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눈갯버들

    학명 : Salix graciliglans Nakai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누운갯버들 눈갯버들
    잎 : 잎은 좁은 피침형으로 첨두 예저이고 길이 5-10cm 폭 0.5-3cm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처음에 견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5-10mm로서 털이 있을 때와 없을 때가 있다.
    꽃 : 꽃은 유이화서로서 암수딴그루이며 3-4월에 잎보다 먼저 전년지에서 액생하여 핀다. 수꽃화서는 길이 1.5-2.5cm이고 포는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예두 또는 둔두이고 상반부가 흑색이며 털이 있고 수술은 2개 밀선은 1개이며 수술대는 완전히 유착되어 있다. 암꽃화서는 길이 1.5-4cm로서 화축에 털이 있고 포는 난형 첨두로서 상반부가 흑색이며 털이 있다. 자방은 난형으로서 털이 있고 암술대는 길며 암술머리는 4개 밀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3mm정도이고 융모가 있고 4-5월에 성숙한다.
    줄기 : 원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그 기부가 땅에 닿기 때문에 가지가 지표 가까이에 퍼진다. 어린 가지에는 융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져서 황록색으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매자잎버들(S. berberifolia Pallas):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 폭 4-12㎜이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버들(S. stipular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덩굴사초

    학명 : Carex pseudocuraica F.Schmid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회록색이며 나비 1.5-4㎜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다.
    꽃 : 높이 20-40cm이고 화서가 없는 대가가 넘어져 마디에서 화경(花莖)이 자란다. 수상화서는 긴 타원상 원주형이며 길이 15-30㎜로서 소수(小穗)가 약간 떨어져 달리고 포는 없다. 포는 5-8개이며 위에 수꽃 밑에 암꽃이 달리지만 밑의 것이 암꽃뿐인 것도 있다.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연한 흑갈색이지만 윗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뒷면에 1맥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굵고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약간 길고 편평한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4.5mm로서 맥이 희미하고 황갈색이며 양쪽은 날개같고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에 짧은 대가 있고 부리가 짧으며 한쪽만이 파인다. 수과는 과포에 가득차 있고 길이 1.3mm로서 긴 타원형이다.


    분포 :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t.-Petersbourg, Ser. 7, 12 : 67 (186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둥근잎염주나무

    학명 : Tilia megaphylla f. subintegra Nakai
    과명 : 피나무과(Tiliaceae)
    속명 : 피나무속(Tilia)

    잎 : 엽병의 길이가 7cm 정도이고 잎이 난상 원형이며 끝이 짧은 예두이고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10cm 나비 8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성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적고 거의 밋밋하다.
    꽃 : 화경의 포는 길이 8-14cm로서 선상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양면에 성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과경에 3-9개가 달리며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5개의 능선이 밑에서부터 끝까지 있고 길이 10-12mm로서 갈색 성모로 덮여 있다.
    줄기 : 어린 가지에 성모가 밀생한다.

    분포 : 북청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소교목.
    유사종 : 염주나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4. No Image

    딸기

    학명 : Fragaria ananassa Duch.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딸기속(Fragaria)
    이명 : 양딸기 재배종딸기
    잎 : 잎은 뿌리에서 나오며 엽병이 길고 3출복엽이며 소엽은 도란상 사각형이고 끝이 둥글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2-5cm로서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위와 엽병에 꼬불꼬불한 털이 있으며 뒷면은 휜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3cm로서 백색이고 화경(花莖) 끝의 취산화서에 5~15송이가 달린다. 꽃받침잎은 5-6개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며 부악편은 끝이 뾰족하고 피침형이며 겉에 털이 있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다. 꽃잎은 5-6개로서 꽃받침보다 훨씬 길며 수술은 많다.
    열매 : 화탁은 꽃이 진 다음 육질화되며 적색으로 익고 곰보같이 파진 곳에 수과가 들어 있다.
    줄기 : 전체에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ist. Nat. des Fraisiers 190 (17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생이가래

    학명 : Salvinia natans (L.) All.
    과명 : 생이가래과(Salviniaceae)
    속명 : 생이가래속(Salvinia)

    잎 : 마디에 잎이 3개씩 윤생하는데 그 중 2개는 대생하여 물위에 뜨는 부수엽(浮水葉)으로서 중륵과 측맥이 있으나 1개는 물속에 잠기며 잘게 갈라져서 양분을 흡수하는 뿌리의 역할을 한다. 부수엽은 엽병이 길이 2mm로 짧고 중축 좌우에 우상으로 배열되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1.5cm 폭 6-10mm이고 끝이 둥글며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원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표면은 녹색으로 측맥에 돌기가 있다. 잎 뒷면은 회갈색

