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마주잎꾸지나무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f. oppositifolia Nakai
    과명 : 뽕나무과(Moraceae)
    속명 : 닥나무속(Broussonetia)
    이명 : 대생꾸지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러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있다. 표면에 털이 있고 거칠며 뒷면도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700m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성 활엽 교목(보통 관목상태).
    유사종 : ▶꾸지나무(B. papyrifera Vent.):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인데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3-4개로 갈라진 결각상이 있다. ▶민꾸지나무(for.lucida):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채가 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19: 113 (1932)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2. No Image

    마삭줄

    학명 :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 Zucc.) Nakai var. asiaticum
    과명 : 협죽도과(Apocynaceae)
    속명 : 마삭줄속(Trachelospermum)
    이명 : 겨우사리덩굴 마삭나무 마삭덩굴 마삭풀 민마삭나무 민마삭줄 왕마삭나무 왕마삭줄 조선마삭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2-5cm 폭 1-3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mm정도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2-3cm이며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하고 취산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하며 소화경은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7-8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선회상이고 수술은 5개로서 통부에 붙어 있으며 꽃밥 끝이 화관부 입구까지 닿고 암술대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다.
    열매 : 골돌은 길이 12-22cm로서 2개가 서로 평행하거나 예각으로 벌어지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줄기에서 뿌리가 내려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만경식물
    유사종 : ▶마삭줄(T. asiaticum var. intermedum Nakai): 잎은 길이 2-5㎝ 나비 1-3㎝로서 타원형이며 표면은 광택이 있다. ▶백화등(var. majus Ohwi): 잎이 둥글고 큰 것.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6 : 22 (192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3. No Image

    마름

    학명 : Trapa japonica Flerow
    과명 : 마름과(Trapaceae)
    속명 : 마름속(Trapa)
    이명 : 골뱅이
    잎 : 수면까지 자란 원줄기 끝에서 많은 잎이 사방으로 퍼져 수면을 덮으며 떠 있고 잎은 능형 비슷한 삼각형이며 윗부분 가에는 불규칙한 치아상의 거치가 있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절저 비슷하며 톱니가 없고 길이 2.5~5cm 폭 3~8cm로서 표면에 광택이 있으며 뒷면 엽맥상에는 털이 많고 엽병의 길이는 19~20cm로서 털이 있으며 굵어진 부분은 피침형이고 길이는 1~5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1cm 정도로서 흰빛 또는 약간 붉은빛이 돌고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짧고 위를 향하지만 열매가 커짐에 따라서 밑으로 굽으며 길이는 2~4cm이다. 꽃받침잎은 털이 있고 꽃잎 및 수술과 더불어 각각 4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T자 모양으로 검고 딱딱한 견과이며 양끝은 뾰족하고 중간 부분은 둥글다. 양끝의 뾰족한 부분은 꽃받침이 변하여 가시처럼 되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수면까지 자라며 가늘고 길며 물속의 마디에서는 우상의 수중근(水中根)이 내린다.
    뿌리 : 진흙 속에 뿌리를 박고 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자생한다.
    형태 : 1년초 수생 관엽식물.
    유사종 : ▶애기마름(T. pseudo-incisa S. et Z.) : 엽병 화경 및 꽃받침에 털이 없고 잎의 지름이 1-2cm이다.
    특징 : 본속은 우리 나라에 1속 2종이 있으며 잎이 작은 애기마름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Jard. Bot. Repub. Russe. 24: (1925)
    참고문헌 : 1)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rom Corea (T.Mori, 1922)
    Read More
  4. No Image

