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별날개골풀
학명 : Juncus diastrophanthus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넓은비녀골넓은잎비녀골 넓은잎비녀골풀
잎 : 잎은 길이 10-20㎝ 나비 3-5mm로서 좌우로 편평하며 다관질이지만 격막이 뚜렷치 않다.
꽃 : 6-7월 개화. 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며 첫째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다. 두상화는 구형이며 지름 1-1.4㎝로서 꽃이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화피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녹색으로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3개이며 화피 길이의 1/3정도이고 꽃밥은 긴 타원형으로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삭과는 세모가 지며 길이 5mm정도로서 점차 뾰족해지고 화피보다 다소 길며 종자는 길이 0.6mm정도로 도란형이다.
줄기 : 원줄기는 편평하며 높이 20-40cm 나비 2-3mm로서 날개가 있고 보통 3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12: 309 (Engl.,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별나팔꽃
학명 : Ipomoea triloba L.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속명 : 미국나팔꽃속(Ipomoea)
잎 : 잎은 어긋나고 난원형이다. 첨두 심장저이고 거치가 없다. 간혹 3열이다. 길이는 3~6cm 나비는 2~5cm이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자루 길이는 8~12cm이고 꽃은 3~8개이다. 작은 꽃자루 길이는 8mm이하이고 능선이 있다.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고 꽃받침 길이는 8mm이다. 꽃받침 열편은 장 타원형으로 첨두 섬모이다. 꽃잎은 깔때기 모양으로 지름 15~20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구형 지름 5~7mm.
줄기 : 털이 없다.
분포 :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대만 일본
형태 : 덩굴성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별꿩의밥
학명 : Luzula plumosa E.Mey.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꿩의밥속(Luzula)
이명 : 별꿩의밥풀
잎 : 화경에 3-4개의 잎이 달리며 가장 밑부분의 잎은 엽신이 없고 막질이다. 근생엽은 선형이고 길이 8-15cm 나비 3-8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굳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2-25cm이다. 꽃은 4-5월에 화경 끝에 산형상으로 달리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3-4㎜로서 연한 갈색 또는 적갈색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꽃밥은 넓은 선형으로서 수술대와 길이가 같거나 길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5mm정도로서 연한 황갈색이며 화피보다 약간 길다. 종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1.6mm정도로서 적갈색이며 끝에 종자와 거의 비슷한 길이의 굽은 종침(種枕)이 있다.
줄기 : 총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22: 387 (184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별꽃풀
학명 : Swertia varatroides Maxim. ex Kom.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별꽃쓴풀 별풀 )큰별쓴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주걱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경생엽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엽병이 없어지고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 되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고며 포는 잎같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피침형이며 막질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길이 7mm이고 건조표본의 것은 끝이 다소 말린다. 화관은 길이 12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하고 맥이 뚜렷하며 윗가장자리 근처에 자흑색 반점이 있고 수술은 5개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에 싸여 있고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짐
분포 : 평남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276 (190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별꽃아재비
학명 : Galinsoga parviflora Cav.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별꽃아재비속(Galinsoga)
이명 : 두메고추나물쓰레기꽃
잎 : 잎은 마주나기(對生) 잎차례이며 2-10㎜의 잎자루가 있고 잎새는 난형(卵形)으로 길이 2-3.5㎝ 폭 1-2.5㎝ 끝이 예두(銳頭)이고 기부는 둔저(鈍底) 또는 원저(圓底)이며 한쪽에 5-8개의 얕은 거치(鋸齒)가 있고 양면 드물게 털이 난다.
꽃 : 꽃은 5-8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지름 5㎜ 정도이고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半球形) 길이 5-6㎜이며 총포편은 광타원형 등쪽에 조모(粗毛)가 있다. 설상화(舌狀花)는 5개로 백색이며 설상부 폭이 2.5㎜ 관모(冠毛)가 없고 설상화 통부에 털이 있다. 통상화는 황색 끝이 5열(裂)되며 관모는 도피침형이며 둔두이며 긴 털이 있다.
줄기 : 식물 전체가 가냘프고 연약(軟弱)하다. 줄기는 높이 10-40㎝ 곧추 서거나 또는 옆으로 누우며 가지를 치고 윗부분에 털이 있다.
분포 : 남부지방(울산 포항에서 필자 채집)에 분포되어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털별꽃아재비(G. ciliata Blake): 설상화는 5개 관모는 좁은 능형으로 끝이 꼬리 모양으로 뾰족하다. 통상화는 황색 화관이 5열(裂)되고 관모는 끝이 뾰족하다.
