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두메개고사리

    학명 : Athyrium spinulosum (Maxim.) Milde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이명 : 메개고사리 묏개고사리
    잎 : 엽병은 중축과 더불어 볏짚색 길이 20-50㎝이며 인편은 밑부분일수록 많고 중축에 달린 것은 잘 떨어지며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연한 갈색이다. 엽신은 삼각형이며 길이 20-30㎝로서 폭이 길이보다 약간 넓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3회 우상으로 갈라짐. 우편은 첫째 1쌍을 제외하고는 호생하고 짧은 대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첫째 우편은 밑부분이 훨씬 좁아짐. 소우편에는 좁은 날개가 있으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 우상으로 깊게 갈라

    열매 : 포자낭군은 작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포막은 거의 둥글며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고 지름 1mm정도이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으며 인편과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분포 : 금강산 이북의 높은 산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Zeitung (Berlin) 6:376 (18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두메갈퀴

    학명 : Galium paradoxum Maxim.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두메갈키 산갈키
    잎 : 잎은 밑에서 대생하며 중앙부에서부터는 4장씩 윤생하고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좁으며 길이는 1-4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와 표면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를 향한 짧은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4c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이나 엽액에 성긴 취산화서로 달리며 화경이 있고 소화경은 꽃이 진 다음 자라서 길이 6-7mm로 되며 옆으로 벌어진다. 화관은 4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합쳐지고 분과는 둥글며 긴 갈고리같은 털이 밀생한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마르면 짙은 녹색으로 되며 가지는 거의 갈라지지 않고 가시가 없다.
    뿌리 : 가늘고 긴 지하경이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깊은 산에서 자라기 때문에 두메갈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 Biol. 9 : 263 (187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3. No Image

    두릅나무

    학명 : Aralia elata (Miq.) Seem.
    과명 : 두릅나무과(Araliaceae)
    속명 : 두릅나무속(Aralia)
    이명 : 둥근잎두릅둥근잎두릅나무드릅나무 참드릅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사방으로 퍼져 있고 길이 40~100cm의 기수 2회 또는 3회우상복엽이며 엽축과 소엽에 가시가 있고 소엽은 대생하며 9-21개이며 난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5-12cm 폭 2-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맥줄에 강모가 산생하거나 없고 뒷면은 회색으로서 맥줄에 짧은 털이 복생하며 가장자리에 크고 작은 톱니가 있다.
    꽃 : 가지 끝에서 나오는 화서는 기부에서 산형으로 벌어지고 다시 복총상화서로 되어 길이 30-45cm정도 자라며 소산경(小傘梗)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화서에 짧은 갈색 털이 있다. 꽃은 양성이거나 수꽃이 섞여 있으며 8~9월에 피고 지름 3mm정도로서 백색이다. 꽃받침통은 5개이고 잔모양으로 끝에 5개의 치아가 있다. 꽃잎 수술 및 암술대 역시 5개이고 자방은 5실로서 하위이다.
    열매 : 장과상 핵과는 둥글고 지름 3mm 정도로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마르면 5능선이 있다. 소핵은 길고 둥글며 황갈색이다. 종자는 뒷면에 입상의 돌기가 약간 있다.
    줄기 : 나무 전체에 예리한 경침이 많이 발생하며 높이가 3~4m이고 원줄기는 그리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전국의 양지바른 산 기슭이나 골짜기의 전석지에 분포한다. ▶일본 사할린 중국 만주 등지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둥근잎두릅(var. rotundata NAK. ): 잎이 작고 둥글며 엽축의 가시가 크다. ▶애기두릅(var. canescens NAK.): 잎 뒷면 특히 맥상에 갈색 또는 황색의 짧은 털이 있으며 두릅나무에 비해 전체의 가시가 적다.
    특징 : 근맹아가 많이 발생하고 생장속도는 보통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Bot. 6: 134 (186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두루미천남성

