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흰양귀비

    학명 : Papaver amurense (N.Busch) N.Busch ex Tolm.
    과명 : 양귀비과(Papaveraceae)
    속명 : 양귀비속(Papaver)
    이명 : 흰개양귀 흰아편꽃
    잎 : 잎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엽병은 길며 장 타원형이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전년도의 엽병이 남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긴 화경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2개로 타원상 주형 꽃잎은 4개가 교호대생하며 도란상 원형 수술은 다수 주두는 합쳐져서 방추형으로 된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도란형이고 위쪽 구멍에서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전체에 굵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함북(웅기 두만강 연안)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Zabaic. 4: 410 (19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2. No Image

    부지깽이나물

    학명 : Erysimum amurense Kitag.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쑥부지깽이속(Erysimum)
    이명 : 좀부지깽이 큰쑥왕부지깽이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밑부분의 잎은 얕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길이 4cm 폭 5mm로서 양면에 갈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황색이며 지름 1cm가량의 십자화로서 줄기 끝에서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mm정도로서 능선이 있으며 거의 수평으로 달리지만 열매는 소화경 끝에서 약간 위로 향한다. 꽃받침잎은 길이 5-8mm의 타원형이며 꽃잎은 도란형으로 길이 12-15mm이다.
    열매 : 장각과는 다소 네모지고 길이 4-6cm이며 홍갈색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차상(叉狀)의 털이 있다. 길이 2-2.5mm의 타원형 종자가 1줄로 배열되어 7-8월에 성숙된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갈라진 털이 있다.

    분포 : ▶중국에 분포한다. ▶예산진(惠山鎭) 무산(茂山) 경기도 군자(君子) 등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51 : 155 (19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금낭화

    학명 : Dicentra spectabilis (L.) Lem.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금낭화속(Dicentra)
    이명 : 등모란며느리주머니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개씩 2회 갈라지고 소엽은 길이 3~6cm로서 3-5개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상 쐐기형이고 끝에 결각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길이 2.7~3cm 폭 1.8~2c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주렁주렁 달리고 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여 길이20~30cm로 활처럼 굽는다. 꽃받침잎은 2개로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6~7mm로서 빨리 떨어지며 꽃잎은 4개가 모여 편평한 심장형으로 되고 바깥 꽃잎 2개는 길이 2cm 정도로서 밑 부분이 주머니 같은 거(距)로 되며 끝이 좁아져서 바깥쪽으로 젖혀지고 안
    열매 : 긴타원형의 삭과로서 1-2cm이다. 종자는 검고 광택이 난다.
    줄기 : 높이 40-50cm이며 연한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흰 가루를 쓰고 있는 듯이 보인다.
    뿌리 : 굵은 육질로 깊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천마산 가평 설악산 등지의 중부지역 산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관화식물.
    유사종 : ▶흰금낭화(D. spectabilis Lem.)은 원예종으로 흰색 꽃이 핀다.
    특징 : 속명 Dicentra는 희랍어 dis(2)와 centron(距)의 합성어로 2개의 꽃잎에 거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4. No Image

    꽃쥐손이

    학명 : Geranium eriostemon Fisher ex DC.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이명 : 낭림쥐소니털손잎풀털쥐손이 흰털쥐손이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5-7각상 원형이고 폭 8-12cm로서 5-7개로 반 또는 그 이상 갈라지며 표면에 복모 뒷면에 퍼진 털이 있다. 열편은 사각상 도란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불규칙한 결각과 더불어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넓은 피침형이고 서로 떨어진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3.5-4cm로서 원줄기 끝에 10송이씩 산형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은 곧으며 퍼진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꽃잎은 홍자색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맥 위에 선모 또는 복모가 있으며 수술대 밑부분에 긴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4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털이 밀색하며 5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 전체에 퍼진 역모(逆毛)가 밀생하며 원줄기는 세로로 홈이 있고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분포 :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털쥐손이( var.hypoleucum NAK.) : 잎 뒷면에 백색 선모가 밀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1 : 641 (182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5. No Image

