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늘나리

    학명 : Lilium concolor Salisb.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잎 : 잎은 호생하며 다닥다닥 달리고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며 길이 3-10cm 폭 3-6mm정도로서 엽병과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곧추 위를 향해 1-5개가 핀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옆으로 퍼지며 길이 2-5cm로서 도피침형 둔두이고 짙은 황적색이지만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산포한다. 밀구(蜜溝)에 털이 없으며 돌기같은 점이 있고 암술대는 자방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화피와 색이 같다.
    열매 : 삭과는 난상의 긴 타원형이며 익으며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털이 없다.
    뿌리 : 인경(鱗莖)은 흰색이고 마디가 없으며 다른 나리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난형이다.
    분포 : 전국의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고산성 식물이며 꽃이 하늘을 향해 피기 때문에 ""하늘나리""라고 한다. 꽃이 작고 산뜻한 느낌을 주어 절화용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등산객들에 의해 무분별하게 남획되어 멸종의 우려도 있으므로 야외에서의 채취는 절대 금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arad. Lond. 1 : t. 47 (Hook., 18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흰얼레지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f. album T.B.Lee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얼레지속(Erythronium)

    잎 : 잎은 좁은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6~12cm 나비 2.5~5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바탕에 자색 무늬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길이 4~5cm이며 강하게 뒤로 말리고 기부에 W자의 짙은 자색 무늬가 있으며 그 밑에 밀선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삼릉형이다.
    줄기 : 줄기는 중부에 드물게 3개의 잎이 달리며 긴 엽병이 있으나 지하로 묻혀 지상에는 엽신만이 나타난다. 땅 속 깊이 들어 있는 통상 장 타원형의 인경은 길이 5~6cm 나비 약 1cm이며 기부에 전년도의 인경의 밑부분이 붙어 있고 외피는 황갈색을 띤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제주 제외) 일본 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aebak Pl. 14 (1990)
    참고문헌 : 1) 태백의 식물 (류시철, 1990)
    Read More
  3. 얼레지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Balrer) Decne.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얼레지속(Erythronium)
    이명 : 가재무릇
    잎 : 잎은 길이 6-12cm 폭 2.5-5cm로서 엽병이 있으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6-12cm 폭 2.5-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약간 주름이 지고 표면은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다.
    꽃 : 봄철에 길이 25cm의 화경(花莖)이 나오고 그 밑부분에 2개의 잎이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꽃은 4월에 피며 화경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꽃잎은 6개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5-6㎝ 폭 5-10mm로서 뒤로 말리고 자주색이지만 안쪽 밑부분에 더욱 짙은 W자형의 무늬가 있다. 수술은 6개이며 길이가 서로 같지 않고 꽃밥은 자주색이며 길이 6-8mm로서 넓은 선형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넓은 타원형 또는 구형으로 3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잎이 처음부터 땅에 붙어 나오고 꽃대가 1대 잎사이에서 나오므로 줄기로 구분되기 어렵다.
    뿌리 : 인경(鱗莖)은 땅속 25-30cm정도 깊게 들어 있고 한쪽으로 굽은 피침형에 가까우며 길이 6cm 지름 1cm이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주로 높은 산악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특징 : 본속은 전세계에 약 25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자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 Hort. 3:284 (185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쇠물푸레나무

    학명 : Fraxinus sieboldiana Blum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물푸레나무속(Fraxinus)
    이명 : 계룡쇠물푸레 좀쇠물푸레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된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점첨두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1.5-3.5cm로서 표면은 녹색 또는 홍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 중륵에 백색 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고 소엽병은 짧으며 총엽병 표면에는 홈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5월에 피며 새가지에서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길이 6-12cm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톱니처럼 작으며 꽃잎은 선형이고 수술과 길이가 같고 수술은 2개이며 암꽃에 퇴화된 작은 수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 선상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날개와 더불어 길이 2cm 정도이며 9월에 홍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며 소지는 회갈색이고 어릴 때는 흔히 잔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200-1 600m 의 산중턱 바위틈이나 계곡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좀쇠물푸레(var.angustata Bl.):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다.
    특징 : 꽃은 야생의 향기가 매력적이며 수세와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us. Bot. 1 : 311 (Blume, 185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5. No Image