    마디풀

    학명 : Polygonum aviculare L.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olygonum)
    이명 : 돼지풀 옥매듭 편축
    잎 :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짧으며 장타원형 또는 선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둔하며 길이 1.5-4cm 폭 3-12mm로서 말랐을 때는 녹색이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고 2개로 크게 갈라진 다음 다시 잘게 갈라지며 길이 5-10mm로서 가는 맥과 더불어 가장자리에 굵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고 1개 내지 여러개씩 액출(腋出)하며 꽃받침은 녹색 바탕에 흰빛 또는 붉은빛이 돌고 5조각으로 깊게 갈라지고 타원형이며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6-8개이고 화주는 3개이다.
    열매 : 소견과는 난형이며 흑색 또는 갈색을 띠고 3개 모서리가 있으며 화피보다 짧으며 잔점이 있고 윤채가 없다. 열매는 꽃받침으로 싸였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40cm이고 가늘며 길고 곧게 서는 것도 있으나 흔히 옆으로 비스듬히 눕는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다소 딱딱한 감이 들고 세로로 줄무늬가 있다. 전체에 흰가루가 있어 녹백색을 띤다.

    분포 : ▶북반구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난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큰옥매듭풀(P. bellardi Allioni var. effusum): 마디풀과 비슷하나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이삭마디풀(P. polyneuron): 원줄기는 많이 갈라지고 능선이 많으며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5. No Image

    마디포아풀

    학명 :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섬꾸렘이풀
    잎 : 잎은 길이 10-15㎝ 나비 1.5-3㎜이며 엽초는 밋밋하고 윗부분이 편평하며 엽설은 길이 1-2㎜로서 둔두이고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20cm이며 성기게 퍼지고 난형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잔이삭은 편평하며 녹색으로서 흰빛이 돌고 3-5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길이 3-5mm이다. 포영은 예두로서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1.5mm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2.5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능선이 거칠다. 호영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2.5mm 정도로서 측면 밑부분과 맥 위에 백색 털이 있

    줄기 : 밑부분에서 굽으나 윗부분은 곧추 자라고 높이 40-50cm로서 짙은 녹색이다.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밑부분의 1-2마디가 굵어진다.

    분포 : 제주도와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7 : 116 (191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마늘

    학명 : Allium scorodorpasum var. viviparum Regel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이명 : 마눌
    잎 : 화경(花莖)에서 3-4개의 잎이 호생하며 긴 피침형이고 잎 밑부분은 통모양의 엽초로 되어 서로 감싼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60cm이고 3-4개의 잎이 호생한다. 7월에 잎 속에서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큰 산형화서가 달리고 총포는 길며 부리처럼 뾰족하다. 꽃은 흰 자줏빛이 돌고 꽃 사이에 많은 무성아가 달리며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상 피침형이고 바깥쪽의 것이 보다 크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밑부분에 2개의 돌기가 있다.


    뿌리 : 인경(鱗莖)은 연한 갈색의 껍질같은 잎으로 싸여 있으며 크고 난구형이며 안쪽에 5-6개의 소인경(小鱗梗)이 화경위에 돌려 붙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마늘(A. victorials var. platyphyllum) ▶부추(A. tuberosum Roth.)
    특징 : ▶강한 냄새가 난다. ▶인경 잎 화경(花梗)에서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인경(鱗梗)을 말린 것을 대산(大蒜)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3(2) : 43 (187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7. No Image

