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떡잎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indica var. tsusimensis (Hara) Ohwi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골무꽃속(Scutellaria)
    이명 : 두꺼운골무꽃 수골무꽃 좀골무꽃
    잎 : 잎은 대생하며 심장형 또는 원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가 2-4cm로서 표면의 맥이 들어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2줄로 달리고 꽃받침잎은 길이 3mm에서 6-7mm로 자라며 위쪽에 원반상의 부속체가 있고 겉에 털이 있다. 화관은 밑부분이 꼬부라져서 곧추서며 길이 18-22mm이고 하순이 넓으며 앞으로 나오고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길이 1mm정도로서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긴 퍼진 털이 많으며 원줄기는 둔한 사각형이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추선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ed. 2 : 1150 (196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참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골무꽃속(Scutellaria)
    이명 : 민골무꽃 큰골무꽃 흰참골무꽃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둥글며 길이 1.5~3.5cm 폭 1~1.5c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거나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으로서 상부의 엽액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꽃이 진 다음 길이가 5mm에 달하며 위쪽 겉에 부속편이 있고 2개로 갈진다. 화관은 길이 2-2.2cm로서 밑부분에서 거의 직각으로 서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분과는 반원형이고 길이 1.5mm로서 둥근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10-40cm이고 네모지고 곧게 서며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모서리를 따라 위를 향해 잔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를 포함하여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왜골무꽃 (var.jezonsis KITAMURA) : 털이 약간 있고 능선에만 위를 향한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6 : 297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가는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regeliana Nakai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골무꽃속(Scutellaria)
    이명 : 가는잎골무꽃 레게리고무꽃 레켈리골무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2~4cm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수평이거나 약간 창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분명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거의 없다.
    꽃 : 꽃은 6~9월에 자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액에 마주 나며 소화경은 짧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상순에 원형의 돌기가 있으며 화관은 통상순형이고 상순은 다소 투구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네모지며 능선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평북 함남(부전고원) 함북(백두산 포태산 고두산)이북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5 : 197 (192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호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pekinensis var. ussuriensis (Regel) Hand.-Mazz.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골무꽃속(Scutellaria)
    이명 : 개골무꽃 북해골무꽃 산골무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질이 얇고 길이 2-4cm 나비 1.5-2.5cm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총상화서는 끝에 달리며 길이 3-6cm로서 퍼진 선모(腺毛)가 있거나 털이 없고 소화경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꽃이 필 때는 길이 2-2.5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5mm로서 상층에 부속편이 있다. 화관은 밑부분에서 굽어 위를 향하며 길이 15-20mm로서 끝이 양순형으로 갈라지고 상순은 하순 길이의 1/2정도이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모두 끝이 둔하다.
    열매 : 소견과는 길이 0.7mm이고 원추형의 돌기가 밀생하며 회색빛을 띤 황갈색을 띤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줄기는 직립하고 가늘고 가지를 약간 내며 소수의 잎이 달린다. 원줄기의 각 마디에 위로 굽은 백색 털이 다소 밀생한다.
    뿌리 : 백색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산골무꽃에 비하여 마디에 털이 많고 다른 부분에 털이 적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Horti Gothob. 3(10) : 339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동래엉겅퀴

    학명 : 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이명 : 동내엉겅퀴
    잎 : 밑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시가 있고 밑으로 흐르지 않으며 길이 14-17㎝ 나비는 4-6㎝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3-4쌍으로서 서로 떨어져 있고 가시같은 톱니가 있다.
    꽃 : 두화는 꽃이 필 때 곧추서고 가지나 줄기끝에 1개씩 곧게 달린다. 총포는 편평한 구형이고 길이 16mm 나비 30mm로서 밑부분이 들어가며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중앙까지 닿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고 중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뒷면에 점질이 있고 검은빛이 돌며 외편과 더불어 곧추 퍼진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 지름 2mm로서 끝이 볏짚색이며 밑부분이 흑자색이고 관모는 길이 2mm로서 다소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가 35cm에 달하고 골이 진 줄이 있으며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부산 및 동래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5: 31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6. 고려엉겅퀴

