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풀거북꼬리

    학명 :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Makino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 풀모시 홑거북꼬리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거북꼬리와 달리 끝이 3개로 갈라지지 않는다. 긴 엽병이 있으며 엽병은 붉은빛이 돈다. 가장자리에는 거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8월에 피며 엽액의 수상화서에 달리고 웅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자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수꽃은 4-5개로 갈라진 꽃받침과 4-5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통형의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도란형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서 둥글게 보이고 겉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기는 여러 개가 한군데에서 나오고 둔하게 네모가 지며 붉은 빛이 돈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개모시풀(B. platanifolia Fr. et Savat.):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Jap. 1: 105 (194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푼지나무

    학명 : Celastrus flagellaris Rupr.
    과명 : 노박덩굴과(Celastraceae)
    속명 : 노박덩굴속(Celastrus)
    이명 : 분지나무 청다래넌출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2.0-2.5cm 넓이 1.8-4.0cm로서 털같은 톱니가 있으며 얇고 뒷면에 털이 산생하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탁엽은 갈고리모양으로 변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지름 6-7mm이며 황록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3개씩 달리며 화경이 없고 소화경은 길이 2-6mm이다. 꽃받침은 작으며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긴 타원상 주걱형으로서 현저하지 않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지름 5-8mm로서 10월에 연한 황색으로 익고 3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황적색 종의에 둘러싸여 있다. 소과경은 길이 5-10mm이다.
    줄기 : 줄기에 기근이 있어 노목의 줄기나 바위에 붙어서 자라고 여러개가 모여서 난다. 줄기는 짧은 털이 있으며 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지가 길어져서 덩굴로 되는 것도 있다.

    분포 : 함경 북도를 제외한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
    형태 : 낙엽 만경목.
    유사종 : ▶노박덩굴: 잎에는 잎자루가 있고 호생 둥근 모양 또는 타원형이면 털이 없다. 꽃은 연둣빛 소형 취산화서이다.
    특징 : 세계에 약 30종 우리 나라에는 3종이 분포한다. 덩굴성 관목으로 잎은 호생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턱잎은 작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 Petersbourg 15:357 (185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3. No Image

    푸조나무

    학명 :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과명 : 느릅나무과(Ulmaceae)
    속명 : 푸조나무속(Aphananthe)
    이명 : 곰병나무 평나무
    잎 : 잎은 얇고 호생하며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3-6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매우 거칠고 뒷면에 짧은 복모가 있으며 기부부터 3행맥의 모양을 이루고 측맥은 7-12쌍으로서 잎의 맥은 팽나무보다 더 많으며 곧게 뻗어서 톱니에 완전히 닿는다. 팽나무속의 나무는 측맥이 거치에 도달하지 못한다. 엽병은 길이 5-10mm 이다. 잎이 거칠기 때문에 건조시킨 잎으로 기물의 표면을 닦아 광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경에 핀다. 수꽃은 새가지의 기부 엽액에서 나오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녹색으로서 꽃받침잎과 수술이 각각 5개이며 암고ㅊ은 새가지의 윗부분 엽액에서 1-2개씩 나오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1개의 암술이 있는데 미모가 있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화병은 가늘고 길이 0.5-5mm로서 회색의 미모가 나 있다.
    열매 : 열매는 핵과이며 난상구형이고 짧은 복모가 있으며 지름 7-8mm로서 그 해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미모가 나 있다. 과육이 달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먹으며 과경은 길이 7-8mm이다. 핵은 대체로 둥글고 그물 같은 무늬가 없는 것이 팽나무와 다르다.
    줄기 : 높이20m 지름 1m이며 수피는 담회갈색이고 세로 방향으로 작은 피목이 배열되어 얕은 줄로 되며 그 줄에 따라 갈라져서 수피 조각이 떨어진다. 어린 가지에는 작고 둥근 갈색의 피목이 많고 털이 있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도 자란다. ▶전라도 경상도 및 남부지방의 표고 700m 이하와 경기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수세가 강건하고 맹아력이 좋고 성장이 빠르다. ▶목재는 변재와 심재의 구별이 불분명하고 엷은 황백색으로 연하면서도 단단하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푸조나무로는 경남 사천군 푹동면 구호리의 고속도로변 언덕위에 서 있는 나무로서 수령은 약 700년으로 추정되며 지금은 심재부와 북측의 변재 및 가지는 다 썩고 없으며 남쪽 변재부만 남아 있다. ▶천연기념물 제35호 - ⓐ소재지:전남 강진 대구면 ⓑ지정사유:老巨樹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17 : 208 (DC., 187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4. No Image

