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사향엉겅퀴

    학명 : Carduus nutans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arduus)

    잎 : 옆은 어긋나며 길이는 4-12 cm 이고 긴타원형에서 피침형이며 우상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그 가장자리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게 발달하고 밑 부분은 잎자루 없이 줄기로 이어져 약간 감싸고 거의 털이 없다
    꽃 : 두상화서는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는데 대개 고개를 숙이며 간흑 액생하기도 하고 구형이며 지틈이 3-4 cm 정도이다.
    통상화인 꽃은 자주색이며 길이가 15-25 mm이고, 총포편은 길이 10-20 mm 너비 2-5 mm로 피침형이며 끝이 매우 뾰족하고 여러 층으로 달려 두상화서를 완전히 감싼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며, 종자는 길이가 3-5 mm 이고 관모는 은갈색이며 길이는 12-22 mm이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고 1 m 정도 크며 줄기에는 지틈 5-10 mm 정도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발달한 날개가 있는데 기부부터 있으나 꽃차례 가까이에는 흔적만 있다.

    분포 : 양평군 남양주군 서울특별시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분포
    형태 : 윌년초.
    유사종 : 지느러미엉겅퀴 : 두화는 지름이 15-25 mm 이고 2-4개가 모여 탈리고 직립하며, 총포편은 7-8층이 달리는데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고 기부 바로 위가 좁아지지 않으며 화관의 길이는 12- 15 mm이 다
    특징 : 두화는 지름이 30-60 mm로 보다 크고 대개 하나씩 달리며 고개가 아래로 처지고, 총포편은 긴피침형으로 기부 바로 위가 좁아지며,
    화관은 길이가 15-25 mm로서, 긴 특정으로 확실하게 구별된다
    식물체에서 독특한 냄새가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821 (1753)
    참고문헌 : 1) Korean J. Pl. Taxon. 38 : 188 (2008)
    Read More
  2. No Image

    큰키다닥냉이

    학명 : Lepidium latifolium L.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다닥냉이속(Lepidium)

    잎 : 잎은 두껍고 약간 광택이 있으며 엽신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으로 기부는 좁아지고 끝은 둔하며 가장자리는 대개 예거치 혹은 둔거치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털이 없거나 구부러진 털이 약간 있다
    기부의 3-4 개 가량의 잎은 길이가 약 20 cm로 엽신과 자루의 길이가 비슷하고 위로 갈수록 잎자루는 줄어들어 거의 무병이 되며 정단부의 엽신의 길이는 약 3 cm정도가 된다

    꽃 : 꽃차례는 짧은 산방화서로 꽃이 밀집하여 달린다. 꽃은 5-7월에 피고 지름이 2mm 정도 이며 백색이고, 수술은 6개이며, 꽃받침잎은 4장으로 광타원형에서 원형이고 화피길이의 1/2 가량이며, 꽃잎은 4장으로 거의 원형으로 기부는 자루모양으로 좁아진다.
    열매 : 열매는 단각과로 좁은 격막방향으로 편평하며 길이가 2 mm정도이고 끝은 오목하다. 주두는 원반모양으로 거의 자루가 없다 열매자루의 길이는 4-5 mm 이다.
    각 실에 한 개씩의 종자가 있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너비 0.5 mm, 길이 0.7 mm 정도이다.

    줄기 : 전체 키는 40-150cm이고 탤이 없거나 약간 있다. 줄기는 직렵하고 위쪽에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기부는 약간 목질이기노 하며 분록색이 돌기도 한다.