    산쥐손이

    학명 : Geranium dahuricum DC.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이명 : 다후리아쥐손이산손잎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지고 신장상 원형이며 길이 3-4cm 폭 5-7cm로서 장상으로 7-8개로 밑까지 깊이 갈라진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져 마지막 열편은 폭 2-3mm의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백색의 굳은 복모가 깔려 있어 깔깔하다. 탁엽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각 2개의 소화경이 있는 꽃이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8cm정도로서 5개이며 적자색이고 소화경은 꽃이 핀 다음 뒤로 굽는다. 꽃받침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3-5맥이 있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1cm이다. 수술은 10개이며 자방은 5실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2-2cm로서 긴 부리가 있으며 익으면 5개로 갈라진 조각이 위로 말려서 부리에 달리고 5개의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줄기는 곧게 또는 비스듬히 서고 복모가 깔려 있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고산지대의 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1: 642 (182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6. No Image

    달구지풀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토끼풀속(Trifolium)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길이 2-4cm 폭 0.5-1cm이다. 잎뒷면의 주맥에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탁엽은 막질로 줄기를 감싼다.
    꽃 : 두상화서는 길이 5-30mm로서 10-20개의 꽃이 부채살 처럼 달리고 꽃은 6-9월에 피며 짙은 홍색이고 엽액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5개의 피침형 조각으로 갈라지며 10맥이 있고 첫째 열편이 가장 길며 꽃잎이 꽃받침 보다 2배정도 길다. 기판은 타원형에 원두이고 익판은 장원형이며 용골판은 익판보다 짧다.
    열매 : 협과는 선상 장원형으로 4-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여럿이 뭉쳐나와 높이가 30cm에 달하며 다소 네모지고 비스듬히 자라며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다. 보통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땅속에 원주형의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주달구지풀 var.alponum NAK. : 한라산정 근처에서 자라며 전체가 작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꿩의바람꽃

    학명 : Anemone raddeana Rege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잎 :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라며 길이 4-15cm의 엽병이 있고 2회3출엽이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성글게 있고 총포엽은 3개이며 짧은 엽병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5mm 폭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윗부분에 불규칙하고 둔하 톱니가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다소 긴 털이 있을 뿐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3-4cm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15-20cm로서 처음에는 긴 털이 있고 화경 기부에 3개의 3출엽이 윤생하여 총포로 되었다. 화경(花梗)은 길이 2-3cm로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8-1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2cm정도로서 백색이지만 겉은 연한 자줏빛이 돈다. 수술은 여럿이고 수술대는 길이 5-8mm이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길이 1mm정도이다. 암술대는 30개에 이르며 자방에는 잔털이 밀생하고 휘어졌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5월에 익으며 암수대가 꼬리모양으로 달린다.
    줄기 : 줄기의 높이는 10-15cm이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며 굵고 길이 1.5-3cm로서 방추형이며 옆으로 자라고 갈색이며 선단에 막질의 인편이 몇 개 있고 매끈하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Radd. 1 : 16 (18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바위채송화

    학명 : Sedum polytrichoides Hemsl.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돌나물속(Sedum)
    이명 : 개돌나물 대마채송화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15mm 폭 1.2-2.5mm로서 편평한 육질이고 밑부분은 자주색이며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화경(花梗)이 없고 가지 끝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취산화서에 약간 달리고 포엽이 꽃보다 다소 길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서로 다르고 선형 또는 선상 침형이며 꽃잎은 5개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고 심피는 5개이며 밑부분이 약간 붙어 있다.
    열매 : 열매는 5개이고 길이 8-9mm로서 둥근 피침형인 골돌이다.
    줄기 : 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뻗고 윗부분이 가지와 더불어 곧추서서 높이가 10cm에 달하며 밑부분에 갈색이 돌고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잎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보통 때는 지상부가 고사한 듯이 보이나 비가 온 후에 생육과 개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목색의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체가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3 : 286 t. 7 fig. B 4 (188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버들일엽

    학명 : Loxogramme salicifolia (Makino) Makino
    과명 : 비고사리과(Lindsaeaceae)
    속명 : 주걱일엽속(Loxogramme)
    이명 : 버들일엽초버들잎고사리 수깔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10mm로서 연녹색 또는 볏짚색이고 좁은 날개가 있다. 엽신은 단엽이며 좁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15-20㎝ 나비 5-17mm 로서 양끝이 좁으며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녹색이고 마르면 뒤로 말린다. 중륵은 표면으로 도드라지며 측맥은 엽육속에 묻혀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윗부분에 달리고 황색이며 선형으로 길이 1-2.5㎝이다.