    푸른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verrucifera (Maxim.) Makino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이명 : 푸른하늘직이
    잎 : 잎은 밑부분에 달리며 길이 3-5㎝ 폭 0.25-0.5mm로서 선형이다.
    꽃 : 화서는 산형이고 10여개의 소수가 달리며 포는 3-10개로서 밑의 1-2개는 화서보다 길다. 소수는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연녹색이며 길이 3-6mm 지름 2-2.5mm로서 많은 꽃이 밀생한다. 인편은 길이 1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까락끝이다.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4mm정도로서 짧은 원주형이고 4-6개의 곤봉상 부속체가 가장자리에서 돋는다.
    줄기 : 총생하며 황록색이고 높이 10-15cm이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9 : 259 (189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푸른여로

    학명 : Veratrum versicolor f. viride Nakai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여로속(Veratr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6. No Image

    푸른산층층이

    학명 : Clinopodium chinense var. glabrescens (Nakai) Ohwi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층층이꽃속(Clinopodium)
    이명 : 민층층 푸른층꽃 푸른층층이꽃





    분포 : 한반도(중부 이북) 일본


    특징 : 기본종에 비해 전체가 녹색으로 털이 적고 꽃은 백색이며 소포는 짧고 꽃받침도 짧으며 퍼진 털이 있고 또 선모가 섞여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1016(1953); in Bull. Nat. Sci. Mus. Tokyo 33 : 85 (1953)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푸른산들깨

    학명 : Mosla japonica var. robusta Ohwi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쥐깨풀속(Mosla)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1-3cm 폭 7-17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햇볕이 쬐는 부분은 자주색으로 변하며 엽병은 길이 3-10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포는 난형이며 길이 3-6mm로서 열매가 익을 때의 꽃받침보다 짧지만 밑부분의 몇개는 보다 긴 것도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이지만 열매가 익을때는 6mm로 되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길이 3mm로서 통부가 짧고 하순이 약간 크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1.3mm로서 겉에 불규칙한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줄기가 크고 녹색이며 퍼진 털이 다소 밀생한다.

    분포 : 전라도 경상도 및 경기도에 분포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산들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8. No Image

    푸른백미꽃

    학명 : Cynanchum atratum f. viridescens Ohwi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6-15cm 폭 3-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8-12mm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녹색이 돌며 엽액에 모여 달리고 화경(花梗)이 거의 없으며 소화경(小花梗)은 산형(傘形)으로 달리고 꽃보다 짧다. 꽃받침은 녹색으로서 5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피침형이며 화관통보다 짧고 화관은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안쪽은 짙은 자주색으로서 털이 없고 끝에서부터 1/2-2/3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원두이다.
    열매 : 골돌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8cm 지름 1.5cm로서 잔털이 밀생하고 종자에 긴 백색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잎과 더불어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백미꽃(C. atratum): 검은 자주색 꽃이 핀다. ▶민백미꽃(C. ascyrifolium): 흰색꽃이 핀다.
    특징 : 꽃에 녹색이 도는 백미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9. No Image

    푸른방동사니

    학명 : Cyperus nipponicus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방동사니속(Cyperus)
    이명 : 나도방동사니 나도방동산이 푸른방동산이
    잎 : 잎은 폭 1-2.5mm로서 연한 녹색이며 화경(花莖)보다 긴 것도 있고 엽초는 갈색이며 때로는 부분적으로 적자색인 것도 있다.
    꽃 : 8~9월에 개화한다. 화경끝에 잎같은 2~3개의 포가 달리고 그 중앙에 소수가 밀생한 지름 1.5~2.5cm의 두상화서가 2~3개 달리며 때로는 1-5개의 가지도 생기지만 포보다는 짧다. 소수는 밀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3~7mm 폭 1.5~2mm로서 편평하고 10-30개의 꽃이 2줄로 배열한다. 인편은 길이 1.5~2mm로서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맥이 있으며 중륵은 녹색이다. 수술은 2개이고 암술대는 수과보다 1.5-2배 정도 길며 끝이 3개로
    열매 : 수과는 길이 0.8mm정도로서 세모진 난상 타원형이고 연한 갈색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0-30cm이며 연한 녹색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소형의 1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537 (Franch. & Sav., 1878)

