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쇠별꽃

    학명 : Stellaria aquatica (L.) Scop.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별꽃속(Stellaria)
    이명 : 콩버무리
    잎 :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심장저의 잎이 줄기를 둘러싸며 길이 1~6cm 폭 0.8~3cm로서 예두이고 털이 없으며 표면의 엽맥이 쑥 들어간다.
    꽃 : 5~6월에 잎이 달려 있는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백색 꽃이 달리고 엽액에는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5m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선모(腺毛)가 있고 꽃이 핀 다음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좁은 난형이고 둔두이다. 꽃잎은 5개이나 기부까지 깊게 갈라지므로 10개인 것같이 보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며 난상 원형이고 자방 끝에 5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자방은 난원형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서 난형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5개로 갈라진 끝이 다시 2개씩 갈라진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0.8mm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며 겉에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20-50cm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고 윗부분이 어느정도 곧추서며 줄기에 1개의 실같은 관속이 있고 윗부분에는 선모가 약간 있다.
    뿌리 : 수염모양이다.
    분포 : ▶북반구의 온대와 아열대 북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쇠별꽃(S. aquatica Scop.): 줄기 위쪽에 약간의 선모가 있다. 잎은 넓은 난형 길이 1-6㎝ 털이 없다.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줄기는 밀생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선형 길이 2-3㎝이다. ▶별꽃(S. media Villars):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줄기에 한 줄의 털이 있다. 잎은 난형 길이 1-2㎝ 대부분 양 면에 털이 없다. ▶왕별꽃(S. radicans L.): 전체에 누
    특징 : 별꽃에 비해 전체가 대형이고 암술대가 5개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carniol. 2(1): 319 (177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2. No Image

    쇠방동사니

    학명 : Cyperus orthostachyus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방동사니속(Cyperus)
    이명 : 쇠방동산이
    잎 : 잎은 부드럽고 폭 3-8mm로서 흔히 화경(花莖)보다 길며 엽초는 황갈색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화서는 길이 10-25cm 지름 8-20cm이고 포는 3-5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화서보다 길며 가지는 5-7개로서 길이가 같지 않고 긴 것은 길이 20cm이상이다. 화수는 길이 2-3cm로서 다소 배게 소수가 달리며 소수는 다소 편평하고 선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5-10mm 지름 1.2mm정도로서 8-20개의 꽃이 달리며 검은 적갈색이다. 인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1.2mm정도로서 끝이 둥근 절두이며 진한 적갈색 또는 자
    열매 : 수과는 길이 1mm정도로서 세모진 도란형이고 흑갈색이다.
    줄기 : 다소 총생하며 세모지고 높이 20~60cm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539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3. No Image

    쇠물속새

    학명 : Equisetum fluviatile f. verticillatum Doell.
    과명 : 속새과(Equisetaceae)
    속명 : 속새속(Equisetum)

    잎 : 엽초는 녹색이며 길이 5-10㎜로서 원줄기를 단단히 둘러싸고 열편은 침상 피침형이며 흑색이고 끝이 뾰족하다.

    열매 : 포자낭수는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1-2㎝로 대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 지름 5-10mm이고 짙은 녹색이며 밋밋하고 10-30개의 능선이 있다. 수내(髓內)의 구멍은 원줄기 지름의 4/5 또는 그 이상이므로 원줄기의 벽이 얇다. 길이 20cm내외의 가지가 규칙적으로 윤생한다.

    분포 : 북부지방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4. No Image

    쇠무릎

    학명 :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과명 : 비름과(Amaranthaceae)
    속명 : 쇠무릎속(Achyranthes)
    이명 : 쇄무릅풀 쇠무릅 우슬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털이 약간 있고 길이 10~20cm 나비 4-10cm로서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3mm정도이고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녹색의 수상화서가 자라며 꽃은 양성이고 밑에서부터 피어 올라가며 꽃이 진 다음 밑으로 굽어서 화서축에 붙는다. 포(苞)는 송곳형이다. 꽃 밑에 달린 3개의 소포 중에서 2개는 밑에 난상의 돌기가 2개씩 있다. 꽃받침 열편은 5개가 서로 다르고 바깥쪽의 것은 끝이 매우 뾰족하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이 합쳐지며 그 중앙에 1개씩의 꽃밥이 없는 수술이 있다. 암술과 암술대는 각각 1개이며 자
    열매 : 과실은 포과로서 장타원형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종자가 1개 있다. 열매는 쉽게 떨어져서 옷같은 데 잘 붙는다.
    줄기 : 원줄기는 네모지고 높이 50-100cm이며 곧게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높아서 무릎같이 보이므로 쇠무릎이라고 한다.
    뿌리 : 뿌리 굵고 길며 우슬(牛膝)이라 한다.
    분포 : ▶일본에도 자란다. ▶전국 각처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마디가 두드러져서 소의 무릎같이 보인다하여 쇠무릎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5. No Image

