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흰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f. album J.K.Sim & Y.S.Kim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등심붓꽃속(Sisyrinchium)


    꽃 : 외화피는 흰색을 띠고 외화피편에는 5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고 내화피도 백색으로 내화피편에도 3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다.



    분포 : 제주도 제주시 아라동에서 채집되었다.

    유사종 : ▶등심붓꽃(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ax. Irid. Kor. 63 (198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가는잎그늘사초

    학명 : Carex humilis var. nana (H.Lev. & Vaniot)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그늘사초 김의털 산거울 좀그늘사초
    잎 : 잎은 편평하거나 안쪽으로 말리고 나비 0.5~1mm이며 줄기보다 길고 꽃이 진 뒤에 더 길어지며 기부의 엽초는 짙은 적갈색으로 섬유같이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2~4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곧추 서고 정소수는 길이 5~15mm로 선형이며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난형으로 길이 5~7mm이고 접근하여 나며 암꽃이 성글게 달린다. 포는 길이 1cm 정도의 엽초로 되고 황록색이다. 암꽃의 인편은 좁은 도란형으로 길이 4~6mm이다.
    열매 : 과포는 세모진 넓은 도란형으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수과는 세모진 넓은 도란형이고 암술머리는 3열한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며 둔한 3각형으로 밋밋하고 잎 틈에 끼어 잘 보이지 않는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 다후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Biol. 11 : 399 (193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3. 흰붓꽃

    학명 : Iris sanguinea f. albiflora Y.N.Lee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잎은 중맥이 확실하지 않고 창 모양 줄기에 2줄로 붙는다.
    꽃 : 꽃은?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외화피의 안쪽은 노란색 내화피는 서며 암술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꽃잎 모양이며 노란 수술이 그 뒤에 숨겨져 있다.
    열매 : 과실은 7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은 길고 수염뿌리가 많이 밀생한다.
    분포 : 전라 남북도의 산록에 나며 관상초로 심는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특징 : 꽃봉오리가 붓의 끝모양과 같고 흰색이라 <흰붓꽃> 솔개의 꼬리 같다 하여 <백연미>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4. No Image

    개양귀비

    학명 : Papaver rhoeas L.
    과명 : 양귀비과(Papaveraceae)
    속명 : 양귀비속(Papaver)
    이명 : 꽃양귀비 애기아편꽃
    잎 : 잎은 호생하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월경에 피고 적색이지만 여러 가지 품종이 있으며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피기 전에는 밑을 향하다가 필 때에는 위를 향한다. 꽃받침잎은 2개로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백색이며 겉에 털이 있고 꽃이 필 때 떨어지며 꽃잎은 4개가 교호로 대생하고 길이 3~4cm로서 다소 둥글다. 수술은 많으며 자방은 도란형이고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방사형이고 화경(花梗)에 퍼진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1cm정도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5. No Image

    푸른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viridicalycinum T.B.Le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재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푸른색으로 피며 총상화서는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 distichum Nakai): 꽃의 색은 백색 또는 분홍색.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의색은 분홍색. ▶상아미선(for. eburneum T.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Read More
  6. 고깔제비꽃

    학명 : Viola rossii Hems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고깔오랑캐
    잎 : 뿌리에서 2~5개씩 모여나며 성숙한 잎은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급히 뾰족해지며 길이 4-7cm 폭 4-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0-25cm이며 탁엽은 서로 떨어지고 피침형이며 길이 7-10mm이다.
    꽃 : 화경은 높이 10-15cm이고 4-5월에 1개의 홍자색 꽃이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7-8mm이고 부속체는 둔한 사각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5개이며 길이 15-20mm로서 원두이거나 약간 파지고 측열편은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거는 짧고 굵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둥글고 낭상(囊狀)이다. 수술은 5개이고 1개의 자방과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갈래로 벌어지며 털이 없고 길이 1-1.5cm로서 뚜렷하지 않은 갈색반점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고 뿌리에서 2-5개의 잎이 나오며 꽃이 필 무렵에는 양쪽 밑부분이 안쪽으로 말려서 고깔처럼 되므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평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V. collina) ▶제비꽃(V. mandshurica) ▶삼색제비꽃(V. tricolor)
    특징 : 잎이 활짝 피기 전의 모습이 고깔같아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3 : 54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멀꿀