    학명 :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이명 : 곤드래구멍이도깨비엉겅퀴 독깨비엉겅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는 말라죽는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있고 난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밑부분이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15~35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가시같은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고 긴 타원상 피침형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엽병이 짧으며 가장자리에 바늘같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지름 3~4cm인 자주색 두상화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위를 향해 1개씩 달린다.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20mm 나비 20-30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며 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점질이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5~19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3.5-4mm이고 관모는 길이 11-16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가 곧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잎고려엉겅퀴 var.niveo-araneum Kitam : 잎 뒷면이 모시풀같이 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4 : 54 (192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7. 도깨비엉겅퀴

    학명 : Cirsium schantarense Trautv. & Mey.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이명 : 부전엉겅퀴 수그린엉겅퀴 큰엉겅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며 길이는 20-40㎝로서 밑으로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거나 원줄기를 약간 감싸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밑부분이 귀처럼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흔히 뒤로 젖혀지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난상 피침형으로 된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상화는 지름 4-5㎝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밑으로 처지고 총포는 둥글며 길이 15-20mm 나비 30-40mm이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점질이 있거나 없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8-2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4mm정도이고 털이 없으며 칙칙한 갈색이고 관모는 길이 16-18mm로서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 50-150cm이고 원줄기에 홈이 파진 줄이 있으며 윗부분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chotensis Phaenogama 58 (185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8. 버들잎엉겅퀴

    학명 : Cirsium lineare (Thunb.) Sch.Bip.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이명 : 넓은잎버들엉겅퀴 솔엉겅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선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길이 6~20cm 폭 5~10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엽병으로 되거나 엽병이 거의 없고 원줄기를 감싸지도 않으며 밑으로 흐르지도 않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며 길이 1-2mm의 가시가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통꽃만인 두상화는 보통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길이 15mm 지름 20-25mm이다. 총포는 지름 15~20mm이고 총포편은 6~7줄로 비늘같이 배열되며 외포편이 가장 짧고 점차 길어지며 끝에 짧은 가시가 있고 뒷면에 점질과 더불어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통상화관은 길이 약 17mm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mm정도이고 관모는 길이 12mm정도로서 오갈색(汚褐色)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며 가늘고 곧게 서며 털이 별로 없다.
    뿌리 : 근경은 퉁퉁한 덩어리 모양이다.
    분포 : 경기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19: 335 (1847)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9. 큰엉겅퀴

    학명 :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이명 : 장수엉겅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타원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40-50cm 나비 2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로 되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에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15-25c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에 직접 달리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지가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4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밑을 향하고 총포는 난형이며 길이 2cm 지름 2.5-3.5cm로서 다소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8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가장 짧으며 중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되고 뒤로 젖혀지며 중륵에 검은빛이 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2-22mm이며 관모는 길이 18-22mm로서 흑갈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로서 4개의 능선이 있고 백색 관모(冠毛)가 있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종선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일본 만주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주로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엉겅퀴 흰가시엉겅퀴 가시엉겅퀴 좁은잎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 등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6 : 650 (DC., 183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0. 바늘엉겅퀴

    학명 : Cirsium rhinoceros (H.Lev. & Vaniot)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이명 : 탐라엉겅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밑부분이 좁고 규칙적인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인접해 있으며 옆으로 또는 뒤로 젖혀지고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딱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두화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3~3.5cm로서 잎같은 포에 싸여 있고 총포는 길이 2.2-3cm 나비 3.4-4.5cm이다. 포편은 7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침형으로서 퍼지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중편은 내편보다 길고 넓으며 중앙부의 나비가 2-3mm로서 맥이 많다. 통상화만 있으며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8~19mm이며 모두가 양성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mm 나비 1.5mm로서 윗부분이 황색이며 다른 부분은 자주색이고 관모는 길이 13-16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며 곧게 서고 윗부분이 2-3개로 갈라지며 잎과 가지가 많이 달리고 줄과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덩어리 모양이다. 뿌리는 방추형이며 길이 30-40cm이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바늘엉겅퀴 for.albiflorum Sakata et Nak.: 백색 꽃이 핀다.
    특징 : ▶한국 특산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364 (1912)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11. 엉겅퀴

