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좀사방오리
학명 : Alnus pendula Matsum.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오리나무속(Alnus)
이명 : 각시사방오리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12cm 폭 3cm로서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측맥은 16-27쌍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나 거의 없어지며 엽병은 길이 7mm이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4월에 핀다. 전년도 가지 끝에 이미 형성되어 처져 있던 수꽃이삭은 잎보다 먼저 피고 갈황색이며 길이 4.5cm정도로서 대가 있다. 수꽃은 포린 내에 있으며 수술 4개 화피 4장이다. 암꽃 이삭은 대가 있고 한 가지에 3-6개가 위를 향해 달리며 긴 타원형으로서 녹색이고 한 포린에 2개의 암꽃이 달리며 암술대는 각 2개이다.
열매 : 과수는 타원형이고 길이 8-15mm로서 길이 3-6cm의 대가 있으며 밑으로 처지는 것이 특색이다. 열매는 소견과로 긴 타원형이고 좁은 날개가 있으며 10-11월에 익는다.
줄기 : 원산지에서는 높이 6m(때로는 8m) 지름 30cm에 달하고 어린 가지는 암회갈색으로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늘고 길게 자란다.
분포 : 전국에 식재되어 왔으나 현재는 대부분 대전 이남의 온난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덤불오리(A. fruticosa var. mandshurica Call): 잎 뒷면의 맥위에 털이 나 있고 과수의 길이가 1.5㎝이하인 것을 말한다. ▶사방오리나무(A. firma S. et Z.): 잎은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5-10㎝ 열매는 소견과 긴 타원형이다. ▶오리나무(A. japonica Steudel): 잎은 긴 타원형 길이 6-12㎝ 폭 3-5㎝ 뒷면의 맥겨드랑이에 적갈색 털이 있다. ▶물갬나무(A.
특징 : 1906-1907년경 일본에서 들어 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n. Coll. Sci. Tokyo 16 : 5, t. 3 (1902)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사다리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cystopteroides (D.C.Eaton) Ching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이명 : 좀새닥다리고사리
잎 : 엽병은 실처럼 가늘고 길이 2-10㎝로서 밑부분에 근경과 더불어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며 인편은 피침형이고 갈색이며 길이 1mm정도. 엽신은 피침형이고 밑에서부터 1/3정도가 가장 넓으며 길이 2-8㎝ 폭 12-30mm로서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는다. 우편은 4-8쌍이고 호생하며 길이 5-15mm 폭 5-10mm로서 대가 없고 불규칙하게 2-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가장자리가 밋밋. 소맥은 가장자리에 닿고 갈라지지 않거나 1회 갈라지며 털이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각 열편에 1-5개씩 달리고 가장자리에 보다 가깝게 달리며 포막은 신장형에 가깝고 가장자리와 뒷면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지름 1mm정도.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Fan Mem. Inst. Biol.6:316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3)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No Image
좀비비추
학명 : Hosta minor (Baker) Nakai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비비추속(Hosta)
이명 : 작은비비추 조선비비추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10cm정도로서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며 갑자기 엽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화경(花莖)은 길이 30-35cm로서 세로줄이 있으며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모여 달린다. 포는 피침형이며 녹색이고 화관은 길이 5cm정도로서 깔대기같은 종형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지고 화피열편이 뒤로 젖혀진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화피보다 훨씬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삭과로 9월경에 결실한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끈모양의 수염뿌리는 총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좀비비추(H.minor for.alba Maekawa)는 백색꽃이 피며 금강산에서 자란다. ▶참비비추(H. calausa Nakai)는 주로 냇가에 자생하고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 지피식물로 중요하고 산나물로 재배되고 있다. ▶산옥잠화(H. lancifolia Engl.)는 깊은 산 계곡 냇가 근처에 자생하고 엽병이 유난히 길다. ▶비비추(H. longipes(Fr.et Sav.)Matsumura)는 산지 냇가 근처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
특징 : "▶비비추에 비해 전체가 작고 잎이 흔히 짧은 예저인 것이 다르며 자생지에 따라 몇 종류의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나기도 한다. ▶속명은 오스트리아의 의사이며 식물학자인 Nicholaus Thomas Host (1761-1834)를 기념하여 붙여졌다. 종명의 minor는 """"작다""""는 뜻으로 비비추에 비해 개체가 작다는 의미이다. 명명자인 Nakai는 일본의 식물학자 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Hosta속 식물은 동아시아 지역에만 40여종이 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II:251 (191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분버들
학명 : Salix rorida var. roridaeformis (Nakai) Ohwi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애기분버들
잎 : 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7~15cm 나비 2~25m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은 3~15mm이다. 어린잎은 안으로 말린다.