    열매 : 대소포자과(大小胞子果)는 침수엽의 목에 달린다. 대포자과는 보다 크고 그 속에서 많은 소포자낭이 생긴다.
    줄기 : 수면 전체를 덮어버릴 정도로 퍼지며 줄기는 가늘고 길이 7~10cm이며 털이 많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없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동남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중부 남부 및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pedem. 2:289 (178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6)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7)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6. No Image

    소엽

    학명 :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들깨속(Perilla)
    이명 : 차조기차즈기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광란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 특히 긴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며 윗쪽 것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아래쪽 것은 2개로 갈라지며 통부의 내외부에 털이 있다. 화관은 짧은 통상 순형이고 하순이 상순보다 약간 길며 2강수술이 있고 포는 소형이다.
    열매 : 분과는 꽃받침 안에 들어 있으며 지름 1.5mm로서 둥글다.
    줄기 : 높이 20-80cm이고 둔한 사각이 지며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전체적으로 자색을 띤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7. No Image

    쌍실버들

    학명 : Salix bicarpa Nakai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잎 : 잎은 도피침형 넓은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1.5-5cm로서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잔톱니가 있고 표면은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고 엽병은 길이 2-7mm이다.
    꽃 : 자화수는 전년지에서 나오며 길이 4-5cm로서 길이 1-1.5cm의 화경이 있고 포는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긴 털이 있고 밀선은 2개 또는 1개이며 1개의 포안에 2개의 자방이 있다. 자방은 짧은 대가 있고 긴 난형이며 융모로 덮여 있고 암술대는 자방 길이의 1/2정도이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3mm정도이며 좁은 피침형이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가지는 털이 없고 붉은 빛이 돈다.

    분포 : 낭림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관목
    유사종 : ▶매자잎버들(S. berberifolia Pallas):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 폭 4-12㎜이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버들(S. stipulari
    특징 : ▶낭림산 특산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애기냉이

    학명 : Cardamine bellidifolia L.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냉이속(Cardamine)
    이명 : 구슬냉이 구슬황새냉이
    잎 : 근생엽은 길이 2-3cm의 엽병이 있고 경생엽은 반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예저 절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5~10mm 폭 5mm로서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5c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근생엽과 비슷한 2-3개의 잎이 달리고 끝에 2-3송이가 붙는다. 꽃은 7-8월에 피며 4수성이고 흰색이며 화관은 작고 꽃잎은 난형이며 끝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 길이 2cm 폭 2mm정도이며 편평하고 곧추서며 화경보다 높고 털이 없으며 8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5cm에 달한다.
    뿌리 : 뿌리는 직근이 길게 발달하며 선단에서 많은 잎이 총생하여 하나의 작은 포기를 형성한다.
    분포 : 함북 백두산 고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여우주머니

    학명 : Phyllanthus ussuriensis Rupr. & Maxim.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여우주머니속(Phyllanthus)
    이명 : 좀여우구슬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거의 없고 넓은 피침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7~20mm 폭 3-6mm로서 뒷면에 다소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암꽃은 꽃받침잎이 6개로서 열매일 때는 젖혀지며 긴 타원형이고 수꽃은 4-5개의 꽃받침잎과 2개의 수술 및 4개의 선체가 있다. 꽃은 액생하고 소형이며 화경은 길이 2~4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편구형이며 지름 2.5mm로서 길이 1-4mm의 대가 있고 연한 황록색이며 종자는 황갈색이고 길이 1.2mm로서 짙은 갈색 반점과 더불어 세로로 짧은 줄이 있다.
    줄기 : 높이 15-4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원줄기와 가지에 잎이 달리고 가지는 한쪽에 좁은 날개가 있거나 줄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여우구슬(P. urinaria): 전체가 붉은빛이 돌고 줄기 밑부분에 도란상 삼각형의 잎 몇 장이외에는 모두 비늘 모양의 잎이다. 꽃은 적갈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phys. math. Acad. Petrop. 15: 222 (185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0. No Image

    이삭봄맞이

    학명 : Stimpsonia chamaedrioides C.Wright ex A.Gray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이삭봄맞이속(Stimpsonia)
    이명 : 꼬리취란화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1~2cm 나비 7-12mm로서 이와 비슷하거나 짧은 엽병이 있지만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져서 없어지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지름 4-5mm로서 흰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송이씩 달리고 전체가 총상화서로 되며 포엽은 윗부분의 것은 피침형이고 길이 2-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받침은 길이 2-3mm로서 5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끝이 둔하며 화관은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통부는 길이 2.5mm이다. 수술은 5개로서 통부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지름 2.5mm이다.
    줄기 : 높이 3-12cm로 전체에 퍼진 선모가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p. 401 (185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점고사리