    학명 :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이명 : 가시나물 가시엉겅퀴 항가새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경색엽보다 크며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15-30cm 나비 6-15c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지가 있고 경생엽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원줄기를 감싸고 우상으로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진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는 둥글며 길이 18-20mm 지름 25-35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겉에서 안으로 약간씩 길어지고 끝이 뾰족한 선형이다. 꽃은 전부 관상화이고 화관은 자주색 또는 적색이며 길이 19-24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4mm이며 관모는 길이 16-19mm이고 백색이다.
    줄기 : 높이 50-100cm로서 전체에 백색 털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 지상부를 대계라고 한다.
    분포 : 우리 나라 전국에 분포하여 만주 중국 우수리에도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좁은잎엉겅퀴 var.nakaianum Nak.: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다. ▶가시엉겅퀴 var.spinosissimum Kitam.: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으며 길이 6-10mm이다. ▶흰가시엉겅퀴 for.alba T.Lee : 백색 꽃이 핀다.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drispus L.) : 들에서 자라는 2년초이다. 줄기에 날개가 붙어 있고 많은 가시가 있다. 잎은 나물로 한다. ▶바늘엉겅퀴(Cirsium
    특징 : ▶`가시나물`이라 하여 결각진 잎의 톱니가 모두 가시로 되어 있어서 다치면 따끔거린다. ▶엉겅퀴라 하면 옛날에 스코틀랜드에 침입한 바이킹의 척후병이 성 밑에 난 엉 겅퀴가시에 찔려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성내의 병사들이 깨어나 바이킹을 물리쳤다 하여 구국의 공로로 스코틀랜드의 국화가 된 것으로 유명한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ex pl. jap. 2(2): 641 (191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12. 국수나무

    학명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var. incisa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이명 : 거렁방이나무 고광나무 뱁새더울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 또는 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2-5cm로서 가장자리에는 결각상 톱니가 있고 잎 표면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6월 새가지 끝에 길이 2-6cm의 원추화서를 이루며 많은 소화가 달리고 소화경에는 털이 있고 길이 5-8mm이며 화관은 지름 4-5mm로 백색이고 꽃받침잎은 삼각상 원형이고 첨두이며 거치가 있고 꽃잎은 도란형이고 5장이며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다. 암술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구형이고 지름 2-3mm이며 잔털이 있고 8-9월에 성숙한다. 한개의 골돌에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소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腺毛)가 있으며 적갈색이다. 줄기가 뿌리 부근에서 많이 나와 덤불을 이룬다.

    분포 :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나비국수(var.quadrifissa T.LEE) : 잎이 거의 비슷하게 5개로 갈라져서 나비같으므로 국수나무와 구별할 수 있으며 서울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개국수나무(S. quadrifissa NAK.)라고도 한다. ▶나도국수나무(Neillia uyeki Nakai):골돌은 복봉선에 따라 갈라지면서 한 개의 열매에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섬국수나무(Physocarpus insularis NAK.):잎은 갈라지지 않고 잎의 뒷면에 털이 없
    특징 : 줄기의 골속이 국수와 같다 하여 국수나무라 한다. 맹아력이 왕성하며 수세가 강건하여 제반입지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ten- Zeitung 4 : 510 (188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3. 각시제비꽃

    학명 : Viola boissieuana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각씨제비꽃 묏오랑캐
    잎 : 잎은 삼각상 심장형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하게 그치거나 둔하며 밝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때로는 백색 무늬가 있고 길이 0.8-2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 밑부분이 밋밋하며 위로 갈수록 다소 커지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7c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은 길이 5-10cm이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3-4.5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부속체는 밋밋하며 끝이 둔하다. 꽃잎은 길이 7-10mm이고 측판 밑부분에 보통 털이 있으며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고 거는 길이 2-3mm로서 둥글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짧고 뿌리가 백색이다.
    분포 : 제주도와 경상북도 울릉도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연약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7 : 127 (190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4. 흰갑산제비꽃