    가지고비고사리

    학명 : 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
    과명 : 고비고사리과(Hemionitidaceae)
    속명 : 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이명 : 가지고비 가지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50-60㎝로서 연한 녹색이지만 뒷면은 흑갈색이다. 엽신은 길이 40-50㎝ 너비 30-35㎝로서 긴 난형. 3-5쌍의 우편으로 갈라지고 가장 밑부분의 1-2쌍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과 소우편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짧은 대가 있다. 측맥은 톱니 밑까지 닿지 못하며 여기저기에서 합쳐져서 그물맥을 형성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을 따라 달리고 가장자리까지 가깝게 닿는 것도 있다.

    뿌리 : 굵은 근경이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오고 연한 갈색 인편이 있다.
    분포 : 주로 남부지방에서 자라며 강원도까지 올라온다.
    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개가지고비 var.fauriei TAGAWA : 그물맥이 드문드문 생기며 한라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1(4) : 262 (Engl. & Prantl, 189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개가지고비고사리

    학명 : Coniogramme x fauriei Hieron.
    과명 : 고비고사리과(Hemionitidaceae)
    속명 : 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이명 : 개가지고비개가지고사리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edwigia 57:320 (191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7. 솔붓꽃

    학명 : Iris ruthenica KerGawl.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이명 : 가는붓꽃 애기붓꽃
    잎 : 잎은 비스듬히 서며 칼모양이고 길이 15cm 나비 4cm정도로 선형이지만 개화후 길이 30cm정도로 자란다.
    꽃 : 개화기는 4-5월로 보라색이고 화경은 극히 짧으며 끝에 1-2개의 꽃이 달리고 엽초같은 포엽은 가장자리에 붉은 빛이 돈다. 외화피는 3개이며 도피침형이고 밖으로 퍼지며 백색의 그물무늬가 있고 내화피는 좁은 피침형으로서 곧추선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꽃잎같고 끝부분이 얕게 2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익으면 곧 터지며 종자는 둥글다.
    줄기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면서 새순이 나오고 묵은 잎의 섬유로 싸여 있고 적색이며 단단하다.

    분포 :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번식력 및 이식력에 문제가 있어 경제작물로 이용하기가 어려우므로 앞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예전에 무명을 짜던 시절에 풀칠하던 솔을 솔붓꽃의 뿌리로 만들었다고 하여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모양이 각시붓꽃과 매우 흡사하나 뿌리의 모양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솔붓꽃의 뿌리가 각시 붓꽃의 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강인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urtis's Bot. Mag. 27 : t. 1123 (180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흰붓꽃

    학명 : Iris sanguinea f. albiflora Y.N.Lee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잎은 중맥이 확실하지 않고 창 모양 줄기에 2줄로 붙는다.
    꽃 : 꽃은?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외화피의 안쪽은 노란색 내화피는 서며 암술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꽃잎 모양이며 노란 수술이 그 뒤에 숨겨져 있다.
    열매 : 과실은 7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은 길고 수염뿌리가 많이 밀생한다.
    분포 : 전라 남북도의 산록에 나며 관상초로 심는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특징 : 꽃봉오리가 붓의 끝모양과 같고 흰색이라 <흰붓꽃> 솔개의 꼬리 같다 하여 <백연미>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9. 노랑무늬붓꽃

    학명 : Iris odaesanensis Y.N.Lee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이명 : 흰노랑붓꽃
    잎 : 잎은 칼모양이고 길이 12-35㎝ 폭 12㎜가량이며 10-12맥이 있다.
    꽃 : 꽃은 꽃줄기에 2송이씩 달리고 지름이 3.5㎝가량이며 외화피는 흰 바탕의 안쪽에 노란 줄무늬가 있고 내화피는 희며 비스듬히 선다. 수술은 3개 꽃밥은 분홍빛을 띤 녹색이다. 암술은 끝이 3갈래로 갈라지고 혀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삼각형이다.