    학명 :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과명 :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속명 : 멀꿀속(Stauntonia)
    이명 : 멀굴멀꿀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두꺼우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폭 2.5~4cm로서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엽병은 길이 6~8cm이며 소엽병의 길이는 3cm 정도 된다.
    꽃 : 꽃은 자웅동주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액생하며 2~4개의 꽃이 길이 3-5cm의 화경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cm 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가을철에 적갈색으로 되고 많은 피목이 있어 거칠다. 꽃받침 잎은 6개이며 바깥 줄 3개는 2c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안쪽 줄 3개는 짧은 선형이다. 꽃받침 잎은 유백색이며 담황색을 띠고 안쪽에 적자색의 선이 있다. 수술은 6개 암술은 3개이다.
    열매 : 장과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10cm로서 10월에 적자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황색이고 으름보다 맛이 좋다. 종자는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약간 편평하고 길이 6-10mm로서 검은색이 나며 열매 하나에 100개 이상 들어 있다. 으름덩굴과 다르게 열매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줄기 : 줄기는 길이가 15m 정도 뻗고 줄기 직경은 6cm 정도 자란다. 일년생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 난다.
    뿌리 : 잔근성이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남부의 난대지역에도 분포한다.
    ▶전남 경남 충남 등 남쪽지방의 표고 700m 이하 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 만경목

    특징 : 맹아력이 왕성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Sci. Nat., Bot. ser. 2, 12: 105 (183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8. No Image

    호두나무

    학명 : Juglans regia Dode
    과명 : 가래나무과(Juglandaceae)
    속명 : 가래나무속(Juglans)
    이명 : 호도나무
    잎 : 잎은 기수우상복엽이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털이 거의 없거나 선모(腺毛)가 있다. 소엽은 5~7개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7~20cm 넓이 5~10cm로서 위로 갈수록 커지며 첨두이고 일그러진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일가화이며 웅화수는 길이 15cm이고 수술은 6-30개이며 자화수는 1-3개의 암꽃으로 구성되며 4~5월에 핀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핵은 도란형으로서 연한 갈색이고 봉선(縫線)을 따라 주름살과 쑥 들어간 곳이 있으며 껍질안의 공간은 연속되어 있고 핵 내부는 4실이다.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며 수관이 퍼지고 가지는 성글게 나오며 수피는 회백색이고 밋밋하지만 점차 깊게 갈라진다. 소지는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녹갈색으로 피목이 산재하며 동아는 검은 빛이 돌고 윤채가 있으며 잔털이 있다.

    분포 : 평택 원주 강릉을 연결하는 선의 이남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가래나무(J. mandshurica Maxim.): 작은잎은 7-17장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밑부분은 일그러진 심장형 가장자리에 잔 톱니 뒷면 맥 위에 선모가 있다.
    특징 : ▶호두나무는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등 난대중부에서 온대중부에 걸쳐 약 15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호도나무가 중부이남의 따뜻한 곳에 많이 심어지고 있다. 호도는 곡과류중 영양가가 매우 높고 맛이 뛰어나 고급식품으로 쓰이고 있다. ▶목재의 변재는 회백색 심재는 갈색으로 심 변재 구분은 분명하나 연륜계는 분명치 않다. 산공재로 연하고 가벼우며 조직은 거칠고 광택은 강하며 내구성과 약제주입성이 불량하고 절삭가공과 도장성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9. No Image

    흰협죽도

    학명 : Nerium indicum f. leucanthum Makino
    과명 : 협죽도과(Apocynaceae)
    속명 : 협죽도속(Nerium)