    학명 :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과명 : 천남성과(Araceae)
    속명 : 천남성속(Arisaema)
    이명 : 개천남성 새깃사두초
    잎 : 잎은 1개이며 엽병은 길고 소엽은 13~19개로 도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중앙부의 것은 길이 3~15cm 나비 1~6cm이며 측소엽은 길이 10~25cm 나비 2~6.5cm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 5~6월에 피고 소화경이 길며 포의 현부는 난형이고 길이 7-12cm 나비 3-7cm로서 통부(筒部)의 윗부분을 덮고 있으며 녹색이고 뒷면이 두드러지며 끝이 갑자기 좁아지면서 뾰족해진다. 육수화서(肉穗花序)의 연장부는 채찍처럼 길게 자라 높이 솟으며 화서축(花序軸)에 많은 꽃이 밀착한다.
    열매 : 장과는 적색으로서 육수화서의 축에 옥수수알처럼 달려 전체가 긴 타원형으로 된다.
    줄기 : 높이 50cm에 달한다.
    뿌리 :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옆에 몇 개의 작은 구경이 달린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추자도(사수도) 제주 전남(지리산 삼정리) 경기(불암산) 경북(울릉도) 평북(운산)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섬천남성(A. negishii Nakino): 거문도에서 자생한다. ▶무늬천남성(A. thunbergii BL.) ▶큰천남성(A. ringens Schott) ▶넓은잎천남성(A. robustum Nakai) ▶점박이천남성(A. angustatum var. peninsulae Nakai) ▶둥근잎천남성(A. amurense var. amurense)
    특징 : 엽신과 육수화서의 끝이 길게 발달한 모양이 두루미를 연상시키므로 `두루미천남성`이라 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10여종의 천남성속 식물 가운데 유일하게 강한 햇볕하에서도 잘 적응하는 종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umphia 1 : 110 (183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5. No Image

    두루미꽃

    학명 : Maianthemum bifolium (L.) F.W.Schmidt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두루미꽃속(Maianthemum)
    이명 : 좀두루미꽃
    잎 : 잎은 2개씩 달리며 엽병이 있고 삼각상 심장형이며 길이 2-5cm 폭 1.5-4cm로서 뒷면 맥위에 돌기같은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의 세포는 주상(柱狀) 또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비스듬히 서기 때문에 톱니가 생긴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화서는 원줄기의 연속으로서 길이 2-3cm이고 꽃이 20개 정도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3-8mm이고 가늘며 윗부분에 마디가 있다. 화피열편은 4개이고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mm정도로서 뒤로 젖혀져 수평으로 퍼지며 1맥이 있다. 수술은 4개이고 화피보다 짧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지름 5mm가량이고 8-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8-15cm로서 곧추서며 털이 없거나 돌기같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번식하여 군집을 형성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oem. Cent. 4: 55 (1824)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된장풀

    학명 : Desmodium caudatum (Thunb.) DC.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도둑놈의갈고리속(Desmodium)
    이명 : 쉬풀 쉽싸리풀 털도둑놈의갈고리
    잎 : 잎은 엽병이 길며 호생하고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정소엽은 소엽병이 길고 소엽은 혁질이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4.5-10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엽맥이 도드라져 있고 맥위에 털이 있다. 엽병의 길이가 1-4㎝로 좁은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액생 또는 정생하는 길이 8-15cm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은 6월에 피고 길이 7mm로서 누른빛이 도는 백색이이며 꽃받침은 털이 있고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꽃받침 바로 아래로 작은 피침형의 소포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편평한 선형이고 길이 5-7cm로서 4-6개의 마디로 잘 떨어지고 겉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고 옷에 잘 붙고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초본처럼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자라고 수피는 흑갈색이다. 전체에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의 해발 700m 이하 숲 가장자리나 길가에 분포한다. ▶일본과 중국 대만 인도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관목.