    뿌리 : 땅속줄기는 가느다랗다.
    분포 : 오대산 대관령 태백산과 경상 북도 팔공산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특징 :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 J. Bot. 17 : 33 (1974)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등심붓꽃속(Sisyrinchium)
    이명 : 골붓꽃
    잎 : 잎은 밑부분에 많이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4~10cm 폭 2~3mm이며 경생엽 밑부분은 엽초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양쪽 가장자리가 원줄기로 흐르며 윗부분은 뾰족하고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1.5cm정도이며 원줄기 끝에 달린 2-3cm길이의 포 사이에서 2-5개의 꽃이 나와 산형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3~4cm정도로서 밑에는 소포가 있다. 화피는 밑부분이 짧은 통같으며 겉에 백색 선모가 있고 열편은 5개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자주색 또는 백자색 바탕에 줄이 있고 밑부분이 황색이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선모가 있다. 꽃은 하루만에 시드는 1일화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편평하며 길이 3~4mm로서 털이 없고 자갈색으로 익으며 광택이 있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원줄기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좁은 날개가 있다.

    분포 : ▶지리적으로 일본과 대만에 분포 ▶제주도에서 귀화하여 야생 상태를 이룬다. 관상 식물로 뜰에 심어 기르기도 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Dict. ed. (176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11. 흰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f. album J.K.Sim & Y.S.Kim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등심붓꽃속(Sisyrinchium)


    꽃 : 외화피는 흰색을 띠고 외화피편에는 5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고 내화피도 백색으로 내화피편에도 3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다.



    분포 : 제주도 제주시 아라동에서 채집되었다.

    유사종 : ▶등심붓꽃(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ax. Irid. Kor. 63 (198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금붓꽃

    학명 : Iris minutiaurea Makino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이명 : 누른붓꽃 애기노랑붓꽃
    잎 : 잎은 좁은 선형으로 길이 11~26cm 나비 5~9mm이며 끝은 점차 좁아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중륵이 뚜렷하지 않고 기부가 보라색을 띠기도 하며 묵은 잎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화경은 곧추 서있고 끝에 2개의 포가 1개의 꽃을 싸는 정생화서이며 꽃의 지름은 2~3.8cm이고 포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5.3~8cm이다. 외화피는 장 도란형 또는 주걱모양으로 길이 2~2.7cm이고 끝이 파진다. 내화피편은 도피침형으로 길이 1.5~2.3cm이고 곧추 선다. 암술대는 갈라지고 자방의 횡단면은 3각상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예리한 3릉형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황색으로 단단하며 수염뿌리는 황백색이고 근립이 있다.
    분포 : 제주를 제외한 거의 전도에 나고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5 : 17 (192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노랑붓꽃

    학명 : Iris koreana Nakai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창 모양 3-4장 근경에서 자란 잎은 밑부분에서 줄기를 싸고 길이는 35㎝ 나비는 1.3㎝로서 10-14맥이 있으며 밑 부분이 화경을 둘러싸고겉에 마른잎이 남아 있으며 꽃이 핀 다음에 자라서 꽃줄기보다 길어지고 꽃줄기에 달린 잎은 짧으며 맥이 있다.
    꽃 : 노랗고 1-2송이가 2개의 포초 밖으로 나온다. 길이는 2-2.5㎝이고 외화피와 내화피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황색으로 도란형이며 꽃잎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파지고 곧추서며 황색이다. 포는 피침형이고 자방은 긴 타원상 방추형이고 암술머리는 뒤로 젖혀지며 뾰족하고 옆에 줄이 있다.
    열매 : 삭과로 둥근모양이다.
    줄기 : 땅속줄기는 가늘며 옆으로 길게 뻗고 원줄기는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금붓꽃
    특징 : 금붓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보다 크고 나비가 2-3배나 되며 꽃이 항상 2개씩 달리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ddes Repert. 13 : 248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각시붓꽃

