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만첩개벚
학명 : Prunus verecunda var. semiplena (Nakai) W.T.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벗나무속(Prunus)
이명 : 많첩개벚
잎 : 잎은 난형 넓은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점첨두 원저로 길이 5-8cm 폭 2-4.5cm이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예리하고 잎 뒷면에 미모가 있다.처음에는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양면 맥 위에만 남는다. 엽병은 길이 11-18mm로서 털이 없거나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2-4개의 밀선이 엽신기부에 있다. 9-10쌍의 측맥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만첩이고 연한 홍색으로 개화하며 잎과 함께 2-3개씩 산형화서에 달린다. 화경(花梗)은 길이 2cm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4.3cm로서 털이 없고 포는 길이 5-6mm로서 톱니가 있으며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통은 길이 5.3mm로서 털이 없고 꽃받침잎은 길이 4.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고 꽃잎은 연한 홍색이고 둥글며 길이 2cm로서 요두이다. 수술은 길이7mm 암술은 길이 15mm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지름 3.5㎝의 둥근 핵과로 7월에 자흑색으로 익는다. 핵은 편평하고 연한 황색이다.
줄기 : 소지(小枝)는 자줏빛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개벚나무(P. leveilleana Koehne): 꽃이 잎보다 먼저 피며 꽃잎이 난원형으로 암술이 수술 위로 나오고 소지는 자줏빛인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주잔대
학명 : Adenophora pereskiifolia (Fisch. ex Roem. & Schult.) G.Don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이명 : 만주모시나물왕잔대잔대짧은잔대참잔대
잎 : 잎은 윤생 또는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으로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거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연한 벽자색이고 종 모양이며 화관 끝은 얕게 5갈래 수술 5개 암술 1개 암술머리는 3갈래 씨방 상위 이다.
분포 : 한국(강원도 북부) 중국 아무르 우수리 다후리아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높은 산에서 나는것은 특히 작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만주자작나무
학명 : Betula platyphylla Sukaczev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자작나무속(Betula)
이명 : 만주재작이 봇나무 )자작나무 )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예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7cm로서 표면에는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에는 없고 양면에 지점(脂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엽신 길이의 1/2이거나 같은 길이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암수한그루이며 유이화서로 달리고 포는 털이 있으며 측열편은 4각형 또는 원형이고 중앙열편은 피침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다.
열매 : 과수는 밑으로 처지며 길이 2-5cm로서 원통형이지만 밑부분이 좁아지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날개가 있으며 날개는 종자 나비의 2배 정도이고 견과는 편평한 방추형이며 2개의 짧은 암술대가 있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며 수피는 백색의 종이장처럼 벗겨지며 어린가지에 털이 성글게 있고 선점과 백색 피목이 있다.
분포 : ▶중국 러시아 극동지구에 분포한다. ▶함경북도의 산 중턱 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자작나무(B.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잎은 길이 5-7㎝의 삼각상 계란형이고 열매는 길이 3-5㎝ 직경 0.8-1.0㎝로서 9월에 익고 아래로 처져 매달리며 날개가 종자의 폭보다 넓다. ▶물박달나무(B. davurica Pallas): 수피는 회갈색 얇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잎은 난형 길이 3-8㎝ 뒷면은 황록색이고 지점이 많다. ▶사스래나무(B. ermanii Chamisso): 수피는 회적갈색 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av. Mus. Acad. Sci. St. -Pet. 8 : 220 (191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주잎갈나무
학명 : Larix olgensis var. amurensis (Kolesn.) Kitag.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잎갈나무속(Larix)
이명 : 좀이깔나무 )
잎 : 잎은 흩어지거나 모여 나고 바늘 모양이다.
꽃 : 자웅동주로 5월에 단성화가 핀다.
열매 : 과실은 구과로 9월에 다갈색으로 익는다.
분포 : 한국의 백두산 사할린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침엽 교목
특징 : 잎갈나무에 비해 솔방울이 작고 비늘 조각의 수가 이삼십 개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47 (Kitag., 19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주우드풀
학명 : Woodsia manchuriensis Hook.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우드풀속(Woodsia)
이명 : 만주가물고사리만주고사리 절벽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5㎝로서 적갈색이 돌고 윤채가 있으며 털이 거의 없거나 잔털이 드문드문 있고 잘 부러짐. 엽신은 길이 10-30㎝ 폭 2-5㎝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털이 거의 없고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짐. 우편은 삼각상 넓은 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로서 대가 없고 넓은 예저 또는 절저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끝이 둥글다.