    잎 : 잎은 윤생하고 선형이며 두껍고 길이 7-15cm 폭 8-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백색이며 가지끝의 취산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꽃잎은 윗부분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후부에 실같은 부속체가 있다.
    열매 : 골돌은 선형이고 길이 10cm정도이며 종자에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 및 남부 각지에서 재배하며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유사종 : ▶서양협죽도(N. oleander) ▶만첩협죽도(for. plenum Makino): 꽃잎이 겹으로 된 것. ▶노랑협죽도(for. lutescens Makino): 노랑 꽃이 피는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Read More
  10. 국수나무

    학명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var. incisa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이명 : 거렁방이나무 고광나무 뱁새더울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 또는 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2-5cm로서 가장자리에는 결각상 톱니가 있고 잎 표면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6월 새가지 끝에 길이 2-6cm의 원추화서를 이루며 많은 소화가 달리고 소화경에는 털이 있고 길이 5-8mm이며 화관은 지름 4-5mm로 백색이고 꽃받침잎은 삼각상 원형이고 첨두이며 거치가 있고 꽃잎은 도란형이고 5장이며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다. 암술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구형이고 지름 2-3mm이며 잔털이 있고 8-9월에 성숙한다. 한개의 골돌에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소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腺毛)가 있으며 적갈색이다. 줄기가 뿌리 부근에서 많이 나와 덤불을 이룬다.

    분포 :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나비국수(var.quadrifissa T.LEE) : 잎이 거의 비슷하게 5개로 갈라져서 나비같으므로 국수나무와 구별할 수 있으며 서울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개국수나무(S. quadrifissa NAK.)라고도 한다. ▶나도국수나무(Neillia uyeki Nakai):골돌은 복봉선에 따라 갈라지면서 한 개의 열매에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섬국수나무(Physocarpus insularis NAK.):잎은 갈라지지 않고 잎의 뒷면에 털이 없
    특징 : 줄기의 골속이 국수와 같다 하여 국수나무라 한다. 맹아력이 왕성하며 수세가 강건하여 제반입지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ten- Zeitung 4 : 510 (188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1. No Image

    나도개미자리

    학명 : Minuartia arctica (Steven ex Seringe) Graebn.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나도개미자리속(Minuartia)
    이명 : 산솔자리풀큰산개미자리털산개미자리
    잎 : 잎은 대생하며 침형이고 길이가 8-20mm로서 밑부분이 합생하며 1맥이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대개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리지만 엽액에 달리는 것도 있으며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4-6mm로서 가장자리는 막질이고 뒷면에 3맥이 있다. 꽃잎은 백색이며 넓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7-9mm로서 끝이 다시 파지며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8mm정도로서 꽃받침보다 1.5배 정도 길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가 5cm에 달하고 줄기에 2줄의 모조(毛條)가 있으며 밑에서는 다소 눕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총생한 것처럼 보인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관모개미자리(M. capillaris Nakai var. glabra Nakai): 밑동에 지난해의 마른 잎이 남아 있다. 잎은 선형 길이 2-9㎝ 밑부분에 길고 연한 털이 난다. ▶너도개미자리(M. laricina Nakai): 잎은 밀생하고 침형 밑부분이 합쳐져 원줄기를 감싸고 바늘 모양의 긴 털이 난다. ▶삼수개미자리(M. verna Hiern var. leptophylla Nakai): 줄기 윗부분에 털과 선모가 있다. 잎은 침형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opsis der Mitteleuropaischen Flora 5(1): 772 (191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흰황산참꽃

    학명 : Rhododendron lapponicum subsp. parvifolium f. albiflorum (Herder ex Maxim.) T.Yamaz.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흰황산차 흰황산철쭉
    잎 : 잎은 호생하며 혁질이고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 둔두 또는 미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20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인모가 있고 뒷면은 갈색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mm이다.
    꽃 : 백색의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끝에 2-5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밑부분에 아린이 남아 있고 꽃받침열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1-2mm로서 인편이 있다. 화관은 넓은 깔때기모양이며 지름 1.5-2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수술은 10개로서 화관보다 약간 짧으며 기부 가까이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수술보다 길다.
    열매 : 열매는 난형이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어린 가지에 인모가 있다.