    쇠뜨기말풀

    학명 : Hippuris vulgaris L.
    과명 : 쇠뜨기말풀과(Hippuridaceae)
    속명 : 쇠뜨기말풀속(Hippuris)
    이명 : 쇠뜨기말
    잎 : 잎은 6~12개씩 윤생하고 선형 또는 좁은 장 타원형이며 연질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수중엽은 길이 2~6mm 나비 2~3mm이고 수상엽은 길이 1~1.5cm 나비 1~2mm이며 1맥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수상엽 위쪽 잎짬에 1개씩 나며 소화경은 없다. 꽃받침통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약 1m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그 속에 자방이 있고 수술과 암술은 각각 1개이다.
    열매 : 과실은 소핵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2mm정도이고 평활하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치지 않으며 군생한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를 낸다.
    분포 : 함남(황초령)에 나며 북반구 및 남미 남부의 아한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의암호의 중도 및 우명도의 식물상 (이우철, 198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쇠뜨기

    학명 : Equisetum arvense L.
    과명 : 속새과(Equisetaceae)
    속명 : 속새속(Equisetum)
    이명 : 뱀밥즌슬필두채
    잎 : 잎의 수는 원줄기의 능선수와 같고 가지에는 4개의 능선이 있으며 윤생엽도 4개이다. 퇴화한 잎으로 된 가는 톱니가 있는 초가 있다.

    열매 : 포자낭수는 긴 타원형이고 육각형의 포자엽이 서로 밀착하여 거북등처럼 되며 안쪽에는 각 7개 내외의 포자낭이 달린다. 포자에는 각 4개씩의 탄사(彈絲)가 있어 마르고 습한 데 따라 신축운동(伸縮運動)으로 엷은 녹색의 포자를 산포시킨다.
    줄기 : 생식경은 이른봄에 나와서 끝에 뱀대가리같은 포자낭수를 형성하고 마디에 비늘같은 잎이 윤생하며 가지가 없다. 영양경은 뒤늦게 나오고 처음에는 비스듬히 자라다가 지상에서 곧게 서며 원주형으로 세로로 모가 나 있고 높이는 30-40cm정도로서 속이 비어 있고 겉에 능선이 있으며 마디에는 가지와 비늘같은 잎이 윤생한다.
    뿌리 : 지하경은 길게 뻗으며 번식한다.
    분포 : ▶북반구의 난대 이북 한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속새(Equisetum hyemale L.)
    특징 : 근래에 신비의 약초로 과학적인 입증이 알려져 새로운 각도에서 각광을 받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어 붐을 형성해가고 있다. 소가 즐겨 먹어서 쇠뜨기라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7. No Image

    쇠돌피

    학명 : Polypogon fugax Nees ex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쇠돌피속(Polypogon)
    이명 : 울릉쇠돌피 피아재비
    잎 : 잎은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길이 5-15㎝ 폭 3-7㎜로서 분백색이며 편평하고 엽설은 길이 3-8㎜로서 하반부에 세맥(細脈)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3-8cm 폭 1-2cm로서 다소 끊어지고 녹자색이다. 소화경은 길이 1/3mm정도로서 소수(小穗)와 더불어 소지에서 떨어지며 소수는 길이 2mm로서 1개의 꽃이 들어있고 자줏빛이 돈다. 포영은 뒷면이 둥글며 끝부분이 갈라진 사이에서 포영보다 짧은 까락이 돋고 중륵에 털이 있다. 호영은 짧은 까락이 있으며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다. 수술은 3개 인피는 2개이며 피침형이다.
    열매 : 영과는 길이 2/3mm정도로서 타원형이다.
    줄기 :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총생하고 높이 20-50cm이며 원줄기가 곧게 또는 비스듬히 서고 마디에서 굽으며 털이 없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Glumac. 1 : 184 (Steud., 185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쇠낚시사초

