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살구나무

    학명 :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벗나무속(Prunus)
    이명 : 개살구나무살구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6-8cm 폭 4-7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단거치가 있고 엽병도 길이 20-3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5-35mm로서 연한 홍색이고 화경이 거의 없이 단립 또는 쌍생한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홍자색이고 젖혀지며 꽃잎은 둥글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며 융모(絨毛)가 있고 지름 3cm정도로서 7월에 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익고 핵은 요점(凹點)이 없으며 거칠고 측면에 날개같은 돌기가 없다. 종자를 행인(杏仁)이라 한다.
    줄기 : 가지가 많고 수피에 코르크질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분포 : ▶일본 중국 몽고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고편도 산이스라지나무(P. ishidoyana) 털개살구나무 매화나무 귀룽나무 등이 있다.
    특징 : 영춘화처럼 봄을 반기는 살구꽃은 복숭아꽃과 함께 고향을 상징하는 관상수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9: 87 (188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 No Image

    살갈퀴

    학명 :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Thuill.) K.Koch.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잎 : 잎은 호생하며 3-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으로서 끝이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되고 소엽은 도란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절두 요두 또는 미철두이고 둔저이며 길이 2-3cm 나비 4-6mm로서 측맥은 예각이고 가장자리에 잔털이 나며 밋밋하다. 탁엽은 2개로 갈라지며 흔히 톱니가 있고 1개의 선이 있다.
    꽃 : 꽃은 5월경에 피며 길이 12~18mm로서 홍자색이고 엽액에 1-2개의 꽃이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8-12mm로서 5개로 뾰족하게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3~4cm로서 흑색 종자가 10개정도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밑부분에서 많이 갈라져 길이 60-150cm정도 옆으로 자라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네모가 진다.

    분포 : 전국 각 처.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3. No Image

    산흰쑥

    학명 :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속(Artemisia)
    이명 : 섬쑥 흰개쑥흰쑥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철에 마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4.3-14cm이고 엽병은 길이 2-6cm로서 날개가 없다. 엽신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2.5-10cm로서 불규칙하게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2-3쌍으로서 정열편이 작으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날개처럼 되고 양면에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회록색이고 복모가 다소 있으며 뒷면에 털이 밀생하거나 소생(疎生)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두화는 반구형이고 길이 2.5-4mm 지름 4-6mm로서 꽃이 필 때 밑은 향하며 줄기와 가지끝에서 원추상으로 배열된다. 총포는 나비 4-6mm로서 반구형이고 밑부분이 선상의 포엽으로 싸여 있으며 총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비슷하며 가장자리가 넓은 막질이고 뒷면에 회백색 털이 있다. 외편은 선형이며 털이 있거나 없고 내편은 도란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며 털이 없거나 있다. 변두리의 18개 가량의 꽃은 암꽃이며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1.2mm로서 갈색이며 털이 없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150cm이며 줄기는 굵고 곧으며 골이 파진 능선이 있고 회백색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뿌리 : 육질의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인도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월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ed. 4) 3(1) : 1845 (1800)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산황나무

    학명 : Rhamnus crenata Siebold & Zucc.
    과명 : 갈매나무과(Rhamnaceae)
    속명 : 갈매나무속(Rhamnus)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예저 또는 약간 아심장저이고 길이 5-11cm이다. 잎 표면은 연한 녹색이며 중륵에 털이 있고 뒷면은 갈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져 맥 위의 것만 남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꽃 : 취산화서는 액생하고 5-10개의 양성화가 달리며 꽃은 6-7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5수성이고 암술은 1개이지만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3실이다. 화서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장과 모양의 핵과로 원형 또는 도란상 구형이고 지름 6-8mm로서 2-3개의 홈이 있으며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붉은빛이 돌지만 8-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도란형 또는 도란상 구형이며 겉에 홈이 없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소지는 갈색이며 짧은 털이 있으나 이년지는 털이 없고 다소 자갈색으로 된다.

