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돈나무

    학명 : Pittosporum tobira (Thunb.) W.T.Aiton
    과명 : 돈나무과(Pittosporaceae)
    속명 : 돈나무속(Pittosporum)
    이명 : 갯똥나무 섬엄나무 섬음나무 음나무 해동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두꺼우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윤채가 있고 마르면 혁질로 되며 긴 도란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4~10cm 폭 2~4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린다. 건조하면 더 많이 말린다.
    꽃 : 5~6월로 가지 끝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은 양성화이고 향기가 있으며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꽃받침잎은 난형으로서 수술과 더불어 각 5개이며 꽃잎은 5개로서 주걱모양이다. 양성화이지만 숫나무에 있는 암술은 기능이 퇴화되어 있다.
    열매 : 삭과는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2㎝정도로서 짧은 털이 밀생하고 연한 녹색이며 10월에 누렇게 익으면 3개로 갈라져서 적색 종자가 나온다. 붉은 점액에 싸인 종자가 여러개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2-3m이고 줄기가 기부에서 여러개로 갈라지며 가지에 털이 없다.
    뿌리 : 잔뿌리가 많으며 향기가 난다.
    분포 : ▶중국과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남부 도서지방의 표고 700m 이하의 산기슭에서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수형:타원형.
    유사종 : ▶무늬돈나무(P. tobira Ait. Variegata): 잎가에 황백색 무늬가 들어 있다.
    특징 : 상록수이면서도 꽃과 열매와 잎이 아름답다. 맹아력이 강하고 종자에 윤기가 있고 점질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nsp. Fl. Kor. 2:37 (Palib., )
    Hort. Kew. ed. 2, 2:27 (W.T.Aiton, )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2. 흰제비란

    학명 : Platanthera hologlottis Maxim.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제비난초속(Platanthera)
    이명 : 흰난초
    잎 : 잎은 선상의 피침형으로 길이 10~20cm 폭 1~2cm이며 기부는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싸고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향기가 있으며 수상화서는 길이 10~20cm로서 꽃이 많이 달리고 포는 선상 피침형이며 꽃보다 길거나 짧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편평하며 5-7맥이 있고 길이 4-5mm로서 끝이 둔하며 옆의 것은 밑으로 처지고 굽으며 타원형이고 길이 6-7mm로서 둔하다. 꽃잎은 사란형(斜卵形)이며 끝이 둔하고 7맥이 있으며 중앙부의 꽃받침잎보다 짧다. 순판은 길이 6-8mm로서 육질이며 설상 긴 타원형이고 거(距)는 밑으로 처

    줄기 : 높이 50-90cm이고 5-12개의 잎이 호생하며 끝에 화서가 달린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268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3. 끈끈이주걱

    학명 : Drosera rotundifolia L.
    과명 : 끈끈이귀개과(Droseraceae)
    속명 : 끈끈이주걱속(Drosera)

    잎 : 잎은 총생하여 옆으로 퍼지고 도란상 편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0mm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고 표면에 적색의 긴 선모(腺毛)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13cm이다.
    꽃 : 화경(花莖)은 잎 중앙에서 높이 6-30cm정도 자라며 털이 없고 꽃은 7월에 피며 백색이고 윗부분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고 꽃잎은 5개로서 도란형 비슷하며 길이 4-6mm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3개로서 다시 2개씩 갈라지며 자방은 상위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5mm로서 익으면 3개로 갈라지고 양끝에 꼬리모양의 돌기가 있는 미세한 종자가 들어 있다.

    뿌리 : 약간 땅 속으로 자생하는 숙근성 다년초로 식충식물이며 교육적인 관엽식물이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식충식물
    유사종 : ▶긴잎끈끈이주걱(D. anglica Huds.)
    ▶끈끈이귀개(D. peltata Smith var. nipponica Ohwi)

    특징 : 작은 벌레가 선모에 닿으면 붙어서 움직이지 못하고 선모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에 의해 소화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4. 매화노루발

    학명 : Chimaphila japonica Miq.
    과명 : 노루발과(Pyrolaceae)
    속명 : 매화노루발속(Chimaphila)
    이명 : 풀차
    잎 : 잎은 호생하고 층으로 모여서 윤생하는 것 같으며 두껍고 혁질이며 넓은 피침형이고 짙은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 2-3.5cm 나비 6-10mm로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낮은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6-8mm로서 잎과 더불어 털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흰색이고 지름 1cm정도로서 반 정도 벌어지며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길이 4-8cm의 화경(花莖) 끝에 1-2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고 윗부분에 1-2개의 포가 있으며 털같은 잔돌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막질이고 길이 6-7m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화관열편은 도란상 원형이고 길이 7-8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편구형이며 지름 5mm정도로서 대가 없는 암술머리가 붙어 있다.
    줄기 : 높이 5-10cm이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굽는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상록 다년초