    분포 : 북미 오스트레임리아, 동아시아에 귀화되어 전 세계석으로 분포
    서울 난지도 경사면에 넓게 분포

    형태 : 여러해살이 풀

    특징 : 유사 분류군과는 키가 1m로 월등하게 크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644 (1753)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8 : 193 (2008)
    Read More
  3. No Image

    진홍토끼풀

    학명 : Trifolium incarnatum 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토끼풀속(Trifolium)

    잎 : 잎은 3출엽, 소엽은 도란형 내지 도심장형으로 다양하며 길이 1-3 cm 니비 1-2 cm이고, 잎의 끝은 원형 또는 요형이며, 잎의 밑부분은 넓은 쐐기꼴이고 거치는 중간 위쪽에만 있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5-70 mm 로 상부의 잎을 제외하고 길다.
    꽃 : 꽃차례는 수상화서이고 짧은 원주형이나 난헝에서 장타원형, 원주형까지 다양하며, 길이 2.4- 5.2(1.5-6)cm, 지릅 1-2.2 cm 이고, 다수의 꽃이 밀착하여 붙는다 꽃은 4-7월에 피고,진흥색, 길이 O.9- 1.2(- 1.5)cm 이고. 위를 향하여 달리며, 후에 개출되며, 기판은 다른 4개의 조각보다 길고,꽃잎의 끝은 가늘어져 좁은 삼각각형을 이루며, 꽃받침은 통부 길이가 1.5←5 mm이고 10맥이 있으며 털로 덥이고, 꽃받침열편은 좁은 삼각형으로 통부보다 길며 5개이고 길이가 모두 같으며, 꽃자루는 없다.
    열매 : 열매는 협과,타원형으로 길이 3-4 mm, 한 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4- 33( -60)cm이고 엷은 황갈색의 연모가 있다.

    분포 : 제주도 제주시 정실시역과 우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시오름,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벽교리
    아프리카와 서아시아,일본

    형태 : 일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769 (1753)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8 : 340 (2008)
    Read More
  4. No Image

    유럽조밥나물

    학명 : Hieracium caespitosum Dumort.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조밥나물속(Hieracium)

    잎 : 근생엽은 10개 내외이고 도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 중간 윗부분이 넓으며 길이 3.7- 10.8(- 25)cm, 너비 0.9- 1.6(-3) cm로 가장자리는 거의 전연이나 드문드운 치아상 톱니가 있고, 양면에 긴 강모가 드운드문 나있다.
    경생엽은 1 -2개이고 선형 또는 타원상피침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없고, 잎의 밑 부분이 줄기를 약간 싸며 붙는다.

    꽃 : 두화는 5- 9월에 피고, 8-31개 짧은 화경에 복상방상으로 달리며, 노란색,설상화만 있고, 총포는 길이 4-8 mm로 검은색의 강모와 션상모가 있으며, 외총포편은 내총포편에 비해 2배정도 크다.
    열매 : 열매는 수과, 진한 적자색이여, 길이 1-l.5( - 2) mm로 능선이 10줄 있고, 작온 돌기가 있으며, 끝에는 관모가 달린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며하며 긴 백색 털이 밀생하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오며, 1 내지 수개, 길이 28-74.6(25-200)) cm이다.
    뿌리 : 지하경과 짧고 질긴 포복경이 있다
    분포 : 강원도 양구군 해안연 현3리 도솔산
    스웨덴 캐나다 이국 북부 부터 누밸카레도니, 미국 전반과 남동부주 일본까지 넓게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elg. 62 (Dumort., 1827)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8 : 334 (2008)
    Read More
  5. No Image

    삼잎구와가막사리

    학명 : Bidens radiata Thuil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도깨비바늘속(Bidens)

    잎 : 잎은 주로 3개로 갈라지며, 크기 는 약 6-50 x 1-28 mm이다. 엽병은 없거나 약 1-9mm 이고, 날개가 있다
    열편은 1 -5개이고 너비가 좁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다.
    끌부분은 예두이며, 밑부분은 유저이다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톱니상, 간혹 예거치이다.