특징 : 북아메리카 유럽 일본 월남 등지에 알려졌으며 국내에서는 1976년에 보고 된 바 있다. `털별꽃아재비(Galinsoga ciliata)`에 비하여 전체가 가냘프고 설상화에 관모가 없으며 총포편에 선모(腺毛)가 없고 통상화의 관모는 끝이 뭉툭하고 도피침형이며 설상화의 설상부가 작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3: 41 (1796)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별꽃
학명 : Stellaria media (L.) Vill.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별꽃속(Stellaria)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1~2cm 폭 8~15mm로서 밑의 잎은 엽병이 있으나 꼭대기 잎은 엽병이 없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하반부의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양성이고 백색의 취산화서로서 5~6월에 피고 정생 또는 액생하며 포는 작고 잎같다. 소화경은 길이 5-40mm로서 한쪽에 털이 있으며 꽃이 핀 다음에 밑으로 처졌다가 열매가 익으면 다시 위로 향한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난상 장타원형이고 녹색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다소 끝이 뭉뚝하고 선모가 있다. 꽃잎은 5개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 1-7개이고 난형이며 자방 끝의 화주(花柱)는 3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서 꽃받침보다 길고 난형이고 끝이 6갈래로 갈라지며 숙존악에서 나오고 종자는 껍질에 겉에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0-20cm이고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나와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한쪽에만 연한 털이 줄지어 있다.
분포 : 한국을 비롯하여 전세계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쇠별꽃(S. aquatica Scop.): 줄기 위쪽에 약간의 선모가 있다. 잎은 넓은 난형 길이 1-6㎝ 털이 없다.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줄기는 밀생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선형 길이 2-3㎝이다. ▶왕별꽃(S. radicans L.): 전체에 누운 털이 퍼져난다. 잎은 피침형 길이 6-12㎝ 양 면에 가는 털이 나고 잎자루는 없다.
특징 : 한명(漢名)은 번루(繁縷)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ist. pl. Dauphine 3: 615 (178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벽오동
학명 : Firmiana simplex (L.) W.F.Wight
과명 : 벽오동과(Sterculiaceae)
속명 : 벽오동속(Firmiana)
이명 : 벽오동나무청오동나무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총생하고 끝이 3-5개로 갈라지며 길이와 나비가 각 16-25cm이고 열편은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에 짧은 털과 맥액에 갈색 밀모가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이 잎보다 길고 맥이 뚜렷하다. 오동잎과 비슷하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25-50cm로서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은 단성으로서 6-7월에 피며 담황색이고 한 화서에 암꽃과 수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수술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1개의 통 끝에 10-15개의 꽃밥이 있다. 암술은 수술통 끝에서 서고 암술머리가 넓다.
열매 : 열매는 5개의 분과로 되어 익기 전에 벌어져서 완두콩 같은 종자가 보이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통직하며 수피는 성숙되어도 청녹색으로 평활하며 갈라지지 않고 줄기의 수피가 푸른색을 띄어 벽오동이라 한다.
분포 : ▶하와이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지역에 많이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특징 : 줄기의 수피가 벽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벽오동이라 한다. 생장속도는 어릴때는 빠르나 자람에 따라 보통이다. 목재의 변재는 담황백색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뚜렷히 구분되지는 않으나 연륜은 뚜렷하다. 환공재로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다. 내후 보존성은 매우 나쁘나 절삭가공 건조 및 할열 등이 양호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U. S. D. A. Bur. Pl. Industry Bull. 142:67 (1909)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벼룩이자리
학명 : Arenaria serpyllifolia L.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벼룩이자리속(Arenari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길이 3-7mm 폭 1-5mm로서 양끝이 좁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서 길이 1cm정도의 화병이 나와 꽃이 1송이씩 달리며 전체적으로 잎이 달린 취산화서로 된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3맥과 더불어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막질로 떨어지지 않는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고 도란형이며 백색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 자방은 난형 암술대는 3갈래로 되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며 길이 0.3-0.5mm이고 짙은 갈색이며 겉에 잔점이 있다.