    학명 : Iris rossii Baker var. rossii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이명 : 애기붓꽃
    잎 : 꽃이 필 때의 잎은 화경(花莖)과 길이가 거의 같지만 꽃이 진 다음 자라며 길이 30cm 나비 2~5mm로서 중륵이 뚜렷치 않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가장자리 윗부분에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화경(花莖) 선단에 지름 3.5-4cm로서 자주색이며 통부는 길이 4-6cm이고 화경은 높이 5-15cm로서 4-5개의 포가 있으나 가장 위의 포에서 1개의 꽃이 핀다. 포는 녹색이며 길이 4~6cm로서 선형이고 예첨두이며 소화경은 길이 8mm로서 자방보다 길다. 외화피는 좁은 도란형이고 중앙부에 두드러진 돌기가 없으며 밑부분이 뾰족하고 내화피는 곧추서며 약간 짧다. 꽃밥은 황색이고 길이 4mm로서 수술대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끝이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 : 삭과로서 구형이며 5~6월에 성숙하며 지름이 8mm내외이다.

    뿌리 : 근경은 다소 총생하고 갈색 섬유로 덮혀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고 중국 동부와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Chron. 3: 809 (18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넓은잎각시붓꽃

    학명 : Iris rossii var. latifolia J.K.Sim & Y.S.Kim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잎의 형태가 상반부는 길고 넓으며 중륵은 없으나 표면과 이면에 3개의 뚜렷한 세맥(細脈)이 있고 하반부는 갑자기 좁아져서 둥근 모양의 초상을 만든다.




    분포 : 충남 공주 수원동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충남과 전북과 전남의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유사종 : ▶각시붓꽃
    특징 : ▶잎의 상반부가 넓기 때문에 "넓은잎각시붓꽃"이란 국명을 붙여서 신변종으로 다루었다.
    ▶출전: Kor.J.Plant Tax.vol.22(1) 1992.3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ax. Irid. Kor. 116 (198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넓은잎잠자리란

    학명 : Tulotis asiatica Hara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잠자리난초속(Tulotis)
    이명 : 나도잠자리난 넓은잎나도잠자리란 잠자리란
    잎 : 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0-20㎝ 나비 3-8㎝이다.
    꽃 : 6-8월 개화. 연녹색이고 수상화서는 길이 7-15㎝로서 꽃이 많이 달리며 포는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4-5mm로서 1맥이 있고 옆꽃받침잎은 약간 길며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측열편은 작고 예리한 삼각형이며 중앙열편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다. 순판은 길이 5mm정도이고 밑부분에서 3개로 갈라지며 거(距)는 길이 7-9mm로서 원통형이고 앞으로 굽는다.

    줄기 : 높이 25-50cm이고 중앙부에 2-3개의 잎이 달리며 그 위에 포엽이 약간 있다.
    뿌리 : 뿌리가 옆으로 퍼지고 그 중 큰것에는 1개의 눈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30:72 (1955)

    Read More
  17. 키다리난초

    학명 : Liparis japonica (Miq.) Maxim.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나리난초속(Liparis)
    이명 : 나리란 카다리란 큰옥잠난초
    잎 : 잎은 전년도의 위인경(僞鱗莖) 옆에서 2개가 나와 밑부분이 3-4개의 초상엽으로 싸이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6-12cm 나비 2.5-6cm이고 연한 녹색이며 밑부분이 엽초처럼 되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다소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거나 자줏빛이 돌고 화경(花莖)은 높이 10-40cm로서 능선과 좁은 날개가 있으며 녹색이고 줄기끝에 길이 10cm되는 총상화서가 달린다. 포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1.5mm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9mm정도로서 끝이 둔하며 꽃잎은 실같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다. 순판은 도란형이며 길이 7-8mm 나비 4.5-5.5mm로서 편평하고 끝만 뾰족하며 약간 젖혀지고 예주는 위쪽 양편에 끝이 둔한 작은 날개가 있다. 씨방은 하위이며 가늘고 길며 자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도피침형으로서 길이 12mm이며 꼭지는 10mm정도로 8월에 익는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길이 6-12mm로서 지상에 나와 있고 마른 엽병으로 덮여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세계에 약 300종 특히 열대에 많고 우리 나라에 약 6종이 분포한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1 : 102 (188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해오라비난초