    뿌리 : 근경은 검은 쇠줄같고 옆으로 뻗으며 적갈색 인편으로 덮이고 지름 1-1.5mm이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분포 : 한라산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9 : 138 (190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0. No Image

    각시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둥굴레속(Polygonatum)
    이명 : 각씨둥굴레 둥굴레아재비 애기둥글레 한라각시둥굴레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며 길이 4-7cm 폭 1.5-3cm로서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둔두이며 뒷면 맥위에 잔돌기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누른 빛과 푸른 빛이 도는 백색이며 길이 15-18mm로서 통형이고 엽액에 1-2개씩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7-15mm이다. 수술대는 잔돌기가 약간 있고 꽃밥은 삼각상 피침형이며 길이 3-3.5mm로서 수술대보다 약간 짧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 자라고 높이 15-30cm가량이며 능각이 있다.
    뿌리 : 끈같은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각시둥굴레와 비슷하지만 높이가 12㎝정도인 것을 한라각시둥굴레 (P.humillinum NAK.)라고 하며 한라산에서 자란다.
    특징 : "둥굴레 종류들 가운데 초장이 가장 짧기 때문에 ""각시둥굴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9: 275 (185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1. No Image

    순채

    학명 : Brasenia schreberi J.F.Gmelin
    과명 : 수련과(Nymphaeaceae)
    속명 : 순채속(Brasenia)

    잎 : 잎은 호생하고 잎이 피려고 할 때 어린 줄기와 더불어 우무같은 점질의 투명체로 덮이며 완전히 자란 잎은 수면에 뜨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6~10cm 직경 4~6cm로서 중앙부에 엽병이 있으며 뒷면은 검붉은 자줏빛이 난다. 잎은 두껍고 진록색이며 광택이 난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엽액에서 나오는 긴 화병 끝에 1개씩 달리고 검은 홍자색이며 지름 2cm정도로서 물에 약간 잠긴 채로 핀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3개이며 길이 10mm로서 둔두이고 꽃잎도 3개이며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둔두이다. 수술은 많으며 각각 떨어지고 꽃밥은 길이 4mm로서 선형이며 암술은 6-18개로서 유두상의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길이 8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난형이며 물 속에서 성숙하고 꽃받침과 암술대가 달려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물 속에서 수면을 향해 길게 자라며 드문드문 가지를 친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가지를 치면서 자라고 잔뿌리가 많이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수생식물이며 관엽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et. 1 : 853 (17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수련

    학명 : Nymphaea tetragona Georgi
    과명 : 수련과(Nymphaeaceae)
    속명 : 수련속(Nymphaea)

    잎 : 잎은 뿌리에서 나온다. 긴 엽병이 수면까지 자라 그 끝에 잎이 난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원두이며 밑부분은 깊이 갈라져 화살모양이고 약간 떨어지거나 양쪽 가장자리가 거의 닿으며 길이 5~12cm 폭 8~15c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질이 두꺼우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나 뒷면은 흑자색이다.
    꽃 : 꽃은 6~8월에 수면 위에서 피고 백색이며 지름 5cm정도로서 밤에는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睡蓮)이라고 한다.
    꽃은 3일 동안 피었다 닫혔다 하며 꽃받침잎은 4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cm 밑부분의 폭1-1.5cm로서 둔두이고 녹색이며 꽃잎은 8~15개이다. 수술은 40개 정도이고 꽃밥은 황금색이다. 암술대는 거의 없고 암술머리는 납짝하게 눌러진 공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이고 4개의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물속에서 썩어 다수의 종자가 나오고 종자에 육질의 종의(種衣)가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많은 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럽 동부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서 재배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생 수초식물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애기수련 (N.minima NAKAI) : 잎 끝에서 엽저까지의 길이가 1.8-5.5cm이고 폭 1.6-4.3cm이며 꽃받침열편은 길이 1.7cm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잎의 길이가 1.5cm이며 장산곶에서 자란다.
    특징 : ▶꽃이 밤에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睡蓮)이라고 한다.
    ▶야생종의 수련은 드물고 공원이나 정원의 못에서 보는 것은 대부분이 원예품 종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ise russ. Reich 1 :220 (Bemerk, 177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3. No Image