줄기 : 전체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고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25cm로서 밑부분의 옆으로 뻗는 가지가 땅에 닿는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1년 내지 2년생 초본
유사종 : ▶벼룩이울타리(A. juncea Bieberstein): 근생엽은 밀생 좁고 긴 선형 키의 절반 길이이다. 경생엽은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특징 : 연약한 식물로 전체에 잔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벼룩이울타리
학명 : Arenaria juncea M.Bieb.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벼룩이자리속(Arenaria)
잎 : 근생엽은 긴 선형이며 원줄기 높이의 1/2정도이고 경생엽은 대생하며 근생엽과 같고 밑부분이 엽초상으로 맞붙어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짧은 화경이 있는 꽃이 달린다. 화경은 길이 1-3cm이다. 화서는 원줄기 윗부분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포는 작으며 피침상 난형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꽃잎은 길이 6-10mm 폭 3-5mm의 긴 도란형이다. 수술은 10개로 밑은 퍼져 붙고 뒷면에 선모가 있다. 자방은 짧은 자루가 있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8-9월에 익어 끝이 6갈래로 터진다.
줄기 : 줄기는 굵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높이가 50cm에 달하며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가 곧고 굵다.
분포 :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함경도의 국경지역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벼룩이자리(A. serpyllifolia L.):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7㎜ 잎자루는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Taur.-Caucas. 3: 309 (18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벼룩아재비
학명 : Mitrasacme alsinoides R.Br.
과명 : 마전과(Loganiaceae)
속명 : 벼룩아재비속(Mitrasacme)
이명 : 벼룩풀실좀풀꽃애기벼룩아재비
잎 : 잎은 대생하며 전체에 걸쳐서 달리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3~8mm 폭 1~2mm로서 밑부분이 서로 합쳐지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백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8-20mm로서 엽액과 끝에 1~2송이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4개이고 화관은 길이 3mm로서 통형이며 4개의 수술이 달려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밑부분이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15cm이고 줄기는 섬세하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 입자상의 돌기이외에는 털이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큰벼룩아재비(M. pygmaea): 전체에 가는 털이 산재 줄기는 곧게 선다.
특징 : 남원 덕산 및 서울 근교의 왕릉 근방에서 채집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Fl. Nov. Holland. 1: 453 (181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벼룩나물
학명 :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Thunb.) Ohwi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별꽃속(Stellaria)
이명 : 들별꽃 벼룩별꽃보리뱅이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길이 8-13mm 폭 2.5-4mm로서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회록색이고 질이 연약하며 1맥이 있고 측맥이 뚜렷하지 않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엽액 또는 원줄기 끝의 취산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가늘고 길이 5-19mm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피침형 예두이며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잎은 5개로서 처음에 피는 꽃에서는 꽃받침과 길이가 같으며 2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나중에 피는 꽃에는 없는 것도 있다. 수술은 6개정도이고 난형이며 암술은 1개이고 타원상 난형의 자방 끝에 2-3개의 암술대가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며 꽃받침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7월에 익어 끝이 6조각으로 갈라진다. 종자는 신장형이며 짙은 갈색이고 길이 0.5mm정도로서 표면에 돌기가 약간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5-25cm로서 가늘며 털이 없고 기부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원줄기와 가지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라기 때문에 마치 총생한 것처럼 보인다.
분포 : ▶한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서에서 자란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쇠별꽃(S. aquatica Scop.): 줄기 위쪽에 약간의 선모가 있다. 잎은 넓은 난형 길이 1-6㎝ 털이 없다.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줄기는 밀생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선형 길이 2-3㎝이다. ▶별꽃(S. media Villars):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줄기에 한 줄의 털이 있다. 잎은 난형 길이 1-2㎝ 대부분 양 면에 털이 없다. ▶왕별꽃(S. radicans L.): 전체에 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136 (19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벼
학명 : Oryza sativa L. var. sativa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벼속(Oryza)
이명 : 나락
잎 : 잎은 가늘고 길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면서 뾰족하게 되고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거칠하며 길이 30cm로서 하부는 엽초가 되어 줄기를 싼다. 엽설은 2개로 갈라진다.