    특징 : 줄기와 잎을 된장에 넣으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하여 된장풀이라 부른다. 맹아력이 보통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2 : 337 (DC., 182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돼지풀아재비

    학명 : Parthenium hysterophorus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돼지풀아재비속(Parthenium)

    잎 : 잎은 호생하며 윤곽이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2회 우상복엽으로 길이 8-20㎝ 나비 4-5㎝ 위쪽의 것은 점차 작아진다.
    꽃 : 9-11월에 꽃이 피며 조밀한 산방화서를 이룬다. 두화(頭花)는 백색이며 지름 3-6㎜ 총포(總苞)는 차잔 꼴이며 총포편은 능형(陵形)이다. 두화의 중앙에 40개 내외의 관상화(管狀花)는 수꽃이며 가장자리에 5개의 설상화(舌狀花)는 암꽃이다.
    열매 : 수과(瘦果)는 도란형(倒卵形)으로 길이 1-15㎜로 납작하며 위쪽에 스푼 모양의 부속체가 2개 있고 흑색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90㎝ 상반부에서 분지(分枝)되며 털이 있다.

    분포 : ▶북미 호주 일본에 귀화하였다. ▶경남 충무시에서 3년간 연속 채집 더욱 번져가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돼지풀
    특징 : ▶국내에서는 고려대학교 강병화 박사에 의하여 경남 충무시에서 3년간 연속 채집 더욱 번져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1995년 11월 7일 채집된 표본을 받아 동정하였다. ▶잎의 모습이 `돼지풀`과 비슷하여 국명을 `돼지풀아재비`로 하였다. ▶본속(本屬)(Parthenium L.)은 한국에 처음 등록되는 식물이며 식물분류학상의 위치는 국화과의 Tubuliflorae 아과 Heliantheae 족에 속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III) (박수현, 1996)
    Read More
  8. No Image

    돼지풀

    학명 : Ambrosia artemisiifolia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돼지풀속(Ambrosia)
    이명 : 두두러기풀 쑥잎풀
    잎 : 잎은 밑부분에서는 대생하며 상부에서는 호생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3-11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잿빛이 돌고 연모(軟毛)가 밀생한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으로 달리고 두화는 단성이며 자성두화(雌性頭花)는 는 1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서 웅성두화로 된 수상화서 밑에 달리고 웅성두화는 지름 2-3mm로서 10-15개의 꽃으로 된다. 총포는 녹색이며 도원추형이고 포편은 서로 붙어 있으며 소화는 모두 관상화이고 자성두화는 1개의 꽃과 2개의 포편으로 되며 도란형으로서 녹색이고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딱딱한 총포(과포)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가 1m이상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강모가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지리적으로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돼지풀이란 영명의 hogweed에서 온 이름이며 화분병(花粉病)을 일으키는 가장 악질종으로 알려져 있고 소가 먹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9. No Image

    동자꽃

    학명 : Lychnis cognata Maxim.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동자꽃속(Lychnis)
    이명 : 참동자꽃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5~8cm 폭 2.5~4.5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황록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직경 4cm정도로서 진한 적색이고 원줄기 끝과 엽액에서 소화경이 1개씩 자라 그 끝에 한송이씩 핀다. 소화경은 짧으며 털이 많고 꽃받침은 긴 통같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나 있다. 꽃잎은 5개로 도심장형이고 밑부분이 길게 뾰족해지며 윗부분이 수평으로 퍼지면서 2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의 가에는 거치가 있으며 목부분에 소열편이 2개씩 있고 양쪽 가장자리 밑에도 소열편이 1개씩 있으며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긴 털이 나 있으며 곧게 서고 마디가 뚜렷하다.
    뿌리 : 근경성으로 성글게 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만주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생 초본으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가는동자꽃(L. kiusiana Makino): 전체에 밑으로 향한 털이 나고 줄기는 모가 진다.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5-10㎝이다. ▶제비동자꽃(L. wilfordii Max.):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피침형 가는 털이 있다. ▶털동자꽃(L. fulgens Fisch.): 전체에 긴 흰 털이 있고 잎은 긴 난형 길이 4-8㎝이다.
    특징 : 꽃이 우아하고 아름다워서 붙여진 이름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55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0. No Image