    마가목

    학명 : Sorbus commixta Hedl.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마가목속(Sorbus)
    이명 : 은빛마가목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없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복거치 또는 단거치가 있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가을에 황적색으로 단풍이 든다.
    꽃 : 복산방화서는 지름 8-12cm로서 털이 없으며 가지끝에 달린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8-10mm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꽃받침 꽃잎이 각 5개이며 수술은 20개이다.
    열매 :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하는 둥근 이과로서 지름은 5-8mm이다.
    줄기 : 수간은 통직하고 수피는 황갈색이며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고 동아에 점성이 있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중국과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우리나라 전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잔털마가목(var. pilosa NAK.): 소엽이 길이 9cm 폭 1.8cm이고 뒷면 중륵(中肋)에 백색털이 있다. ▶왕털마가목(for. rufo-hirtella NAK.): 잎 뒷면에 성긴 털이 있다. ▶녹마가목(var. rufo-ferruginea SCHNEID.): 화서 꽃받침통 및 잎 뒷면 특히 중륵에 길고 가는 갈색털이 있다. ▶흰털당마가목(S. amurensis var.lanata Nak.): 흰털마가목이라고도 하며 가지와 잎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봄에 돋아나는 새순은 힘찬 용기와 생동감을 일으켜 주며 마아목(馬牙木)이라는 한명(漢名)에도 힘차게 돋는 새순이 말의 이빨과 같이 힘차게 돋아난다 하여 붙여졌듯이 마가목은 동적인 감정을 느끼게 하는 관상수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Sorb. 33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학명 : Dioscorea batatus Decne.
    과명 : 마과(Dioscoreaceae)
    속명 : 마속(Dioscorea)
    이명 : 당마참마
    잎 : 잎은 단엽으로 대생 또는 윤생 한다. 엽연은 전연이고 엽병은 자주색이며 엽신은 삼각형으로 길이는 4-13 cm이다. 표면과 이면은 무모이고 엽저는 심장저이다.
    꽃 : 꽃은 흰색으로 6~7월에 자웅이주로 핀다. 엽액에 이삭화서가 1~3개씩 달린다. 수꽃은 곧게서고 암꽃은 밑으로 처진다. 화피는 6장이고 수술은 6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3개의 날개가 있으며 둥근 날개가 달린 종자가 들어 있다 . 9~10월 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자줏빛이고 육아가 엽액에 존재한다.
    뿌리 : 뿌리는 원주형으로 다육질이다.
    분포 : 한국(제주) 중국 일본 대만
    형태 : 덩굴성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 Hort. ser. 4: 3: 243 (Decne., 185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9. No Image

    리기다소나무

    학명 : Pinus rigida Mill.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소나무속(Pinus)
    이명 : 삼엽송 세잎소나무
    잎 : 잎은 3개 또는 4개씩 속생하고 딱딱하며 비틀리고 길이 7-14cm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횡단면의 수지구가 중위(中位)이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5월에 꽃이 피며 황자색의 수꽃이삭은 긴 원주형이며 암꽃이삭은 계란형이다.
    열매 : 구과는 난상 원추형이며 길이 3-7cm로서 이듬해 9월 갈색으로 익고 오랫동안 가지에 달려 있으며 비후부는 광채가 나고 제는 침상으로 되며 끝이 다소 구부러졌다. 종자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4-7mm 폭 2.5-3mm로서 양끝이 좁고 흑갈색이며 거칠다. 날개는 길이 15mm 폭 5-8mm이고 자엽은 4-6개이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며 가지가 넓게 퍼지고 줄기와 가지에서 싹눈이 잘 나온다. 수피는 적갈색이며 깊게 갈라지고 소지는 연한 갈색이며 동아는 짙은 갈색이다.

    분포 : ▶미국의 북동쪽 대서양 연안에 많이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유사종 : ▶테에다소나무(P. taeda L.): 잎이 길이가 12-25㎝이고 난상 원추형의 구과가 길이 6-10㎝로 열리는 것이다.
    특징 : ▶1906년에 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사방(砂防)및 연료림 조림수종으로 전국적으로 많이 심어 왔다. ▶맹아력이 강하므로 어릴 때는 맹아갱신을 할 수 있으며 건조한 곳이나 습지에서도 잘 자라므로 사방조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송충이의 피해에도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dict. n. 10 (176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레몬

    학명 : Citrus limonia Osbeck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귤속(Citrus)

    잎 : 잎은 어긋나고 처음에는 붉은 색을 띠지만 점점 녹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5∼10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또는 몇 개씩 무리지어 달린다. 꽃봉오리는 붉은 색이고 꽃의 안쪽은 흰색 바깥쪽은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을 띤다.
    열매 : 열매는 1년에 6∼10번 수확하는데 주로 10월 이후부터 다음해 봄까지 수확하고 11∼12월에 가장 많이 수확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연중 수확하며 1∼5월에 가장 많이 수확한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겉껍질이 녹색이지만 익으면 노란 색으로 변하며 향기가 강하다. 완전히 익기 전인 껍질이 녹색일 때 수확하여 익힌다. 종자는 난형이고 양끝이 뾰족하다.