    분포 : 제주도와 목포 수달산 등 남쪽 해안의 표고 70-1 100m의 산야에서 자라지만 해안을 따라 인천까지 자란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2) : 146 (1845)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5. No Image

    산호수

    학명 : Ardisia pusilla A.DC.
    과명 : 자금우과(Myrsinaceae)
    속명 : 자금우속(Ardisia)
    이명 : 털자금우
    잎 : 잎은 윤생하고 길이 3~4cm 폭 1.5~3.0cm의 타원형이며 첨두(尖頭) 예저(銳底)이고 양면에 붉은 갈색의 긴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드문드문 나 있다. 엽병은 길이 5-10㎜로 밀모(密毛)가 있다.
    꽃 : 산형화서는 엽액 또는 포엽에서 나와 2-4개의 꽃이 달리며 길이 2-3㎝로서 긴 털과 입자상(粒子狀)의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백색으로 피고 소화경은 길이 7-12㎜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예첨두이며 화관은 지름 6-7㎜로서 백색이다. 5개의 열편은 난형 첨두이며 흑색점이 있다.
    열매 : 지름 5~6mm의 장과로서 둥글고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5-8cm이고 지하경 끝이 지상경으로 되며 전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의 표고 300m 이하 저지대의 상록수림하에서 드물게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소관목 수형: 포복형.
    유사종 : ▶자금우(Ardisia japonica Bl.)
    특징 : 상록성인 잎의 모양이 독특하며 포복성을 지녀 옆으로 길게 뻗어 나간다. 자금우에 비하여 잎과 줄기에 털이 많고 연약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ans. Linn. Soc. 17: 126 (183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6. No Image

    산호란

    학명 : Corallorhiza trifida Chatelain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산호란속(Corallorhiza)
    이명 : 나도애기무엽란

    꽃 : 꽃은 황록색 짧은 꽃자루가 있고 굽으며 3~9송이가 총상화서를 이룬다. 꽃받침과 꽃잎은 긴 피침형 길이 4~6mm이고 황백색 녹황색 또는 적갈색이다. 입술꽃잎은 꽃받침과 곁꽃잎보다 약간 짧으며 3갈래로 갈라지고 희며 붉은 줄과 얼룩무늬 반점이 있다.

    줄기 : 꽃줄기는 서며 기둥 모양이고 홍갈색이다. 엽초는 3~4장이고 연한 홍갈색이며 밑동에 있는 엽초의 길이는 1cm정도 이다.
    뿌리 : 땅속줄기는 산호 모양으로 갈라지고 다육성이다.
    분포 : 한국(북부) 중국 몽골
    형태 : 부생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7. No Image

    산형쇠방동사니

    학명 : Cyperus orthostachyus var. umbellus Y.C.Oh & Y.B.Lee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방동사니속(Cyperus)

    잎 : 잎은 밑둥에서만 호생한다. 줄기의 밑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엽초에는 엽설이 있고 길이는 1.4~6.4cm 너비가 1.3~4.0mmdlek. 잎의 횡단면은 가장자리가 밖으로 꺽인 V형이며 좌우비대칭이다. 길이는 0.8~17.0cm 너비는 1.7~5.3mm이다. 인편은 윗부분이 둔두형이고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가 1.2~1.7mm 너비가 0.9~1.2mm이다.
    꽃 : 화서에 4~7개 정도의 길이가 서로 다른 화축이 나며 하나의 화축에는 5~15개 정도의 꼬마이삭이 산형모양으로 붙고 15~25개 정도의 낱꽃이 2줄로 들어 붙는다. 포의 수는 2~5개이며 길이는 50~200mm 너비는 1.0~5.0mm이고 화서보다 길다. 꼬마이삭은 선형이고 길이가 5.3~13mm 너비가 1.2~1.9mm로 소화축이 있다.
    열매 : 수과는 인편의 9/10정도의 크기로 도란형이고 길이는 1.0~1.5mm 너비는 0.4~0.8mm이다.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라져있고 암술대는 수과의 1/5정도의 길이로 짧다.
    줄기 : 줄기는 세모지고 줄기의 횡단면은 주름진 삼각형이다.




    특징 : 기본종인 쇠방동산이에 비해 포는 2-5개이고 하나의 화축에 산형모양으로 꼬마이삭이 난다. 암술대는 수과의 1/5정도의 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한국산 사초과 식물 (오용자, 2000)