열매 : 포자낭군은 각 열편 밑부분에 1-6개씩 달리며 포막은 둥글고 털이 없으며 끝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백색 막질이다.
뿌리 : 근경은 덩어리 같고 인편이 밀생하며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ec. cent. fernst.98 (18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주애기마름
학명 : Trapa maximowicii Korsh.
과명 : 마름과(Trapaceae)
속명 : 마름속(Trapa)
잎 : 부엽은 호생하며 로켓 모양이고 병이 있으며 마름모 모양이며 선단 부분에 거치연이 있다. 침수엽은 갈라지며 병이 없고 선형으로 전연 탈락성이며 떨어진 뒤에 녹색이고 차상분지하는 부정근이 엽흔에서 발달한다. 엽병은 흔히 타원상 해면체의 기낭 부위가 있다. 탁엽이 변하여 된 뿔이 2 혹은 4개가 있다. 뿔사이에 돌기가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양성화 방사상칭 액생 화경은 짧다. 꽃잎은 4개 흰색 혹은 분홍색 탈락성. 꽃받침은 4개이고 삼각상이며 자방에 합생하여 과일에서 억센 뿔로 발달한다.
열매 : 과실은 크거나 작고 단단하며 높이 1.2∼1.9cm 너비 2.5∼2.9cm이다.
줄기 : 원줄기는 수면까지 자라며 끝에서 많은 잎이 사방으로 퍼져 수면을 덮고 물속의 마디에서는 우상의 뿌리가 내린다.
뿌리 : 뿌리가 진흙 속에 있다.
형태 : 일년생 부엽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2 : 336 (1893)
-
No Image
만주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mandshurica Maxim.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송이풀속(Pedicularis)
잎 :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밑에서 총생하며 가장자리에 막질의 인엽이 달리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5-20cm이며 털이 없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상하로 갈수록 짧아지고 작아지며 중앙부의 가장 큰 우편은 길이 23mm 넓이 7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점차 작아져서 화서에 이르러 포엽으로 되고 엽병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30cm이며 끝에서 총상화서가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17mm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7mm로 밑부분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은 우상으로 갈라져서 작은 포편같이 되고 톱니가 있다. 화관은 길이 2.5cm로서 양순형이며 상순이 활처럼 앞으로 굽는다.
열매 : 삭과는 긴 난형이며 길이 1.2cm정도로서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능선을 따라 줄지어 돋은 잔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북에 분포한다. 설악산 이북의 중복 이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sbourg 24: 79 (18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만주사초
학명 : Carex mandshurica Meins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는 줄기와 거의 같고 기부 엽초는 엽신이 없으며 적색으로 그물 같은 섬유로 덮인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2~4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곧추 서고 정소수는 선형으로 길이 1~2cm이며 수꽃이 달리나 드물게 위쪽에 소수의 암꽃이 나기도 한다. 측소수의 길이는 5~15mm이고 암꽃이 달리며 하부의 포는 종종 짧은 엽상이다. 암꽃의 인편은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뒤쪽에 1~3맥이 있다.
열매 : 과포는 세모진 도란형으로 길이 2.5~3mm이고 털과 맥이 많다. 수과는 세모진 도란형이고 암술머리는 3렬한다.
줄기 : 줄기는 예리한 3각형으로 상부가 거칠다.
뿌리 : 근경은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모여나나 때로 짧게 뻗는다.
분포 : 북부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사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만주사초는 진들사초에 비하여 잎이 좁고 측소수가 구형 또는 원주형이며 인편이 자갈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Centralbl. 55 : 197 (1893)
-
No Image
만주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grandis Honda ex Ohw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잎 : 기부의 잎은 약 5개이며 엽병은 6~22.5cm로서 강모가 있다. 엽신은 3갈래로 심열하며 심장형이고 길이 3~8cm 너비 4.8~14cm로서 강모가 있고 엽저는 심장저이다. 중앙의 열편은 능형이고 3개로 갈라지며 첨두이고 약한 치아상의 거치가 있다. 엽연의 열편은 부채꼴 모양이고 비대칭적으로 2개로 갈라져 있으며 깊은 치아상의 거치가 있다. 경생엽은 약 2개이며 짧은 엽병과 함게 3개로 갈라져 있고 열편은 깊은 치아상의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지름 1~1.6cm 화병은 약 2cm로서 강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장이고 난형이며 길이 4~5.5mm이고 표면에 빽빽한 강모가 있다. 화판은 5~6장으로서 도란형이며 길이 6~9mm 너비 4~7mm이고 밀선이 있으며 끝은 둥글다. 수술은 여러개이고 꽃밥은 장타원형이며 심피는 여러개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고 광도란형이며 길이 2.2~3mm 너비 1.8~2.5mm로서 털이 없고 좁은 엽연이 있다.