    분포 : 전세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ise Ostind et China 250 (1765)

    Read More
  11. No Image

    레만사초

    학명 : Carex lehmanni Drejer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설령사초
    잎 :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줄기와 비슷하거나 짧으며 편평하고(너비 3~4mm) 진한녹색을 띠고 얇으며 연하다.
    꽃 : 화서는 3~4개의 소수가 숙이지 않고 서로 가까이 촘촘하게 모여난다. 아래쪽 포는 잎모양이고 보통 화서보다 훨씬 길며 엽초는 없다. 소수들은 서로 모양이 비슷한 타원형(길이 6~8mm)이며 짧은 대가 있고 맨윗쪽의 소수는 윗쪽에 암꽃이 피고 밑에는 몇 개의 수꽃이 피며 그 밖의 소수들은 모두 암꽃만 피는 자소수이다. 화영은 나선형으로 돌려 붙는다. 자화영은 과포보다 절반정도 짧고 좁거나 넓은 난형이고 끝은 뭉툭하며 보라색을 띠는 갈색이고 가운데는 연녹색
    열매 : 과포는 도란형에 가까운 타원형(길이 2~2.2mm)이고 무디게 세모지며 막질이고 누런 감색을 띠며 뚜렷한 가는 맥이 있고 잔 돌기는 없다. 과포의 윗부분은 급히 좁아져 짧은 부리를 이루는데 매끈하고 검은색을 띠며 부리끝은 자른 모양이다.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도란형(길이 약 1.7mm)이고 세모진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날카롭게 세모지며 매끈하다. 줄기 밑부분에 있는 잎이 없는 엽초는 질이 연하고 윤기나는 붉은갈색을 띤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는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중앙아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식물체는 포기져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2. No Image

    라프랜드새풀

    학명 : Calamagrostis lapponica (Wahlenb.) Hartm.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잎 : 잎몸은 납작하고 길이 30㎝ 폭 3-5㎜이고 엽설은 길이 2-3㎜이며 막질이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5-15㎝로 밀착하고 작은이삭은 피침형이고 길이 5㎜이다.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용골 위가 꺼칠꺼칠하다. 제 1호영은 1맥 제 2호영은 길이 4.5㎜로 3맥이다. 외영은 길이 4㎜이고 5맥이고 중앙밑에서 까락이 나오고 까락의 길이 2㎜. 내영은 길이 3㎜로 2맥이다. 캘러스의 털은 외영과 길이가 같거나 짧다. 소축은 내영 뒤에서 길어진다. 수술은 3개 꽃밥의 길이 2㎜이다. 인피는 2개로 피침형이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긴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 건조한 산지의 경사면에서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3. No Image

    학명 :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띠속(Imperata)
    이명 : 띄 삐비 삘기
    잎 : 잎은 총생하며 길이 20-50cm 나비 7-12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도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거칠거칠하다. 엽초에 털이 있는 것이 있고 엽설은 짧으며 절두이고 막질이며 가늘게 갈라진다.
    꽃 : 화수(花穗)는 5월에 잎보다 먼저 나오고 원주상 화서는 길이 10-20cm로서 원줄기에서 1-2회 갈라지며 각 소분지의 마디에 길이가 같지 않은 2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4.5mm로서 피침형 예두이며 털이 없고 밑부분에는 길이 12mm정도의 은백색 털이 밀생한다. 첫째와 둘째 영는 막질이며 피침형 예두로서 맥이 약간 있고 호영은 극히 작으며 까락이 없다. 수술은 길이 2.5-3mm로서 2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져서