    꽃 : 화서의 크기 는 약 6.9- 16.0 x 4.9-8.0mm이나 외총포편은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11개 내외이다. 크기는 8.5- 11.6 x 1.8- 1.8 mm 이고, 가장자리에 다세포모용이 있다. 내 총포편은 난형, 장타원형이며 크기는 5.2-6.7 x 0.4 - 2.5 mm이다.
    혀꽃은 없다.
    통꽃은 4개로 갈라지여 화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통꽃은 3갈례이다. 통꽃은 모용이 없으며 크기는 2.3- 2.7 x 0.7- 0.8mm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고 까끄라기를 제외한 크는3.7-5.3 x 1.8-2.4 mm이다 까끄라기는 2개이며 길이는 2.3-2.9mm이다. 제(hilum)에는 환형의 테두리가 없다.
    강모는 3줄이고 모용은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전부 아래를 향한다.



    분포 : 한국(함경남도 부원고원),스칸다니비아, 중앙아시아,일본, 중국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구와가막살이 : 잎은 1회우상복엽이고, 열편은 장타원형이다.
    특징 : 잎은 주로 3갈래이며 ,열편은 피침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Env. Paris, ed. 2, 422 (Thuill., 1799)

    Read More
  6. No Image

    나도민들레

    학명 : Crepis tectorum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나도민들레속(Crepis)

    잎 : 잎은 끈생엽과 경생엽이 있는데 근생엽은 길이 10-15 cm, 나비 4 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착한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있고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좁아져 나비 1 cm 내외로 되며 가장자리가 전연이고 뒤쪽으로 말리며 잎자루는 없고 기부는 줄기릎 둘러싼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노란색이고, 줄기 위쪽이 여랴 갈래로 갈라져 그 끝에 달라며,
    두상화서는 지름이 2 cm정도이고 설상화로만 이루어졌으며, 총포는 길이 6-9 mm이고, 내편은 12-15 개로 털이 많고,
    외편은 길이가 내편의 1/3← 1/2 이며 털이 많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종자는 길이 3.5 mm이며, 위쪽이 좁아지고 적갈색~자갈색이며 능선이 10줄 있고 작은 톨기가 있어 꺼끌꺼끌하고 끝에 관모가 달린다
    줄기 : 줄기는 백색 털이 있고 흰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 곧다.
    분포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및 상진부리
    형태 : 한해살이 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807 (1753)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5 : 206 (2005)
    Read More
  7. No Image

    긴털비름

    학명 : Amaranthus hybridus L.
    과명 : 비름과(Amaranthaceae)
    속명 : 비름속(Amaranthus)

    잎 : 잎은 길이 3-10 cm, 나비 1.5-4 cm이고, 마름모꼴의 타원형이며 대부분 중앙부에서 위쪽이 약간 넓고,
    잎끝은 예두에서 둔두이나 간흑 요두이고, 밑부분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는 전연이고,
    털은 없지만 간흑 있기도 하며, 잎자루는 길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리거나 액생 하는데, 줄기 끝에 달리는 꽃차례는 원주형으로 바로 서며 길이 3-14 cm,
    너비 11-16 mm 정도이고 분지하지 않으나 간혹 기부의 짧은 가지가 몇 개 갈라지기도 하며,
    옆에 달라는 꽃차례는 원주형이거나 두상으로 짧고 갈라지지 않는다. 소포는 길이 5-6 mm로
    화피의 2배정도이고, 피침형이며 예첨두이다.
    화피편은 장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예첨두이고,길이 1.5-3 mm이며 5개이나 간흑 3개이기도 하고, 길이가 조금씩 다르며, 수꽃에는 3-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화피편과 길이가 거의 같고, 가로로 열린다. 종자는 1 개씩 들어 있고,
    지름은 1?1. 3 mm 이며 검은색이고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는 바로 서고, 털이 없거나 위쪽에만 드물게 난다.