    Read More
  8. No Image

    산향모

    학명 : Hierochloe alpina (Sw. ex Willd.) Roem. & Schul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향모속(Hierochloe)
    이명 : 산기름새
    잎 : 화경(花莖)의 잎은 길이 10mm이내로서 편평하고 근생엽은 자라서 길이 30cm정도로 되며 안으로 말린 것은 1-2㎜이다. 경생엽은 짧고 근생엽보다 넓다. 엽설은 길이 0.2-0.5mm이고 엽초는 간혹 혈자색이 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5-3㎝ 지름 1-1.5cm로서 타원형이고 10-12개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가지는 짧으며 2개씩 달리고 소수는 길이 5-6mm로서 황갈색이며 도란형이고 까락이 보인다. 수꽃의 포영은 길이 5-6mm로서 3맥이 있으며 호영은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갈라진 밑부분에서 까락이 돋으며 내영에서 돋은 까락은 길이 5mm정도로서 꼬인다. 암꽃의 호영은 예두로서 복모가 있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밑부분에 전년도의 마른 잎이 있으며 1-3개의 새싹이 돋는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백두산지역 등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2: 515. (18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산해박

    학명 :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이명 : 산새박 신해박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끝이 예첨두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6-12cm 폭 4-15m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약간 뒤로 말리고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갈색이고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와 몇 개로 갈라지며 잎보다 짧거나 길고 꽃받침과 화관이 각 5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열편은 삼각상 좁은 난형이고 길이 7-8mm로서 털이 없으며 부화관의 열편은 난형 둔두이고 수술대보다 약간 짧다.
    열매 : 골돌과로서 뿔같으며 가늘고 길며 길이 6-8cm 지름 6-8mm로서 털이 없고 종자는 좁은 난형이며 좁은 날개가 있고 길이 4-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며 줄기는 가늘고 길며 강질인데 곧게 선다.
    뿌리 : 짧은 근경으로부터 굵은 수염뿌리가 뭉쳐 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 다후리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솜아마존 백미꽃 민백미꽃 흑박주가리 큰조롱 양반풀 덩굴박주가리 선백미꽃 등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6 : 20 (19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산할미꽃

    학명 : Pulsatilla nivalis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할미꽃속(Pulsatilla)
    이명 : 묏할미꽃 애기할미꽃
    잎 : 할미꽃보다 작고 잎에 털이 적으며 근생으로 3-5개의 잎이 나오며 엽병은 길이 25-90mm로서 백색털이 있고 잎은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16mm정도로서 2-3갈래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폭 3-5mm로서 뒷면 맥위에 백색털이 있고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길이 20cm정도의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밑을 향한 꽃이 1개씩 달리고 총포는 잘게 갈라지며 겉에 백색털이 있고 밑부분에 자줏빛이 돈다. 꽃받침잎은 6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4mm 폭 13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자주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긴 난형이고 암술대는 길며 수과와 더불어 백색털이 밀생하고 털은 길이 3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15-22cm이다.
    뿌리 : 뿌리는 땅속으로 깊이 들어가고 윗부분에서 4-5개의 잎이 나온다.
    분포 : 함경북도 관모봉(표고 2 200m)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전체에 긴 털이 산재. 할미꽃보다 작고 잎에 털이 적으며 소엽은 3-5개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산팽나무

    학명 : Celtis aurantiaca Nakai
    과명 : 느릅나무과(Ulmaceae)
    속명 : 팽나무속(Celtis)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이며 윗부분은 결각모양이거나 원형이고중앙의 결각은 꼬리처럼 길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이고 길이 12-20cm 나비 9-16cm로서 윗부분의 톱니는 크며 밑부분에는 톱니가 없고 표면에 연한 털이 있으며 뒷면에 융모가 있고 측맥은 3-4쌍이다. 과지(果枝)의 잎은 좁으며 도란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엽병에도 털이 있다.
    꽃 : 꽃은 자웅동주이고 5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다.
    열매 : 과경은 길이 20-24mm로서 털이 있고 열매는 핵과로 둥근 모양이고 길이 13mm로서 황색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 : 어린 가지는 적갈색 털이 있으나 과지는 털이 없다.