    Read More
  10. No Image

    푸른박새

    학명 : Veratrum dolichopetalum Loes.f.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여로속(Veratrum)

    잎 : 잎은 크며 호생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싸며 엽초를 형성하고 윗부분이 보통잎처럼 퍼지며 넓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중앙부의 잎은 길이 30cm 폭 12cm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표면에 털이 없으나 많은 엽맥이 있어 주름이 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뒷면에 짧은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지름 25mm이며 넓은 깔때기모양이고 원줄기끝에서 큰 원추화서가 발달한다. 화서지(花序枝)에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화서축에 잔털이 있다. 화피는 6장으로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고 화피밑에 V형의 짙은 녹색의 꿀샘이 있으며 화피의 길이는 8-17mm이고 수술은 6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2cm로서 3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연한 갈색이고 날개가 있으며 반달모양이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이 굵고 짧다.
    분포 : 금강산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유독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Verh. Bot. Vereins Prov. Brandenburg 68-2:133, 134, 160 (192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1. No Image

    푸른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viridicalycinum T.B.Le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재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푸른색으로 피며 총상화서는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 distichum Nakai): 꽃의 색은 백색 또는 분홍색.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의색은 분홍색. ▶상아미선(for. eburneum T.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Read More
  12. No Image

    푸른말털이슬

    학명 : Circaea quadrisulcata f. viridicalyx (H. Hara) Kitag.
    과명 : 바늘꽃과(Onagraceae)
    속명 : 털이슬속(Circaea)
    이명 : 광능말털이슬 푸른털이슬
    잎 : 잎은 대생하고 좁은 난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4~14cm 나비 2~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얕은 심형이며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와 잔털이 있을 뿐 거의 털이 없고 엽병은 엽신보다 짧다.
    꽃 : 꽃은 7~8월에 홍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꽃이 진 뒤에 길게 자라고 짧은 선모가 있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이 각각 2개이고 꽃잎은 장 타원형으로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조각의 2/3 정도 길이이다.
    열매 : 과실은 넓은 도란형으로 홈이 있고 2실에 2개 종자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거의 털이 없다.

    분포 : 강원(금강산)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꽃받침이 녹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manshur 328 (1939)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푸른더덕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f. emaculata (Honda) H. Hara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더덕속(Codonopsis)
    이명 : 민더덕
    잎 : 잎은 호생하며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대생하므로 모여 달린 것 같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10cm 나비 1.5-4cm로서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짧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cm 길이 6-1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화관은 길이 2.7-3.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 뒤로 약간 말리며 겉은 연한 녹색이다. 더덕과 달리 화관 안쪽에 갈자색 반점이 없다.

    줄기 : 덩굴성으로 2m정도 자라며 보통 털이 없고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가 도라지처럼 굵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덩굴식물
    유사종 : ▶더덕 : 기본종
    특징 : 더덕과 달리 화관 안쪽에 갈자색 반점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2: 98 (19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푸른구상

    학명 : Abies koreana f. chlorocarpa T.B.Lee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전나무속(Abies)

    잎 : 잎은 젓나무처럼 생겼으나 끝이 둘로 갈라져 있으며 뒷면은 순백색의 기공조선(氣孔條線)이 발달하여 하얀색을 띤다.
    꽃 : 5-6월에 솔방울처럼 빨강 노랑 분홍 자주 등의 다양한 색깔의 꽃이 생장점에 크기 1-2㎝로 핀다.
    열매 : 8-9월에 구과의 색이 푸른 것이 열린다.
    줄기 : 소지는 처음에는 약간 털이 있으며 황색을 띠지만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자색을 띤다. 가지에는 잎이 떨어진 자국이 뚜렷하다. 동아는 난원형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 있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무등산의 표고 500-2 000m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푸른갯골풀

    학명 : Juncus setchuensis var. effusoides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구슬비녀골 좀갯골풀
    잎 : 잎은 인편상이고 밑부분에 약간 남아있다.
    꽃 : 6-8월 개화. 화서는 골풀처럼 한쪽에 달리고 화피열편은 연녹색이며 길이 2-2.3mm로서 피침형이다. 수술은 3개이고 화피보다 약간 짧으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수술대보다 짧거나 거의 같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구형이며 화피보다 다소 길고 연한 황갈색으로 윤채가 있으며 1실이지만 3개의 격막이 있다. 종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에 분록색이 돈다. 원줄기는 둥글고 길이 25-50cm로서 종선이 뚜렷하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골풀과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분록색이 돌고 삭과가 연한 황록색인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 29: 238 (Engl., 190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푸른개고사리

    학명 : Deparia viridifrons (Makino) M.Kato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진고사리속(Deparia)
    이명 : 산풀고사리 청진퍼리고사리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 가까이에 1줄로 달리고 포막은 타원형 갈고리형 또는 말굽형으로서 가장자리가 까칠하다.