    분포 : 중부 및 남부 제주도지방까지 비교적 널리 분포하고 있다.
    형태 : 한해살이 풀
    유사종 : 털바름은 잎에 연모가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고,화피편이 열매보다 길이가 길고, 꽃차례는 굵고 짧은 반면, 본 종은 잎에 연모가 거의 없고,화피편과 열매의 길이가 거의 같으며, 꽃차례가 분지하고 않고 갈게 발달하는 차이점이 었다

    가는털비름과의 차이점은 가는털비름은 화피편의 길이가 열매의 길이보다 짧고 잎에 털이 성기게 나고 분지된 꽃차례가 보다 길어 줄기의 끝에 있는 꽃차례가 전체적으로 긴털비름과 비교하여 보다 굵게 보인다.
    종자의 지름도 1-1.3 mm로 가는털비름에 비해 약간 크다.
    특히 일부 학자들은 본 종을 가는털비름의 변이 범주에 포함 시켜 동일 종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하지만 두 종 간에는 화서를 비롯한 종자, 털의 정도에 따라 뚜렷한 종의 차이가 인식되어 별도의 종으로 처리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청비름과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청비름은 열매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고, 옆의 모양이 삼각상 난형으로 보다 크고 꽃차례가 보다 성기게 달라는 반면, 본 종은 열매가 약어 가로로 별어지고, 잎은 둥근 마름모꼴의 타원형이며 꽃차
    례는 가늘고 갈지만 청비름보다는 조밀하게 달린다

    특징 : 털비름 (A. retr째ex따 L.)과 청비름 (A. viridis L.)의 잡종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상딩수의 표본이 본 종을 털비름 또는 가는털비름으로 오동정 되어 였다.
    하지만 본 종은 앞의 두 종에 비해 개화기가 늦은 편이어서 보동 9윌에서 10윌에 걸쳐 개화하여 개화시기
    만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단 본 종이 널리 퍼져있는 일본의 경우에는 6윌부터 개화하기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990 (L., 1753)

    Read More
  8. No Image

    광릉갈퀴

    학명 : Vicia venosa var. cuspidata Maxim.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광능갈퀴 광능갈키 광릉갈퀴나물 광릉말굴레풀선등갈키선등말굴레풀
    잎 : 잎은 호생하고 3-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으로서 덩굴손이 짧은 돌기같은 흔적으로 된다.
    소엽은 피침형이며 길이 2-6cm 나비 8-10mm로서 끝이 점차 가늘어지고 미부분이 둔하며 탁엽은 삼각형 비슷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길이 2-4cm로서 긴 화경 끝에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꽃은 6-7월에 피며 길이 12-15mm로서 홍자색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얕게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3cm정도의 협과이다.
    줄기 : 높이 80-100cm이며 곧추 자라고 네모진 원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약간 짧은 털이 있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2: 445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9. No Image

    등갈퀴나물

    학명 : Vicia cracca 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등갈키나물 등말굴레등말굴레풀
    잎 : 잎은 호생하며 8-12쌍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우수우상복엽으로서 길이 8-15cm 넓이 2-6cm이고 끝에 여러갈래의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15-30mm 넓이 2-6mm로서 양끝이 좁고 측맥과 주맥과의 각도는 30˚정도이며 측맥은 가늘고 명확하지 않으며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가는 털이 있으며 회록색을 띤다.
    탁엽은 2개로 갈라지고 피침형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7-40개의 남자색 접형화(蝶形花)로 이루어진 총산화서가 액생하며 화서는 화경과 더불어 길이 6-15cm이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
    꽃은 길이 10-12mm이고 꽃받침은 통형이며 끝에 꽃받침통보다 짧은 열편이 있다.

    열매 : 협과는 장타원형으로서 길이 2-3cm 넓이 6-7mm로서 다소 부풀고 털이 없으며 흔히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길이 80-150cm정도 자라고 원줄기에 능선과 더불어 잔털이 있다.
    뿌리 : 뿌리가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덩굴성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황기

    학명 : Astragalus mongholicus Bung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황기속(Astragalus)
    이명 : 노랑황기단너삼도미황기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6-11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 : 꽃은 길이 15-18mm 엷은 황색으로 7~8월에 피고 총상화서로서 액출(腋出)한다.
    화경이 길며 꽃이 다수이고 밀착하며 한쪽으로 몰려난다. 소화경은 길이 3mm 이다.
    꽃받침은 길이 5mm 나비 4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mm정도이고 수술은 10개로서 양체로 갈라진다.