    학명 : Carex papulosa Boot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쇠낙시사초
    잎 : 잎은 납작하며 폭 3-7(12)㎜로서 회록색이고 유두상의 소돌기가 있으며 3맥이 뚜렷하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볏짚색이고 흔히 흑자색부가 있다.
    꽃 : 소수(小穗)는 2-3개가 서로 넓게 떨어져 있으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원통형이며 길이 1.5-3cm로서 황갈색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며 길이 1-2cm 지름 4-5mm로서 꽃이 성기게 달리고 긴 타원형이다. 포는 밑부분이 통같이 되며 짧은 잎같고 엽초보다 길다. 웅화영(雄花穎)은 피침형이고 자화영은 길이 5mm로서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까락이 있으며 다갈색이고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굽으며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곧추서고 방추상 난형이며 길이 5-6mm로서 유두상 돌기가 밀포. 맥이 많으며 회녹색 또는 검은 녹갈색이다. 부리는 원주형으로서 끝이 구리색이고 비스듬히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길이 3mm로서 세모진 넓은 도란형이다.
    줄기 : 지하경에서 드문드문 총생하고 높이 30-50cm이며 연하고 세모지며 털이 없다.
    뿌리 : 지하경이 가늘다.
    분포 : 중부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p. 418 (A.Gray, 185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쇠나무

    학명 : Fraxinus sieboldiana var. serrata Nakai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물푸레나무속(Fraxinus)









    특징 : 기본종인 쇠물푸레에서 거치가 있는 것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 & Shr. ed. 2, 391, f. 186 (1927)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0. No Image

    쇠고비

    학명 : Cyrtomium fortunei J.Sm.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쇠고비속(Cyrtomium)

    잎 : 엽병 밑부분에 밀생하는 인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흑갈색 또는 윤채가 있는 흑색이지만 위로 갈수록 점차 선형으로 되고 작아지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길이 30-90cm이다. 우편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낫처럼 굽으면서 좁아져 끝이 뾰족해지며 밑부분 위쪽에 귀같은 돌기가 생기는 수도 있고 가장자리가 불규칙한 파상이지만 위부분에는 뚜렷한 톱니가 있으며 10~20쌍이 호생하고 아랫부분의 우편은 길이 10cm 폭 2cm 정도이

    열매 : 포자낭군은 뒷면에 퍼져 있으며 포막은 둥글다.

    뿌리 : 근경은 덩어리 같이 굵고 마디사이가 짧기 때문에 끝에서 여러 개의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 백양산 이남의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난대성 양치류).

    특징 : 속명은 희랍어의 `cyrtoma(굽은)`에서 유래하며 우편이 곡선으로 휘어진 모양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종명은 식물 채집가 Fortune에서 유래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rns Brift. Far.286 (18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1. No Image

    송장풀

    학명 : Leonurus macranthus Maxim.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익모초속(Leonurus)
    이명 : 개방앳잎 개속단 산익모초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예두 예저이고 길이 6-10cm 폭 3-6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5cm이다. 잎의 표면은 녹색으로서 복모가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털이 더 많다. 밑잎은 갈라지고 윗잎은 잎이 점차 작아지며 가장자리도 밋밋해진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길이 25-32mm로서 연한 홍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서 5-6개씩 윤산화서로 핀다. 꽃받침은 통상이고 5개로 갈라지며 길이 10-15mm로서 끝이 가시처럼 된다. 화관은 2개로 갈라지고 순형이며 길이 2-2.8cm로서 상순과 하순으로 갈라지고 상순 뒷면에는 백색털이 있다.
    열매 : 분과는 길이 2.5mm로서 쐐기형 비슷한 도란형이며 3개의 능각이 있고 흑색으로 익으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둔한 사각형이며 곧추서고 능각이 있으며 거센 역모가 밀생한다. 녹색 또는 자주색을 띠고 가지가 없거나 윗부분에서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476 (185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resupinata L.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송이풀속(Pedicularis)
    이명 : 가지송이풀 그늘송이풀도시락나물마주송이풀 마주잎송이풀명천송이풀 수송이풀 이삭송이풀 잔털송이풀칠보송이풀털송이풀
    잎 : 잎은 호생하지만 밑부분의 잎은 대생하기도 하고 엽병은 짧으며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지고 길이 4-9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복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총생하는 포같은 잎사이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5-10mm로서 앞쪽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은 끝이 둥글며 2-3개의 둔한 톱니와 더불어 짧은 털이 있다. 화관은 홍자색이고 길이 2cm로서 끝이 새부리처럼 꼬부라지며 하순이 옆으로 퍼져서 지름이 10mm에 달하고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8-12mm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밑에서 여러대가 나와 함께 자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줄기는 굵게 네모지고 곧게서며 속이 비었다.
    뿌리 : 수염뿌리를 가지고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수송이풀 (var.gigantea Nak.): 전체가 크고 가지가 많다. ▶마주송이풀 (var.oppositifolia Miq.): 잎이 대생한다. ▶명천송이풀 (var.spicata Nak.): 꽃이 드문드문 달려 수상으로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3. No Image