    뿌리 : 굵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특징 : 곱새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엽신이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우편의 중축에 날개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90 : 37 (19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푸른각시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viridifrons Tagawa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이명 : 푸른무새발고사리
    잎 : 잎은 근경 끝에서 총생한다. 엽병은 길이 40-60㎝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약간 있고 인편은 총상 피침형이며 길이 6-10㎜로서 짧은 털이 있고 밋밋하다. 엽신은 난형이며 길이 30-80㎝ 폭 20-50㎝로서 3-4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다. 우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대가 있고 표면 맥 위와 뒷면에 털이 있다. 소우축은 밑부분을 제외하고는 날개가 약간 있으며 소우편에 짧은 대가 있으며 흔히 밑부분이 소우축에 붙으며 소맥이 갈라지는 것도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중앙부에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며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각시고사리 (Lastrea oligophlebia var. elegans (KOIDZ.) TAGAWA) ▶각시고사리의 기본종은 소우축과 포막에 털에 거의 없고 숙도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2:747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Read More
  18. No Image

    표주박

    학명 : 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 Makino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박속(Lagenaria)

    잎 : 잎은 호생하고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며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연모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9월에 피고 백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수꽃에 긴 화경이 있으며 암꽃에 짧은 화경(花莖)이 있고 화관은 저녁때 수평으로 퍼졌다가 아침에 시들며 지름 5-10c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이 다소 둥글며 수술은 3개이고 다소 붙어 있으며 자방은 하위로서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작고 길며 중앙부가 잘록한 술병같이 된다.
    줄기 : 청록색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뻗는다.

    분포 : 우리나라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덩굴성 1년초
    유사종 : ▶박: 열매는 지름 30cm 둥근 모양 과피는 딱딱해지고 과육은 흰색이다.
    특징 : 박과 닮았으나 열매가 작고 길며 중앙부가 잘록한 술병같이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9. No Image

    폭이사초

    학명 : Carex teinogyna Boot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천일사초 폭이줄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폭 2-3.5mm로서 밝은 녹색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흑갈색이고 약간 그물같은 것이 생기지만 실처럼 갈라지며 2-4개의 가지가 갈라져서 많은 소수가 달린다.
    꽃 : 소수는 윗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고 밑부분은 대부분 암꽃이며 길이 0.8-3㎝로 선형이고 선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엽초가 길지만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자화영은 좁으며 긴 타원형으로 구릿빛이 도는 갈색이고 뒷면 녹색부에 1맥과 잔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길이 6-8mm로서 적갈색이며 끝까지 남는다.
    열매 : 과포는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곧추서며 맥이 많고 연녹색에서 갈색으로 되며 길이 3.5-4mm로서 가시같은 털이 밀생하고 타원상 렌즈형이며 긴 부리는 끝이 깊게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고 길이 2mm정도로 좁은 난상 렌즈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40-60cm이며 끝부분이 처진다.

    분포 : 한라산 남쪽 숲속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Carex 1: 60 (18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폭나무

    학명 : Celtis biondii Pamp.
    과명 : 느릅나무과(Ulmaceae)
    속명 : 팽나무속(Celtis)
    이명 : 자주팽나무 )좀왕팽나무 팽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3~7cm 나비 2~3.5cm이며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꼬리처럼 길어지고 밑은 둥글며 상반부에 깊은 톱니 또는 결각이 있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측맥은 2쌍이고 엽병은 3~7mm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잎짬에 나며 5월에 핀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구형이며 과경은 갈색 털이 많고 길이 8~15mm이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잔털이 밀생하고 동아는 편평하며 장 타원형이다.

    분포 : 전국에 나나 특히 남부에 많고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uovo Giorn. Bot. Ital. 17 : 252, f. 3 (1910)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