꽃 : 원추화서는 꽃이 필 때는 곧추서지만 익을 때는 밑으로 처지며 많은 소수가 달리고 소수는 가지에 호생하며 짧은 대가 있고 1개의 꽃으로 된다. 꽃은 7~8월경에 피며 자가수분에 의하여 결실한다. 포영(苞穎)은 퇴화되며 호영(護穎)과 내영(內穎)이 발달하는데 호영은 장타원형이며 좌우가 편평하고 길이 6mm 가량이며 짧은 털이 있고 까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비슷하고 수술은 6개이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뿌리에 가까운 곳에서 가지를 쳐서 포기를 형성하여 자란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찰벼 (var.glutinosa Matsum.) : 쌀에 끈기가 있고 포영이 작으며 흑자색이고 전체가 갈자색이다. ▶산두 (var.terrestris Mak.) : 밭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벳지
학명 : Vicia villosa Roth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털갈퀴덩굴
잎 : 잎은 호생하며 6-1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으로서 끝이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맨위 작은잎은 덩굴손으로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보라색 또는 진분홍색이며 길이 1.4~1.5cm로서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온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곱추같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첫째 열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긴 털이 밀생하고 다른 열편은 피침형이며 기판의 연부는 화조부(花爪部)의 1/2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2~3cm 나비 7-10mm로서 평활하며 2-8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좌(座)의 길이는 둘레의 1/7정도이다. 종자는 둥글며 흑색이지만 간혹 갈색 반점이 있다.
줄기 : 전체에 퍼진 털이 밀생하며 원줄기는 덩굴성으로서 길이 1-2m정도 자라고 녹비자원으로 심어 왔다.
형태 : 덩굴성 월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ent. Fl. Germ. 2(2) : 182 (Roth, 1793)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베고니아
학명 : Begonia evansiana Andrews
과명 : 베고니아과(Begoniaceae)
속명 : 베고니아속(Begonia)
이명 : 베꼬니아 에반스베고니아
잎 : 잎은 어긋나고 좌우가 같지 않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갈라진다. 톱니는 있는 것도 있으며 대개 턱잎이 없다.
꽃 : 꽃은 양성화로 원추화서를 이루고 수꽃 잎은 4개 중 2개가 작다. 암꽃은 꽃잎이 5개이고 씨방에는 3개의 날개가 있으며 많은 종자가 생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는 것과 덩굴성이 있고 근경 또는 알뿌리가 있다.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800종 내외가 열대와 아열대에 널리 퍼져 있다.
특징 : 구근종 근경종 및 섬근종의 3가지로 크게 나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Repos. 10, t. 627 (1810)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벚나무
학명 :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H.Wilson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벗나무속(Prunus)
이명 : 벗나무 산벗나무 참벗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급한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2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 또는 복거치가 있고 끝이 짧은 침형이며 엽병은 길이 2-3cm로서 2-3개의 선이 있다. 잎뒷면은 회녹색을 띤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홍색 또는 거의 백색이며 산방 또는 산형화서에 2~5개씩 달리고 소화경에 털이 없으며 화축(花軸)에 포가 있고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며 열편은 난형 예두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서 구형이며 6-7월에 검붉게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0-20m에 달하고 수피가 암갈색이고 옆으로 벗겨지며 소지도 암갈색에 털이 없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수직적으로 표고 100~1 560m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북(죽령) 평북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가는잎벚나무 (var.densiflora UYEKI) : 잎이 피침형이다. 제주도에서 자란다. ▶사옥 (var. quelpaertensis UYEKI) : 엽병과 화경에 잔털이 있으며 화경의 길이가 2-3cm이다. 제주도에서 자란다. ▶잔털벚나무 (var. pubescens NAK.): 화경 소화경 잎 뒷면 및 엽병에 털이 있다. ▶털벚나무(var. tomentella NAK.) : 엽병과 잎 뒷면 중륵에 융모가 밀생하고 화경에도 털이 많다
특징 : ▶변재는 갈색 줄무늬가 있는 암회색 심재는 암갈색으로 심 변재 구분이 분명 하나 연륜은 불분명하다. ▶산공재로 나무갗은 치밀하고 고우며 잘 썩지않아 보존성이 높고 절삭가공은 보통이며 할열 건조는 곤란하나 표면 마무리는 양호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herries Japan 28 (1916)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벗풀
학명 : Sagittaria sagittifola subsp. leucopetala (Mig.) Hartog
과명 : 택사과(Alismataceae)
속명 : 보풀속(Sagittaria)
이명 : 가는보풀택사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어린 개체는 올미와 같은 2~3개의 선형엽이 있으나 성체의 잎은 화살모양으로 끝이 사상으로 뾰족하게 끝나고 정렬편은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7~15cm이고 측렬편은 선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정렬편보다 길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30~60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고 화경 상부에 층층으로 3개씩 윤생하며 화서의 가지가 갈라지는 곳에 작은 포가 있고 수꽃은 상부에 암꽃은 하부에 나며 모두 화경이 있다. 꽃받침 조각은 3개로 타원형이고 꽃잎은 3개로 원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크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으로 넓은 날개가 있다.