    특징 :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에 7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초본 또는 아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2: 165 (18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5. 비비추난초

    학명 : Tipularia japonica Matsum.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비비추난초속(Tipularia)
    이명 : 비비추란 비비취난초 비비취란 실난초 외대난초
    잎 : 잎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3.5-7㎝ 나비 1.5-3.5㎝로서 끝이 점점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고 엽병은 길이 3-7㎝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20-35㎝로서 밑부분에 2-3개의 초상엽이 있으며 5-15개의 꽃이 총상화서를 이루고 포는 흔적만 있다. 꽃받침과 꽃잎은 좁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4㎜정도로서 끝이 둔하고 순판은 도란형이며 3개로 갈라지고 길이 3mm로서 뒤쪽에 길이 5mm정도의 거(距)가 있다.
    열매 : 열매는 방추형이며 길이 1㎝정도로서 밑으로 처지고 길이 3mm정도의 대가 있다.
    줄기 : 구상으로 굵어진 위구(僞球)에서 1개의 잎과 화경(花莖)이 나온다.

    분포 : 제주도와 전라남도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세계에 약 4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지상에 나는 1엽란으로 비비추같은 잎이 달리기 때문에 비비추난초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5 : 87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6. 갯개미자리

    학명 : Spergularia marina (L.) Griseb.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갯개미자리속(Spergularia)
    이명 : 개미바늘나도별꽃바늘별꽃
    잎 : 잎은 대생하고 반원주상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5-3cm로서 털이 없다. 탁엽은 넓은 삼각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1.5-2mm로서 백색 막질이며 밑부분에서 합생하고 가장자리에 흔히 톱니가 2-3개가 있다.
    꽃 : 꽃은 5-8월에 피며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6mm로서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는 막질로서 선모가 있으며 길이 2mm정도이지만 3-4mm로 자란다. 꽃잎은 5개이며 백색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좁은 도란형이며 수술은 5개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길이 5-6m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0.5-0.7mm이고 같은 열매에서 나온 종자라도 날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줄기 : 높이 10-20cm이며 줄기 밑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분포 : 전국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1-2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ic. fl. rumel. 1: 213 (184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7. 노루발

    학명 :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과명 : 노루발과(Pyrolaceae)
    속명 : 노루발속(Pyrola)
    이명 : 노루발풀
    잎 : 잎은 1-8개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4-7cm 넓이 2.5-4.5cm이고 둔두 둔저이며 흔히 엽병과 더불어 자줏빛이 돌고 표면은 엽맥부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는 낮은 톱니가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3-8cm이다.
    꽃 : 화경은 길이 10-25cm로서 능선이 있고 1-2개의 인엽이 있으며 7월에 화경(花莖)은 길이 15-30cm로서 능선이 있으며 1-2개의 인엽이 달리고 윗부분에 2-12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지름 12-15mm로서 백색이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8mm로서 소화경보다 길거나 같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가 나비보다 2.5-3배 길며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이 길게 나와 끝이 위로 굽는다.
    열매 : 삭과는 지름 7-8mm로서 편평한 구형 익으면 5개로 갈라지고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는 땅속줄기가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울릉도 전남(지리산 완도)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북 강원 경기(광릉) 등에 야생한다.

    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분홍노루발: 꽃은 분홍색 지름 12-15mm 꽃줄기의 길이 20cm 꽃줄기 끝에 7-15송이씩 밑을 향해 총상화서로 달린다.
    특징 : 세계에 약 25종 우리 나라에는 7종이 분포한다.
    초본 식물로 가는 땅속줄기가 있고 근생엽은 땅에 로제트형으로 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28: 57 (1856)
    참고문헌 :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8. 백화등

    학명 :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Nakai) Ohwi
    과명 : 협죽도과(Apocynaceae)
    속명 : 마삭줄속(Trachelospermum)
    이명 : 백화마삭줄 홰화등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2-5cm 폭 1-3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5mm정도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하며 취산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하고 소화경의 길이가 5-10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선회상이고 수술은 5개로서 통부에 붙어 있으며 꽃밥 끝이 화관부 입구까지 닿고 암술대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다.
    열매 : 골돌은 가느다랗고 백색 털이 있으며 길이 12-22cm로서 2개가 서로 평행하거나 예각으로 벌어지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고 줄기에서 뿌리가 내려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분포 :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여수의 오동도 주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만경식물
    유사종 : ▶마삭줄(T.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잎은 길이 2-5㎝ 나비 1-3㎝로서 타원형이며 표면은 광택이 있다. ▶민마삭줄(var. asiatica Nakai): 줄기에 달린 잎에 털이 없고 잎이 큰 것.
    특징 : 마삭줄에 비해 전체가 대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962 (1953)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9. 으름덩굴