    동의나물

    학명 : Caltha palustris L. var. palustris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동의나물속(Caltha)
    이명 : 누은동의나물 눈동의나물 산동의나물 원숭이도의나물 좀동의나물 참동의나물
    잎 : 근생엽은 모여 나며 신원형 또는 난상 심원형으로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0cm이고 물결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자루가 길다. 경생엽은 자루가 없다.
    꽃 :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대개 2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5~11cm이다. 꽃은 꽃잎이 없고 5~6개의 꽃받침조각으로 되어 있으며 수술은 많다.
    열매 : 과실은 골돌이다. 골돌은 4~16개이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짧은 부리모양을 한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올라가고 때로 분지하다.
    뿌리 : 백색의 굵은 뿌리가 많다.
    분포 : 제주를 제외한 전도에 나며 동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만주 중국 일본 캄차카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로 여러해살이풀이다.

    특징 : 다소 독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동아

    학명 : Benincasa cerifera Savi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동아속(Benincasa)
    이명 : 동과 동박 )
    잎 : 잎은 어긋나고 심장상 원형이며 5∼7개로 얕게 갈라지고 잔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1가화로 여름에 피고 황색이며 화관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원형에서 타원형이고 품종에 따라 다른데 큰 것은 지름 30cm 길이 60∼90cm 무게 7.5∼10kg에 달한다.
    줄기 : 줄기에 갈색 털이 있다.

    분포 : 아시아 열대와 중국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ibl. Ital. 9 : 158, t. col. (181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동부

    학명 : Vigna unguiculata (L.) Walp.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gna)


    꽃 : 꽃은 구조가 콩꽃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훨씬 크고 꼬투리는 원통형으로 미숙시에는 녹색이지만 성숙하면 종실과 비슷한 색깔을 띠게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3. No Image

    동백나무겨우살이

    학명 : 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과명 : 겨우살이과(Loranthaceae)
    속명 : 동백나무겨우살이속(Korthalsella)
    이명 : 동백겨우사리 동백나무겨우사리
    잎 : 잎은 퇴화되어 작고 마디의 위쪽 끝에 돌기처럼 달려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 4-5월에 피며 지름 1mm 미만이며 1마디에 5-6개씩 달리고 꽃자루가 없으며 회피는 3개로 갈라지며 꽃밥은 화피내부에 달려있고 구멍이 많다.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이며 10-12월에 익으며 지름 2mm로 넓은 타원형이고 끝에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종자는 1개씩 들어 있고 과피에서 튀어나온다. 수분을 많이 함유한 액과이다.
    줄기 : 높이 5-30cm로서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으며 관절이 많이 갈라지며 마디사이가 편평하다. 길이 2-20㎜인 도피침형의 마디가 많이 있고 마이에서 가지가 대생한다. 잎은 퇴화하여 비늘처럼 되어 마디의 윗끝에 돌기처럼 달린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대만 말레이지아 인도 호주 등지에 분포한다. ▶전남 목포 및 제주도 남해 섬지방 등 표고 700m 이하의 난대림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형태 : 상록기생소관목
    유사종 : ▶붉은겨우살이(for. rubroaurantiacum Ohwi): 열매가 적색으로 익고 제주도에서 자란다.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 et. Sav.): 기생식물로서 엽록소가 있는 잎을 통해 스스로 광합성을 하며 뿌리를 숙주나무에 박고 물과 영양분을 섭 취한다. 낙엽성이다.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 Ohwi): 잎은 길이 3-6㎝ 나비 6-12㎜인 피침형으로 앞뒤가 같고 두툼하다. 색
    특징 : 학술적 가치가 있고 형태적으로 측백나무나 편백나무처럼 가지와 잎의 배열이 같아서 흥미롭다. 광나무 감탕나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은목서 우묵사스레피나무 꽝꽝나무 등의 가지에 기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1 : 138 (Engl. & Prantl, 189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4. No Image

