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갈퀴현호색

    학명 : Corydalis grandicalyx B.U.Oh & Y.S.Kim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현호색속(Corydalis)

    잎 : 엽병의 길이는 1-12㎝ 엽신은 길이 2-8㎝ 폭 2-10㎝의 2회3출엽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잎가는 밋밋하다.
    꽃 : 꽃은 주로 4월에 피며 5-13개가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포는 길이 7-12㎜ 폭 3-9㎜인 타원형이며 선단에 잔 거치가 있다. 소화경의 길이는 개화시에 6-14㎜이고 열매성숙시에는 10-20㎜이다. 꽃은 진한 청색으로서 길이 20-24㎜이며 거의 길이는 9-13㎜이다. 꽃받침은 특히 크게 발달하는데 길이 3-5㎜ 폭 3-5㎜의 도란형으로서 선단이 갈퀴형으로 갈라져 화통을 감싼다. 자방은 방추형이며 배주가 2열로 배열한다. 주두(柱頭)는 다각
    열매 : 열매는 길이 4-13㎜ 폭 2-4㎜인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한다. 종자는 구형으로서 길이 2.2-2.4㎜ 폭 2.2-2.3㎜이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경상성(傾上性)이고 지름이 0.6-2㎜이며 횡단면은 원형이다. 경생엽(莖生葉)은 2장이다.
    뿌리 : 지하경은 길이 2-13㎝이며 괴경은 지름이 1-1.8㎝로서 내부는 백색이다. 인편엽은 1개로서 길이 1-1.8㎝이며 기부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7-21㎝의 지상부을 형성한다.
    분포 : 강원도 삼척(1980 이우철) 오대산(1986 오병운)에서 표본이 조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갈퀴현호색((C. grandicalyx B.Oh et Y.Kim for. albifloris Y.Lee): 흰색꽃이 핀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 vol.17(1).1987 3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17 : 21 (1987)
    참고문헌 : 1) 한국산 현호색속(Corydalis)의 분류학적 연구 (오병운, 1986)
    Read More
  2. 금오족도리풀

    학명 : Asarum patens (K.Yamaki) B.U.Oh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이명 : 선운족도리풀
    잎 : 잎은 양면에 모두 털이 있고 뒷면에 특히 많으며 길이 8~12cm 폭 8~10cm 정도의 심장형이다. 엽병은 길이 13~17cm 정도이고 안쪽에 약간의 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짧은 꽃줄기 끝에 흑자색으로 핀다. 드물게 황록색으로 피는 것도 있다. 꽃잎은 없다. 꽃받침의 통 부분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대개 구불거리는 편이나 뒤로 젖혀지지는 않는다. 갈래조각의 안쪽에 흔히 짙은 색깔의 무늬가 나타난다. 수술은 12개이며 2줄로 배열된다. 암술대는 6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분이 많고 속에 씨가 있는 장과(漿果)이다.

    뿌리 : 뿌리는 마디와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중부이남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10~25㎝이다.

    특징 : 잎맥이 다른 족도리풀에 비해 뚜렷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3. 만주족도리풀

    학명 :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Kitag.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이명 : 영종족도리풀
    잎 : 잎은 심장형 또는 신장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깊은 심장저이며 폭 5-10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윤채가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며 자줏빛이 돈다.
    꽃 : 꽃은 잎이 싹틀때 잎 사이에서 1개씩 나오며 직경이 1-1.5cm로서 검은 홍자색이고 꽃받침은 반구형이며 안쪽에 줄이 있고 꽃통끝은 3개로 갈라져서 뾰족하고 뒤로 말린다.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6개이며 12개의 수술이 2줄로 배열된다.
    열매 : 열매는 장과상이고 끝에 화피열편이 달려 있으며 종자가 20개 정도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 끝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퍼지고 대생한 것처럼 퍼진다.
    뿌리 : 근경성으로 근경은 마디가 많으며 육질이고 매운맛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개족도리(Asarum maculatum Nakai) : 제주도에 자생하며 잎에 흰색의 얼룩 무늬가 들어 있고 통꽃 바깥면에 굵은 세로줄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 Inst. Sci. Res. Manchoukuo 3: 174 (1939)