꽃 : 꽃은 자웅이가로 미상화서이며 4월에 핀다. 수술은 2개 밀선은 1개이며 자방은 난형으로 네모가 지고 주두는 2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고 5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황색이고 햇볕을 쪼인 부분은 홍색이나 흔히 분백으로 덮여 있다.
분포 : 강원(설악산) 이북에 나며 일본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405 (195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부처꽃
학명 : Ammannia multiflora Roxb.
과명 : 부처꽃과(Lythraceae)
속명 : 좀부처꽃속(Ammannia)
이명 : 각시마디꽃
잎 : 잎은 교호로 대생하며 수평으로 퍼지고 넓은 선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길이 2.5~5cm 나비 3~12mm이지만 가지의 잎은 훨씬 작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흰색이며 지름 1.5mm정도로서 엽액에 몇 개씩 모여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mm정도이고 꽃받침은 도원추형이며 다소 4개의 능선이 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아주 적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구형의 삭과로 지름 2mm정도이며 적자색 윤채가 있고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며 암술대는 뚜렷하고 종자는 작으며 갈색이고 많다.
줄기 : 높이 20-30cm이고 네모가 지며 가지는 짧고 주축에서 십자형으로 뻗는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형태 : 1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ind. ed. Carey, 1 : 447 (182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보리풀
학명 : Hordeum pusillum Nut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보리속(Hordeum)
잎 : 엽초는 줄기의 마디 사이 길이보다 짧고 털이 없고 등이 둥글다. 엽이(葉耳)는 거의 없고 엽설은 백색 막질로 높이 0.3-0.5㎜이다. 잎새는 길이 3-6㎝ 나비 2-5㎜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3-5㎝ 소수가 밀집되고 곧게 선다. 소수는 각 마디에 3개씩 붙어 있으며 중앙의 것은 자루가 없고 양성화이고 옆에 있는 2개의 소수는 자루가 있고 불임성(不稔性)이며 모두 1소화와 2개의 포영이 있다. 양성화는 포영이 피침형으로 끝에 까락이 있어 길이 1.2㎝이고 호영은 난상 피침형이며 5맥이 있고 길이 6-7㎜로 같은 길이의 까락이 있다. 불임성 소수는 제1포영이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같은 길이의 까락이 있으며 제
줄기 : 줄기는 여러개가 모여 나고 높이 20-40㎝로 곧게 자라며 3개 내외의 마디가 있고 털이 없다.
분포 : 유럽 일본에 귀화되었다. ▶제주도 중문 관광 단지와 중문 사이의 다리밑 해변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보리풀(Hordeum murinum)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7(3) ▶보리풀보다 작아서 """"좀보리풀""""로 명명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pl. 1: 87 (1818)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X) (박수현, 1997)
-
No Image
좀보리사초
학명 : Carex pumila Thunb.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모래사초
잎 : 잎은 줄기보다 길며 폭 2~4mm이고 엽초는 잎이 없으며 짙은 갈색이고 그물같은 것이 약간 있다.
꽃 : 6~7월에 개화하고 소수는 3-5개이다. 상부에 2~3개는 웅소수이고 길이 2-3cm로서 선형이며 자갈색이고 자소수는 약간 밑으로 떨어져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원주형이고 길이 1.5-3cm 지름 9mm로서 대가 짧으며 선다. 첫째 포는 잎같고 화경(花莖)보다 길며 밑부분이 통같이 되고 자화영은 좁은 난형으로서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며 흑적색이지만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고 뒷면에 3맥이 있다. 암술대는 곧으며 밑부분이 약간 굵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비스듬히 달리고 길이 6-8mm로서 난상 원추형이며 맥이 있고 황록색이다. 부리는 짧으며 딱딱하고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길이 3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길게 뻗으며 자라고 매끄럽다. 높이 10~25cm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바위솔
학명 : Orostachys minuta (Kom.) A.Berger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바위솔속(Orostachys)
이명 : 애기바위솔
잎 : 잎은 비늘 모양으로 긴 타원형이고 끝이 송곳 끝 같으며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모여서 수상화서 모양으로 조밀하게 늘어서고 길이 3-4cm이다. 포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곁꽃잎은 5장으로 긴 타원형이고 수술은 10개로 자홍색이며 곁꽃잎과 길이가 같다. 자방은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는 15cm 가량이다.