    열매 : 협과(莢果)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2~3cm이고 광택이 약간 있다.
    줄기 : 전체에 약간의 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 : 뿌리를 황기라 한다.
    분포 : 동부시베리아 만주에 분포한다.
    각지에서 재배하며 경북(울릉도) 강원 함남(부전고원) 함북(관모봉)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자주황기(A. dahuricu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China. 10 (Fabaceae) (2010) ()
    Mem. Acad. Imp. Sci. Saint Petersbourg, Ser 7 11 : 25 (1868)


    Read More
  11. No Image

    아구장나무

    학명 : Spiraea pubescens Turcz.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이명 : 물참대 아구장조팝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3-4㎝로서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나 간혹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표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은 밀모가 있으며 회록색이고 엽병은 길이 2-3mm이다.
    꽃 : 꽃은 5월경에 피며 지름 5-8mm로서 백색의 양성화이고 새가지 끝에 15-20개의 꽃이 산형화서에 달리며 화서에 털이 없고 소화경은 길이 0.7-1.2cm이다. 꽃받침잎은 곧으며 꽃잎은 5개로 수술과 길이가 거의 같다.
    열매 : 열매는 4-5개의 자방으로 되어 있는 골돌로서 복봉선(腹縫線)을 따라 털이 있고 끝에 돌기가 있으며 8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는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소지에는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100-1 500m 사이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초평조팝(var. leiocarpa NAK.): 잎에 털이 적고 자방에 털이 없다
    ▶설악아구장(var.lasiocarpa NAK.): 열매의 뒷면에 오랫동안 긴 털이 남아 있고 果序(과서)에 털이 없다.

    특징 : 천연하종 발아가 되어 안정된 식생을 이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at. Mosc. 5 : 190 (18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왜광대수염

    학명 : Lamium album L.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광대나물속(Lamium)
    이명 : 광대수염 긴잎털광대수염말광대수염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5~8cm 나비 3~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다소 심형이며 가장 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위쪽의 잎짬에 윤산화서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5열하고 열편은 3각상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통상 순형이고 상순은 활모양으로 굽으며 털이 밀생하고 하순은 3열하여 밑으로 향하며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이며 종자는 4면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네모지며 전주에 털이 있다.

    분포 : 전남 경남(해인사) 강원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 시베리아 몽고 히말라야 코카사스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5)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13. No Image

    큰별꽃

    학명 : Stellaria bungeana Fenzl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별꽃속(Stellaria)
    이명 : 산별꽃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4~8cm 나비 2~3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연모가 있고 양면 중륵에 종종 연모가 있으며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엽병은 밑쪽의 잎은 있으나 위쪽의 것은 없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며 약간 대형의 취산화서를 이룬다. 화경에는 털과 선모가 있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길다. 꽃받침조각 꽃잎은 각 5개 수술은 10개 화주는 3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구형이고 종자는 신원형으로 암갈색이며 짧은 원주형의 돌기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밑에서 가지치고 한줄기 연모가 있다.

    분포 : 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사할린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ross. 1: 376 (184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물앵도나무

    학명 : Lonicera ruprechtiana Regel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인동속(Lonicera)
    이명 : 물괴불나무 털괴불나무 털괴뿔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도란형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에 융모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5-8mm로서 융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2cm로 잔털이 있고 곧으며 2개의 꽃이 달리고 포는 가늘며 선형이고 길이 2cm정도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털이 있으며 소포는 난형이고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화관은 길이 1.5-1.8cm로서 통부는 짧고 겉에 털이 없으며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고 기부가 사마귀처럼 되며 상순이 중앙까지 갈라진다.
    수술은 꽃잎보다 짧고 수술대는 암술대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자방은 서로 떨어져 있고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며 지름 5-7mm이고 9-10월에 홍색 또는 황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가지의 골속은 비었고 소지에 융모가 있다.