    줄기 : 높이 30-80cm이고 곧게 서고 굽으며 마디에 털이 있거나 또는 없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길며 백색이고 땅속 깊숙이 뻗는다. 근경을 모근(茅根)이라 하며 약용한다.
    분포 : ▶동부아시아 온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ragm. fl. Philipp. 137. (190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뜰보리수

    학명 : Elaeagnus multiflora Thunb.
    과명 :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속명 : 보리수나무속(Elaeagnus)
    이명 : 녹비늘보리수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이고 짧은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3-10cm 너비 2-5cm로서 톱니가 없으며 표면은 어릴 때 인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은백색 인모와 갈색 인모가 섞여 있다.
    꽃 : 꽃은 연한 황색으로서 1-2개가 단생하거나 액생하며 백색 인모와 갈색 인모가 있고 화경은 가늘고 길이 4-8mm이다. 꽃받침통은 기부가 급히 좁아져서 자방을 둘러싸며 열편과 길이가 비슷하고 열편과 수술이 각 4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로 밑으로 처지며 길이 1.5-5cm인 과경에 달리고 6-7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어린 가지는 적갈색 인모로 덮여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 소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66 (1784)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5. No Image

    뜰단풍

    학명 : Acer palmatum var. matsumurae (Koidz.) Makino
    과명 : 단풍나무과(Aceraceae)
    속명 : 단풍나무속(Acer)
    이명 : 모미지나무 왜단풍나무 )
    잎 : 잎은 대생하고 장상으로 7~9개로 갈라지며 밑은 심장형이고 열편은 타원상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꼬리모양으로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톱니 때로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길다.
    꽃 : 꽃은 수꽃과 양성화가 섞여 나고 4~5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산방상 원추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짙은 홍색이며 꽃잎은 5개로 타원형이고 수술은 8개이며 암술의 하부에 짧은 날개를 가진 자방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시과로 길이 2cm 이상의 날개가 있으며 둔각으로 벌어지고 10월에 성숙한다.





    특징 : 봄부터 붉은 잎이 나오는 것을 조일단풍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Nipp. 351 (1940)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뚱딴지

    학명 : Helianthus tuberosus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해바라기속(Helianthus)
    이명 : 돼지감자 뚝감자
    잎 : 잎에 털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대생하고 윗부분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내외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맥이 발달하고 엽병에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황색이고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져서 끝에 두상화가 달리며 두상화는 지름 8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10개 이상의 설상화(舌狀花)가 달린다. 총포는 컵모양이며 총포 조각은 2~3줄로 배열한다.
    열매 : 수과이고 비늘조각 모양의 돌기가 있다.
    줄기 : 거친 털이 있어 껄끄럽다.
    뿌리 : 지하경 끝이 굵어져서 괴경이 발달하며 털이 있다.
    분포 : 재배하기도 하고 야생하기도 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처음에는 괴경을 식용으로 하기위해 심었으나 지금은 인가 근처에서 야생상으로 자라며 때로는 사료작물로 심기도 한다. 일명 돼지감자라고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뚝향나무

    학명 : Juniperus chinensis var. horizontalis Nakai
    과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 향나무속(Juniperus)
    이명 : 앉은향나무
    잎 : 잎은 대생 또는 3윤생이다. 침엽의 윗면은 들어가고 2줄의 흰색 기공대가 있으며 뒷면은 녹색 비늘잎은 난상 미름모꼴 윗면에 불분명한 선점(腺點)이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가지 끝에 붙는다. 수꽃송이의 비늘잎은 14개 비늘잎 안에 4-5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송이의 비늘잎은 4개 비늘잎 안에 배주가 보통 4개 들어있다.
    열매 : 구과는 육질로 된 구형이며 흑자색이다.
    줄기 : 1-2년생 가지는 녹색 3년생 가지는 암갈색이다.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진다.