분포 : 경북 충북 경기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바위솔(O. japonicus):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근생엽은 로제트 모양 피침형이다. ▶둥근바위솔(O. malacophyllus): 근경은 짧고 비대 잎은 주걱모양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이다. ▶좀바위솔(O. minutus): 잎은 비늘 모양 긴 타원형 끝이 송곳 끝 같고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특징 :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좀바랭이
학명 : Digitaria radicosa (Presl) Miq.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바랭이속(Digitaria)
이명 : 애기바랭이
잎 : 잎은 길이 4~7cm 나비 4~8mm이고 밝은 녹색이며 엽설은 길이 1~2mm이고 엽초는 털이 없거나 극히 드물게 퍼진 털이 드문드문 난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2~4개의 가지가 산방상으로 나고 중축은 그리 발달하지 않으며 가지는 길이 4~7cm이고 축의 날개는 평활하다. 소수는 쌍생하고 피침형으로 길이 2.8~3mm이다. 제1포영은 미소(0.1~0.2mm)한 3각형의 소편이며 제2포영은 길이0.8~2mm로 1~3맥이다. 제1소화는 불염으로 호영은 5~7맥이고 제2소화는 염성으로 소수보다 아주 짧다.
줄기 : 줄기의 기부는 땅 위를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를 낸다.
분포 :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남부) 인도 인도지나 말레이시아 미크로네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Ned. Ind. 3:437. (185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바늘사초
학명 : Kobresia bellardii (All.) Degl.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좀바늘사초속(Kobresia)
이명 : 바늘아재비초
잎 : 잎은 화경(花莖)과 거의 같은 높이이며 가늘고 홈이 있으며 밑부분의 엽초는 폭이 넓고 흑갈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길이 1.5-3cm로서 선형이고 소수는 다소 성글게 달린다. 정소수는 소수의 수꽃으로 되며 측소수는 윗부분에 1개의 수꽃과 밑부분에 1개의 암꽃이 달린다. 포영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흑갈색이다.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난형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바깥쪽이 터져 있는 것이 사초속과 다르고 맥이 없다. 수과는 세모진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정도로서 성숙한 것은 흑갈색이고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10-25cm이고 가늘며 무디게 각지고 매끄럽다.
뿌리 : 지하경은 없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Gall. 2 : 626 (Loisel., 1807)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바늘꽃
학명 : Epilobium tenue Kom.
과명 : 바늘꽃과(Onagraceae)
속명 : 바늘꽃속 (Epilobium)
이명 : 장진바늘꽃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엽병이 없고 표면에 굽은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 맥위와 가장자리에 굽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홍색이며 화경이 있고 각 엽액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4개로서 피침형이고 꽃잎도 4개로서 요두이다. 수술 8개 암술 1개가 있으며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원주형이고 길이 3-5cm이며 털이 없고 4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도피침형 원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길이 1mm정도로 되며 관모는 길이 5mm정도로서 갈백색이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고 가지가 적으며 2줄의 종선이 있고 능선을 따라 굽은 털이 있다.
분포 : 함경도 고산지대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버들바늘꽃: 높이 10-50cm. 비늘잎이 붙고 땅위줄기에 붙는 잎은 선상 피침형 꽃은 연한 붉은 색으로 줄기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바늘꽃: 높이 30-80cm.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린다. ▶한라바늘꽃: 줄기와 잎에 구부러진 털만 있거나 윗부분에 선모가 있고 자방과 꽃자루에 구부러진 털과 선모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I-II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민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aestivalis (Retz.) Vahl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이명 : 여름하늘지기 하늘직이
잎 : 잎은 줄기보다 짧은 좁은 줄모양(너비 0.5~1mm)이며 가장자리는 안으로 조금 말리고 앞뒷면에 털이 성글게 있다. 엽초는 짧으며 연한 쇠녹색이고 겉면에 긴 털이 있다.