    Read More
  4. 무늬족도리풀

    학명 : Asarum versicolor (K.Yamaki) Y.N.Lee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이명 : 민무늬족도리풀
    잎 : 잎은 얇고 잎 윗면에 유백색 무늬가 있음. 잎 윗면과 양 면의 맥에 털이 많음. 잎의 길이 5.5~8.5cm 폭 5~7.8cm. 엽병 안쪽에 털이 조금 있으며 길이 7~10cm이다.
    꽃 : 꽃받침통은 길쭉한 통 모양으로 녹색을 띤 자주색이다. 길이 1.0~1.2cm 직경 0.9~1.0cm이다. 꽃받침 갈래는 자주색 또는 녹색을 띤 자주색이고 위로 솟거나 평평하며 끝은 뾰족해져 위로 꺾인다. 길이는 5~8mm 폭 5~7mm이며 꽃받침 갈래 밑동은 검은 자주색 또는 진한 자주색이다. 암술은 6개이고 길이 0.3~0.8mm이며 화주돌기 길이는 0.8~1.2mm이다. 수술은 12개 2열로 배열하며 약의 길이 0.6~1.1mm이고
    열매 : 열매는 수분이 많고, 속에 씨가 있는 장과(漿果)이다.

    뿌리 : 뿌리는 마디와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경기도 운악 명지산. 충북의 속리산. 강원도 설악산 진동계곡 백병산 점봉산 치악산 등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족도리풀에 비하여 잎에 무늬가 있고 잎이 얇으며 꽃받침통은 길쭉한 통 모양 꽃받침 열편의 길이와 폭이 작고, 흰색 점무늬가 꽃받침통에 있는 점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Kor. Pl. Res. (1): 16 (Y.N.Lee, 2000)

    Read More
  5. 자주족도리풀

    학명 : Asarum koreanum (J.Kim & C.Yook) B.U.Oh & J.K.Kim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잎 : 잎은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대개 2개씩 나오고 심장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유사종에 비해 큰 편이다. 앞면에 털이 있기도 하고 대개 짙은 흑자색이다가 녹색으로 변하지만, 처음부터 녹색인 개체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잎 사이에서 올라온 짧은 꽃줄기 끝에 짙은 흑자색으로 피며, 족도리풀보다 매우 큰 편이다. 꽃잎은 없다. 꽃받침통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구불거린다. 수술은 12개이고 2줄로 배열된다. 암술대는 6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분이 많고, 속에 씨가 있는 장과(漿果)이다.


    분포 : 한국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10~25㎝이다.

    특징 : 자주족도리풀은 족도리풀과 비교할 때, 꽃이 크고 흑자색을 띠며, 꽃받침통의 갈래조각이 구불거리고 잎이 대개 흑자색인 점이 특징이다. 족도리풀의 변종 또는 품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6. 개족도리풀

    학명 : Asarum maculatum Nakai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이명 : 개족도리 개족두리풀 섬세신 섬족도리 섬족도리풀 섬족두리풀 알락족두리풀 알룩세신
    잎 : 잎은 짧은 줄기끝에 1-2장씩 붙으며 털이 없고 심장상 신장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심장저이고 길이 8cm 폭 7cm정도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백색 무늬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2.5-13cm이다.
    꽃 : 화경은 엽병보다 짧으며 짧은 줄기끝에 짧은 화경이 나와 끝에 항아리 모양의 흑자색 꽃이 수그러져 달린다. 꽃은 길이 16-20mm 지름 10mm로서 5-6월에 피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그 속에 털은 없으나 능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화피열편과 더불어 길이 3cm정도이며 종자는 반타원형이다.