    학명 : Viola kapsanensis f. albiflora (Nakai) T.B.Lee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흰뫼제비꽃
    잎 : 잎은 근경에서 총생하며 바깥쪽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 안쪽의 잎은 끝이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고 엽병은 털과 날개가 없다.
    꽃 : 화경은 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중앙부에 2개의 포가 있고 털이 없으며 곧추서지만 끝이 밑으로 굽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3-5mm이다. 꽃받침잎은 털이 없고 피침형이며 부속체는 길이 2-3mm로서 끝에 톱니가 있고 꽃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상 원형이며 흰색이고 측열편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부리처럼 길다.

    줄기 : 꽃이 필 때는 높이가 4-10cm이다.
    뿌리 : 다소 길게 자란 근경 선단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함경남도 지방에 분포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갑산제비꽃
    특징 : 함경남도에서 자라는 흰 꽃이 피는 갑산제비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kor. 550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섬제비꽃

    학명 : Viola takesimana Naka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섬졸방제비꽃 울릉제비꽃
    잎 : 근생엽을 거의 비슷하고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심장저이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둔한 톱니가 있다. 탁엽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떨어지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 : 소화경은 원줄기에서 나온 것은 길이 6-7cm 가지에서 나온 것은 길이 4-6cm이다. 꽃은 연보라색이며 화경은 길고 줄기끝이나 엽액에 1송이씩 달리며 포는 선형이고 밑부분에 털모양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7-10mm 폭 1-1.5mm이고 꽃잎은 긴 타원상 주걱형으로서 털이 없으며 거는 길이 5-8mm이고 암술머리는 곤봉같으며 앞으로 굽는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8mm로서 털이 없다.
    줄기 : 가지는 옆으로 퍼지며 털이 있거나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선단이 마른 엽병의 밑부분으로 덮여 있다.
    분포 : 울릉도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졸방제비꽃
    특징 : 졸방제비꽃과 비슷하나 포가 꽃줄기 중앙보다 밑에 달리고 가장자리가 깃 모양으로 갈라지는 것과 꽃받침이 길고 꽃잎이 좁은 것이 다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6 : 34 (192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넓은잎제비꽃

    학명 : Viola mirabilis 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넓은잎오랑캐 넓은제비꽃 참넓은잎제비꽃
    잎 : 잎은 편심형 또는 원심형이며 길이 2-4.5cm 폭 2.5-6cm로서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7-15cm로 엽맥에 털이 있다.
    꽃 : 화탁은 넓은 피침형이며 백색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거나 털이 없으며 줄기 윗부분의 것은 짧은 녹모가 있고 길이 5-8mm로서 거의 떨어진다. 화경은 뿌리에서 나오며 4월에 연한 자주색꽃이 피고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8mm이고 부속체는 편원형으로서 밋밋하다. 꽃잎은 길이 13-15mm이며 측판에 털이 있고 거(距)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5mm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윗부분의 폐쇄화에서 생기고 길이 8-10mm이다.
    줄기 : 원줄기는 꽃이 진 다음 높이가 15-30cm에 달하며 원줄기 끝에 엽병이 거의 없는 1쌍의 대생엽이 달리고 중앙부에는 엽병이 긴 1개의 잎이 달리며 보통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 일본, 중국, 유럽 / 한국(강원도 인제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넓은잎제비꽃 : 기본종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7. 콩제비꽃