꽃 : 포는 3~5개이고 좁은 선형(길이 약 3cm)이고 긴 것은 거의 화서만하거나 좀 짧으며 털이 성글게 있다. 화서는 1~2회 우산살 모양으로 갈라지며 길이가 서로 다른 3~7개의 화경(길이 1~3cm) 끝에 한 개~몇 개의 소수가 달리며 그 중 한 개의 소수에는 꼭지가 없다. 소수는 난형 긴둥근난형 또는 선상타원형(길이 2.5~6mm 너비 1~5mm)이고 모가 났으며 많은 꽃이 핀다. 인편은 나선형으로 붙으며 긴타원형이거나 난형(길이 1mm)인데 윗부
열매 : 도란형(길이 0.6~0.6mm)인데 앞뒤가 볼록하며 윤기가 나는 황색을 띠고 거의 매끈하며 6각형의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납작하게 세모지며 매끈하고 밑부분에 몇 개의 잎이 있다.
분포 : 한반도(남부 중부) 중국 러시아 일본 동남아시아 인디아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식물체는 포기져 나며 뿌리줄기는 없고 수염뿌리가 내린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2: 288 (1805)
-
No Image
좀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arvensis 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잎 : 잎은 마주나며 근생엽은 나비 3~8mm 긴 엽병이 있다. 윤곽은 난형 기부까지 3전열하고 각 열편에서 다시 3심열한다. 최종 열편은 선형 장 타원형 또는 결각상 열편이다.
꽃 : 꽃은 총상화서를 이룬다. 꽃의 지름은 8mm 긴 꽃자루가 있다. 꽃의 길이는 5~8mm이며 도란형이고 광택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수과 4~8개 모여나고 편평하며 길이 5~8mm이다. 가장자리에 좁은 폭으로 비후되고 옆면은 자상돌기 끝에 수과 1/2크기의 송곳 모양 부리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지 많이 치며 곧게 선다. 털이 없거나 위쪽으로 단모가 있다.
분포 : 북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좀미꾸리광이
학명 : Torreyochloa pallida Churc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좀미꾸리광이속(Torreyochloa)
잎 : 잎몸은 길이 12㎝ 폭 4㎜로 납작하고 얇다. 엽설은 막질로 끝이 뾰족하며 길이는 3-6㎜이다.
꽃 : 원추화서는 연녹색으로 길이 5-15㎝이고 가지는 위로 꾸불꾸불 올라가다가 약간 퍼진다. 작은이삭은 낱꽃 4-7송이 길이 6㎜ 폭 2㎜로 좌우로 납작하고 호영은 서로 다르며 막질이다. 제1호영은 길이 1.2㎜ 1맥 제2호영은 길이 1.6㎜ 3맥이고 외영은 길이 2.2㎜ 7맥이다. 끝이 톱니 모양으로 꺼칠꺼칠하다. 내영은 용골이 2개이며 위가 꺼칠꺼칠하고 외영과 거의 같다. 수술 3개 꽃밥의 길이 0.6-1㎜ 인피는 2개로 밑이 떨어지고 절두형
줄기 : 줄기는 가냘프고 밑이 땅을 기며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호수와 강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좀물뚝새
학명 : Sacciolepis indica (L.) Chas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물뚝새속(Sacciolepis)
이명 : 물뚝새 이삭피
잎 : 잎은 길이 4~10cm 폭 2~4mm로서 털이 없고 하부는 엽초를 이룬다. 엽설은 길이 약 1.5mm로서 막질이며 짧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6cm 폭 4-6mm로서 연한 녹색이다. 중축은 밋밋하고 소화경은 끝이 다소 굵어진다. 소수(小穗)는 밀생하고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피침형이다. 첫째 포영은 길이 1.5-2mm로서 5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소수와 길이가 비슷하며 9맥이 있다. 부실호영(不實護穎)은 둘째 포영과 길이가 같고 9맥이 있으며 양성화의 호영은 내영을 감싸고 3맥이 있으며 내영이 훨씬 작다.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높이 20-35cm이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서 굽었다가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물뚝새 (var.oryzetorum Mak.): 밑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잎의 길이가 10-30cm이며 화수는녹색 바탕에 흑자색이 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c. Biol. Soc. Wash. 21: 8. (190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목형
학명 :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
과명 : 마편초과(Verbenaceae)
속명 : 순비기나무속(Vitex)
이명 : 좀순비기나무 풀목향
잎 : 잎은 대생하며 5개 때로는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2-8㎝로서 뒷면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잎의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며 엽병은 길이 3-4㎝이다.
꽃 : 개화기는 7-9월이고 총상 원추화서는 가지 끝이나 끝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표면에 털이 있으며 자주색이고 후부에 융모가 있다.
열매 : 핵과는 둥글고 지름 2mm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온다.