    동백나무

    학명 : Camellia japonica L.
    과명 : 차나무과(Theaceae)
    속명 : 동백나무속(Camellia)
    이명 : 동백 뜰동백나무
    잎 : 잎이 호생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길이 5~12cm 나비 3~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2-1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양성화로 적색이고 1개씩 액생 또는 정생하며 화경이 없고 반 정도 벌어지며 소포는 둥글고 겉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1-2cm로서 난상 원형이고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5cm로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100개가 있다. 꽃밥이 황색이고 자방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다. 4월에 많이 개화한다.
    열매 : 삭과는 지름 3~5cm로서 둥글고 녹색바탕에 붉은 색이 돌며 3실이고 백로 무렵에 성숙한다. 삭과의 과피가 떨어지면서 1.5~2cm 크기의 잣모양의 암갈색 종자가 떨어지며 3~9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7m에 달하고 기부에서 갈라져 관목상으로 되는 것이 많으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평활하며 소지는 갈색이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고창 해남 완도 강진 여수 광양 거제 대청도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소교목
    유사종 : ▶뜰동백(var. hortensis MAK.) : 꽃잎이 거의 수평으로 퍼진다. ▶흰동백(for. albipetala H. CHANG.) : 백색 꽃이 핀다. ▶애기동백(C. sasanqua THUNB.) : 어린 가지와 잎 뒷면 맥 위 및 자방에 털이 있다.
    특징 : ▶여러나라에서 개량한 재배품종이 많다. ▶생장은 다소 느리나 7-18m에 지름이 30-50cm 씩 자라며 수명이 길어서 수백년씩 간다. 튼튼한 나무이나 추위에는 약하며 해풍에는 특히 강하다. 맹아력은 보통이다. ▶천연기념물 ①제66호 - ⓐ소재지:경기 옹진 대청도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동백나무 자생 북한지(北限地)). ⓒ면적:254 38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5. No Image

    돌피

    학명 :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피속(Echinochloa)

    잎 : 잎은 편평하고 선형이며 길이 30-50cm 폭 1-2cm이고 털은 없으며 가장자리는 깔깔하다. 엽초는 밑부분의 것은 홍자색이 돌고 껄끄럽거나 털이 없고 엽설은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성글게 배열되고 자주빛을 띠며 길이 10-25cm이고 화서축은 굵고 기부에 가시털이 있다. 가지는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의 것은 길이 3-5cm이다. 소수는 난형이고 길이 3-4mm로서 흔히 적자색이 돌며 겉에 가시 같은 털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1.5mm이며 5맥이 있고 맥줄에 가시털이 있다. 둘째 포영은 소수와 길이가 비슷하며 5맥이 있고 끝은 점점 뾰족한 까락으로 끝난다. 호영은 막질이며 7맥이 있고
    열매 : 영과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3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80-100cm 지름 2-5mm정도이고 총생하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다.

    분포 : ▶전세계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유사종 : ▶물피 (var.oryzicola Ohwi ): 첫째 포영의 길이가 소수의 1/2-3/5으로서 호영이 때때로 굳어지고 물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 Agrostogr. 53, 161, 169, t. 11, f. 2. (P.Beauv.,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돌토끼고사리

    학명 : 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돌잔고사리속(Microlepia)
    이명 : 돌잔고사리 민돌잔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30~60cm 정도이며 밑부분에 털이 많다. 엽신은 길이 20~80cm 나비 20~30cm 정도로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예첨두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첫째 우편이 다소 짧다. 우축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에는 털이 있으며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소우편은 긴 타원형이고 첨두 또는 예두이며 일그러진 예저로서 대가 없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우상으로 갈라지며 뒷면 맥위에 털이 있으며 맥이 튀어나온다.