줄기 : 포복지는 늘어지고 직경 1.5~2mm이고 줄기는 20~70cm이고 강모가 있다.
뿌리 : 뿌리는 두꺼우며 잔털이 많다.
분포 : 중국 일본
특징 : Herbs perennial. S Fl. fr.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만주뚜껑덩굴
학명 : Actinostemma lobatum f. subintegrum (Kom.) Kitag.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뚜껑덩굴속(Actinostemma)
분포 : 한반도 중국 만주
특징 : 기본종인 뚜껑덩굴에 비해 잎이 갈라지지 않거나 기부의 것만이 갈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598 (Kitag., 1979)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주딱지꽃
학명 : Potentilla multifida L.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눈양지꽃 좁은잎딱지 좁은잎딱지꽃
잎 : 근생엽은 2.5?17cm로서 탁엽은 갈색이고 표면에 털이 많다. 엽신은 (2개 혹은)3개~5개(혹은 6개)로 된 우상복엽으로써 소엽은 대생하고 0.5?2 cm의 간격을 두고 드물게 호생한다. 장타원형 광난형이고 길이 1?5cm 너비 0.8?2cm이며 끝의 소엽은 기부의 소엽보다 길다. 잎윗면에 면모가 있으며 맥을 따라 융모가 빽빽하고 덮여 있고 뒷면에는 중앙의 맥과 가장자리의 맥을 따라 연모 융모가 빽빽하게 덮여 있으며 엽연은 바깥쪽으로
꽃 : 화서는 산방 또는 취산화서로써 꽃은 지름 1.2?1.5cm이고 소화경은 1.5?2.5 cm이며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3각상 난형이고 끝부분은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악상총포의 열편은 피침형 또는 긴피침형이고 꽃받침잎보다 약간 짧으며 융모로 덮여 있고 끝부분은 둔두 또는 첨두이다. 화판은 황색이고 도란형이며 꽃받침잎과 비슷하고 끝부분은 톱니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화주는 원뿔형이고 끝에서 굵어지며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열매 : 수과는 매끄럽거나 약간의 주름이 있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고 때때로 기부 근처에서 갈라지며 3?40 cm이고 밀착된 털로 덮여 있다.
뿌리 : 뿌리는 원통형이며 약간 목질화 되어 있다.
분포 : 중국 아시아 유럽 북미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주곰솔
학명 : Pinus tabulaeformis var. mukdensis Uyeki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소나무속(Pinus)
이명 : 만주흑송
잎 : 잎은 굳고 뾰족하지만 곰솔같지 않으며 길이 10-17㎝ 폭 1.5mm로서 잔톱니가 있고 횡단면의 수지구가 외위 또는 중위이다.
꽃 : 웅화수는 원통형이며 길이 12-18mm이고 자화수는 난형으로서 길이 7mm. 꽃은 5월에 핌.
열매 : 실편은 자줏빛이 돌고 끝이 길게 뾰족하다. 구과는 난형이며 길이 4-7㎝로서 윤채가 있는 황갈색이고 비대부가 비후해지며 횡선이 뚜렷하게 돌출하고 제가 발달하지만 침은 뚜렷하지 않다. 종자는 긴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7-8mm이며 자갈색이고 날개는 피침형으로서 중앙부가 넓으며 자갈색 또는 갈색이다. 열매는 다음해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80cm이며 수피는 회흑색으로 갈라지고 소지는 연한 황색 또는 회황색으로 털이 없으며 동아는 황적갈색이다.
분포 : ▶지리적으로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수직으로는 표고 25m 수평적으로 평남도 맹산군 당포리 및 대흥리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Timber Trees 68 (192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만주고로쇠
학명 : Acer pictum var. truncatum (Bunge) C.S.Chang
과명 : 단풍나무과(Aceraceae)
속명 : 단풍나무속(Acer)
이명 : 만주고로쇠나무 만주고로실 메고로쇠나무북고로쇠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7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매우 뾰족한 점첨두로서 흔히 중앙열편에 결각이 있으며 엽저는 거의 절저이고 길이 5~11cm 나비 6-12cm로서 양 면에 털이 없으며 엽병은 길이 3-7cm이다.