분포 : 중부 이남의 낮은 산 계곡과 산의 양지바른 바위 틈 대구 동촌 유원지 주변의 절벽에서 자라며 중국의 중동부 및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목형(V. cannabifolia Sieb. et Zucc.):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고 중국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다.
특징 : 줄기와 잎에 방향유(芳香油)가 있다.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와 하나의 수형을 이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rit. India [J. D. Hooker] 4 : 584 (Hook.f., 188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명아주
학명 :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과명 : 명아주과(Chenopodiaceae)
속명 : 명아주속(Chenopodium)
이명 : 좀능쟁이 청능쟁이
잎 :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좁은 난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2-5cm 폭1-3cm로서 가장자리에 깊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나 가장 밑의 톱니는 열편과 비슷하고 엽병이 있다.
꽃 : 7월에 수상화서가 모여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많은 양성의 녹색 소화가 달리고 꽃받침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며 꽃잎과 소포는 없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서 뒷면에 능선이 있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1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이 백분으로 덮여 있다.
분포 : ▶중국 일본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 모양의 톱니 흰색 가루로 덮인다. ▶버들명아주(C. virgatum Thunb.): 잎은 다소 두껍고 피침형 난상 원형 길이 1-4㎝ 어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rit. 1 : 276 (180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머귀나무
학명 : Zanthoxylum fauriei (Nakai) Ohwi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초피나무속(Zanthoxylum)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15~30cm로서 기수우상복엽이며 엽병은 길이 약 3cm이다. 소엽은 7-11쌍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7.5cm정도로서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병과 가시에 붉은빛이 돈다. 소엽은 소엽병이 없고 길이 4~8cm 나비 1~2cm로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차츰 좁아지고 끝이 패어지며 투명한 점이 있고 미세하게 둔한 톱니가 있으며 각각의 쑥 들어간 곳에 투명한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피고 길이 12cm의 화경이 있는 산형상 원추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둥글고 미세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약 2mm이다.
열매 : 삭과는 구형이고 지름 5-6㎜로서 11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흑색으로 광택이 나며 향기가 적고 매운맛이 있는데 새와 짐승의 먹이가 된다.
줄기 : 가지는 굵고 어릴 때는 적색을 띠며 종종 백분(白粉)이 있고 불규칙적으로 가시가 있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민머귀나무(var.inermis T.Lee) : 가시가 없으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대부분의 줄기가 셋으로 갈라져 3지목(三枝木)같은 인상을 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709(1953); in Bull. Nat. Sci. Mus. Tokyo 33 : 78(1953)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맥문동
학명 : Liriope minor (Maxim.) Makino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맥문동속(Liriope)
잎 : 잎은 근경에서 빽빽이 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30∼40cm 나비 4∼7mm로서 7∼11맥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연한 자줏빛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꽃줄기의 길이는 25∼40cm로서 둔한 능선이 있다. 맥문동에 비해 매우 작다. 화피는 6장으로 길이는 약 4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검은색으로 익으며 둥근 모양이고 지름 약 7mm이다.
줄기 : 꽃줄기의 높이는 약 40cm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고 수염뿌리의 끝이 굵어지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유사종 : 개맥문동이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좀매자기
학명 : Scirpus planiculmis F.Schmid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이명 : 새섬매자기 작은매자기 졸매자기
잎 : 잎은 화경(花莖) 밑부분에 1-3개씩 달리며 폭 2-5mm로서 윗부분의 것은 화경보다 길고 선형이며 납작하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화서는 화경끝이나 옆에 달리며 3-6개의 소수로 되고 1-2개의 가지가 있으나 거의 없어져 둥근 화서로 되며 때로는 1개의 소수만이 달린다. 포는 1-2개로서 화서보다 길고 소수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8-15mm로서 갈색이다. 인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7-9mm로서 중륵이 있으며 겉에 짧은 털이 있고 2개로 갈라진 끝의 중앙에는 까락이 있다. 암술머리는 2개이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2-4개로서 떨어지기 쉬우며 수과 길이의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3.5-4mm로서 갈색으로 익고 광택이 있으며 볼록렌즈상이고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100cm이며 세모지고 기부에 황갈색의 엽초가 있다.
뿌리 : 옆으로 뻗는 지하경의 마디에서 1개씩 대가 나오고 때로는 밑부분이 커져 지름 8-30mm인 과경으로 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남 완도 대흑산도에 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t.-Petersbourg, Ser. 7, 12 : 190 (186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