    학명 : Viola verecunda A.Gray var. verecunda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조갑지나물 조개나물 좀턱제비꽃 콩오랑캐
    잎 : 근생엽은 신장상 난형이고 둔두 또는 원두이며 심장저이고 길이 1.5-2.5cm 폭 2-3.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잎보다 2-4배 길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으며 신장상 난형으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길이 7-20mm로서 피침형 또는 선상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는 긴 화경에 1개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4-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부속체는 짧으며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길이 8-10mm 지름 6-8mm이며 측판에 털이 있고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거는 길이 2-3mm이다.
    열매 : 삭과는 긴 난형이며 길이 7-8mm로서 3조각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2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옆으로 자라며 털이 없다.
    뿌리 : 수염뿌리가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mer. Acad. Nat. Sci. n. ser. 6 : 382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큰졸방제비꽃

    학명 : Viola kusanoana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섬오랑캐 섬제비꽃 왕졸방나물 죽도오랑캐
    잎 : 근생엽은 원심형 또는 편심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이 각 3-5cm이지만 과시에는 6cm정도로 되며 마르면 원줄기와 더불어 갈색점이 생긴다. 엽병은 엽신보다 1.5-2.5배 길고 탁엽은 윗부분의 것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의 것은 난형이고 빗살처럼 갈라지며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탁엽이 중열한다.
    꽃 : 꽃은 액생하고 연한 자주색이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8mm이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둔한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15-18mm로서 털이 없으며 거는 색이 연하고 길이 6-8mm이다. 꽃이 진 다음 화경이 짧은 폐쇄화가 생겨서 결실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세모진다.
    줄기 : 높이 20-40cm이며 여러대가 비스듬히 서고 꽃이 필때는 높이 5-10cm이다.
    뿌리 : 뿌리는 다소 단단하고 근경의 마디가 밀접하다.
    분포 : 경상북도 울릉도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졸방제비꽃
    특징 : 졸방제비꽃에 비해 잎은 둥글고 낚시제비꽃과 비슷하나 턱잎이 넓고 얕게 갈라지며 잎이 둥근 모양이고 끝이 뾰족한 것이 다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173 (19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화엄제비꽃

    학명 : Viola ibukiana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화엄오랑캐
    잎 : 잎은 난형이고 작으며 표면은 푸른 빛이 도는 녹색으로서 흔히 흰색 무늬가 있고 윤채가 있으며 얼핏보기에 잎이 단풍제비꽃의 잎과 같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밝은 홍자색이며 자주잎제비꽃의 것과 같다. 꽃이 진 다음 큰 잎이 나오는 성질은 남산제비꽃과 같으나 자주잎제비꽃은 남산제비꽃에 비해 그리 흔하지 않으므로 보다 자세한 관찰이 필요하다.

    줄기 : 무경성(無莖性) 다년초로서 꽃이 필 때는 높이가 10cm에 달한다.
    뿌리 : 뿌리가 갈라져 깊이 들어간다.
    분포 : 화엄사 근처에 분포
    형태 : 무경성(無莖性) 다년초

    특징 : 남산제비꽃과 자주잎제비꽃의 자연잡종으로 보고 있다. 화엄사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화엄제비꽃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9 : 106 (190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우산제비꽃

    학명 : Viola woosanensis Y.N.Lee & J.Kim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턱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으며 길이 1-1.3㎝이다. 잎은 삼각상 난형 불규칙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 양 면에 털이 있다. 윗면은 짙은 녹색 아랫면은 자줏빛을 띠며 길이 3.6-6.4㎝ 폭 2.5-4.5㎝이다. 잎자루는 길이 2.5-2.8㎝이다.
    꽃 : 꽃은 보라색이고 길이 2-2.2㎝ 꽃줄기는 갈색을 띤 녹색이며 길이 3-7.5㎝이다. 턱잎은 길이 1.5㎝ 폭 2-2.5㎜이다. 꽃받침은 피침형 기부쪽은 치아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4㎝ 폭 3.8㎜이다.



    분포 : 울릉도에서 발견했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이 식물은 울릉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아마도 오래 전에 남산제비꽃(Viola dissecta Ledeb var. chaerophylloides(Regel)Makino)과 메제비꽃(V. selkirkii Pursh)간의 교잡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