    학명 : Akebia quinata (Houtt.) Decne.
    과명 :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속명 : 으름덩굴속(Akebia)
    이명 : 목통으름
    잎 : 잎은 새 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늙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간혹 6)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직경 2.5-3cm로서 자갈색이 난다.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잎이 있다.
    열매 : 장과는 길이 6-10cm로서 긴 타원형이며 10월에 자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종자가 분산된다. 과피가 두껍고 과육은 먹을 수 있다.
    줄기 : 덩굴의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뿌리 : 길고 비대해 있으며 천근성이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황해도 이남의 표고 50-1 300m의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관화관실식물) 수형: 만경형
    유사종 : ▶멀꿀(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상록성 덩굴로 잎은 두꺼운 가죽질이고 5-6장의 소엽이 모여 1장의 잎을 이룬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껍질이 두꺼우며 익으면 벌어지기도 한다. 속에 든 과육은 맛이 좋다. ▶여덟잎으름 (var.polyphylla NAK.): 소엽이 6-9개(보통 8개임)이며 속리산 장산곶 및 안면도에서 자란다.
    특징 : 다른 나무를 감아 올라가는 특징이 있는 낙엽수로 봄에 돋아나는 새싹을 나물로 이용하는 개성있는 산나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Sci. Nat., Bot. ser. 2, 12: 107 (183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0. 옥잠난초

    학명 : Liparis kumokiri F.Maek.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나리난초속(Liparis)
    이명 : 구름나리란
    잎 : 잎은 2개가 전년도의 줄기 옆에서 나오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2㎝ 나비 2.5-5㎝로서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처럼 되어 서로 마주 안는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지만 자줏빛이 돌며 화경(花莖)은 높이 15-30cm로서 능선에 좁은 날개가 있고 5-15송이의 꽃이 드물게 붙는다.
    포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1.5mm이다.
    꽃받침은 길이 5.5~6.5mm로서 끝이 둔하고 좁은 타원형이며 꽃잎은 선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아래로 드리워지고 중앙부에 얕은 홈이 있다.
    순판은 중앙 윗부분에서 뒤로 젖혀지고 현부(舷部)는 나비 5mm로서 끝이 약간 뾰족하며 예주는 길이 3mm로서 낮은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 좁은 날개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대가 있으며 곧추서고 길이 10-15mm이다.
    줄기 : 높이 20-31cm이다.
    뿌리 : ▶구경은 지름 1~1.5cm이다.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흔히 지상에 나와있고 마른 엽병으로 싸여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나나벌이난초: 옥잠난초와 닮은 난으로 소형이고 입술꽃잎의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여 옥잠난초와 구별된다.
    특징 : 세계에 약 300종 특히 열대에 많고 우리 나라에 약 6종이 분포한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2 : 95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회양목

    학명 :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과명 : 회양목과(Buxaceae)
    속명 : 회양목속(Buxus)
    이명 : 고양나무도장나무 회양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혁질이며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12~17mm이고 끝은 둔하거나 오목하며 밑은 뾰족하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뒤로 젖혀지고 잎 뒤 중륵 하반부와 엽병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자웅일가이고 연한 황색으로 3~4월에 피며 가지 끝이나 잎짬에 몇 개씩 모여 난다. 수꽃은 1~4개의 수술과 자방의 흔적이 있고 암꽃은 3개의 암술머리가 있는 삼각형의 자방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구형이며 6~7월에 성숙한다.
    줄기 : 작은 가지는 녹색으로 네모지고 털이 있다.