    뿌리 : 근경은 비스듬히 서며 길이 1-6cm 지름 3-5mm로서 백색 뿌리가 퍼지고 위끝에 넓은 난형의 적갈색 인편이 1-3개 붙어 있다. 마디가 많고 다육질이며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제주도 및 남해안 일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족도리(A. sieboldii `Miq.)는 제주도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특징 : ▶족도리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보다 두껍고 무늬가 있는 것이 다르다.
    ▶꽃이 땅에 낮게 붙어서 피며 잎에 가려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꽃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나므로 일반 곤충이 수정을 매개하기는 어렵고 개미와 같이 땅에서 기어다는 곤충에 의해 수정이 이루어진다.

    종명 maculatum은 `반점이 있다.`는 뜻으로 잎에 무늬가 있다는 뜻이다.

    [특산식물] [약관심종]
    평가내용:약관심종 / 국제단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족도리풀

    학명 : Asarum sieboldii Miq.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이명 : 만주족도리풀 민세신 민족도리풀 민족두리풀 뿔족도리풀세신 조리풀 족도리 족두리 족두리풀 털족도리풀 한성세신 화세신
    잎 : 잎은 보통 2개씩 나오고 긴 자루가 있으며 심장 모양으로 나비 5∼10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서 끝에 1개의 꽃이 옆을 향하여 달린다. 꽃잎·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다소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12개이고 암술대는 6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8∼9월에 결실하며 장과(漿果)이고 끝에 꽃받침조각이 달려 있다.

    뿌리 :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중국·일본에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Lugduno-Batavi 2: 134 (186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8. 꼬마은난초

    학명 : Cephalanthera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o) Ohwi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은대난초속(Cephalanthera)

    잎 : 은난초보다 잎이 작거나 거의 없다.
    꽃 : 화피편은 서로 약간 떨어진다.
    열매 : 열매는 곧게 서며 길이 약 2cm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3-6개의 잎이 호생한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 남해도와 제주도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은난초: 잎은 3-8cm 줄기 윗부분에 4-5장이 어긋나고 타원형이면 밑동은 줄기를 싸며 끝은 뾰족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9. 은난초

    학명 : Cephalanthera erecta (Thunb.) Blume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은대난초속(Cephalanthera)
    이명 : 은란
    잎 : 잎은 호생하고 기부는 줄기를 감싸며 길이 3~8.5cm 폭 1~2.5cm로서 긴 타원형이고 밋밋하며 털이 없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3~10개가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포는 좁은 삼각형이고 길이 1~3mm로서 첫째 포가 길어지기도 하지만 화서보다 짧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7~9mm로서 끝이 다소 뾰족하고 꽃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끝이 둔하다. 순판은 밑부분이 짧은 거(距)로 되어 꽃밖으로 나오며 높이가 꽃받침길이의 2/3정도이다. 중앙 열편은 타원형이고 짧게 뾰족해지며 5개의 주름이 있다. 꽃술대는 곧게 서고 끝에 꽃밥이
    열매 : 열매는 곧게 서며 길이 약 2cm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3-6개의 잎이 호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꼬마은난초: 잎이 작거나 거의 없으며 화피편은 서로 약간 떨어져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ll. Orchid. 188 (Blume, 185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자란

    학명 : Bletilla striata (Thunb.) Rchb.f.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자란속(Bletilla)
    이명 : 대암풀 대왕풀 백급
    잎 : 잎은 길이 20-30cm 나비 2-5cm로서 밑부분에서 5-6개가 서로 감싸면서 원줄기처럼 되고 긴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초로 되며 세로로 많은 주름이 있다.
    꽃 : 5-6월에 잎 사이에서 화경(花莖)이 나와 50㎝ 정도 자란 다음 6-7개의 홍자색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포엽은 길이 2-3㎝로서 꽃이 피기전에 1개씩 떨어진다. 꽃은 지름 3㎝이며 화피열편은 같은 형태로서 길이 2.5-3㎝ 나비6-8mm이고 끝이 뾰족하며 비스듬히 반 쯤 벌어지고 맥이 있다. 순판은 쐐기 비슷한 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악간 안쪽으로 말리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의 것은 거의 둥글고 가장자리가 파상으로서 안쪽에 5개의 도드라진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다.
    줄기 : 넓적한 둥근 위경이 줄지어 붙어있다.
    뿌리 : 난상의 구형 구경은 높이 4cm이고 육질로 속은 백색이다.
    분포 : 전남 해남 진도 및 유달산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 얼핏보기에 새우난과 비슷하며 홍자색의 꽃을 피우는데서 자란이라고 부르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Zeitung (Berlin). 75 (187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1. 털백선