    분포 :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관목
    유사종 : 황산차
    특징 : 흰꽃이 피는 황산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 Revision of the Genus Rhododendron in Japan, Taiwan, Korea and Sakhalin 17 (T.Yamaz., 1996)

    Read More
  13. No Image

    긴잎큰개미자리

    학명 : Sagina maxima f. longifolia (T.H.Chung) W.T.Lee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개미자리속(Sagina)

    잎 : 잎은 마주나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엽병이 없다. 밑부분의 잎은 빽빽이 난다.
    꽃 : 흰색의 꽃이 피는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자루는 선모가 퍼져 있고 꽃이 진 후에 곧게 선다.
    열매 : 9월에 열매가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빽빽이 나고 상부에 짧은 선모가 있다.

    분포 : 한반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nmenta Florae Korea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상아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eburneum T.B.Le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재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피며 상아색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 군자산록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 distichum Nakai):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Lee)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이 분홍색.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Read More
  15. 히어리

    학명 :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Yamaz.
    과명 : 조록나무과(Hamamelidaceae)
    속명 : 히어리속(Corylopsis)
    이명 : 납판나무송광꽃나무송광납판화 조선납판화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5~9cm 나비 4.5~8.2cm이며 밑은 심형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고 측맥이 현저하며 엽병은 길이 1.5~2.8cm이다.
    꽃 : 꽃은 4월에 선황색으로 피고 총상화서로 달려 드리운다. 화기에 화축은 길이 3~4cm이고 8~12개의 꽃이 달린다. 기부의 포는 장란형으로 막질이고 양면에 견모가 있으며 꽃의 포는 장란형으로 내면과 가장자리에 융모가 있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은 각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거의 구형이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다.

    분포 : 전남(백운산 조계산 팔영산) 경남(지리산) 경기(백운산)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63: 29 (1988)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schrenkii Rupr. var. schrenkii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이명 : 쇠영꽃나무 오이순 털고광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세로의 종맥이 있다. 잎의 길이는 7-13cm 폭은 4-7cm이다. 과지의 잎은 길이가 4.5-7cm 폭은 1.5-4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연녹색으로서 맥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정생 또는 액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린다. 화서에 잔털이 있고 5-7개의 백색꽃이 달리지만 밑에서 피는 꽃은 액생하며 직경은 3-3.5cm로서 향기가 있고 소화경은 길이 6-13mm로서 꽃받침통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안쪽 끝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4개로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4개로서 1/2이상 갈라지며 기부에 잔털이 있고 화반(花盤)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9mm 직경 4-5mm이며 중앙 윗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고 털이 떨어지는 것도 있다. 9-10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2-4m이며 가지는 2개로 갈라지고 소지는 갈색으로 털이 다소 있으며 2년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150-1 250m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다간형
    유사종 : ▶털고광나무(P. schrenkii var. jackii KOEHNE) : 잎의 양면 특히 맥상에 털이 있고 소지는 밤색이며 백색털이 있고 껍질이 벗겨지지 않는다. 씨방과 암술머리에 털이 많다. ▶애기고광나무(P. pekinensis RUPR.) : 소지에 잔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2년생은 밤색이고 벗겨진다. ▶얇은잎고광나무(P. tenuifolius RUPR. et MAX.)
    특징 : 우아하게 피어나는 꽃이 매우 아름답고 잎의 모양과 털의 다소에 따라 많은 종류와 변종으로 나눈다. 생장속도는 빠른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 : 542 (18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분꽃

    학명 : Mirabilis jalapa L.
    과명 : 분꽃과(Nyctaginaceae)
    속명 : 분꽃속(Mirabilis)
    이명 : 여자화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3-10cm로서 털이 없으나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6~10월에 피고 홍색 백색 황색 또는 여러 가지 색이 뒤섞여 피며 저녁때부터 아침에 걸쳐서 피고 향기가 있다. 취산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 같은 포는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꽃잎같은 꽃받침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같고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진다. 5개의 수술은 밖으로 노출되며 수술대 밑이 반상(盤狀)이고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딱딱한 꽃받침의 밑부분으로 싸여 있으며 녹색에서 흑색으로 되고 겉에 주름이 진다. 종자는 둥글며 얇은 백색 종의(種衣)로 싸여 있고 배유도 밀가루 같은 백색이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원줄기는 마디가 굵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 : 뿌리가 굵으며 겉은 흑색이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며 중국에서도 재배한다.
    형태 : 원산지에서는 다년초 우리 나라에서는 일년생 초본.