줄기 : 작은 가지는 황색이며 어린가지 엽병 잎 뒤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시베리아 인도 아프가니스탄 이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ot. Zool. Bot.76 : 22-23 (Rataj, 1972)
참고문헌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범의귀
학명 : Saxifraga furumii Nakai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범의귀속(Saxifraga)
이명 : 범의귀풀주걱잎범의귀
잎 : 근생엽(根牲葉:뿌리에서 나는 잎)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13-15cm 폭 4-4.6cm로서 엽병에 날개가 있고 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짙은 녹색이다. 잎의 뒷면에는 맥위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끝은 뾰족하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38cm로서 밑부분에 성모가 있으며 중앙이상에 퍼진 선모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상 총상화서로 달린다. 포(苞)는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길이는 1-2.5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소포는 선형이고 길이 2-5mm로서 짧으며 털이 없다. 소화경에는 선모가 있고 길이가 1-2mm로서 짧다. 꽃받침은 중앙이상에서 갈라지는데 길이 2mm로서 털이 없다. 꽃잎은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높이 20cm에 달하고 털이 다소 있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범부채
학명 : Belamcanda chinensis (L.) DC.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범부채속(Belamcanda)
이명 : 사간
잎 : 잎은 호생하고 좌우로 납작하며 2줄로 부채살 모양으로 퍼져서 자라고 녹색 바탕에 약간 분백색이 돌며 길이 30-50cm 나비 2-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서로 감싸고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5-6cm로서 수평으로 퍼지고 황적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이 1-2회 갈라져서 한군데에 몇개의 꽃이 달리고 밑 부분에 4-5개의 포가 있다. 포는 좁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1cm 정도로서 막질이며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화피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꽃밥은 길이 1㎝정도이다. 자방은 3실이다.
열매 : 삭과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3cm 정도이고 종자는 검은색에 윤기가 난다.
줄기 : 근경은 짧고 옆으로 뻗는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옆으로 뻗으며 황색의 많은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소련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자생하며 백령도에 많이 자생한다.
형태 : 근경을 가진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l. 3 : 121 (180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범꼬리
학명 : 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범꼬리속(Bistorta)
이명 : 만주범의꼬리 북범꼬리풀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넓은 난형이고 점차 좁아져서 끝이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5-10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앞면은 진한 녹색이나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줄기에 난 잎은 자루가 짧거나 없다. 화경 밑부분의 경생엽은 호생하며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작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예두 심장저이지만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처럼 되는 것도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30-80cm이다.꽃은 6~7월경에 피며 이삭화서로 달리고 화경 끝에서 길이 3-8cm의 원주형 화수(花穗)가 발달한다. 꽃받침은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고 길이 3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없고 소화경이 약간 길다.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꽃밥은 연한 홍자색이고 수술대 밑부분에 작은 선(腺)이 있다. 자방은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수과는 난원형이고 길이 3mm이며 숙존악에 싸여 있고 윤채가 있으며 3개의 능선이 있고 난상 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거나 잎 뒷면에 백색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후하며 많은 잔뿌리가 나오고 검은 갈색이다.
분포 : ▶유라시아대륙의 북부 및 고산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범꼬리(B. incana): 경생엽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고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을 띤다. ▶가는범꼬리(B. major S. F. Gray var. angustifolia): 범꼬리에 비해 잎이 좁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이른범꼬리(B. tenuicaulis): 근생엽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뒷면은 다소 흰색 잎자루는 길다. ▶씨범꼬리(B. vivipara): 근경은 굵고 짧다. 근생엽은 피침형
특징 : 꽃차례의 모양이 호랑이 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범꼬리`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ter. Gerb. Glavn. Bot. Sada SSSR. 6: 3 (192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벌완두
학명 : Vicia amurensis Oett.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들등갈퀴덩굴들말굴레별완두 섬갈퀴
잎 : 잎은 호생하며 5-8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으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길이 15~33mm 나비2-6mm로서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이고 탁엽은 톱니가 있거나 2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남자색이며 길이 1cm이다. 꽃은 엽액에서 나온 긴 화축 끝에서 총상화서를 이루지만 한쪽으로 치우치고 화서의 길이는 2~5cm이다. 꽃받침열편은 그리 뚜렷하지 않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길이 2cm이며 납작한 타원형이고 4~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음.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북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넓은잎갈퀴와 비슷하지만 잎이 황록색이고 꽃받침열편이 짧고 뚜렷하지 않은 점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Bot. Sada Imp. Yur'evsk. Univ. 6: 143 (19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