    학명 : Dictamnus dasycarpus f. velutinus (Nakai) W.T.Lee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백선속(Dictamnus)
    이명 : 털검화 )
    잎 :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으로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油點)이 있으며 털이 많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2.5c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0.5-2cm로서 털과 더불어 선모(腺毛)가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와 더불어 처지지만 끝이 위로 향한다.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가 90cm에 달한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청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백선
    특징 : 백선과 닮았으나 잎에 털이 많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Koreae : 640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백선

    학명 : Dictamnus dasycarpus Turcz.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백선속(Dictamnus)
    이명 : 검화자래초
    잎 :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으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이 있다. 표면에는 작은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2.5c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0.5-2cm로서 털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꽃잎에는 홍자색의 줄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와 더불어 처지지만 끝이 위를 향한다.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가 90cm에 달하며 줄기의 윗부분에 털이 퍼져 난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만주 중국 동부시베리아에 분포.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털백선(D. dasycarpus Turez. var. velutinus)은 잎에 털이 많으며 청진에서 자란다.
    특징 : 산호랑나비 애벌레의 숙주식물 방향성 식물 속명 Dictamnus는 고대 희랍명으로 dicte(산에서)란 뜻으로 이 식물의 생육지를 나타내고 종명은 열매에 거센 털이 있다는 뜻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atural. Moscou 15 : 637 (184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3. 백양더부살이

    학명 : Orobanche filicicola Nakai
    과명 : 열당과(Orobanchaceae)
    속명 : 초종용속(Orobanche)
    이명 : 쑥더부사리
    잎 : 잎은 비늘조각 같은 길쭉한 삼각형으로 어긋나게 달려 있고 잔털이 빽빽이 나 있다.
    꽃 : 꽃은 5~6월경에 통꽃이 피는데 줄기 밑에서 끝부분까지 1~2cm 정도의 꽃들이 모여달리며 보라색 바탕에 흰 줄무늬가 있고 수술 4개와 암술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갈색빛이 돈다.
    뿌리 : 잔뿌리가 길다. 뿌리부분은 쉽게 조각조각 떨어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l. Sci. Mus Tokyo 31: 104 (1952)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4. 모데미풀

    학명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모데미풀속(Megaleranthis)
    이명 : 금매화아재비 운봉금매화
    잎 :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서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엽병이 짧고 다시 2-3개로 깊게 갈라진 다음 결각상의 톱니가 생기거나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없고 톱니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이고 포는 잎과 같으며 크기도 비슷하고 경생엽이 없으며 중앙부에서 1개의 화경(花梗)이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화경은 길이 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며 자방과 수술은 많고 떨어진다.
    열매 : 골돌은 길이 12mm로서 길이 3mm정도의 암술대가 있으며 털이 없고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줄기 : 길이가 20-40cm정도이고 총생한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태백산 점봉산 설악산 등 고산·아고산지대의 800m이상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고산성 식물이다. 속명은 희랍어 megas(크다)와 Eranthis(나도바람꽃)의 합성명으로 Eranthis보다 크다는 뜻이며 종명은 참반디속의 잎과 비슷하다는 뜻이다. 번식 및 재배를 통해 경제적으로 이용하기는 어려운 식물이므로 식물원 등의 전문적인 기관에서 전시용 및 보존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2)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Phytotax. Geobot. 4 : 131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감자난초