    열매 : 포자낭군은 톱니 밑에서 가까운 측맥 끝에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털이 없으며 전연(前緣)이 열편 가장자리에 닿는다.
    줄기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털이 있고 때로는 지면 위로 나온다.

    분포 : 남제주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특징 : 연초록색의 어린잎이 관상가치가 높다. 속명은 희랍어의 `micro(작은)` 와 `lepis(인편)`의 합성어로 엽병에 가는 인편이 많이 붙은 것을 의미한다. 돌토끼고사리란 돌틈에서 자라는 토끼고사리란 뜻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pimel. bot.:95 (185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7. No Image

    돌콩

    학명 : Glycine soja Siebold & Zucc.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콩속(Glycine)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길이 7-16cm로서 길며 우상(羽狀)3출복엽이며 짧은 털이 있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8cm 폭 10-25mm로서 둔두이며 원저 또는 설저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2-3mm로서 맥이 있고 소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5-2mm로서 3맥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6mm정도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접형화가 엽액에서 길이 2-5cm의 총상화서로 핀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갈래이며 털이 있고 열편은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10개로서 각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협과는 길이 2-3cm 폭 4-5mm로서 황갈색의 거센털이 있으며 2-4마디이고 9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흑갈색이고 타원형이거나 신장형 비슷하며 약간 편평하고 광택이 없으며 작은 콩알 비슷하다.
    줄기 : 덩굴성으로 길이가 2m에 달하며 밑으로 거슬러 난 갈색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일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2) : 119 (184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돌채송화

    학명 : Sedum japonicum Siebold ex Miq.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돌나물속(Sedum)
    이명 : 넓은잎기린초 암채송화
    잎 :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원주형이고 길이 5~12mm 지름 2mm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중앙 윗부분이 가장 넓고 전체가 적색으로 되는 수도 있다. 잎의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3-4개로 갈라진 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5수성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크기가 다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짧고 꽃밥은 난상 원형으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심피는 5개이고 성숙함에 따라 옆으로 벌어진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다.
    줄기 : 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이 곧게 서고 높이 10-15cm이며 밑부분에서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가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Bat. 2: 156 (186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9. No Image

    돌지치

    학명 : Lappula heteracantha (Ledeb.) Guerke
    과명 : 지치과(Boraginaceae)
    속명 : 들지치속(Lappul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2-3cm 폭 3-5mm로서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과 가장자리에 강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벽자색으로서 윗부분에 1개씩 달려 총상화서를 이루며 포는 잎같고 작으며 소화경은 털이 있고 대개 포보다 짧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mm로서 긴 털이 있고 화관 윗부분이 5개로 갈라져 거의 수평으로 퍼지며 끝이 둥글다.
    열매 : 4개로 갈라진 분과이다. 열매는 뒷면과 가장자리에 줄로 돋아 있는 긴 돌기 사이에 두드러기 같은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전체적으로 밑부분이 넓은 굳센 털이 많다.

    분포 : 태백산이나 황해도 이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4(3a) : 107 (Engl. & Prantl, 189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20. No Image

    돌좀고사리

    학명 : Asplenium rutamuraria L.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잎 : 엽병은 길이 1.5~8cm이고 담록색이며 선형의 인편과 샘털이 있다. 잎은 길이 2~7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맥이 뚜렷하지 않다.

    열매 : 포자낭군은 길이 1~3mm로 열편 중앙에 모여 있고 포막은 반투명하고 엽연는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흑갈색 피침형 인편이 붙는다.
    분포 : 한반도(충청북도 강원도 이북)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러시아 유럽
    형태 : 상록성

    특징 : 석회암지대의 지표식물이라 할 수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