    학명 : Hypolepis punctata (Thunb.) Mett. ex Kuhn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점고사리속(Hypolepis)
    이명 : 산고사리
    잎 : 잎은 근경에서 드문드문 나오고 백색 털이 있으며 큰것은 높이 1m까지 자란다. 엽병은 연한 녹색이고 길이 30㎝ 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떨어진 털자국 때문에 거칠고 밑부분이 약간 가늘다. 잎은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며 긴 삼각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길이 30-50cm이다. 열편은 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둔두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톱니모양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의 주맥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달리고 점처럼 둥글며 황색이고 포막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연한 갈색 털이 있다.
    분포 : 한라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ilic. afr.120 (186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2. No Image

    좀겨풀

    학명 : Leersia oryzoides (L.) Sw. var. oryzoide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겨풀속(Leersia)
    이명 : 개빕새피 겨풀 쌀겨풀
    잎 : 잎은 편평하지만 마르면 오그라들고 길이 15-25㎝ 나비 8-12mm이며 엽설은 길이 1-1.5m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원추형이며 밑부분이 엽초에 들어있고 가지는 옆으로 퍼지며 다시 갈라지고 밑부분에 소수가 달리지 않는다. 소수는 백녹색이며 가장자리와 맥위에 거센 털이 있고 길이 4.5-6mm 나비 1.5-2mm이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5mm정도이다.

    줄기 : 밑부분이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일어서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50cm에 달하며 마디에 밑을 향한 거센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겨풀(var. japonica Hack.): 소수가 길이 5-6.5mm 나비 1.5mm이고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21. (178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지리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formos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터리풀속(Filipendula)
    이명 : 지리산터리풀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장상엽이며 정소엽은 중앙까지 갈라지며 길이 7cm 폭 10cm로서 만부(彎部)가 넓고 둥글며 열편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길이 1mm이하로서 난형이고 자줏빛이 돌며 끝이 날카롭다. 엽병은 길이 30cm이고 옆에 달려있는 소우편은 6-11쌍이며 길이 2-4mm로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피침형이다. 탁엽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5-7mm이고 경생엽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훨씬 작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밀생하고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짙은 자홍색이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2.5mm로서 분홍색이고 수술대도 길이 3-4mm로서 분홍색이다. 자방은 1-3개이며 털이 없고 짙은 자홍색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1~3개이며 털이 없고 짙은 자홍색이다.

    뿌리 : 근경이 굵고 짧으며 흑갈색이다.
    분포 : 지리산 신양재(표고 700-900m)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 274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털별꽃아재비

    학명 :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별꽃아재비속(Galinsoga)
    이명 : 큰별꽃아재비 털쓰레기꽃
    잎 :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굵고 깊은 거치가 있으며 엽병이 길다. 가운데맥과 옆맥이 뚜렷하다.
    꽃 : 꽃은 6~10월에 백색으로 피며 지름 약 5mm이다. 총포는 5개이고 설상화는 흰색으로서 5∼6개이고 끝이 3갈래로 갈라지며 관모가 있다.?중심화는 노란색 관상화이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서 7월 무렵에 검은빛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포기 전체에 거친 털이 촘촘히 난다.

    분포 : 우리나라에 들어와 전국 각지의 산야지 대개는 집 근처의 텃밭이나 길가 구릉지 등에 흔히 퍼져 자라는 귀화식물로 잡초 취급을 받는 풀이다.
    형태 : 일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hodora 24 : 35 (1922)

    Read More
  15. No Image

    세잎쥐오줌풀

    학명 : Valeriana dageletiana var. verticillata S.H.Park
    과명 : 마타리과(Valerianaceae)
    속명 : 쥐오줌풀속(Valerian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6. No Image

    개통발

    학명 : Utricularia intermedia Hayne
    과명 : 통발과(Lentibulariaceae)
    속명 : 통발속(Utricularia)
    이명 : 개통말 깨통발 애기통발
    잎 : 잎은 호생하며 수중엽은 2~3회 3출상으로 잘게 갈라지고 길이 4~8mm로서 열편에 톱니가 있으며 포충대(捕蟲袋)가 없으나 땅속으로 자라는 가지에는 처음에 소엽이 달리고 점차 백색의 포충대로 변한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5~15cm로서 2~5개의 꽃이 달리며 인편엽은 1~2개로서 작고 포는 난형이며 소화경은 길이 7~10mm이다.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고 길이 3mm이며 화관은 상하로 갈라지고 길이 12~15mm로서 하순이 상순보다 훨씬 크며 밑부분의 중앙부가 위로 도드라진다. 거(距)는 원통형이고 하순과 길이가 비슷하며 수술은 2개이다.