    학명 : Oreorchis patens (Lindl.) Lindl.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감자난초속(Oreorchis)
    이명 : 감자난 감자란 댓잎새우난초 잠자리난초
    잎 : 잎은 1~2개씩 나오고 길이 20~40cm 나비7~30mm 정도로서 위구(僞球)에서 정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윤기가 도는 짙은 녹색이다. 꽃이 핀 후 잎은 황변해서 휴면에 들어가고 8-9월에 새눈을 내어서 월동을 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높이 30~50cm정도의 화경(花莖)에 핀 후 지상부가 말라 버린다. 화경(花莖) 밑부분에 초상엽이 2개 정도 있고 포는 막질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4-6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1cm로서 황갈색이고 순판은 백색 바탕에 반점이 있으며 밑 부근에서 3개로 갈라진다. 측열판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중앙열편은 쐐기형에 가까운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며 잔톱니가 있고 길이 4-5mm로서
    열매 : 삭과는 처지고 방추형이며 길이 2cm로서 짧은 대가 있다.

    뿌리 :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길이 1.5-2cm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한라감자난초: 감자난초에 비하여 꽃받침과 곁꽃잎은 황갈색이고 긴 타원형 입술꽃잎은 희고 가운데 열편에 자갈색 반점이 있으며 입술꽃잎 안쪽에 3개의 솟은 줄이 있다.
    특징 : 속명은 희랍어의 `oreos(산)`과 `orchis(고환)`의 합성어로서 위인경의 모양이 마치 동물의 고환과 같이 생겼다고 하는데서 유래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3:27 (185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6. 참나리난초

    학명 : Liparis koreana (Nakai) Nakai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나리난초속(Liparis)
    이명 : 참나나벌이난초 참나리란
    잎 : 잎은 2개가 전년도의 위인경 옆에서 나와 비스듬히 서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6-13㎝ 나비 1.8-3.3㎝이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처럼 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녹자색이며 화경(花莖)은 길이 10-18㎝로서 능선과 좁은 날개가 있고 포는 길이 1-1.5mm로서 뾰족하며 자방은 녹색이거나 자줏빛이 돌고 길이 7-10mm 지름1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윗부분의 것은 길이 7-11mm로서 젖혀지고 측열편도 길이 8-10mm로서 젖혀지며 꽃잎은 실처럼 가늘고 길이 8-11mm로서 자록색이며 젖혀진다. 순판은 길이 8-11mm 나비 5-8mm이고 중앙부에서 밑으로 활처럼 굽으면서 곧추서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근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줄기 : 비늘 줄기는 둥글고 녹색이며 묵은 비늘잎과 엽초에 싸여있다.
    뿌리 : 위인경(僞鱗莖)은 난형이고 길이 5-10mm로서 지상에 나와 있다.
    분포 : 평북 및 함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나리난초: 잎은 2장이 밑동에서 나오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5-10cm 나비 3-6cm 밑동은 짧은 엽초로 되어있다.
    특징 : 세계에 약 300종 특히 열대에 많고 우리 나라에 약 6종이 분포한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l. Sci. Mus. Tokyo 31 : 151 (19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박새

    학명 : Veratrum oxysepalum Turcz.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여로속(Veratrum)
    이명 : 꽃박새 넓은잎박새 묏박새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초만으로써 원줄기를 둘러싸고 중앙부의 것은 넓은 타원형으로서 세로로 주름이 지며 큰 것은 길이 30cm 폭 20cm이상 자라고 평행맥이 있으며 뒷면에 짧은 털이 난다.
    꽃 : 꽃은 엷은 황백색으로 6-7월에 피고 지름 25mm이며 원줄기끝의 원추화서에 밀생하고 화서(花序)에 양털같은 털이 밀생한다. 수술과 암꽃이 있으며 6개씩의 화피열편(花被裂片)과 수술이 있다. 자방에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2cm정도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원줄기는 곧게 1.5m정도 자라며 속이 비어있고 원주형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밑에서 굵고 긴 수염뿌리를 많이 낸다. 근경을 여로라 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여로(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참여로(C. nignum var. ussuriens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 Moscou. 13:79 (184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8. 철쭉