    송이고랭이

    학명 : Scirpus triangulatus Roxb.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이명 : 송이골 좀송이고랭이 참송이골 타래골
    잎 : 밑동의 엽초에는 잎몸이 없고 길이 20cm로 갈색이다.
    꽃 : 총생하며 높이 50-120cm로서 화경(花莖)은 예리한 삼능형이고 밑부분에만 1-2개의 엽초가 있으며 단단하고 검은 녹색이다. 화서는 옆에 달리며 대가 없는 소수 4-20개가 두상으로 모여 달린다. 포는 1개이고 화경과 연속되며 예리한 삼릉형이고 길이 3-10cm로서 곧거나 약간 비스듬히 선다. 소수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4-6m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연한 갈색이고 능선이 없다. 인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4-5mm로서 잔맥이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난형이며 길이 2-2.5mm로서 편평한 삼릉형이고 희미한 주름살이 있으며 흑갈색이다.


    분포 : 전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Ind. 1: 219 (1820)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송양나무

    학명 : Ehretia acuminata var. obovata (Lindl.) I.M.Johnst.
    과명 : 지치과(Boraginaceae)
    속명 : 송양나무속(Ehretia)

    잎 :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길이 3~18cm 나비 3~10cm이며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거나 넓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에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뒷면 잎짬에만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5cm이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새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8~20cm이고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거의 중앙까지 5열하고 열편은 넓은 타원형이며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수평으로 퍼지며 지름은 약 5mm이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구형이고 8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평활하고 거의 털이 없다. 가지는 약간 가늘다.

    분포 : 제주 전남(거문 서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Arnold Arbor. 32: 21 (1951)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15. No Image

    송악

    학명 : Hedera rhombea (Miq.) Bean
    과명 : 두릅나무과(Araliaceae)
    속명 : 송악속(Hedera)
    이명 : 담장나무큰잎담장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두껍고 혁질이고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이며 뻗어가는 가지의 잎은 삼각형 비슷하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재저 또는 심장저이지만 늙은 가지의 잎은 난형 넓은 난형 또는 능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때로는 예저 또는 원저로 되고 길이 3~6cm 폭 2~4cm로서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2-5cm 이다. 어린 가지 및 화서와 더불어 15~20갈래의 성상 인모가 있으나 곧 없어진다.
    꽃 : 산형화서는 1개 또는 여러 개가 가지 끝에 취산상으로 달리고 꽃은 양성으로서 10월에 피며 지름 4-5mm이고 녹황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1-1.5cm로서 성모가 있다.꽃받침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5개의 톱니가 있고 꽃잎은 5개로서 녹색이며 겉에 성모가 있고 수술과 암술대는 각 5개이며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핵과는 둥글고 지름은 8~10mm정도이며 이듬해 4-5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와 가지에서 기근이 나와 다른 물체에 붙고 어린 가지는 잎 및 화서와 더불어 15-20개로 갈라진 성상 인모가 있다. 큰 것은 줄기의 직경이 10㎝이상 되는 것도 있다.
    뿌리 : 천근성이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북 김제군 금구면 울릉도 및 인천 앞바다까지 올라온다. 충청도 이남의 해안과 도서지역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 활엽성 만경목.

    특징 : ▶전라북도 고창 선운사 입구 쪽에 천연기념물 제 367호로 지정된 대단히 오래된 송악이 있다. ⓐ소재지: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면적:330㎡ ⓒ지정사유:노거수 ▶남부지방에서는 소가 잘 먹기 때문에 소밥이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ees & Shrubs Brit. Isles 1: 609 (1914)

