokyo sect. 3, Bot. 7: 142 (195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산꼬리사초
학명 : Carex shimidzensis Franc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산이삭사초 섬방울사초 성인봉사초 참뚝사초
잎 : 잎은 편평하며 나비 4-10mm로서 3맥이 뚜렷하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육계색(肉桂色)이고 중륵이 없으며 다소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소수(小穗)는 3-6개가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처지며 정소수(頂小穗)는 끝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지만 때로는 수꽃만 달리는 것도 있고 길이 4-7cm이다.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때로는 수꽃이 끝에 달리며 길이 3-13cm 폭 5mm 정도로서 원주형이고 첫째 소수는 기대가 있어 특히 떨어진다. 1-3개의 포는 잎같으며 화경(花莖)보다 길고 엽초가 없으며 자화영은 난형 예두로서 볏짚색이고 길이 3mm이다. 암술대는 곧으며 끝이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갈며 비스듬히 달리고 길이 2.5~3mm로서 좁은 난상 렌즈형이며 맥이 거의 없고 녹갈색 바탕에 갈색 반점이 있다. 부리는 짧으며 약간 젖혀지고 끝부분은 백색 막질로서 약간 파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으며 길이 1.5mm로서 넓은 난상 렌즈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40~80cm이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울릉도 제주도 및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Philom. Paris. 8 ser. 7: 33 (189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산기장
학명 : Phaenosperma globosa Munro ex Bent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산기장속(Phaenosperma)
이명 : 산기장풀 황새피
잎 : 잎은 길이 30-50cm이지만 근생엽은 길이 60cm 나비 2-3cm이며 2줄로 배열되고 잎이 뒤집혀서 표면과 뒷면이 바뀌며 뒷면에 흰빛이 돌고 엽설은 길이 5-10mm로서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30-50㎝이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윤생하지만 윗부분에서는 1-2개씩 달린다. 소수는 길이 4㎜정도이며 대에서 잘 떨어지고 녹색으로서 피침형이다. 포영은 밑부분에서부터 2/3mm정도가 합쳐지며 첫째 것은 길이 2.5-3mm로서 1맥이 있고 둘째 것은 길이 3.5-4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둔두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윤채가 있고 3맥이 있으며 내영은 보다 짧고 2맥이 있으며 절두이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열매 : 영과는 거의 둥글고 길이와 지름이 각 2.5-3mm이다.
줄기 : 높이 1-1.5m이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짧고 털이 없다.
분포 : 전남 및 경남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19(115-116): 59-60. (188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