    분포 : 전북 평북 함북을 제외한 전도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mina Plantarum Koreanum 107 (Chung & al., 193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2. 차나무

    학명 : Camellia sinensis L.
    과명 : 차나무과(Theaceae)
    속명 : 동백나무속(Camellia)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예저이고 약간 내곡하는 둔한 톱니가 있으며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길이 2-15cm 나비 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엽맥이 들어가고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맥이 튀어 나오며 엽병은 길이가 2~7mm정도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 10~11월에 피고 지름이 3~5cm로서 백색이며 향기가 있고 1~3개가 액생하거나 가지 끝에 달린다. 화경은 길이 15mm로서 밑으로 꼬부라지고 위끝이 비대해진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며 둥글고 길이 3-4mm이며 꽃잎은 6-8개이고 넓은 도란형이며 원두이고 길이 1-2cm로서 젖혀진다. 많은 수술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통같이 되며 수술대는 길이 5-10mm로서 백색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은 상위이고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있고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며 지름 2cm로서 3-4개의 둔한 능각이 있고 다음해 11월에 다갈색으로 익으며 목질화되어 포배개열(胞背開裂)되고 종자는 둥글며 외피가 굳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일년지는 갈색이며 잔털이 있고 이년지는 회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 처의 사찰에 식재하며 경남 전남지역의 따뜻한 곳에서 자연상으로 나타난다. ▶일본 중국 인도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특징 : 약 1 000년 전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차의 맛과 습성에 따라 여러 가지 품종으로 나눈다. ▶신라 42대 홍덕왕(서기 826-836 재위)때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공이 귀국길에 차나무의 종자를 가지고 와서 지리산에 심었던 것이 시초가 되어 오늘에 전하여 오고 있다. 지리산 쌍계사 입구의 탑리에서부터 신흥리까지 약 10여 km 지역의 산록에는 지금까지도 차나무가 야생상태로 자라고 있다. 이곳 주민들은 차나무의 어린 잎을 따서 차를 다려 먹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ed. 1, 1 : 515 (175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3. 지황

    학명 :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지황속(Rehmannia)

    잎 : 근생엽은 총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 예저로서 표면에 주름이 있고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긴 타원형으로 톱니가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5-18cm로서 밑부분에서 잎이 호생하고 윗부분에서는 잎같은 포가 호생하며 꽃은 6~7월에 피고 화경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통형이고 홍자색으로서 끝이 퍼져 5개로 갈라지며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며 원줄기 화경 꽃받침 및 화관에 선모가 많다.
    열매 : 삭과로서 타원형이고 포간(胞間)이 벌어진다.
    줄기 :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감색이다. 지황(地黃)이라 하고 생지황을 구증구폭(九蒸九暴)한 것이 숙지황(熟地黃)이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m. Bot. ed. 2, 2: 440 (18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지네발란

    학명 : Sarcanthus scolopendrifolius Makino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지네발란속(Sarcanthus)
    이명 : 지네난초
    잎 : 잎은 호생하며 좌우 2줄로 배열하고 가죽질이며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6-10mm로서 딱딱하며 끝이 둔하고 표면에 홈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줄기를 덮고 있는 엽초를 뚫고 1개씩 나오며 연한 홍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2-3mm이며 포는 삼각형이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꽃잎은 꽃받침과 비슷하고 다소 짧으며 옆으로 퍼진다. 순판은 주머니 모양이며 거(距)가 있고 3개로 갈라지며 육질로서 백색이다. 측열편은 귀같고 중앙열편은 삼각상 난형이며 백색이고 끝이 둔하다.
    열매 : 열매는 도란형이며 길이 6~7mm이고 대가 거의 없다.
    줄기 : 원줄기는 딱딱하고 가늘며 느슨하게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남 유달산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초

    특징 : 세계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상록의 착생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jap. 1-7 (189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5. 으름난초

    학명 : Galeola septentrionalis Rchb.f.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으름난초속(Galeola)
    이명 : 개천마 으름란
    잎 : 잎은 삼각형으로서 뒷면이 부풀고 마르면 가죽같이 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황갈색이고 자방과 꽃받침 뒷면에 갈색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길이 15-20mm 나비 4-6mm로서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꽃받침잎과 비슷하며 다소 짧고 털이 없다. 순판은 황색이며 육질이고 넓은 난형으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안쪽에 돌기가 있는 줄이 있고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다. 암술대는 약간 길게 굽는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6-8㎝로서 육질이고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로서 곧게 서며 육질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갈색 짧은 털이 밀생한다. 엽록소가 없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고 비늘같은 잎이 달리며 길게 뻗는 뿌리속에 Armillaria 라는 버섯의 균사가 들어있다.
    분포 : 제주도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부생란.