    학명 : Habenaria radiata (Thunb.) Spreng.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해오라비난초속(Habenaria)
    이명 : 해오라기란 해오래비난초 해오리란
    잎 : 잎은 비스듬히 서며 넓은 선형이고 길이 5-10cm 나비 4-6mm로서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꽃 : 꽃은 7~8월애 피며 지름 3cm 정도로서 1-2개가 원줄기 끝에 달리고 백색이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며 꽃받침잎보다 크고 길이 10-13m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투구 모양이다. 순판은 3개로 갈라지며 중앙열편은 선형이고 측열편의 가장자리가 다시 잘게 갈라지며 거(距)는 길이 4c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15-40cm로서 털이 없고 밑부분에 1-2개의 초상엽이 있으며 그 위에 3-5개의 큰 잎이 달리고 그 윗부분에 몇개의 포같은 잎이 달려 있다.
    뿌리 : 타원형의 구경에서 옆으로 뻗는 지하경이 생기며 끝에 구경이 달린다.
    분포 : 경기도 이북 낮은 산지에 분포한다.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해오라비를 연상시키는 흰꽃이 관상가치가 높다. 모식물체 주변에 파종을 하면 스스로 발아가 가능한 난과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ed. 16) [Sprengel] 3 : 693 (182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9. 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과명 : 천남성과(Araceae)
    속명 : 천남성속(Arisaema)
    이명 : 가새천남성 청사두초톱이아물천남성
    잎 :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화서로 달린다. 불염포는 통부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서의 부속체는 곤봉모양이다.
    열매 :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뿌리 :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구경 위의 인편은 얇은 막질이다.
    분포 : 전도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Manshur. 124 (Masao Kitagawa,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영정도의 식생보고 (정태권, 1933)

    Read More
  20. 점박이천남성

    학명 : Arisaema peninsulae Nakai
    과명 : 천남성과(Araceae)
    속명 : 천남성속(Arisaema)
    이명 : 무늬점박이천남성반잎사두초알룩이천남성 양덕사두초양덕천남성얼룩이천남성자주점박이천남성 자주천남성점박이사두초점백이천남성 포대점박이천남성
    잎 : 잎은 2개이고 첫째 잎은 길이 5-15cm의 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5-14개로서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중앙열편은 길이 8-20cm 나비 1.5-4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예저이다.
    꽃 : 자웅이주로서 5~6월에 피며 육수화서(肉穗花序)이고 정생한다. 화경(花梗)은 길이 5-20cm이다. 불염포(佛焰苞)는 윗부분이 약간 자줏빛이 돌며 통부가 녹색이고 길이는 5cm 내외이며 구연(口緣)이 밖으로 말린다. 면부(面部)는 장타원형이며 녹색이고 길이 약 3~6cm 이며 끝이 날카롭고 안으로 구부러진다. 화서의 연장부는 밑이 굵고 지름 5-6mm로서 위가 약간 앞으로 굽는다.
    열매 : 장과로서 수축면(穗軸面)에 밀집하며 빨갛게 익는다.
    줄기 : 높이 20-80cm이다.
    뿌리 : 구경은 납작한 구형이며 지름이 약 1.5~5m이고 인편은 3편이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나온다.
    분포 : ▶동시베리아 만주에 분포한다. ▶제주 전북(덕유산) 경남 충남 충북(속리산) 경기(광릉) 강원도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섬천남성(A. negishii Nakino)은 거문도에서 자생한다. 두루미천남성(A. heterophyllum BL.) 무늬천남성(A. thunbergii BL.) 큰천남성(A. ringens Schott) 넓은잎천남성(A. robustum Nakai) 둥근잎천남성(A. amurense var. amurense)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3 : 537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