    분포 : 평안도 및 함경도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tenfl. 19 : 68 (187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왕느릅나무

    학명 : Ulmus macrocarpa Hance
    과명 : 느릅나무과(Ulmaceae)
    속명 : 느릅나무속(Ulmus)
    이명 : 큰잎느릅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15.5cm 폭 2-9cm로서 급첨두(急尖頭)이며 이그러진 예저(銳底)거나 심장저이며 양면이 모두 거칠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예리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3-6m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8-16쌍의 측맥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묵은가지 엽액에 5-9송이씩 모여 붙고 길이 15mm의 양성화이며 화피는 4-5갈래이고 녹색이다.
    수술은 4-5개로서 꽃밥은 누른빛이 도는 장미빛이다. 암술은 1개이고 자방하위이며 주두는 2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서 타원형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2-3cm 폭 2-3cm이며 전체에 단모와 더불어 선모가 있고 5-6월에 익는다. 종자는 날개의 아랫부분에 가깝게 있다.
    줄기 : 수피는 회흑색이며 얕게 세로로 갈라지고 소지는 연한 황갈색이거나 홍갈색으로 거센 털이 있으며 가지에는 코르크질의 날개가 있다.
    뿌리 : 많은 신생근이 잘 생긴다.
    분포 : ▶중국 몽골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중부이북(단양과 화천 이북 평북 함남 강원도 화천저수지 부근)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당느릅(Ulmus davidiana Planchon): 열매에 잔털이 있다. ▶혹느릅(for. suberosa Nakai): 가지에 갈색의 코르크질이 잘 발달되어 있다.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var. coreana Uyeki): 잎에 단거치가 있고 잎 양 면에 털이 없다. 꽃은 9월에 핀다. ▶민느릅(var.laevigata): 소지에 털이 없고 잎 표면에 광택이 있다. ▶난티나무(U.laciniata Mayr): 잎의
    특징 : 북반구의 온대에 약 20종 우리 나라에는 6종 1변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Bot. 6: 332 (186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16. No Image

    가는쑥부쟁이

    학명 : Aster pekinensis (Hance) Chen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참취속(Aster)
    이명 : 가는쑥부장이가는잎쑥부장이가는잎쑥부쟁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40mm 나비 4-6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양면에 짧은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뒤로 말리고 가지의 잎은 선형으로서 점차 작아진다.
    꽃 :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지름 2cm이며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4mm 지름 7-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피침형으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1mm 나비 2.5mm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2mm 나비 1.5mm로서 선점이 있고 관모는 불완전하며 길이 1/4-1/2mm이다. 열매는 10-11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Fan Mem. Inst. Biol. 5: 41 (1934)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Read More
  17. No Image

    들떡쑥

    학명 :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솜다리속(Leontopodium)
    이명 : 들괴쑥들솜다리 산푸솜나물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 중앙부의 잎은 선형 이고 엽병이 없으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설저로서 다소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4.5cm 폭 4.5m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면모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 면모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거나 파상이다. 근생엽은 2-4개로서 경생엽보다 작으며 표면에 축모(縮毛)가 밀생한다.
    꽃 : 꽃은 7-8월에 황갈색으로 피며 이가화 또는 잡성화이고 두화는 1-4개가 모여 달리며 때로는 짧은 화경이 있고 자성두화(雌性頭花)에 때로 수꽃이 섞여 있으며 꽃이 핀 다음 길어져서 길이와 지름이 각 1cm정도로 된다. 총포는 둥글고 길이 5mm 지름 6-8mm이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막질이며 가장자리는 흑색이고 뒷면에 축모가 있으며 화관은 길이 5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mm정도이고 관모는 백색이며 기부는 다소 누렇고 길이 4-6mm이다. 웅성두화(雄性頭花)는 꽃이 진 다음 자라지 않는다.
    줄기 : 높이 15-45cm이고 여러대가 뭉쳐나며 간혹 가지가 갈라지며 회백색 털로 덮여 있고 잎이 밀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Bot. Gen. ser. 2, 1: 371, 374 (19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8. No Image