    가솔송

    학명 : Phyllodoce caerulea (L.) Bab.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가솔송속(Phyllodoce)

    잎 : 잎은 밀생하며 선형 둔두이고 길이 0.4-1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1개의 홈이 있고 뒷면 중륵에 백색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기가 있고 약간 뒤로 젖혀진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7-8mm로서 단지 모양이며 홍자색이고 겉에 털이 있으며 가지끝에 2-6개씩 곧추 달리고 밑을 향하며 소화경은 길이 2-2.5cm로서 선모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선모가 있으며 수술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길이 4mm이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기부가 옆으로 누우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잔털이 있다.

    분포 : 백두산지역에 분포한다.(함경도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활엽 소관목.
    유사종 : ▶흰가솔송(Phyllodoce caerulea for. albida Uyeki) : 줄기끝에서 3-5개의 꽃자루가 돋아나 흰색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꽃잎 끝은 5개로 얕게 갈라져 약간 벌어진다. 함남 차일봉(遮日峯)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an. Brit. bot. ed. 1 : 194 (1843)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4. No Image

    개쇠뜨기

    학명 : Equisetum palustre L.
    과명 : 속새과(Equisetaceae)
    속명 : 속새속(Equisetum)
    이명 : 늪쇠뜨기
    잎 : 엽초는 열편과 더불어 길이 10-12mm로서 녹색이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갈색에서 흑색으로 되고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다.

    열매 : 포자낭수는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1~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갈색이 도는 자주색에서 점차 누른빛이 돌고 대가 있다.
    줄기 : 식물체 전체가 영양경과 포자경을 겸한다. 원줄기는 마디 또는 지하경 끝에서 곧게 자라고 높이 20-60cm 지름 2-4mm로서 옆으로 잔주름이 있으며 가지가 규칙적으로 돋지만 끝부분에는 가지가 없다. 마디에서 여러 개의 가지가 둘러 나고 비스듬히 서며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있고 흑갈색이며 마디에서 잔뿌리가 돋는다.
    분포 : 울릉도 및 중부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쇠뜨기
    특징 : 쇠뜨기와 비슷하지만 엽초가 2배정도 길며 열편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포자낭수가 영양경 끝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5. No Image

    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schrenkii Rupr. var. schrenkii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이명 : 쇠영꽃나무 오이순 털고광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세로의 종맥이 있다. 잎의 길이는 7-13cm 폭은 4-7cm이다. 과지의 잎은 길이가 4.5-7cm 폭은 1.5-4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연녹색으로서 맥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정생 또는 액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린다. 화서에 잔털이 있고 5-7개의 백색꽃이 달리지만 밑에서 피는 꽃은 액생하며 직경은 3-3.5cm로서 향기가 있고 소화경은 길이 6-13mm로서 꽃받침통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안쪽 끝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4개로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4개로서 1/2이상 갈라지며 기부에 잔털이 있고 화반(花盤)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9mm 직경 4-5mm이며 중앙 윗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고 털이 떨어지는 것도 있다. 9-10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2-4m이며 가지는 2개로 갈라지고 소지는 갈색으로 털이 다소 있으며 2년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150-1 250m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다간형
    유사종 : ▶털고광나무(P. schrenkii var. jackii KOEHNE) : 잎의 양면 특히 맥상에 털이 있고 소지는 밤색이며 백색털이 있고 껍질이 벗겨지지 않는다. 씨방과 암술머리에 털이 많다. ▶애기고광나무(P. pekinensis RUPR.) : 소지에 잔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2년생은 밤색이고 벗겨진다. ▶얇은잎고광나무(P. tenuifolius RUPR. et MAX.)
    특징 : 우아하게 피어나는 꽃이 매우 아름답고 잎의 모양과 털의 다소에 따라 많은 종류와 변종으로 나눈다. 생장속도는 빠른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 : 542 (18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검산초롱꽃