꽃 : 화서는 취산화서로서 지름 6-8cm이고 15개 이상의 꽃이 달리며 화경은 1-2cm이고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연한 황색이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 날개의 각이 직각 또는 둔각으로 벌어지고 길이 3cm로서 털이 없으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수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 산지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소교목.
유사종 : ▶털만주고로쇠 (var.barbinerve T.LEE) : 잎 뒷면에 잔털이 있다. 경남 지역에 야생한다. ▶우산고로쇠(A. okamotoanum Nak.): 잎 전체 모양이 고로쇠나무와 비슷하지만 6-9개로 갈라지고 맥액에 흰털이 있으며 시과는 길이 4-4.5㎝이고 날개는 평행하며 거의 합쳐지거나 직각으로 벌어진다. 울릉도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Ser. 6, Sci. Math., Seconde Pt. Sci. Nat. 2:84 (183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만주겨이삭여뀌
학명 : Persicaria foliosa (H.Lindb.) Kitag. var. foliosa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이명 : 겨이삭아재비 겨이삭여뀌 만주겨이삭 잔잎여뀌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2-5cm 폭 2-8mm로서 털이 없고 뒷면에 흔히 선점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길이 5-10mm로서 거의 연모(緣毛)가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윗부분의 엽액과 원줄기 끝의 수상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가늘고 길이 3-5cm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화피는 붉은빛이 돌며 길이 1.5-1.8mm이고 5개이다. 수술 5개 암술대는 3개이고 자방은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렌즈형이고 길이 1.5mm정도이며 흑갈색이고 윤채가 있다.
줄기 : 높이 20-3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고 약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이 다소 땅에 닿으며 전체적으로 적갈색이 돈다. 식물체는 마르면 적갈색으로 된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개여뀌(P. longiset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 Inst. Sci. Res. Manchoukuo 1: 321 (19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만수국아재비
학명 : Tagetes minuta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천수국속(Tagetes)
잎 : 잎은 깃꼴겹잎으로 5-15장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고 작은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다. 잎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반투명의 선점이 있다.
꽃 : 두상화서는 가지 끝메 모여 붙고 총포편은 길이 0.8-14㎜ 폭 2-3㎜ 황록색의 통형이다. 선단부는 얕게 5갈래로 갈라지고 갈색의 선이 산재한다. 설상화는 2-3송이이고 설상부는 도란형이고 황색으로 선단부가 얕게 2갈래로 갈라진다. 관상화는 3-5송이이고 관모는 비늘 모양으로 여러 조각이 있는데 1-2개는 가시 모양이다.
열매 : 수과(瘦果)는 선형으로 길이 6.5-7㎜ 흑갈색 가는 털이 있고 자상 관모(刺狀 冠毛)가 있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고 강한 냄새가 난다.
분포 : ▶열대아메리카와유럽 아시아 등지에 분포 ▶국내에서는 제주도 남부에 야생 상태로 난다.
형태 : 1년생초본이다.
특징 : 열대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지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任良宰 全義植 양씨에 의하여 1980년에 보고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임양재 & 전의식, 1980)
-
No Image
만수국
학명 : Tagetes patula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천수국속(Tagetes)
이명 : 후렌치메리골드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며 1회우상복엽으로서 엽병이 있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와 유점이 있다.
꽃 : 꽃은 여름에 피지만 온상에서 기른 것은 5월에 피며 지름 4cm로서 황금색에 가까운 갈적색이고 총포는 포편 밑부분이 합생하여 밋밋하며 컵모양이고 끝부분이 굵어진 화경 끝에 달린다. 가장자리의 설상화는 많으며 5개로 갈라지고 중심부의 관상화는 끝부분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가늘고 길며 관모는 가시모양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털이 없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고 짙은 녹색이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많은 품종이 있고 꽃색에 따라서 홍황초(紅黃草)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병초
학명 :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들쭉나무뚝갈나무붉은만병초큰만병초홍뚜갈나무홍만병초흰만병초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끝에서는 5-7개가 총생하며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둔두 예저이고 길이 8-20cm 폭 2-5cm이다.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주름이 진 것 같고 뒷면에는 회갈색 또는 연한 갈색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뒤로 말린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회색털이 밀생하지만 없어진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10-20개가 가지끝에 모여 달리고 화경에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짧고 5갈래로 갈라지며 화관은 깔때기모양으로 백색 또는 연한 황색이며 안쪽 윗면에 녹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로서 길이가 서로 다르고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자방에 갈색털이 밀생하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2cm정도이고 9월에 갈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4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회색털이 밀생하지만 곧 없어지며 갈색으로 변한다.