    분포 : ▶만주지역에도 분포한다.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황해도 함경남북도 등지) 남쪽으로는 대구 팔공산 경북 울진의 불영계곡 충북 제천 등지에도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섬팽나무(for. magnifica NAK.): 도란상 장타원형의 노목에서 길이 11㎝에 이르고 엽병의 길이가 15-16㎜에 달한다. 외나로도(外羅老島)에 난다. ▶둥근잎팽나무(for. rotundata NAK.): 잎이 둥글며 거의 절저이고 갑자기 끝이 뾰족해진다.제주도와 전남 해남등지에 난다. ▶검팽나무(C. choseniana NAK.): 열매가 검게 익는다. ▶노랑팽나무(C. edulis NAK.): 잎의 끝이 결각상으로 되고 열매가 노
    특징 : 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에 약 70종 우리 나라에는 8종 2변종이 분포한다. 대개 낙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hosen Sanrin Kwaiho 59: 23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12. No Image

    산파

    학명 : Allium maximowiczii Regel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이명 : 묏파
    잎 : 잎은 2-3개이고 반원통형으로서 안쪽이 편평하며 화경(花莖)보다 짧고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적자색으로서 좁은 종형이고 화경(花莖)은 흔히 자줏빛이 돌며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넓은 난형 예두의 포가 있다. 소화경은 길이 8-15mm이며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6-8m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같은 수의 수술보다 길거나 같고 수술대 사이에 톱니가 없다. 꽃은 적자색이지만 순백의 품종도 재배되고 있다.


    뿌리 : 땅속에 길쭉한 구근을 가지고 있다. 인경은 좁은 난형이며 외피는 회갈색이고 딱딱해져서 종선이 생기며 약간 갈라진다.
    분포 :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유사종 : ▶여러 해안에서 볼 수 있는 `큰산파`는 산파에 못지 않는 관상가치가 있다.
    특징 : ▶재배품은 강건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3(2) : 153 (187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산톱풀

    학명 : Achillea alpina var. discoidea (Regel)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톱풀속(Achillea)
    이명 : 산가새톱 산가새풀 자루가새풀 자주톱풀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상 선형으로 길이 6~10cm 나비 7~15mm이며 우상으로 빗살 같이 중 또는 심렬하고 열편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밑의 열편이 반쯤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10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두화의 지름 4mm이다. 총포는 구상 종형으로 길이 5mm이고 포편은 2열로 배열하고 외편은 장 타원형으로 내편의 1/2 길이이다. 설상화의 길이가 3mm 이하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관모가 없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흔히 총생하고 윗부분에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3:3 (196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4. No Image

    산토끼꽃

    학명 : Dipsacus japonicus Miq.
    과명 : 산토끼꽃과(Dipsacaceae)
    속명 : 산토끼꽃속(Dipsacus)
    이명 : 산토끼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이 길고 날개가 있으며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사각상 난형이고 길이 6~15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의 우편이 작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갈라지지 않고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긴 화경끝의 두상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2~3cm로서 타원형이고 기부에는 길이 5~20mm인 선상의 포가 있다. 인편은 쐐기모양이고 뒷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길이 5-8mm로서 끝에 굳센 털이 있고 길이 4-7mm의 자침(刺針)이 있으며 화관은 길이 6-8mm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고 통모양이며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6mm정도로서 상반부에 털이 약간 있으며 8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이상이고 윗부분에 능선이 있으며 밑부분에 굵은 자모(刺毛)가 산생한다.

    분포 : 경북 조령(鳥嶺)과 영동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Vers. Med. Aka. Wetens. ser. 2 : 2 : 83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산토끼고사리

    학명 : Gymnocarpium robertianum (Hoffm.) Newman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토끼고사리속(Gymnocarpium)

    잎 : 잎은 비교적 촘촘하게 나고 엽병 하부와 더불어 넓은 피침형이며 얇은 다갈색 인편이 달린다. 엽신은 삼각형이고 길이 18~20cm 나비 14~18cm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첫째와 둘째 우편은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대가 있다. 소우편은 선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에 보다 가깝게 달리며 포막이 없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는다.
    분포 : 충북(단양) 강원(평창 정선 영월 삼척) 경기 함남 함북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소련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hyto. 1. 4:app. 14 (185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6. No Image

    산층층이

    학명 : Clinopodium chinense var. shibetchense (H.Lev.) Koidz.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층층이꽃속(Clinopodium)
    이명 : 개층꽃 산층층꽃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 2-4cm 폭 1-2.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20mm이다.
    꽃 : 꽃은 백색이고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 많은 꽃이 층층으로 달리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5-8mm로서 긴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길이 6-8mm로서 짧은 선모가 있고 화관에는 겉에 잔털이 있고 길이 8-12mm로서 순형이다. 이강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6mm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다.
    줄기 :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녹색이고 붉은빛이 돌지 않는다.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자라다가 위로 곧추선다.