    학명 : Hanabusaya latisepala Nakai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금강초롱꽃속(Hanabusaya)
    이명 : 검산초롱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총생하고 엽병이 길며 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12㎝ 나비 5cm로서 털이 없거나 양면 맥 위와 엽병에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길이 4㎝ 지름 2㎝의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1.5cm 밑부분의 나비 5m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으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수술은 5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털이 거의 없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지방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금강초롱에 비해 꽃받침 갈래의 폭이 넓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애기기린초

    학명 : Sedum middendorffianum Maxim.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돌나물속(Sedum)
    이명 : 각시기린초 버들기린초 버들잎기린초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길이 1.5-2cm로서 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한 쪽에 2-3개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원줄기 끝에 황색꽃이 취산화서로 붙는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며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고 자방은 5개의 심피로 되며 떨어져 있다.
    열매 : 골돌은 5개이고 밑에서 옆으로 퍼진다.
    줄기 : 높이가 20cm정도에 달하고 겨울 동안에 지상 10cm내외 윗부분이 말라 죽으면 그 밑에서 다시 싹이 나와 새둥지처럼 된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섬기린초(S. tskesimense Nakai)
    기린초(S. kamtschaticum Fisch)
    속리기린초(S. zokuriense Nakai)
    가는기린초(S. aizoon L.)

    특징 : ▶종명은 러시아의 식물학자 Middendoff의 이름에서 유래.
    ▶우리 나라의 Sedum속 식물류 가운데 가장 개체 크기가 작은 식물이다.(자생지에서는 10cm미만으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116(1859);Nakai, Fl. Kor. 1:230(1909) ()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애기완두

    학명 : Lathyrus humilis (Ser.) Spreng.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연리초속(Lathyrus)

    잎 : 잎은 호생하고 3~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이며 끝은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3.5cm이고 양끝은 둔하며 끝은 약간 나오고 맥 위에 긴 털이 드문드문 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탁엽은 타원상 화살모양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홍자색을 띠나 건조하면 남색으로 되며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위쪽에 소수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 끝은 얕게 갈라지고 화관은 나비모양이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선형이고 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모가 진다.

    분포 :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중국 몽고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3: 263 (182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가는기린초

    학명 : Sedum aizoon L.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돌나물속(Sedum)
    이명 : 가는꿩의비름 가는잎기린초
    잎 : 잎은 호생하며 도피침형이거나 간혹 좁고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이 없고 길이 3-6cm 폭 7-15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육질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0-13mm이며 원줄기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짧거나 거의 없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넓은 선형이며 밑부분이 약간 퍼지고 길이 3-5mm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10mm로서 꽃받침보다 1.5-2배 길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고 암술은 5개이다.
    열매 : 골돌은 5개가 별처럼 배열되었으며 난형(卵形)이고 10개 내외의 종자가 8-9월에 성숙한다.
    줄기 : 1-2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높이 20-50cm정도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Fisch.) : 가는기린초보다 잎이 넓다.
    특징 : 많은 변종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430(1753); Nakai, Kor. Fl. 1: 229(1909)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앉은부채

    학명 :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과명 : 천남성과(Araceae)
    속명 : 앉은부채속(Symplocarpus)
    이명 : 산부채풀 삿부채
    잎 : 잎이 뿌리에서 나오며 넓은 원심형이고 길이 30~40cm 폭 35~42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깊은 심장저이고 엽병은 길이 50~60cm 정도로 길며 연록색이고 기부는 연록색을 띤 흰색이며 잎은 녹색인데 뒷면은 연한 녹색이 나고 털은 없다.
    꽃 : 꽃은 잎보다 먼저 1포기에 1개씩 나오며 화경(花莖)은 길이 10-20cm이고 포는 길이 8-20cm 지름 5-12cm로서 검은 자갈색이며 같은 색의 반점이 있고 육수화서(肉穗花序)가 있다. 꽃은 양성이며 4개의 꽃잎은 연한 자주색이고 빽빽하게 달려서 거북의 잔등같으며 4개의 수술에는 황색 꽃밥이 달린다. 암술은 1개이고 난형이다.
    열매 : 열매는 여름에 익고 둥글게 모여 달린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긴 끈같은 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애기앉은부채(S. nipponicus Nakino)는 강원도 이북의 고지대에서 자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lugd. bat. 2 : 202 (186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