    줄기 : 물 밑으로 뻗는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자란다.
    분포 : 백두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통발
    특징 : 통발과 비슷하지만 지하경이 있어서 옆으로 자라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Bilderb. 3 : t. 17 (179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7. No Image

    갯버들

    학명 : Salix gracilistyla Miq.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솜털버들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3-12cm 폭 0.3-3cm로서 표면은 밀모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지며 뒷면에는 융모가 밀생하여 흰빛이 돌거나 간혹 털이 없고 선상(腺狀)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을 때와 없을 때가 있다. 주맥과 측맥이 뚜렷하다.
    꽃 : 꽃은 잎보다 먼저 3-4월에 피며 전년지에 액생하고 암수그루가 다르며 유이화서로 달린다. 수꽃화서는 길이 3-3.5cm로서 화축에 털이 있고 포는 난형으로 첨두이며 상반부는 흑색으로서 털이 있고 밀선은 1개이며 수술은 2개가 완전히 합생한다. 암꽃화서는 길이 2-5cm로서 화축에 털이 있고 포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털이 있으며 밀선은 1개이고 적색이다. 암술머리는 4개이고 1개의 꿀샘이 있다. 씨방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며 털이 있고 4-5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m내외이며 뿌리 근처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소지에 흰색의 부드러운 털이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가지는 활처럼 휘어진다.
    뿌리 : 뿌리 부근에서 많은 가지가 나온다.
    분포 : ▶중국과 일본 우수리에도 분포한다. ▶전국에 걸쳐 표고 100-1 800m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매자잎버들(S. berberifolia Pallas):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 폭 4-12㎜이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버들(S. stipulari
    특징 : 맹아력이 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3 : 26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긴잎쥐오줌풀

    학명 : Valeriana dageletiana var. integra (Nakai) Nakai ex F.Maek.
    과명 : 마타리과(Valerianaceae)
    속명 : 쥐오줌풀속(Valeriana)
    이명 : 긴잎쥐오줌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가 되면 없어지며 경생엽은 대생하고 5~7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5~8월에 피고 붉은빛이 돌며 가지끝과 주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통처럼 생긴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화통은 길이 5~7mm로서 한쪽이 약간 부풀고 3개의 수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건과로 피침형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윗부분에 꽃받침은 관모상으로 된다.
    줄기 : 줄기는 밑에서 뻗는 가지가 자라서 번식하고 마디 부근에 긴 흰색털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근경는 짧고 굵으며 잔뿌리가 사방으로 성글게 뻗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쥐오줌풀 : 기본종 ▶광릉쥐오줌풀 (var. dasycarpa HARA) : 열매에 털이 있다.
    특징 : 쥐오줌풀과 닮았으나 잎 열편에 톱니가 없다. 뿌리에는 강한 향기가 있으며 벌과 나비가 모여들 정도로 꿀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7 : 618 (19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19. No Image

    눈양지꽃

    학명 : Potentilla egedei var. groenlandica (Tratt.) Polunin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누운딱지꽃 누운양지꽃
    잎 :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며 길이 10-40cm이고 소엽은 13-19개이며 엽축에 달려 있는 소엽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cm 폭 7-2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면모가 있어 흰빛이 돌고 특히 맥위에 긴 견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포복지의 잎은 극히 작고 탁엽은 건막질이며 엽병에 붙어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지름 2-3cm로서 황색이며 소화경은 포복지에서 1개씩 액생하고 특히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끝이 뾰족한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4-6mm 이고 부악편은 보통 넓은 피침형으로서 꽃받침보다 작으며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도란형이다. 꽃밥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2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평활하고 뒷면이 둥글다.
    줄기 : 포복지가 있다.

    분포 : 강원도 낙산사 근처 바닷가에서부터 북부지방에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hodora 41 : 40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20. No Image

    대나물

    학명 : Gypsophila oldhamiana Miq.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대나물속(Gypsophila)
    이명 : 마디나물 은시호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으로서 3개의 엽맥이 뚜렷하고 끝이 뾰족하며 엽병은 없으나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 폭 5-10mm정도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산방상 취산화서로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짧은 종같으며 끝은 5갈래로 갈라지고 꽃잎은 5장으로 되어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근 모양이고 4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줄기는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대나물 (G. pacifica Kom.) : 꽃이 자주색이고 윗부분에서 잎의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개성 이북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 Bat. Lugduno-Batavi 3: 187 (186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