    분포 : 경기도 강원도 이남과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3 : 387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산초나무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초피나무속(Zanthoxylum)
    이명 : 분지나무 산추나무 상초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13-21개이고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좁아지면서 요두로 끝나고 밑부분이 예저이며 길이 1.5-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축에 잔가시가 있다. 산초특유의 향기가 있다.
    꽃 : 자웅이주로서 꽃은 9월에 피며 지름 3mm로서 연한 녹색이고 향기가 없으며 정생하는 길이 5-10cm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에 마디가 있다. 꽃받침잎은 난상 원형이며 꽃잎은 길이 2mm로서 피침형이고 안으로 꼬부라지며 각각 5개이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같고 곧추서기 때문에 밖으로 나오며 암술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약 4mm이며 녹갈색에서 홍색으로 10월에 익고 흑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에 가시가 엇갈려서 난다. 소지에 1개씩 떨어져나는 가시가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 000m 이하의 산야에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민산초나무(var. inermis T.Lee): 가시가 없는 것으로 전남지역에 자란다. ▶전주산초(var. subinermis T.Lee): 가시의 길이가 2㎜ 이내이며 잎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인 것. ▶좀산초(var. microphyllum T.Lee): 잎이 가늘고 1㎝미만인 것. ▶초피나무(Z. piperitum A. P. DC.): 꽃잎이 없고 소지에는 잎의 양쪽에 커다란 가시가 있으며 소엽이 9-19개인 것.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산초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딱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2) : 137 (184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산천궁

    학명 : Conioselinum kamtschaticum Rupr.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산천궁속(Conioselinum)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경생엽은 엽병이 길고 삼각형이며 길이 10~15cm로서 3출엽이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최종열편은 좁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며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가 거칠며 소맥이 뚜렷하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엽병이 엽초로 퇴화된다.
    꽃 : 꽃은 백색으로 8월경에 피며 복산형화서로서 가지끝에 정생 또는 액생하고 꽃잎은 5개이다. 총포편은 선형으로서 소산경보다 짧으며 소산경은 길이 2-3cm로서 10-20개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안쪽 및 화경 윗부분에 돌기같은 털이 있다. 소총포편은 선형이며 꽃보다 길거나 같고 소화경은 20-30개로서 길이 6-8mm이다. 수술은 5개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암술대는 2개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젖혀진다.
    열매 : 열매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건피질이고 넓은 날개가 있다. 특히 분과의 배 중에 명료한 3개의 날개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화서 이외에는 털이 없으며 속이 비어 있다.
    뿌리 : 뿌리에 정유를 함유하고 있다.
    분포 : ▶일본 중부 이북의 고산 초지에 분포 ▶우리나라 고산 계곡에 야생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토천궁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9. No Image

    산쪽풀

    학명 :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산쪽풀속(Mercurialis)
    이명 : 산쪽
    잎 :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2-3마디에는 잎이 없으며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길이 7~12cm 폭 2.5-5cm로서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3cm이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젖혀지고 길이 3-4mm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며 녹색이고 소형이며 액생하는 수상화서에 2-3개씩 모여 달리고 화경이 길고 우화수가 위쪽에 달린다. 수꽃은 3개로 갈라진 꽃받침과 많은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 3개의 꽃받침잎과 2개의 돌기체 및 1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다소 둥글며 겉에 돌기가 있고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25-5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털이 거의 없다.
    뿌리 : 근경은 희지만 마르면 자줏빛이 돌고 옆으로 뻗으며 네모가 진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 섬의 산지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유럽과 동아시아에 수 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군생하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Fam. Nat. 1: 145 (184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20. No Image

    산짚신나물

    학명 : Agrimonia corean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짚신나물속(Agrimonia)
    이명 : 산집신나물 큰집신나물큰짚신나물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큰 것과 작은 것이 있어 불규칙하며 큰 것은 타원형 예두이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큰 소엽과 크기가 비슷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7-8월에 원줄기끝과 가지끝에서 총상화서가 발달하여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소포가 잘게 갈라진다. 꽃받침통은 도원추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으로서 끝이 날카롭고 밑부분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어 옷같은 데 잘 붙는다. 꽃잎은 5개이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황색이고 수술은 5-10개이다.
    열매 : 수과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큰것은 높이가 1m에 달하며 전체적으로 털이 엉성하게 돋아 있다.
    뿌리 : 뿌리가 약간 굵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 Veget. Diam. Mt. 71, 175 (191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