    특징 : ▶뿌리를 자말리근(紫茉莉根) 분단화(粉團花) 분두화(粉豆花) 수분자화(水粉子花) 화분두(花粉頭) 수분두(水粉頭) 인지화두라 한다. ▶분꽃이라는 이름은 분가루 같은 배유에서 온 이름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죽백나무

    학명 : Podocarpus nagi (Thunb.) Zoll. & Morr. ex Zoll.
    과명 : 나한송과(Podocarpaceae)
    속명 : 나한송속(Podocarpus)
    이명 : 참마티아나무
    잎 : 잎은 교호대생하고 옆신은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꼬여서 2열로 배열하며 길이 4~7cm 나비 1.3~2.5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쐐기 모양으로 짧은 자루로 흐르고 중륵은 없으며 엽맥이 세로로 20~30개 뻗는다. 표면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황색을 띠고 두텁다.
    꽃 : 수꽃은 전년지 잎짬에 1개씩 나며 5~6월에 핀다.
    열매 : 구과는 전년지 잎짬에서 나온 단지에 나며 구형으로 분람녹색이고 외피는 약간 육질이며 종피는 골질로 백색이고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평활하고 회흑색이며 엷은 비늘조각모양으로 벗겨지면 암갈색의 동심원상의 무늬가 생기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동아는 피침형이다.

    분포 : 각지에 식재한다.
    형태 : 상록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rz. Ind. Arch. 2 : 82 (1854)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Read More
  19. 만삼

    학명 :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더덕속(Codonopsis)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 1-5cm 나비 1-3.5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특히 맥 위에 많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보통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며 곁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그 밑의 엽액에서도 계속 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길이 15mm 나비 5mm로서 피침형이다. 화관은 종모양이며 이고 길이 2.5cm 지름 1.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길이 5mm이다.
    열매 : 삭과는 편원추형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9-10월에 익어 끝이 3쪽으로 터져 종자를 쏟아낸다. 종자는 작고 많은데 길고 둥글며 날개가 없는 갈색으로 광택은 없다.
    줄기 : 덩굴줄기는 길이 1~2m이고 줄기의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자르면 유액이 나오고 덩굴줄기는 다른 물체에 감긴다
    뿌리 : 뿌리줄기는 곤봉 모양이다. 뿌리는 원주형으로 길이 20-30cm 지름 0.5-2(10)cm이며 겉이 황갈색을 띤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주로 자라며 남쪽에서는 지리산 천황봉 정상에서도 자란다.
    중국,아무르,우수리

    형태 : 다년생 덩굴성 초본.
    유사종 : 더덕(C. lanceolata)은 주로 산 중턱의 숲속에서 자라므로 뿌리는 중앙부가 비대해져 굵고 약간 길다.
    종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잎이 4윤생처럼 보이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가 도라지 모양이다.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 뿌리가 공 모양이다.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 잎이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다.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특징 : 줄기와 잎에 털이 있고 더덕보다 연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Horti Gothob. 5(2) : 29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묏미나리

    학명 :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묏미나리속(Ostericum)
    이명 : 메미나리멧미나리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 우상복엽이며 길이 10~40cm이고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이 넓어져 줄기를 감싸고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엽병이 엽초로 된다. 소엽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간혹 2~3개로 깊이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화서로 달리며 소산경은 15~20개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안쪽에 잔돌기가 있다. 총포는 없거나 1~2개이고 소총포는 5~6개로 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