    Read More
  16. No Image

    송금나무

    학명 : Callicarpa japonica var. taquetii (L.f.) Nakai
    과명 : 마편초과(Verbenaceae)
    속명 : 작살나무속(Callicarpa)
    이명 : 잔잎작살나무좀송금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도란형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3cm정도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으며 누른빛이 도는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10mm이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취산화서는 액생하고 지름 1.5-3cm로서 처음에는 성모가 약간 있으며 화경통은 길이 2-2.5mm로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지름 4-5mm로서 10월에 자주색으로 익는다.
    줄기 : 소지는 둥글며 성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민작살(var. glabra Nakai): 전체에 털이 없는 것. ▶흰작살(var. leucocarpa Nakai): 열매가 백색인 것. ▶왕작살(var. luxurians Rehder): 잎은 길이 10-20㎝ 폭 4-7㎝로서 화서가 크고 가지가 굵으며 해안성인 것.
    특징 : 작살나무와 비슷하나 잎의 길이가 3cm 정도이며 가지가 가늘고 꽃은 소수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ees Shrubs Japan 1 : 336 (Nakai, 192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17. No Image

    솜흰여뀌

    학명 : Persicaria lapathifolia var. salicifolia Miyabe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잎 : 잎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0.8-3.5cm로서 가장자리와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있다. 엽병은 탁엽보다 짧고 초상의 탁엽은 털이 거의 없거나 짧은 연모가 있으며 마디가 굵다.
    꽃 : 꽃은 5-9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수상화서는 길이 1-4cm로서 곧추서지만 다소 굽는 것도 있고 화피는 길이 2.5-3.5mm로서 4-5개로 갈라지며 맥이 뚜렷하고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수술은 5-6개로서 화피보다 다소 짧으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수과는 편원형으로 윤채가 있고 지름 2-3mm로서 흑갈색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털이 없고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신의주 서울(북한산) 부전고원 및 구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흰여뀌(P. lapathifolia): 잎 가장자리와 양면 중륵에 잔털이 있다.
    특징 : 흰여뀌에 비해 잎 뒷면에 백색 선모가 있으며 신의주 서울(북한산) 부전고원 및 구례에서 자라고 기본종과 분포가 같다고 생각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8. No Image

    솜아마존

    학명 :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이명 : 들협두 합장소
    잎 : 잎은 대생 엽병이 없고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며 도란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4-8cm 폭 2-4cm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cm정도로서 연한 황색이며 취산화서는 엽액에서 나오고 잎보다 대개 짧거나 같으며 소화경은 길이 3-7mm이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좁은 삼각형이고 때로는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길이 3mm이고 부화관의 열편이 반원형이다. 화관 안쪽에만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5cm 폭 6-7mm이며 종자에 긴 흰색털이 있음.
    줄기 : 높이 40-60cm이며 전체에 흰빛이 돌고 줄기는 곧게 서며 원주형이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검은솜아마존 (for.castaneum OHWI) : 자갈색 꽃이 핀다.
    특징 : 전체에 흰빛이 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6 : 104 (188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솜분취

    학명 : Saussurea eriophylla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로제트형으로 퍼지고 심장형·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5~15cm로서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거나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7~18cm로서 날개가 없다. 경생엽은 드문드문 호생하며 넓은 심장형 난형 긴 타우너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예저이며 엽병이 없고 원줄기로 흐르지 않는다.
    꽃 : 7~8월에 개화하며 지름 25~28mm로서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16~18mm 폭 18~25mm로서 백색 털이 밀생하고 끝이 자주색이며 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내편 길이의 1/3 정도이며 넓은 난형이고 둔두로서 자줏빛이 돈다. 화관은 길이 13~16mm이며 관모는 연한 갈색 또는 백색이고 길이 11~12mm이다.

    줄기 : 높이 15-75cm이며 전체에 털이 있고 홈이 파진 능선이 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ad More
  20. No Image

    솜방망이

    학명 :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솜방망이속(Tephroseris)
    이명 : 구설초들솜쟁이 산방망이소곰쟁이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퍼지고 개화기까지 남아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cm 나비 1.5~2.5cm로서 끝은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잔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많은 솜털로 덮여 있기 때문에 솜방망이라고 한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기부의 잎은 도피침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7-11cm 나비 1-1.5cm로서 반 정도 원줄기를 얼싸 안으며 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4cm로서 3-9개가 산방상 또는 산형 비슷하게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백색 털로 덮여 있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8mm 폭 11mm이며 포린은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는데 길이가 12-16mm 폭은 2~3mm로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가 2.5mm이며 원통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관모는 길이 11mm로 설백색이 난다.
    줄기 : 높이 20~65cm이며 곧게 자라고 원줄기는 화경상花莖狀으소서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며 자줏빛이 돈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산솜방망이(Senecio flammeus Turez.) ▶쑥방망이(S. argunensis Turez.)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olia Geobot. Phytotax. 12: 429 (19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