    분포 : 경상 북도 안동군 와룡면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교목
    유사종 : ▶향나무(J. chinensis L.)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원줄기는 땅을 기고 잎은 대부분이 침엽 끝이 안으로 굽으며 6줄로 늘어선다. ▶단천향나무(J. davurica Pallas) : 우리 나라 북부에 나는 잎이 가지와 거의 직각이며 엽신이 곧고 엽서가 4줄이다.
    특징 : ▶경상 북도 안동군 와룡면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 314호이다. ▶향나무에 비해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8. No Image

    뚝지치

    학명 : Hackelia deflexa (Wahlenb.) Opiz
    과명 : 지치과(Boraginaceae)
    속명 : 뚝지치속(Hackelia)
    이명 : 뚝돌지치북개지치산개지치 산들지치
    잎 : 잎은 호생하고 선상 피침형이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고 길이 2-5(9)cm 폭 3-10(20)mm로서 양면에 강모가 밀생하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하늘색으로 지름 3-5mm이며 가지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5mm로서 꽃이 진 다음 처지며 포는 피침형이고 소화경보다 짧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1-3mm로서 꽃이 진 다음 젖혀지며 화관 후부가 황색이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이다. 분과는 사면체이고 가장자리에 자모가 줄로 돋아 있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표면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20-8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강모가 밀생한다.

    분포 : 함경도의 고원지대 및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1년 또는 2년초

    특징 : 뚝지치란 일본이름을 잘못 번역한 것으로서 산지에서 자란다는 것을 잘못 번역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Oekon.-techn. Fl. Bohm. 2(1): 147 (183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9. No Image

    뚝새풀

    학명 : Alopecurus aequalis Sobo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뚝새풀속(Alopecurus)
    이명 : 개풀독개풀 독새 독새기 독새풀 둑새풀 산독새풀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5~15cm 폭 1.5~5mm로서 백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색이 연하고 막질이며 뚜렷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반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3-8cm 폭 3-5mm로서 연한 녹색이고 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소수(小穗)는 1개의 꽃으로 되며 좌우로 납작하고 짧은 대가 있다. 포영은 좌우 2개로서 기부에 붙어 있고 좁은 도란형이며 둔두로서 3맥이 있으며 바깥쪽 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고 중륵에 백색털이 있다. 호영은 포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난형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의 중앙까지 붙고 둔두로서 희미한 5맥이 있다. 까락은 뒷면 중앙이하에서 돋으며 길이
    열매 : 길이 1mm의 영과이다.
    줄기 : 높이 30cm이고 털이 없으며 밑에서 여러 갈래로 뭉쳐 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petrop. 16 (179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뚝사초

    학명 : Carex thunbergii var. appendiculata Traut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논두렁사초 논드렁사초 둑사초 복지사초 좁별사초
    잎 : 잎은 나비 1.5~4mm로 줄기보다 짧고 마르면 흔히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린다. 기부의 엽초는 엽상 또는 엽신이 없고 황갈색 또는 적자갈색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3~5개의 소수가 달린다. 위쪽의 소수는 길이 2~6cm로 갈색 선형이며 수꽃이 달린다. 아래쪽의 소수는 길이 1.5~5cm로 장타원형 또는 원주형의 암꽃이 달린다. 최하의 포는 짧은 엽상이다. 암꽃의 인편은 장타원상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과포는 난형으로 부리는 몹시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둥근 렌즈 모양이며 길이가 2mm이고 양면에 가는 맥이 있다. 암술머리는 2개이다.
    줄기 : 줄기는 뭉쳐나고 세모지며 높이가 20∼80cm이다.
    뿌리 : 근경은 아주 드물게 포지를 낸다.
    분포 : 한국·일본을 포함하여 동아시아 북부의 한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산비늘사초와 비슷하나 잎이 가늘고 인편이 과포보다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 248 Next
/ 248