    좀낭아초

    학명 : Chamaerhodos erecta (L.) Bung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좀낭아초속(Chamaerhodos)
    이명 : 검정풀매화 애기짚신나물 좀낭마초
    잎 : 근생엽은 총생하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우상으로 잘게 갈라진다. 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잔털과 가시 같은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으로서 가지나 원줄기 끝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안팎에 잔털과 가시 같은 털이 있다. 소화경은 길이 5-15mm로서 잔성모와 가시같은 털이 밀생하며 선모가 약간 섞여 있고 꽃받침 바로 밑에 털이 더욱 많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며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 안에 들어 있으며 종자는 흑갈색으로서 윤채가 있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가시같은 털이 드물게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함경 북도 차수령(車輸嶺)에서 만주를 거쳐 시베리아에까지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전체에 털이 밀생 가시 같은 털이 드문드문 퍼져 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edebour, Fl. Alt. 1 : 430 (18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쇠채

    학명 : Scorzonera albicaulis Bunge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쇠채속(Scorzonera)
    이명 : 미역꽃 쇄채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선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에 유저로 날개 있는 엽병이 되며 5-7맥이 평행하고 거미줄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길이 10-33cm 폭 5-9m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7-35cm 나비 5-15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점차 작아지나 모양은 근생엽과 같다.
    꽃 : 꽃은 7-8원에 피며 두상화가 가지와 원줄기 끝에 5-7개씩 산방상 또는 산형으로 달리고 화경은 두화 밑에서 약간 굵어지며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포엽은 산상 피침형으로서 길이 5-10mm이다. 총포는 원통형이며 꽃이 필 때는 길이 1.6-3cm 나비 7-10mm이지만 길이 3.5-4.7cm 지름 1-1.5cm로 자라고 다소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포편은 5-7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거미줄털이 약간 있거나 없
    열매 : 수과는 길이 16-20mm 지름 1.2-1.8mm로서 약간 굽고 황갈색 원주형이며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황갈색이고 길이 21-27mm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3-10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속이 비고 세로로 홈줄이 있으며 거미줄털 또는 솜털이 점차 적어지고 단일하거나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며 전체에 유백색의 유즙이 있다.
    뿌리 : 뿌리는 육질의 원주상이고 겉이 암갈색이며 두부에 지난해의 엽병이 남아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Sav. Etrang. Sci. St. Petersb. 2: 114, n. 230 (183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Read More
  20. No Image

    북선점나도나물

    학명 : Cerastium rubescens var. koreanum (Nakai) Miki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점나도나물속(Cerastium)
    이명 : 고려점나도나물 지이산점나도나물지이점나도나물
    잎 : 잎은 대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긴 도란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cm 폭 4-7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5mm로서 퍼진 털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겉에 털이 있으며 5개이고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서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원주형이며 황갈색이고 밑부분에 꽃받침이 있으며 끝이 10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갈색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유두상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30-50cm이며 줄기는 총생하고 비스듬히 서며 밑을 향한 2줄의 털이 있으며 흑자색이다.

    분포 : 함경남도 운선령 부전 고원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유사종 : ▶점나도나물(C. holosteoides F. var. hallaisanense Mizushima): 전체에 선모가 있고 줄기는 밀생 비스듬히 서며 흑자색이다.
    ▶큰점나도나물(C. fischerianum Seringe): 전체에 잔털이 많고 선모가 있다.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밋밋하며 긴 타원형이다.

    특징 : 전체에 선모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ci. Rep. Tohoku Imp Univ., ser. 4 , Biol 29: 288 (196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