    학명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개꽃나무 참철쭉철쭉꽃 철쭉나무 함박꽃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끝에서는 4-5개씩 총생한다. 잎 모양은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원두 또는 미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10cm 폭 3-6cm 정도 된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잎과 더불어 5월에 피고 향기가 있으며 3-7개씩 가지끝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길이 5m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화관은 연한 홍색이며 윗부분의 꽃잎은 적갈색 반점이 있고 깔때기모양이며 지름 5-8cm이다. 수술은 10개로서 길이가 같지 않고 긴 것은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수술대에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길며 기부에 돌기가 있고 자방에 선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상 난원형이며 길이 1.5cm로 선모가 있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5m이고 어린 가지에 선모가 있으나 없어지며 회갈색으로 된다. 줄기는 직립·생장하지만 굵은 가지를 많이 내고 수피는 연황갈색으로 털이 없다.
    뿌리 : 긴 뿌리가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2 000m사이의 산야에 자생한다. 지리산에서는 해발 1 800m이상까지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철쭉(for. albiflorum T. Lee): 흰색꽃이 핀다.
    특징 : ▶꽃은 독성이 있어 진달래와 달리 식용할 수 없다. ▶강원도 정선군 북면 반륜산의 철쭉나무와 분취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348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96 450㎡ ⓑ지정사유:노거수 학술연구자원 ⓒ수령:200년 ⓓ나무높이:5m ▶5월에 피는 담홍색 꽃은 불완전한 색깔을 가지고 있어 보면 볼수록 매력적이고 감미로운 정감을 느낀다. 내음성이 강하여 숲 밑에 하목으로 식재하면 복층적인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5:226 ()

    Read More
  19. 털큰앵초

    학명 : Primula jesoana var. pubescens (Takeda) Takeda & Hara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앵초속(Primula)
    이명 : 넓은잎깨풀 넓은잎앵초 큰깨풀 큰앵초 큰위란화 큰취란화털앵초 한라깨풀 한라취란화
    잎 : 잎은 원신형 또는 신장상 심장형이고 길이 4-18cm 폭 6-18cm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7-9개로 얕게 갈라지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0cm로 긴 털이 많다.
    꽃 : 꽃은 통꽃이고 7-8월에 피며 지름 1.5-2.5cm로서 홍자색이고 잎 사이에서 엽병의 2배 정도되는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4층의 꽃이 달리며 각 층에 5-6개의 꽃이 달리고 긴 털이 많으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화통은 길이 12-14mm이고 수술은 5개로서 화통보다 짧다.
    열매 : 삭과는 길이 7-12mm이며 난상 긴타원형으로서 남아 있는 꽃받침잎보다 길다.
    줄기 : 원줄기가 없다.
    뿌리 : 근경이 짧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큰앵초
    특징 : 큰앵초와 닮았으나 잎이 얕게 갈라지고 잎 뒷면의 엽맥 꽃자루 화축과 잎자루에 긴 털이 많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50 : 569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큰앵초

    학명 : Primula jesoana Miq.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앵초속(Primula)

    잎 : 잎은 근생하며 원신형 또는 신장상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7~9개로 갈라지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길이 4~18cm 폭 6~18cm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30cm이다.
    꽃 : 꽃은 홍자색으로 통꽃이고 7-8월에 피며 지름 1.5-2.5cm로서 잎 사이에서 엽병의 2배 정도되는 화경(花莖)이 나와 그 끝에 1-4층의 꽃이 달리며 각 층에 5-6개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2cm이며 화서 윗부분에 선상의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은 깊게 5갈래이며 화통은 길이 12-14mm이고 수술은 5개로서 화통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7-12mm이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남아 있는 꽃받침잎보다 길다.
    줄기 : 전체에 잔털이 있고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짧게 옆으로 벋는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털큰앵초 (var.pubescens TAKEDA et HARA) : 화경과 엽병에 긴 털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3 : 119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