    특징 :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로서 녹색인 것이 없다. ▶으름같은 열매가 열리기 때문에 으름난초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Xenia Orchid. 2:78 (1865)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6. 풍선난초

    학명 : Calypso bulbosa (L.) Rchb.f.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풍선난초속(Calypso)
    이명 : 애기숙갈난초 주걱난초 풍선란
    잎 : 잎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2.5-5㎝ 나비 1.5-3cm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세로로 주름이 지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며 뒷면은 자주빛이 돌고 엽병은 길이 1.5-4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달리고 연한 홍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6-15cm이고 밑부분에 2개의 초상엽이 있다. 포는 넓은 선형이며 길이 1.2-2.5c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퍼지고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cm 나비 3-4mm로서 연한 홍색 바탕에 갈색이 돈다. 순판은 밑으로 처지며 길이 3-3.5cm로서 백색 바탕에 연한 갈색 무늬가 있고 뒷면이 주머니처럼 부풀어서 앞을 향하며 끝이 거(距)로 되
    열매 : 열매는 긴 타원상 방추형이다.
    줄기 : 밑동에 위경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며 타원체이고 끝에서 잎과 줄기가 각각 1개씩 나온다.
    분포 : 백두산과 함경 남도 갑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세계에 1종 지상에 나는 1엽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fl. germ. helv. 13:138 (185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7. 한라새둥지란

    학명 : Neottia hypocastanoptica Y.N.Lee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홍산무엽란속(Neotti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8. 갈매기난초

    학명 : Platanthera japonica (Thunb.) Lindl.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제비난초속(Platanthera)
    이명 : 제비란
    잎 : 밑부분에 달린 3-5개의 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초로 되며 길이 12-20㎝ 나비 4-7㎝이지만 그 윗부분의 2-4개는 작아져서 포와 연결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서는 길이 10-20㎝로서 많은 꽃이 달리고 포는 꽃보다 약간 길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길이7-8mm이며 측열편은 길이 8mm정도로서 끝이 둔하고 꽃잎은 다소 육질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끝이 둔하다. 순판은 넓은 선형이며 길이 13-15mm로서 끝이 둔하고 거(距)는 밑으로 처지며 길이 3-4㎝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며 5-8개의 큰 잎이 호생한다.
    뿌리 : 뿌리가 다소 굵고 옆으로 퍼지며 가장 큰 뿌리에서 새싹이 돋는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제비란: 높이 50-80cm 좁은 피침형의 잎은 12-16장 길이 10-20cm 나비 1-2cm 잎의 밑동은 엽초로 되어있다.
    특징 : 북반구 온대 지방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6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Sp. Prchid. Pl. 290 (1835)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9. 석곡

    학명 : Dendrobium moniliforme (L.) Sw.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석곡속(Dendrobium)
    이명 : 석곡란
    잎 : 잎은 2-3년생이며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4~7cm 폭 7~15mm로서 진록색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초와 연결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적색이며 향기가 있고 2년전의 원줄기 끝에 1-2개가 달리며 밑부분에 비늘같은 것이 약간 달린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길이 22-25mm 나비 5-7mm로서 피침형 예두이고 측열편은 옆으로 퍼지며 꽃잎은 중앙부의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다. 순판은 약간 짧고 뒤쪽에 짧은 거(距)가 있으며 밑부분으로 암술을 양쪽에서 감싼다. 꽃색은 많은 변이가 있다.

    줄기 : 근경으로부터 여러 대의 대가 나와 높이 20cm 정도 곧게 자라고 오래된 것은 잎이 없으며 줄기에는 마디마다 잎이 나지만 오래되면 마디만 남고 끝 부분에 몇 개의 잎만 붙어 있으며 녹갈색이 난다.
    뿌리 : 근경에서 흰색의 굵은 뿌리가 많이 난다.
    분포 : ▶한국의 남부 일본 남부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지방 및 다도해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 세계에 약 100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착생란으로 줄기에는 마디가 많으며 잎은 가죽질이다.
    생육환경에 따라 형태와 꽃색이 조금씩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va Acta Regiae Soc. Sci. Upsal. 4:85 (179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0. 푸른천마

    학명 : Gastrodia elata f. viridis (Makino) Makino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천마속(Gastrodia)

    잎 : 인편엽은 막질이고 잔맥이 있으며 길이 1~2cm이고 드문드문 달리며 하부의 것은 짧은 초상엽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20~50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30cm이고 포는 피침형 또는 선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7~12mm이다. 외화피 3개는 합쳐져서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 모양이고 상부가 3열하며 안쪽에 2개의 내화피가 있다. 순판은 난상 피침형으로 화통부 안쪽에 달린다. 암술은 2개의 날개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으로 길이 12~15mm이고 끝에 화피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장 타원형으로 길이 10cm 지름 3.5cm에 달하며 환상의 불분명한 선이 많고 괴경은 매년 다시 생긴다.

    형태 : Armillaria와 공생하는 다년초이다.

    특징 : 전체가 녹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Jap. ed. 1 : 692 (1940)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