분포 : ▶일본에도 분포한다.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울릉도) 강원도 평남 함남 함북 및 북부 지방의 표고 700-2 200m사이의 고산에서 자생한다.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유사종 : ▶홍만병초(var. roseum Koidz.): 진한 홍색꽃이 핀다. ▶노랑만병초(R. aureum Georgi): 노랑꽃이 피고 줄기에 인편이 있으며 자방에 털이 있다. 경북 평북 함남등지에 자란다. ▶참꽃나무겨우살이(R. micranthum): 경북 충북 강원도에 자라며 6-7월에 개화한다.
특징 : 생장이 느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Hist. 3 : 843 (183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만리화
학명 : Forsythia ovata Nakai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개나리속(Forsythia)
이명 : 금강개나리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5-7cm 폭 4-6cm로서 개나리에 비해 거의 원형에 가까우며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지름 3㎝로서 엽액에 1개씩 달리고 길이 6mm의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 열편은 넓은 난형이며 화관은 길이 1.5-2cm로서 밝은 황색이고 열편은 긴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길이 1㎝ 지름 5㎜로서 편평하고 평활하며 소과경은 길이 2-3mm이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다각형으로서 길이 5-6㎜ 폭 1.5-2㎜이다.
줄기 : 높이 1-1.5m이며 가지는 회색 또는 암회색이고 피목이 산재한다. 소지의 골속은 갈색으로 계단상이다.
분포 : 설악산 이북의 표고 200-800m 계곡 강원도 황해도와 경북지방 산지의 골짜기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장수만리화(F. nakaii T.Lee) : 잎에 윤채가 없고 소지 기부에 융모가 있으며 줄기가 곧추서며 꽃이 많이 달리고 길게 비틀리며 황해도 장수산에서 자란다.
특징 : ▶우리 나라 특산이다.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하나 개나리처럼 늘어지지 않으며 맹아력이 강하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년콩
학명 : Euchresta japonica Hook.f. ex Rege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만년콩속(Euchresta)
이명 : 산두근
잎 : 잎은 호생하며 3개의 소엽으로 된 복엽이고 엽병이 길며 연한 갈색털이 있고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원두 원저이며 길이 5-8cm 너비 3-5cm로서 혁질인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흰빛이 돌고 양끝이 둥글다.
꽃 : 꽃은 6-7월경에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백색으로 피며 꽃의 길이는 1㎝정도이다. 화경은 길이 6-8㎜이고 포는 작다. 꽃받침은 길이 2.5-3mm이며 5개로 얕게 갈라지고 잔 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핵과처럼 되며 길이 1.8-2.0cm 지름 1cm인 타원형으로 육질이고 검은 남자색으로 익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줄기 : 원줄기 밑부분이 비스듬히 눕고 밑부분에서 몇개의 가지가 나온다. 수피는 흑갈색으로 미세한 털이 난다.
뿌리 : 뿌리가 약간 굵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의 난대림지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소관목
특징 : 1970년 8월에 김이만옹(翁)이 제주도 서귀포의 돈내코 계곡의 상록활엽수림에서 발견하였다. 만년콩이란 상록을 의미하고 김이만옹의 끝자 만(萬)자를 붙여서 영구히 기념하기 위하여 수목명이 만들어졌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tenflora 40: 321 (186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만년청
학명 : Rohdea japonica (Thunb.) Rot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만년청속(Rohdea)
잎 : 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30-50㎝ 폭 3-5㎝로서 끝이 뾰족하며 질이 두껍고 녹색으로 광택이 난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5mm정도로서 화피 윗부분이 6개로 갈라진다. 화경(花莖)은 잎 사이에서 돋고 길이 10-20cm이며 잎이 없거나 1개의 인엽이 있고 수상화서는 길이 2-3.5cm로서 연한 황색꽃이 밀착한다. 수술은 6개이며 화사(花絲)는 대부분 화피에 붙어 있다. 꽃밥은 난형이고 자방은 둥글며 3실로 되어 있는데 각 실에는 배주(胚珠)가 2개씩 들어 있다. 암술대는 매우 짧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장과로서 구형이며 적색으로 익지만 황색인 것도 있다.
뿌리 : 지하경은 굵고 비스듬히 서며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상록 다년초. 관엽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v. Pl. Sp. 197 (Roth, Apr 182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